에도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도말은 에도 시대에 형성되어 도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일본어 방언이다. 참근교대와 인구 유입으로 인해 다양한 방언의 영향을 받았으며, 서민들의 구어를 묘사한 문학 작품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수도권 방언의 확산과 고령화로 인해 사용자가 감소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그 특징이 유지되고 있다. 에도말은 중륜 도쿄식 악센트를 사용하며, '시'와 '히'의 발음 혼동, 연모음 변화 등의 음운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토 방언 - 도쿄 방언
도쿄 방언은 에도 시대 에도 방언에서 시작하여 표준어의 기반이 되었으며, 서관동 방언에 서일본 방언의 영향과 지역 간 억양 차이, 독특한 어휘 및 문법적 특징을 보이나, 현대에는 표준 일본어 보급과 주변 방언의 영향으로 변화하고 젊은 세대에서 새로운 특징이 나타난다. - 일본어의 역사 - 중고 일본어
중고 일본어는 794년부터 1185년까지 헤이안 시대에 사용된 일본어의 한 형태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파생되고,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문자 체계로 사용하며,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의 문법과 다양한 문법 요소, 고유어와 한자어를 어휘로 사용했다. - 일본어의 역사 - 만요가나
만요가나는 7세기경부터 사용된 일본어 표기 방식으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했으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에도말 | |
---|---|
개요 | |
언어 종류 | 소멸 위기 방언 |
사용 지역 | 일본 도쿄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 |
시대 | 에도 시대 |
역사 | |
기원 | 무로마치 시대 말기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초기 |
성립 | 에도 (현재의 도쿄) |
변화 | 도쿄 방언의 기초 |
쇠퇴 | 메이지 시대 이후 표준어 보급 정책으로 인해 |
특징 | |
어미 | '~だ(다)' 대신 '~だべ(다베)', '~だよ(다요)' 대신 '~だ べい(다 베이)', '~ます(마스)' 대신 '~やす(야스)' 등 사용 |
인칭 대명사 | '俺(오레)'(남성), 'あたし(아타시)'(여성) 등 사용 |
어휘 | 독자적인 어휘 및 표현 다수 존재 |
존칭 | '~さん(상)' 대신 '~の字(노 지)' 사용 |
현대에 미치는 영향 | |
영향 | 현대 도쿄 방언 및 일본어에 일부 어휘 및 표현 남아 있음 |
매체 | 시대극, 만화, 애니메이션 등에서 캐릭터 설정 또는 시대 배경 묘사 목적으로 사용 |
참고 문헌 | |
서적 | 江戸語辞典(에도고 사전) 時代劇 말투講座(시대극 말투 강좌)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도쿄 방언 게이힌 방언 시대극 에도 시대 |
2. 역사
2.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에는 참근교대(参勤交代) 제도와 다른 지방으로부터의 인구 유입이 많았다. 이로 인해 에도 말은 일본 각지의 방언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주변의 서관동 방언과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에도 시대 전기와 중기에는 에도 서민들의 구어를 기록한 자료가 부족하여, 에도 말의 초기 형태에 대한 연구는 어려운 상황이다.에도 시대 후기에 들어서면서, 서민들의 구어를 생생하게 묘사한 문학 작품(골계본(滑稽本), 익살책(洒落本) 등)이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특히 시키테이 산바(式亭三馬)의 『우키요부로(浮世風呂)』는 에도 말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 2. 현대
에도っ子는 도쿄의 거리와 문화에 강한 자긍심과 애착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동 대지진이나 도쿄 대공습 등의 재해와 전쟁 피해에 따라 다수의 교외 이주자를 내면서도, 에도 말의 특징은 비교적 최근까지 잘 유지되었다. 그러나, 고도 경제 성장기와 버블기에 의해 젊은 인구가 도심을 떠나 교외로 이주하면서, 고령화가 진행되었다. 더욱이 도쿄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주로 수도권 방언이 사용되면서 에도 말의 계승자는 감소하고 있다. 다만, 현재에도 옛 에도 지역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에게는 그 특징이 계승되고 있기도 하며, 수도권 방언에 영향을 주고 있는 면도 있다.3. 특징
에도 말은 중륜 도쿄식 악센트를 사용한다.[2] 야마구치 유키히로는 관동 서부에서 중부 지방 동부에 걸친 중륜 도쿄식 악센트의 분포를 도쿠가와 무사단의 서미카와에서 에도로의 이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2]
3. 1. 음운
3. 1. 1. '시(シ)'와 '히(ヒ)'
에도 말에서는 'i' 또는 'y' 앞에 오는 's' (음절로는 시, 샤, 슈, 쇼)와 'h' (음절로는 히, 히야, 휴, 효)의 발음이 혼동되는 현상이 나타난다.[3] 예를 들어, "시라히게바시(白鬚橋)"를 "히라시게바시"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동(東)" : 히가시~시가시
- "전당포(質屋)" : 시치야~히치야
- "갯벌 조개잡이(潮干狩り)" : 시오시가리~히오시가리~히요시가리
- "히로시마(広島)"는 "히로시마"로 발음할 수 있지만, "히가시히로시마(東広島)"가 되면 "히가시시로시마", "시가시히로시마", "시가시시로시마"
- "집사(執事)"(시쓰지)와 "양(羊)"(히츠지)이 바뀐다.
이러한 현상은 규칙적인 음운 법칙이며, 특정 단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4] "히라시게바시"의 경우, 원래 가 으로 발음되는 현상과, 반대로 원래 가 으로 발음되는 현상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는 음소상의 구별은 없어졌지만, 음성으로는 아직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4] 화자에 따라, 또는 같은 화자라도 때에 따라 발음이 다르게 들릴 수 있으며, "시라히게바시"는 "시라시게바시"처럼 들리기도 한다.
유사한 현상이 동관동(이바라키 방언 등), 도호쿠 방언, 류큐어 등에서도 나타나지만, 에도 말에서는 "치(チ)"와 "키(キ)", "지(ジ)"와 "기(ギ)"의 혼동은 일어나지 않으며,[5][6] 음성의 흔들림이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1. 2. 연모음 변화
아이・아에・오이가 에ー, 우이가 이ー로 변화한다. 이것은 간토 지방에서 널리 나타나는 음운 변화이며, 젊은 층에게도 비교적 계승되고 있다.- 부엌에 있는 장바구니에 무가 들어 있다 → 데ー도코로에 있는 케ー모노 부쿠로에 데ー콘가 헤ー떼루
3. 1. 3. 그 외 특징적인 어휘
- 手拭일본어: 테노고이~텐고이
- お湯屋さん일본어: 오이야상 / 髪結いさん일본어: 카미이산
- 真っすぐ일본어: 맛츠구
- 踏み込んで일본어: 훈곤데
- 遊ぶ일본어, 遊んで일본어: 아스브, 아슨데
- ぶら下がる일본어: 부루사갈
3. 1. 4. 접두어
에도 말에서는 동사 앞에 특정 접두어가 붙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붓치기루(ぶっ千切る), 츳타타쿠(っ叩く)와 같은 단어들이 있다.4. 주요 화자 (저명인사)
4. 1. 전통 예능 계열
고콘테이 신초(라쿠고가)는 분쿄구 혼코마고메 출신이다. 우치우미 케이코(만자이 콤비)는 다이토구 아사쿠사 출신이다. 다테가와 단시(라쿠고가)는 분쿄구 고이시카와와 오타구 우노키 출신이다.4. 2. 그 외
나가사쿠 롯포(永六輔)는 탤런트, 수필가로 다이토구 모토아사쿠사 출신이다. 다카다 후미오(高田文夫)는 라디오 퍼스널리티, 방송 작가, 탤런트로 시부야구 도미가야 출신이다. 이카리야 초스케(いかりや長介)는 코미디언, 뮤지션, 배우, 사회자로 스미다구 히가시코마가타 출신이다. 기타노 다케시(비토 다케시(ビートたけし))는 예능인, 탤런트, 영화 감독으로 아다치구 시마네 출신이다.5. 작품
에도 시대의 낙어 등 전통 예능, 시대극을 제외하고, 에도 말을 소재로 한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남자는 괴로워,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다케시 군, 하이! 등이 있다.
참조
[1]
문서
べらんめえ
[2]
서적
日本語東京アクセントの成立
港の人
2003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