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부정행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구부정행위는 연구 과정에서 진실성을 훼손하는 모든 행위를 포괄하며, 위조, 변조, 표절, 부당한 논문 저자 표시, 중복 게재 등이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연구부정행위는 연구윤리 교육 부족, 경력 압박, 조작의 용이성, 금전적 이득, 심사 과정의 문제점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과학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신뢰를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구윤리 교육 강화, 연구 환경 개선, 내부고발자 보호, 독립적인 조사 시스템 구축, 연구노트 작성 의무화, 국제 협력 강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7년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을 제정하여 연구부정행위에 대응하고 있으며, 재현성 문제, 처벌 강화와 연구 자율성 보장 간의 균형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적 오류 - 유사과학
유사과학은 과학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지식 체계 또는 주장이지만, 그 경계는 모호하며 사회 문제 야기와 확산에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다. - 과학적 오류 - 화물숭배과학
화물 숭배 과학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남태평양 원주민들이 미군 비행장 모방 의식을 통해 물자 유입을 기대한 현상에서 유래되어, 과학의 근본적 이해 없이 겉모습만 따라하는 행태를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 연구부정행위 - 창조과학
창조과학은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반하여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지구와 우주의 젊은 나이를 주장하며 진화론을 부정하는 유사과학이다. - 연구부정행위 - 체리 피킹
체리 피킹은 유리한 정보만 선택하고 불리한 정보는 무시하는 행위로,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 입장을 옹호하거나 반대하는 데 사용되는 오류이다. - 법률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률 용어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 연구부정행위 | |
|---|---|
| 정의 | |
| 과학적 부정행위 | 과학 연구 수행 시 발생하는 윤리적 위반 행위를 의미함. 데이터 조작, 표절, 위조 등이 포함됨. |
| 유형 | |
| 데이터 조작/위조 | 연구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변경하거나 허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행위 |
| 표절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 연구 결과, 저작물을 출처를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행위 |
| 연구비 부정 수령 | 연구비를 허위로 청구하거나 연구 목적 외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 |
| 부당한 논문 저자 표시 | 연구에 기여하지 않은 사람을 저자로 포함시키거나, 기여한 사람을 누락하는 행위 |
| 중복 게재 | 이미 발표된 논문을 새로운 논문인 것처럼 다시 발표하는 행위 |
| 연구 윤리 위반 | 연구 과정에서 실험 대상의 인권을 침해하거나 동물 실험 윤리를 위반하는 행위 |
| 영향 | |
| 과학계 신뢰도 저하 | 부정행위는 과학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과학계 전체의 명예를 훼손함. |
| 연구 자원 낭비 | 부정행위로 인해 잘못된 연구 결과가 확산되면 불필요한 연구 자원 낭비가 발생함. |
| 사회적 피해 | 부정행위에 기반한 정책 결정은 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처벌 | |
| 연구비 지원 중단 | 부정행위가 적발된 연구자는 연구비 지원이 중단될 수 있음. |
| 논문 철회 | 부정행위가 확인된 논문은 학술지에서 철회될 수 있음. |
| 소속 기관 징계 | 부정행위자는 소속 기관으로부터 해고, 정직 등의 징계를 받을 수 있음. |
| 법적 처벌 | 연구비 횡령 등 심각한 부정행위는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음. |
| 예방 | |
| 연구 윤리 교육 강화 | 연구 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연구자의 윤리 의식을 고취해야 함. |
| 연구 과정 투명성 확보 | 연구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부정행위 발생 가능성을 줄여야 함. |
| 내부 고발 시스템 활성화 | 부정행위를 목격한 사람이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는 내부 고발 시스템을 활성화해야 함. |
| 검증 시스템 강화 | 연구 결과에 대한 검증 시스템을 강화하여 부정행위를 조기에 발견해야 함. |
| 관련 용어 | |
| 표절 (plagiarism)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저작물을 출처를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행위 |
| 데이터 날조 (data fabrication) |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행위 |
| 데이터 위조 (data falsification) | 연구 자료나 장비, 과정 등을 조작하거나 연구 결과를 변경, 누락시키는 행위 |
| 부당한 저자 표시 (improper authorship) | 연구 내용 또는 결과에 대하여 공헌 또는 기여를 한 사람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저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거나, 공헌 또는 기여를 하지 않은 자에게 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 |
2. 연구부정행위의 정의 및 유형
연구부정행위는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속임수나 자기기만 등을 통해 연구 공동체와 사회에 해를 끼치는 행위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위조(Fabrication), 변조(Falsification), 표절(Plagiarism), 즉 FFP가 이에 속한다.[340]
연구부정행위는 크게 다음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위조''': 데이터나 결과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행위.
- '''변조(Falsification)''': 연구 자료, 장비, 과정을 조작하거나 데이터, 결과를 변경 또는 누락시켜 연구 기록을 왜곡하는 행위.
- '''표절(Plagiarism)''': 적절한 출처 표시 없이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 과정, 결과, 단어를 사용하는 행위.
- '''부당한 논문 저자 표시''': 연구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은 사람에게 저자 자격을 부여하거나, 반대로 기여한 사람을 저자에서 제외하는 행위.
- '''중복 게재'''(Self-plagiarism): 이전 연구 결과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새로운 연구 결과인 것처럼 발표하는 행위.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행위들이 연구부정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 '''강요된 인용''': 동료 심사 과정에서 심사자가 자신의 논문 인용을 강요하는 행위.[25]
- '''포식성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행위.[27][28]
- '''집단 사고'''와 같이 새로운 연구에 대한 공정한 심의를 방해하는 행위.[29]
- '''몰래 넣은 참고 문헌''': 원저자가 모르게 허용된 원고에 참고 문헌을 추가하는 행위.[30]
- '''헬리콥터 연구'''
랜싯지에서는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도 한다.[72]
- 덴마크: 과학적 메시지를 변조하거나 왜곡하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 과학자에게 잘못된 신용이나 주목을 주는 행위.
- 스웨덴: 데이터를 조작하여 연구 과정을 의도적으로 왜곡하거나, 다른 연구자의 자료, 문장, 가설, 방법을 도용하는 행위, 그 외의 방법으로 연구 과정을 왜곡하는 행위.
2. 1. 위조 (Fabrication)
위조(Fabrication)는 존재하지 않는 실험 결과나 자료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341]미국 국립 과학 재단은 연구 부정을 조작, 변조, 표절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한다.[11][12] 이 중 조작은 실험 결과를 만들어내 기록하거나 보고하는 것으로, "드라이래빙(drylabbing)"이라고도 불린다.[13] 덜 심각한 형태로는 참고 문헌을 포함하지만 실제로는 가짜이거나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14]
2. 2. 변조 (Falsification)
변조(Falsification)는 연구 자료, 장비, 과정을 조작하거나 데이터 또는 결과를 변경하거나 생략하여 연구 기록을 왜곡하는 행위이다.[11][12] 변조는 실제로 얻은 결과를 자신의 가설과 부합하도록 왜곡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은 연구 부정을 조작, 변조, 표절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한다.[11][12]2. 3. 표절 (Plagiarism)
표절(Plagiarism)은 동료의 연구 결과나 아이디어를 가로채는 것이다.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은 연구 부정을 조작, 변조, 그리고 표절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한다.[11][12]표절은 적절한 출처를 밝히지 않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 과정, 결과 또는 단어를 도용하는 것이다.[15]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와 결과를 도용하여 마치 자신의 데이터처럼 보이게 출판하는 형태도 표절의 한 형태이다. '''인용 표절'''은 다른 사람 또는 이전 발견자에게 적절한 출처 표시를 의도적으로 또는 과실로 하지 않아 우선 순위에 대한 부적절한 인상을 주는 것이다. 이는 "인용 기억 상실증", "무시 증후군", "서지적 과실"이라고도 불린다.[15]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이것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과학적 부정행위이다. 때로는 저자가 의도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인용을 무시했는지, 아니면 이전 연구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는지 추측하기 어렵다. 발견의 출처는 원래 발견자로부터 더 잘 알려진 연구자에게 부주의하게 재할당될 수 있는데, 이는 마태 효과의 특별한 경우이다.[16]
2. 4. 부당한 논문 저자 표시
연구 내용 또는 결과에 대하여 과학적, 기술적 공헌 또는 기여를 하지 않은 자에게 감사의 표시 또는 예우 등을 이유로 자격 논문 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이다.[11][12]- '''객원 저자'''[18] -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않은 사람에게 저자 자격이 부여되는 현상.[19][20] 이는 경험이 부족한 주니어 연구자들의 논문에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는 선임 연구자[21]와 출판을 보장하기 위해 저자 자격을 쌓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저자 자격" 또는 "실질적 기여"를 정의하는 데 일관성이 부족하여 입증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22][23][24]
- 유령 필자 – 명명된 저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주요 기여를 하는 현상. 일반적으로 이것은 이해 상충이 있는 저자의 기여를 숨기기 위해 수행된다.
게스트 저자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저자로 명시된 경우, 선물 저자라고도 함) 및 유령 저자 (실제 저자가 저자로 등재되지 않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연구 부적절 행위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일부 경우, 조작된 연구의 공동 저자는 다른 사람 또는 상업적 후원자가 작성한 보고서를 확인하지 않아 부적절한 행위 또는 연구 부적절 행위로 기소되었다. 예로는 황우석과 공동 저술한 제럴드 샤텐의 사례, 말콤 피어스가 조작한 논문의 게스트 저자로 지명된 제프리 체임벌린 교수의 사례가 있다.[37] (체임벌린은 피어스의 속임수에 공모한 혐의에서 벗어났다.)[38]
2. 5. 중복 게재 (Self-plagiarism)
자기 표절, 즉 중복 게재는 자신의 이전 연구 결과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새로운 연구 결과인 것처럼 발표하는 행위를 말한다.[17] 다른 제목이나 다른 저널에 동일한 내용을 다중 출판하는 것도 부정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과학 저널은 저자에게 이러한 행위를 하지 않도록 명시적으로 요청한다.[17] 의학 저널 편집자들 사이에서는 "살라미"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부 편집자에 따르면, 동일한 기사를 다른 언어로 출판하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17] 2008년 네이처(Nature) 지의 기사에서는 발표 논문의 약 1%가 이중 게재라는 추정이 소개되었다.[105]2. 6. 기타 연구부정행위
기타 행위로는 본인 또는 타인의 부정행위 의혹에 대한 조사를 고의로 방해하거나 제보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행위, 기타 학계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현저하게 벗어나는 행위 등이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정직한 학문적 이견이나 실수는 연구부정행위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논문 저자 등재(authorship)도 중요한 연구 윤리의 문제이나 이에 관한 문제는 연구부정행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연구부정행위를 구분 짓는 범위는 국가마다 약간 다른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72]랜싯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소개되었다.[72]
- 덴마크의 정의: 과학적 메시지의 개변(改變)이나 왜곡을 초래하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 과학자에게 잘못된 신용이나 주목이 주어지는 것.
- 스웨덴의 정의: 데이터의 조작에 의한 의도적인 연구 프로세스의 왜곡. 다른 연구자의 원고나 출판물로부터의 데이터, 문장, 가설, 방법의 도용. 그 외의 방법으로 연구 프로세스를 왜곡하는 것.
2008년 네이처(Nature) 지의 기사에서는 발표 논문의 약 1%가 이중 게재라는 추정이 소개되었다.[105]
3. 연구부정행위의 성립 요건
연구부정행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해당 연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연구 행위에서 상당히 일탈해야 한다.
- 계획적으로 행해졌거나, 고의적으로 알면서 행하였거나, 또는 행위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개의치 않으며 행해져야 한다.
- 연구부정행위 혐의가 preponderance of evidence영어로 입증되어야 한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기여도가 없는 논문의 저자가 되었다고 응답한 연구자의 비율은 미국에서는 약 55%, 유럽에서는 약 69%였다.[106]
3. 1. 상당한 일탈
'상당한 일탈'은 해당 연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연구 행위에서 벗어난 행위를 의미한다.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기여도가 없는 논문의 저자가 되었다고 응답한 연구자의 비율은 미국에서는 약 55%, 유럽에서는 약 69%였다.[106] 2012년, 제약 회사 암젠이 조사한 결과, 유명한 암 연구 논문의 89%에서 재현성이 없었다.[107]
2015년에는 유명한 심리학 논문 중 재현이 확인된 것은 39%라는 보고가 나왔다.[108]
2021년, 암 연구의 유명 논문 53편에 게재된 193개의 실험 중 절반 이상의 실험에 대해 재현을 확인할 수 없었다는 보고가 나왔다.[109][110][111] 실험 조건을 문의해도 저자로부터 협력을 전혀 얻을 수 없는 비율은 32%였다.
3. 2. 고의성 또는 중과실
필트다운인 사기 사건은 증거 조작이 과학 연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53] 이 사건으로 인해 진본 화석의 중요성이 축소되었고, 아서 스미스 우드워드는 필트다운에서 더 많은 유물을 찾기 위해 시간을 허비했다.[53] 이는 다른 과학자들이 실제 화석을 더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했고, 인간 진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지연시켰다.[53]돈 폴더만스 교수의 경우, 수술 환자의 사망과 심근 경색 예방 치료법에 대한 보고서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했다.[53] 해당 보고서는 수년간 북미와 유럽 전역의 치료 지침에 사용되었다.[54]
알프레드 슈타인슈나이더 박사의 경우,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과 유아 수면 무호흡증 사이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20년 동안 수천만 달러의 연구 자금이 낭비되었다.[56] 1972년 ''소아과'' 논문은 와네타 호이트가 다섯 자녀를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덮였다.[56] 이 논문은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을 앓는 부모의 변호에 사용되기도 했다.[57]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연구자의 약 55%, 유럽 연구자의 약 69%가 자신이 기여하지 않은 논문의 저자가 되었다고 응답했다.[106] 2012년, 제약 회사 암젠의 조사 결과, 유명 암 연구 논문의 89%가 재현 불가능했다.[107] 2015년에는 유명 심리학 논문 중 39%만이 재현이 확인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108] 2021년, 암 연구의 유명 논문 53편에 게재된 193개의 실험 중 절반 이상이 재현 불가능했다는 보고가 나왔다.[109][110][111] 실험 조건 문의에 저자로부터 협력을 얻지 못한 비율은 32%였다.
3. 3. 증거의 우세
연구부정행위 혐의는 "preponderance of evidence영어"로 입증되어야 한다.4. 연구부정행위의 원인 및 동기
연구부정행위는 연구자 개인의 윤리의식 부재뿐 아니라, 제도 및 환경적 요인도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제도적 요인으로는 전문성이 부족한 연구 과제 기획 및 선정 시스템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연구비 수주 경쟁 심화와 단편적 성과주의의 지나친 강조 등이 지적된다. 특히 연구 시스템의 거대화와 복잡화는 연구자 개인의 윤리의식을 집단의 분위기에 동화, 희석시켜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무감각이나 자기합리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연구 제도 및 환경의 불합리성과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증가할 수 있다.[9]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의 데이비드 굿스타인은 과학자들이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는 동기로 경력 압박, 조작의 용이성, 금전적 이득을 제시했다.[9]
따라서 연구윤리 및 진실성 확보는 연구자 개인뿐 아니라 연구기관과 연구지원기관 모두의 책임이다. 연구기관은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연구 환경과 연구실 문화 조성을, 연구 지원기관은 연구비 배분 및 관리의 공정성, 투명성, 합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책 마련을 통해 연구부정행위를 예방해야 한다.
연구노트 활용은 연구부정행위를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연구노트는 논문 발표, 특허권, 지식재산권 취득, 연구부정행위 검증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노트 기록 의무화 및 특허, 논문 발표 시 연구노트 확인 절차 강화는 연구부정행위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는 연구노트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특허권 취득 시 연구노트 내용을 인정하는 추세이다.
내부고발 제도 확대 및 강화 역시 연구부정행위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은 2002년부터 부패방지법에 의거, 부패행위 신고자 보호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113][114][115] 이 제도는 부패방지위원회라는 독립된 보호·보상 기관, 구체적인 보상 규정, 신변 보호, 협조자 보호, 책임 감면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불이익 처벌의 경미함, 제한적인 보호 범위, 피드백 시스템 부재, 부패방지위원회의 자체 조사 수사권 결여 등은 개선점으로 지적된다.
4. 1. 개인적 요인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의 데이비드 굿스타인은 과학자들이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는 동기로 다음을 제시했다.[9]- 경력 압박: 과학 분야는 경력 중심적이며, 과학자들은 지속적인 지원과 자금을 받기 위해 좋은 평판에 의존한다. 이러한 평판은 수준 높은 과학 논문 발표에 크게 좌우되므로, "출판 아니면 도태"라는 압박감이 존재한다. 이는 필사적이거나 명성을 갈망하는 과학자들이 결과를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 조작의 용이성: 많은 과학 분야에서 결과는 노이즈, 인공물 등에 의해 가려져 정확한 재현이 어렵다. 과학자가 데이터를 위조해도 쉽게 빠져나가거나, 다른 사람들의 결과와 상충될 경우 무죄를 주장할 수 있다. 또한, 위반 가능성을 조사하거나 부정행위를 처벌하는 강력한 지원 시스템이 부족하다.
- 금전적 이득: 일부 과학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기업에 제품을 지원하도록 비용을 받거나, 양육권 소송 등에서 전문가 증인으로 활동하여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널드 크레시는 조직 관련 범죄가 "기회", "동기", "정당화"의 세 요소가 충족될 때 발생한다고 보았다. 연구 부정의 경우, 동기는 "publish or perish"로 표현되는 연구자 간의 치열한 경쟁에서 비롯된다는 견해가 있다.[116]
2013년 일본 분자생물학회의 설문조사에서는 개인에게 원인이 있다는 의견과 구조에 원인이 있다는 의견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98]
4. 2. 구조적 요인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의 데이비드 굿스타인은 과학자들이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는 동기로 경력 압박, 조작의 용이성, 금전적 이득을 제시했다.[9]- 경력 압박: 과학 분야는 "출판 아니면 도태"라는 압박이 강한 경력 중심적이다. 과학자들은 지속적인 지원과 자금을 얻기 위해 좋은 평판을 유지해야 하며, 이는 주로 수준 높은 과학 논문 발표에 달려있다.[9]
- 조작의 용이성: 많은 과학 분야에서 결과는 노이즈, 인공물 등에 의해 가려져 정확하게 재현하기 어렵다. 데이터를 위조해도 모면하기 쉽고, 부정행위를 조사하고 처벌하는 강력한 시스템도 거의 없다.[10]
마츠자와 타카아키(松澤孝明)는 연구 윤리 시스템을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127]
| 유형 | 설명 | 예시 |
|---|---|---|
| 유형 1 | 조사 권한이 있고 국가 차원에서 입법화된 집권 시스템 | 미국 (연구 윤리국 등) |
| 유형 2 | 연구 자금 배분 기관이나 개별 기관과 다른, 감독을 위한 법률에 의하지 않는 조직으로 구성된 시스템 | |
| 유형 3 | 독립된 연구 윤리 감독 조직이나 컴플라이언스 기능이 없는 시스템 | 일본 |
5. 연구부정행위의 영향 및 심각성
연구부정행위는 연구자 개인뿐만 아니라 연구 공동체와 사회 전체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행위이다. 연구자는 정직성, 정확성, 효율성, 객관성이라는 핵심 가치를 지켜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해야 하지만, 연구부정행위는 이러한 가치를 훼손한다.[340]
연구부정행위는 위조(Fabrication), 변조(Falsification), 표절(Plagiarism)과 같이 FFP라고 불리는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부정행위는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고, 관련된 사람들과 기관의 명예를 실추시키거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연구부정행위로 인해 잘못된 과학적 결론이 도출되면 사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커비 리(Kirby Lee)와 리사 베로(Lisa Bero)는 원자료 검토 정책이 데이터 정확성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과학 사기나 부정행위를 줄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62]
5. 1. 과학 발전에 미치는 영향
잘못된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의 방향을 왜곡시킬 수 있다. 또한 허위 연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불필요한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여 연구 자원이 낭비된다. 이는 과학 연구 전체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여 과학적 신뢰도를 저하시킨다.[58][59][60][61]해롤드 가너 박사의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의과대학 연구진은 표절 및 중복 게재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자뷰[59]라는 도구를 개발했다. 데자뷰는 eTBLAST라는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천 건의 중복 게재 사례를 발견했다.
오차 분석은 사기 데이터를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도구이다. 측정에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며, 동일한 항목을 반복 측정하면 판독값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여 데이터 조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022년 논문 철회 건수는 거의 5,500건에 달했지만, ''철회 감시(Retraction Watch)''의 공동 창립자인 이반 오란스키는 매년 최소 10만 건의 철회가 발생해야 하며, 이 중 약 5분의 1만이 "정직한 실수"로 인한 것이라고 추정한다.[63]
5. 2. 사회적 영향
연구부정행위는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고, 관련 개인과 기관의 명예를 실추시키며, 권리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잘못된 과학적 결론은 심각한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28] 예를 들어, 백신과 자폐증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연구는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야기한 대표적인 사례이다.잘못된 연구 결과는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비 부정 사용, 의료비 낭비 등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잘못된 치료법이나 의약품 사용으로 인한 환자 피해와 같은 인명 피해도 발생할 수 있다.
6. 연구부정행위의 사례
연구부정행위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해 왔다. 연구부정행위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위조(Fabrication), 변조(Falsification), 표절(Plagiarism) 등이 있다.
- 1998년, 앤드루 웨이크필드는 ''더 란셋''에 MMR 백신, 자폐증, 염증성 장 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조작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2010년, 그는 연구에서 부정직한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런던 ''선데이 타임스''의 브라이언 디어의 조사에 따라 영국 의사협회로부터 의료 행위 금지 처분을 받았다.[64] 웨이크필드의 논문에 담긴 주장은 널리 보도되었고,[65] 이로 인해 영국과 아일랜드의 예방 접종률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볼거리와 홍역 발생이 증가했다. 주장된 연관성에 대한 홍보는 반백신 운동을 계속 부추기고 있다.
- 2011년, 네덜란드 사회 심리학자인 데이데릭 스타펠은 수십 건의 인간 행동 연구에서 데이터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66] 그는 "학계 과학계의 최대 사기꾼"으로 불렸다.[67]
- 2020년, 사판 데사이와 그의 공동 저자들은 COVID-19 팬데믹 초기에 권위 있는 의학 저널 ''더 란셋''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 두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들은 데사이가 소유한 회사 서지스피어가 발표한 매우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했다. 이 데이터 세트는 조작된 것으로 드러났고, 논문은 곧 철회되었다.[68][69]
- 2024년, 국립 노화 연구소 신경과학 부서장인 엘리에제르 마스리아는 수십 년에 걸쳐 100편이 넘는 과학 논문에서 이미지를 조작하고 부적절하게 재사용했다는 의혹을 받았으며, 여기에는 파킨슨병 치료제인 실험 약물 프라시네주맙의 테스트를 승인하기 위해 FDA에서 사용한 논문도 포함되어 있다.[70]
6. 1. 대한민국
- 1998년 10월 1일, 경희대 물리학과 장 모 교수의 논문이 네이처(Nature)에 실렸으나, 한양대 최 모 교수가 자신의 논문과 유사하다는 이의를 제기하였다.[342]
- 2000년 초, 인하대학교 사범대 체육교육과 교수가 제출한 논문에 표절 시비가 있었다.[343]
- 2002년, 청주대 김 모 총장의 석사학위 논문이 연구부정행위로 밝혀졌다.[343]
-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학교 교수의 사이언스 지 게재 논문에서 사용된 난자 출처에 대한 의혹이 PD수첩을 통해 제기되면서 '황우석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위조, 변조, 명예 저자, 생명윤리 위반, 연구비 부당 사용 등 다양한 연구윤리 위반이 드러난 심각한 연구부정행위였다.[344]
- 2000년대 초, 모 대학 교수의 해외 물리학 저널 ‘APL’에 실린 논문이 조작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해당 논문은 다른 저널에 이미 발표한 논문을 짜깁기한 것으로 평가받아 학회지에서 철회되었고, 저자는 공식 사과문을 게재했다. 문제가 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 논문 게재 학술지 |
|---|
| Applied Physics Letters |
| Science and Technology of Advanced Materials |
| Solid-state Electronics |
| Journal of Vacuum Science Technology |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 |
- 2006년, 신약 개발 논문 데이터 조작 사건이 있었다. A 교수는 논문에서 신약의 타겟 발굴에 혁신적인 방법론을 발견했다고 주장하여 주목받았고, 벤처 기업을 설립하여 25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그러나 연구진실성위원회 조사 결과 데이터 조작이 드러났고, 논문 게재는 철회되었다.
| 연도 | 조작 내용 |
|---|---|
| 2005년 | MAGIC 기술을 사용해 표적 단백질을 찾는 검색 과정에서 데이터 조작 |
| 2006년 | 항노화물질 X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
- 2001년, 동석대 백 모 교수의 논문 표절 사건이 있었다. IEEE 산하 통신학회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매거진(Communications Magazine)은 백 모 교수 등 3명이 게재한 논문이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교 에릭 메닝(Eric G. Manning) 등의 논문 3편을 표절한 것이라고 밝혔다. 편집장은 논문 표절을 강하게 비판하였고, 표절된 내용과 원본을 비교하여 공개했으며, 한국인 저자 3명의 사과 편지도 함께 게재되었다. B 교수는 이 사건 후 대학에 사표를 제출했다.
6. 2. 해외
- 2005년 10월 24일, 미국 보건성 장관실 명의로 샤오우 리(Xiaowu Li)의 연구부정 사례가 공개되었다.[343]
- 에릭 푈맨(Eric T.Poehlman)은 연쇄적인 연구부정이 나중에 한꺼번에 드러나면서, 조사 결과 상당수의 논문에 부정직성이 개입된 것으로 밝혀졌다.[345]
- 존 다시(John Darsee)는 하버드 의대의 심장병학 연구자로, 처음에는 실험실 연구에서 데이터를 조작하다가 적발되었다. 학과장인 유진 브라운왈드는 이것이 단 한 차례만 일어난 행동이라고 보고 다시에게 면밀한 감독 하에 계속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었다. 그러나 6개월 후 허혈 심근 보호를 위한 치료 연구에서 다시의 데이터가 이상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버드 의대는 조사위원회를 만들었고, 다시가 예전에 일했던 NIH와 에모리대학 역시 조사위원회를 꾸렸다. 조사 결과 다시는 대학 시절부터 여러 조작행위를 저질러 왔고, 에모리와 하버드에서도 계속되었던 것이 밝혀졌다. 공동 연구자를 꾸며내기도 했고 상당량의 데이터를 지어내기도 했다. 다시는 도합 100여 편의 논문과 초록을 발표했는데 이들 상당수는 철회가 불가피했다. 다시 사건은 개인뿐만 아니라 인정받는 연구기관과 학술지 등이 개입된 사건이었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았다. 이 사건은 데이터 위조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공저자들의 기회주의적인 태도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었다.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저자 표시 문제에 대하여도 본격적으로 윤리를 논하게 되었다.[346]
- 도쿄대 대학원의 다이라 가쓰나리 교수는 RNA 연구의 권위자로,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네이처 지에 12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연구 활동을 했다. 2000년 타임지에서 ‘새로운 세기를 이끌어갈 500대 세계인’의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논문에 대해 연구자들은 재실험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고, 일본 RNA학회는 도쿄대에 조사를 의뢰했다. 도쿄대는 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조사 결과, “실험결과를 뒷받침할 만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었고 따라서 실험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결국 2006년 1월 27일 논문 실험 결과가 재현되지 못했다고 발표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조작으로 결론이 났고, 도쿄대는 다이라 교수를 실험실 해체 및 대학원생 지도자격 박탈을 결정하였다. 다이라 교수는 후에 실험방법에 일부 잘못이 있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논문이 조작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347]
- 1974년, 윌리엄 서머린(William Summerlin)은 뉴욕 슬로언 케터링 연구소에서 피부암 연구를 하던 면역학자였다. 그는 피부조직 이식을 쉽게 하기 위해 조직배양법에 대한 연구 중이었다. 그는 흰쥐의 이식된 피부 조각을 펠트펜으로 검게 칠해 검은 쥐의 피부 조각을 흰쥐에 이식하는 획기적인 실험에 성공한 것처럼 가장했다. 조사위원회 결과 조작 사실이 드러났고 그는 조작 사실을 시인하면서 연구 결과를 내라는 연구소 측의 압력, 정신적, 육체적 피로와 실험의 부담이 겹쳐 판단력이 흐려졌다고 주장했다. 조사위원회는 그를 해고했고, 이후 서머린의 상사이자 연구 소장이었던 면역학자 로버트 굿도 소장 직에서 물러났다. 일명 “색칠한 쥐” 사건으로 불렸던 이 에피소드는 미국 내에서 대중적 주목을 끌었던 최초의 데이터 조작 사례였으며, 이후 1980년대까지는 반복되는 부정행위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주었다.
- 얀 헨드릭 쇤은 유기물 반도체 소자 분야에서 획기적인 기술을 연달아 개발하면서 노벨상 수상 가능성이 높은 신진 과학자로 찬사를 받았다. 그는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최초의 유기결정 합성 및 양자 홀 효과 도출 등 기존 반도체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들을 발표했다. 그러던 중 버클리 대학의 리디아 손 교수와 코넬 대학의 폴 멕코인 교수가 쇤의 논문에서 수상한 점을 발견했다. 2002년 5월 벨 연구소는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조사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쇤의 정확한 실험기록을 찾을 수 없었으며 실험 샘플들은 모두 복원할 수 없도록 훼손되거나 폐기되어 있었다. 2002년 9월 25일 조사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최소한 16편의 논문에서 부정이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벨 연구소는 조사결과 당일 쇤을 해고했으며, 독일의 콘스탄트 대학은 2004년에 쇤에게 수여한 박사학위를 박탈했다. 이 사건을 통하여 민간 대기업에 속한 연구소에서도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정책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7. 연구부정행위 방지 및 대응
연구 활동은 윤리적인 측면에서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좋은 연구 수행(GRP) 또는 책임 있는 연구 수행(RCR)은 연구자가 정직성, 정확성, 효율성, 객관성 등의 핵심 가치를 준수하여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연구부정행위는 위조(Fabrication), 변조(Falsification), 표절(Plagiarism) (FFP)이 대표적이다. 셋째, 의심스러운 연구 수행은 연구부정행위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 책임 있는 연구 수행을 방해하는 행위이다.[340]
선진국들은 연구부정행위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 미국은 1980년대부터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노력을 추진해 왔으며, 2000년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연방지침"을 제정했다. 영국, 독일, 덴마크 등 유럽 국가들도 1990년대 이후 대형 연구부정행위 사건을 계기로 과학기술계와 정부가 공동으로 노력하고 있다.
실험 노트를 꼼꼼히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은 연구 부정 행위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일본학술회의는 2015년 연구 관련 자료를 원칙적으로 10년 동안 보존할 것을 의무화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150]
7. 1. 연구 윤리 교육 강화
대한민국에서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팀의 배아줄기 세포 논문 조작 사건 이후 여러 공청회, 간담회, 인터넷 토론방 등을 통해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2007.2.8)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2007년 9월까지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자체 검정시스템을 구축한 기관은 2006년 말 15개에서 111곳으로 증가했다. 각 기관은 연구부정행위 검증을 위해 부정행위의 범위, 신고 접수 및 조사 담당 기구, 본 조사 수행기구 구성 원칙, 조사 절차 및 기간, 부정행위에 대한 제재 종류, 제보자 및 피조사자 보호방안 등을 명시하고 있다.[44]일부 학자들은 과학적 부정행위를 의심하는 과학 동료가 스스로 비공식적인 조치를 취하거나 우려 사항을 보고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많은 연구에서 사람들이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을 보고도 조직의 도움 없이는 행동하거나 나서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용자 친화적인 가이드"와 기밀 조직 옴부즈맨의 존재는 무엇을 해야 할지 확신이 없거나 발언에 대한 나쁜 결과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45]
출판윤리위원회(COPE)는 저널 편집자는 데이터 조작이나 계산 오류 또는 실험 오류와 같은 정직한 실수로 인해 연구 결과의 신뢰성이 없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는 경우 출판물을 철회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침을 발표했다. 중복 출판, 표절 및 비윤리적 연구의 경우에도 철회가 적절하다.[46]
실험 노트를 꼼꼼히 작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 연구 부정 행위 방지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다. 일본학술회의는 실험 노트, 논문 등을 발표하는 근거가 된 문서, 수치, 이미지 등 연구와 관련된 자료를 원칙적으로 10년 동안 보존할 것을 의무화하는 가이드라인을 2015년에 제안했다.[150]
7. 2. 연구 환경 개선
1980년대부터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연구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노력을 추진해 왔으며, 2000년에는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연방지침"을 제정했다. 영국, 독일, 덴마크 등 유럽 여러 나라들도 1990년대 이후 대형 연구부정행위 사건을 계기로 과학기술계와 정부가 공동으로 연구윤리 확립 및 진실성 검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팀의 배아줄기 세포 논문 조작 사건 이후 과학기술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2007.2.8)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각 기관은 연구부정행위 검증을 위해 다음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 부정행위의 범위
- 부정행위 신고 접수 및 조사 등을 담당하는 기구, 부서 또는 책임자
- 본 조사 수행기구 구성 원칙, 조사 절차 및 기간
- 부정행위에 대한 제재의 종류 및 기구
- 제보자 및 피조사자 보호방안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의 일부 조항은 다음과 같다.
- '''제9조(제보자의 권리 보호):''' 제보자는 실명 제보를 원칙으로 하나, 익명 제보도 가능하다.
- '''제14조(진실성 검증 절차):''' 부정행위에 대한 검증 절차는 예비조사, 본조사, 판정의 단계로 진행한다.
- '''제15조(예비조사):''' 예비조사는 공식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로, 신고 접수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착수한다.
- '''제16조(본조사):''' 본조사는 부정행위 혐의의 사실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절차이다.
실험 노트를 꼼꼼히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연구 부정 행위 방지에 도움이 된다. 일본학술회의는 연구 자료를 원칙적으로 10년 동안 보존할 것을 의무화하는 가이드라인을 2015년에 제안했다.[150]
논문의 정량적 평가에 기반한 연구자 평가 체계를 변경하려는 시도가 유럽에서 시작되었다.[158] 엘리자베스 빅은 연구 평가 체계를 재현성이 확인된 실적에 기반한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159] 인공지능의 이용 확대로 인해, 인간이 진위를 파악할 수 없는 허위 논문에 학술계가 잠식될 위기가 있기 때문이다.[160]
7. 3. 제보 활성화 및 제보자 보호
제보자는 구술, 서면, 전화, 전자우편 등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제보할 수 있으며, 실명 제보가 원칙이다. 다만, 익명으로 제보하더라도 연구 과제명 또는 논문명, 구체적인 부정행위 내용과 증거를 포함하여 서면 또는 전자우편으로 제보하면 실명 제보에 준하여 처리해야 한다.[44]많은 연구에서 사람들이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을 보고도 조직의 도움 없이는 나서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인 가이드"와 기밀 조직 옴부즈맨의 존재는 무엇을 해야 할지 확신이 없거나 발언에 대한 나쁜 결과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45]
연구 부정행위를 폭로하는 내부 고발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보복을 당할 수 있다.[37]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를 막기 위해 내부 고발자 헌장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보복 (법) 참조).
7. 4. 독립적인 조사 시스템 구축
대한민국에서도 황우석 전 서울대학교 교수팀의 배아줄기 세포 논문 조작 사건 이후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과학기술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2007.2.8)이 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연구기관들은 자체 검증 시스템을 구축했다.[46] 자체 검증 시스템은 연구기관이 연구부정행위를 인지하거나 제보를 받았을 때 자율적으로 연구윤리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담당 부서 설치, 자체 규정 마련, 연구윤리위원회 구성 등이 포함된다.각 기관은 연구부정행위 검증을 위해 다음 사항을 명시해야 한다.
- 부정행위의 범위
- 부정행위 신고 접수 및 조사 담당 기구, 부서 또는 책임자
- 본 조사 수행기구 구성 원칙
- 조사 절차 및 기간
- 부정행위에 대한 제재 종류 및 기구
- 제보자 및 피조사자 보호 방안
제보자의 권리 보호(제9조):[46]
- 제보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명 제보를 할 수 있다.
- 익명 제보도 내용과 증거가 구체적이면 실명 제보에 준하여 처리해야 한다.
진실성 검증 절차(제14조):[46]
- 예비조사, 본조사, 판정의 단계로 진행한다.
- 추가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조사(제15조):[46]
- 공식 조사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로, 신고 접수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착수한다.
- 피조사자가 혐의를 인정하면 본조사 없이 판정할 수 있다.
- 증거 훼손 가능성이 있으면 증거 보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본조사 미실시 결정 시 제보자에게 10일 이내에 사유를 통보해야 한다. (익명 제보는 제외)
- 제보자는 결과에 불복 시 3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본조사(제16조):[46]
- 부정행위 혐의의 사실 여부를 입증하는 절차이다.
-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진행한다.
- 제보자와 피조사자에게 의견 진술, 이의 제기 및 변론 기회를 주어야 한다.
- 이의 제기 및 변론 내용과 처리 결과는 조사 결과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한다.
7. 5. 연구노트 작성 및 보관 의무화
실험 노트를 꼼꼼히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은 연구 부정 행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다. 일본학술회의는 2015년에 연구 활동을 기록한 실험 노트, 논문 발표의 근거가 된 문서, 수치, 이미지 등 연구 관련 자료를 원칙적으로 10년 동안 보존하도록 의무화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150]7. 6. 국제 협력 강화
일본학술회의는 2015년에 연구 활동 기록, 논문 발표 근거 문서, 수치, 이미지 등 관련 자료를 원칙적으로 10년 동안 보존하도록 의무화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했다.[150]오차노미즈 여자 대학교 명예교수인 시라라쿠 록빌은 전 세계 연구 부정행위 정보를 매일 수집하고 업데이트하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183][184]
8. 대한민국 연구윤리 관련 법규 및 제도
대한민국에서는 연구윤리와 관련하여 특허 출원 시 데이터 조작 등의 문제 행위가 묵인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특허 심사 과정에서 서류상의 일관성만 유지되면 발명의 실시 가능성이나 데이터의 과학적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었다.[33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연구윤리 관련 법규 및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8. 1.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2007년 제정)
대한민국에서는 연구부정행위의 범위, 제보 접수 및 조사 절차, 제보자 보호 방안 등을 규정하고, 각 연구 기관에 자체 검증 시스템 구축 의무를 부여하는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이 2007년에 제정되었다.[338]8. 2. 내부고발자 보호법 (2002년 시행)
주어진 원본 텍스트에는 "내부고발자 보호법 (2002년 시행)"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9. 연구부정행위 관련 논쟁 및 과제
연구부정행위와 관련하여 여러 논쟁과 과제가 존재한다. 2021년에 발표된 지금 여기에 있는 위기와 나의 호감도에 관하여, 하얀 탁류 등의 소설은 이러한 논쟁을 다루고 있다.[1]
9. 1. 재현성 문제
재현성(Reproducibility) 부족은 과학계에서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연구부정행위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연구 과정의 복잡성과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재현성 문제는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과학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계는 재현성 검증을 강화하고, 연구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2]
9. 2. 연구부정행위 개념 확장
지금 여기에 있는 위기와 나의 호감도에 관하여, 하얀 탁류 등의 책에서는 경미한 연구부정행위(QRP, 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1]9. 3. 처벌 강화 vs. 연구 자율성 보장
Research misconduct|리서치 미스컨덕트영어에 대한 처벌 강화와 연구 자율성 보장 사이의 균형은 중요한 문제이다. 연구부정행위는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고 연구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지나친 처벌 강화는 연구자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위축시켜 연구 활동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2021년에 발표된 소설 지금 여기에 있는 위기와 나의 호감도에 관하여와 하얀 탁류는 이러한 논쟁을 다루고 있다. 이들 작품은 연구부정행위가 발생하는 원인과 결과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며, 처벌 강화와 연구 자율성 보장 사이의 균형점을 모색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참조
[1]
논문
Handling of scientific dishonesty in the Nordic countries. National Committees on Scientific Dishonesty in the Nordic Countries
[2]
논문
Coping with fraud
http://www.publicati[...]
2006-09-02
[3]
웹사이트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scientific misconduct?
https://arstechnica.[...]
2008-08-12
[4]
논문
SOCIOLOGY: Scientific Misconduct: Do the Punishments Fit the Crime?
http://astro.berkele[...]
[5]
웹사이트
Consequences of Whistleblowing for the Whistleblower in Misconduct in Science Cases
https://wiki.umn.edu[...]
Research Triangle Institute
2012-05-24
[6]
논문
Guest authorship as research misconduct: definitions and possible solutions
2023
[7]
서적
Introduction of Research Methods and Publication Ethics
https://books.google[...]
Friends Publications (India)
[8]
문서
Part III.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ttps://ori.hhs.gov/[...]
2021-10-22
[9]
논문
Scientific misconduct
http://www.aaup.org/[...]
January–February 2002
[10]
논문
How Many Scientists Fabricate and Falsify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urvey Data
[11]
웹사이트
New Research Misconduct Policies
https://www.nsf.gov/[...]
NSF
2013-03-01
[12]
문서
45 Code of Federal Regulations Part 689
http://www.access.gp[...]
2008-10-23
[13]
논문
Data audit by a regulatory agency: Its effect and implication for others
[14]
문서
Emmeche, slide 5
[15]
논문
Demand Citation Vigilance
http://www.garfield.[...]
2002-01-21
[16]
문서
Emmeche, slide 3, who refers to the phenomenon as Dulbecco's law.
[17]
웹사이트
Publication Ethics Policies for Medical Journals
http://www.wame.org/[...]
The World Association of Medical Editors
2009-07-30
[18]
논문
Guest authorship as research misconduct: definitions and possible solutions
2023
[19]
웹사이트
ICMJE – Home
http://www.icmje.org[...]
2018-04-03
[20]
웹사이트
Publication Ethics Policies for Medical Journals
http://www.wame.org/[...]
The World Association of Medical Editors
2009-07-30
[21]
논문
The White Bull effect: Abusive coauthorship and publication parasitism
[22]
논문
Authorship Criteria and Disclosure of Contributions: Comparison of 3 General Medical Journals with Different Author Contribution Forms
[23]
논문
The vexed question of authorship: Views of researchers in a British medical faculty
[24]
논문
Do medical journals provide clear and consistent guidelines on authorship?
[25]
논문
Reviewer-coerced citation: case report, update on journal policy and suggestions for future prevention
2019-09-15
[26]
논문
JTB Editorial Malpractice: A Case Report
2020-03
[27]
논문
Revues prédatrices: une vraie menace pour la recherche médicale. 2 Evaluer leurs conséquences et engager une riposte
2021-06
[28]
논문
Wilfully submitting to and publishing in predatory journals – a covert form of research misconduct?
2021-10
[29]
문서
Brown, C. (2005) Overcoming Barriers to Use of Promising Research Among Elite Middle East Policy Groups, Journal of Social Behaviour and Personality, Select Press.
[30]
논문
Sneaked references: Fabricated reference metadata distort citation counts
[31]
뉴스
It May Look Authentic; Here's How to Tell It Isn't
https://www.nytimes.[...]
2006-01-24
[32]
웹사이트
Shigeaki Kato (the University of Tokyo): DNA demethylation in hormone-induced transcriptional derepression
http://katolab-image[...]
2012-01-15
[33]
웹사이트
Restrictions of Image Manipulation
https://www.amed.go.[...]
2024-04-22
[34]
웹사이트
Editorial Policies
https://rupress.org/[...]
2024-04-22
[35]
웹사이트
Why Are Gamers So Much Better Than Scientists at Catching Fraud?
https://www.theatlan[...]
2021-07-02
[36]
논문
The Ingelfinger Rule: Franz Ingelfinger at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67–77
http://cseditors.wpe[...]
[37]
논문
Lessons from the Pearce affair: handling scientific fraud
1995-06-17
[38]
웹사이트
Independent Committee of Inquiry into the publication of articles in the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1994–1995)
http://www.aim25.ac.[...]
2011-08-26
[39]
웹사이트
Journal editor quits in conflict scandal
http://www.the-scien[...]
2018-04-03
[40]
웹사이트
Actonel Case Media Reports - Scientific Misconduct Wiki
http://www.thejabber[...]
2008-03-22
[41]
웹사이트
Did a British university sell out to P&G?
http://www.slate.com[...]
2013-08-04
[42]
논문
Institutional corruption in medicine (2002)
[43]
논문
Indian scientists battle journal retraction
2007-06-14
[44]
논문
Peers Nip Misconduct in the Bud
2010-07-22
[45]
논문
Dealing withor Reporting'Unacceptable' Behaviorwith additional thoughts about the 'Bystander Effect'
http://web.mit.edu/o[...]
[46]
웹사이트
Retraction Guidelines
http://www.publicati[...]
2020-03-26
[47]
논문
DNA demethylation in hormone-induced transcriptional derepression
[48]
웹사이트
Shikeagi Kato, who resigned post in March, retracts Nature paper
http://retractionwat[...]
2013-03-01
[49]
웹사이트
Major fraud probe of Japanese anesthesiologist Yoshitaka Fujii may challenge retraction record
http://retractionwat[...]
2013-08-04
[50]
논문
Reported data on granisetron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y Fujii et al. Are incredibly nice!
[51]
웹사이트
Fujii Statement of Concern
http://www.aaeditor.[...]
2016-03-04
[52]
웹사이트
Fujii Join EIC Statement
http://www.aaeditor.[...]
2016-03-04
[53]
논문
Suspect Drug Research Blamed for Massive Death Toll
2014-01-30
[54]
논문
Perioperative beta blockade: guidelines do not reflect the problems with the evidence from the DECREASE trials
http://www.bmj.com/c[...]
2014-08-29
[55]
논문
Prolonged apnea and the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clinical and laboratory observations
http://pediatrics.aa[...]
1972-10
[56]
서적
The death of innocents
Bantam Books
[57]
논문
Prolonged apnea and the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clinical and laboratory observations
2013-03-25
[58]
웹사이트
Déjà vu: Medline duplicate publication database
http://dejavu.vbi.vt[...]
2013-08-04
[59]
웹사이트
Deja vu: Medline duplicate publication database
http://dejavu.vbi.vt[...]
2013-08-04
[60]
논문
A tale of two citations
2008-01-23
[61]
논문
Scientific Integrity: Responding to Possible Plagiarism
2009-03-06
[62]
논문
Ethics: Increasing accountability
http://www.nature.co[...]
2010-08-16
[63]
뉴스
There's far more scientific fraud than anyone wants to admit
https://www.theguard[...]
2023-08-09
[64]
웹사이트
Dr. Andrew Jeremy Wakefield: Determination on Serious Professional Misconduct (SPM) and Sanction
http://www.gmc-uk.or[...]
General Medical Council
2011-08-10
[65]
뉴스
The MMR hoax
https://www.theguard[...]
2008-08-30
[66]
뉴스
Report: Dutch 'Lord of the Data' Forged Dozens of Studies (UPDATE)
https://www.science.[...]
2011-10-31
[67]
뉴스
The Mind of a Con Man
https://www.nytimes.[...]
2013-04-26
[68]
논문
Retraction: Cardiovascular Disease, Drug Therapy, and Mortality in Covid-19. N Engl J Med. DOI: 10.1056/NEJMoa2007621.
2020-06-04
[69]
논문
Retraction—Hydroxychloroquine or chloroquine with or without a macrolide for treatment of COVID-19: a multinational registry analysis
2020-06-05
[70]
간행물
Did a top NIH official manipulate Alzheimer's and Parkinson's studies for decades?
https://www.science.[...]
Science
2024-09-26
[71]
웹사이트
Read the Declaration
https://sfdora.org/r[...]
2022-06-07
[72]
논문
Handling of scientific dishonesty in the Nordic countries
https://www.thelance[...]
1999-07
[73]
서적
研究不正と歪んだ科学 STAP細胞事件を超えて
null
日本評論社
2019-11
[74]
논문
Has Mendel's work been rediscovered?
https://hdl.handle.n[...]
1936
[75]
웹사이트
4 告発等に係る事案の調査: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3-03-07
[76]
웹사이트
The Retraction Watch Leaderboard
https://retractionwa[...]
2015-06-16
[77]
웹사이트
학술연구포럼 제7회 학술심포지엄 과학연구의 보다 나은 발전과 윤리 확립을 목표로 (일본학술진흥회 학술시스템연구센터 구로키 도시오 상담역의 자료)
https://www.jsps.go.[...]
일본학술진흥회
2015-11-27
[78]
서적
연구부정 - 과학자의 날조, 개찬, 도용
https://www.worldcat[...]
중공신서
2016-04
[79]
웹사이트
Researcher at the center of an epic fraud remains an enigma to those who exposed him
https://www.science.[...]
2018-08-17
[80]
웹사이트
사이언스지가 떠올리는 "의학 연구 부정 대국" 닛폰 (에노키 에이스케) - 개인
https://news.yahoo.c[...]
2018-08-22
[81]
웹사이트
일본은 '과학 논문의 날조 대국'으로 여겨지고 있다
https://toyokeizai.n[...]
2018-09-19
[82]
웹사이트
잇따른 논문 부정 배경에 연구비 획득에 대한 초조함인가 교토대 부정
https://mainichi.jp/[...]
2019-03-26
[83]
웹사이트
네이처지가 규탄~일본발 최악의 연구 부정이 폭로하는 일본 대학의 "미비" (에노키 에이스케) - 개인
https://news.yahoo.c[...]
2019-06-26
[84]
웹사이트
일본이 세계 톱의 논문 부정 대국이 되어 버린 이유
https://diamond.jp/a[...]
2019-09-02
[85]
웹사이트
일본에서 연구 부정이 만연하고 노벨상급 연구가 불가능한 이유
https://www.newsweek[...]
2020-10-28
[86]
웹사이트
【다언수궁】|(주)시평사
https://www.jihyo.co[...]
2021-02-01
[87]
웹사이트
대규모 연구 부정 다시~의학계는 자정 능력을 보여줄 수 있을까 (에노키 에이스케) - 개인
https://news.yahoo.c[...]
2021-05-29
[88]
웹사이트
과학의 숲:국민의 안전 위협하는 「연구 부정」 윤리 향상 염원 사이트 개설 8년
https://mainichi.jp/[...]
2022-04-21
[89]
웹사이트
연구 부정 {{!}} 중국신문 디지털
https://www.chugoku-[...]
2022-11-28
[90]
서적
당신이 모르는 연구 그레이의 세계
중외의학사
2023-11-06
[91]
웹사이트
2018년 일본분자생물학회 워크숍 3AW-14 생명과학분야에서의 실천적 연구윤리교육을 목표로 오거나이저 이케가미 토오루, 하라다 에미코 (연자 중 한명이 플로어에서 말한 의견)
https://www.mbsj.jp/[...]
일본분자생물학회
2022-11-06
[92]
웹사이트
국제경쟁시대의 연구공정 (『연구부정과 왜곡된 과학: STAP세포사건을 넘어서』 출판기념 심포지엄)나카무라 마사키의 종합토론에서의 발언
https://www.kaseiken[...]
2020-01-15
[93]
서적
진정한 목소리를 찾아서 야만적인 상식을 의심하라
아오야마 라이프 출판(SIBAA BOOKS)
[94]
논문
연구 부정에 대한 대응을 넘어 : 리서치 인테그리티 접근법과 그 함의
https://hdl.handle.n[...]
2011-12-25
[95]
웹사이트
2008년 12월 일본분자생물학회 젊은 교육 심포지엄 기록 전문 『지금이야말로 보여주자 과학자의 양심 2008 -다함께 생각하는 과학적 부정 문제-」
https://www.mbsj.jp/[...]
분자생물학회
2008-12-09
[96]
웹사이트
"연구 부정 4개의 패턴" 날조를 목격한 연구자가 밝히는 (AERA 2014년 6월 23일호 게재)
https://dot.asahi.co[...]
2014-06-18
[97]
논문
Scientists behaving badly
https://www.nature.c[...]
2005-06
[98]
웹사이트
제36회 일본분자생물학회・연회기획 앙케트 집계결과
https://www.mbsj.jp/[...]
일본분자생물학회
2020-11-10
[99]
논문
The fight against fake-paper factories that churn out sham science
https://www.nature.c[...]
2021-03-23
[100]
논문
Predatory journals: no definition, no defence
https://www.nature.c[...]
2019-12
[101]
웹사이트
조직적으로 가짜 논문을 「제조」하고 있는 paper mill
https://www.mbsj.jp/[...]
일본분자생물학회
2021-12-03
[102]
웹사이트
놀라운 논문 공장。중국발 「페이크 페이퍼」가 증식중
https://newspicks.co[...]
2022-01-24
[103]
뉴스
Problematic images found in 4% of biomedical papers
http://www.nature.co[...]
Nature News
2016-04-22
[104]
논문
The Prevalence of Inappropriate Image Duplication in Biomedical Research Publications
https://journals.asm[...]
2016-07-06
[105]
논문
A tale of two citations
https://doi.org/10.1[...]
2008
[106]
학술지
Unearned authorship pervades science
https://www.nature.c[...]
2023-01-05
[107]
학술지
NIH mulls rules for validating key results
http://www.nature.co[...]
2013-08-01
[108]
학술지
Estimating the reproducibility of psychological science
https://science.scie[...]
2015-08-28
[109]
학술지
Challenges for assessing replicability in preclinical cancer biology
https://doi.org/10.7[...]
2021-12-07
[110]
학술지
Half of top cancer studies fail high-profile reproducibility effort
https://www.nature.c[...]
2021-12-09
[111]
웹사이트
More than half of high-impact cancer lab studies could not be replicated in controversial analysis
https://www.science.[...]
2022-02-05
[112]
웹사이트
下村博文文部科学大臣記者会見録(平成27年1月30日):文部科学省
https://warp.ndl.go.[...]
2023-08-19
[113]
웹사이트
https://twitter.com/madam0523/status/460766449884078080
https://twitter.com/[...]
2023-08-21
[114]
웹사이트
itest.5ch.net
https://itest.5ch.ne[...]
2023-08-21
[115]
웹사이트
itest.5ch.net
https://itest.5ch.ne[...]
2023-08-21
[116]
서적
現代科学論 科学をとらえ直そう
新曜社
[117]
웹사이트
馳浩文部科学大臣記者会見録(平成27年10月7日):文部科学省
https://warp.ndl.go.[...]
2022-11-18
[118]
웹사이트
Research Integrity and Article Retractions with Dr Marie Soulière
https://sciencetalks[...]
2022-12-08
[119]
웹사이트
大学10兆円ファンド、有力論文「5年1000本」を選考基準
https://www.nikkei.c[...]
2022-11-18
[120]
웹사이트
日本医療研究開発機構 中長期目標 : 健康・医療 - 内閣府
https://www8.cao.go.[...]
2022-11-18
[121]
웹사이트
歳出改革部会(令和4年11月14日開催)資料一覧
https://www.mof.go.j[...]
2022-11-18
[122]
웹사이트
研究不正をさせないためのラボの条件 {{!}} 生きるすべ IKIRU-SUBE 柳田充弘ブログ
https://web.archive.[...]
2022-11-15
[123]
웹사이트
日本分子生物学会 若手教育シンポジウム 2007年『‐今こそ示そう科学者の良心‐みんなで考える科学的不正問題‐』
https://www.mbsj.jp/[...]
日本分子生物学会
2022-11-16
[124]
학술지
eLife won’t reject papers once they are under review — what researchers think
https://www.nature.c[...]
2022-11-03
[125]
웹사이트
製薬マネーデータベース YEN FOR DOCS
https://yenfordocs.j[...]
2022-11-22
[126]
웹사이트
講師謝金、学会理事1割に集中 「処方ゆがむ恐れ」 医師NGO調査
https://mainichi.jp/[...]
2022-12-10
[127]
학술지
諸外国における国家研究公正システム(2) 特徴的な国家研究公正システムモデルの比較分析
https://doi.org/10.1[...]
国立研究開発法人 科学技術振興機構
[128]
웹사이트
「研究活動における不正行為への対応等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平成26年8月26日 文部科学大臣決定)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1-01-10
[129]
웹사이트
国際競争時代の研究公正 (『研究不正と歪んだ科学: STAP細胞事件を超えて』出版記念シンポジウム) 榎木英介の発言
https://www.kaseiken[...]
2022-10-21
[130]
웹사이트
1‐3‐2.研究ネカトは警察が捜査せよ!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06
[131]
웹사이트
小保方晴子の呪い…iPS山中教授に飛び火した「データ捏造疑惑」実験ノートも不備
https://www.j-cast.c[...]
2022-11-06
[132]
웹사이트
研究不正の防止や対応の強化で議論百出(2015年2月5日に日本学術会議が主催した学術フォーラム「科学研究における健全性の向上」の取材記事)
https://scienceporta[...]
2022-11-06
[133]
웹사이트
研究活動の不正、論文不正を理由とする懲戒解雇-立証責任の所在はどのように理解されるのか - 弁護士 師子角允彬のブログ
https://sskdlawyer.h[...]
2022-11-19
[134]
웹사이트
研究不正に対する調査協力義務 - 弁護士 師子角允彬のブログ
https://sskdlawyer.h[...]
2022-11-19
[135]
웹사이트
「諸外国の研究公正の推進に関する調査・分析業務 成果報告書」(平成30年度 文部科学省 委託事業)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1-01-10
[136]
웹사이트
「チバニアン」GSSP申請論文における特定不正行為の告発と、その後の研究機関の回答について
https://www.paleokan[...]
古関東深海盆ジオパーク推進協議会
2021-03-19
[137]
뉴스
研究不正:自浄期待は「理想論」 日本分子生物学会が防止策を議論
http://mainichi.jp/s[...]
2013-12-12
[138]
웹사이트
2013年 分子生物学会理事会企画フォーラム「研究公正性の確保のために今何をすべきか?」6.まとめ、今後の課題と次のアクション
https://www.mbsj.jp/[...]
日本分子生物学会
2022-11-18
[139]
뉴스
不正防止へ、みえぬ有効策 ネットで指摘増える 「STAP論文」1年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22-11-19
[140]
학술지
米国の大学における研究倫理教育の制度化過程を辿る:1980年代以降の主要な変化とその要因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2[...]
研究・イノベーション学会
2022-11
[141]
논문
A record made to be broken
https://www.nature.c[...]
2013-04
[142]
서적
AERA 2013年8月26日号「急増する大学論文不正と研究者の競争激化」
https://publications[...]
朝日新聞出版
[143]
웹사이트
日本分子生物学会 2013年 理事会企画フォーラム「研究公正性の確保のために今何をすべきか?」セッション 4. 研究不正を防ぐ研究費配分システム
https://www.mbsj.jp/[...]
日本分子生物学会
2013-12-04
[144]
웹사이트
海外の教材(THE LAB以外) │ 研究公正ポータル │ 国立研究開発法人 科学技術振興機構
https://www.jst.go.j[...]
2022-12-10
[145]
웹사이트
公正研究推進協会 {{!}} APRIN
https://www.aprin.or[...]
2022-11-22
[146]
간행물
緊急フォーラム「研究不正を考える -PIの立場から、若手の立場から-」全文記録
http://mbsj.jp/meeti[...]
[147]
뉴스
NHKスペシャル 追跡 東大研究不正 ~ゆらぐ科学立国ニッポン~
https://www.nhk.or.j[...]
NHK
2017-12-10
[148]
웹사이트
ポストコロナ時代の研究倫理教育 ─効果的な遠隔講義の立案に向けて. 日本の科学者 Vol.56 No.5 May 2021
https://jsa.gr.jp/04[...]
日本科学者会議
2022-11-20
[149]
웹사이트
2018年11月30日 日本分子生物学会ワークショップ 生命科学分野における実践的研究倫理教育を目指して 研究不正問題の包括的理解と 実践的な解決法の探索
https://researchmap.[...]
researchmap.jp
2022-11-20
[150]
간행물
科学研究における健全性の向上について
https://www.scj.go.j[...]
日本学術会議
2015-03-06
[151]
웹사이트
エリック・ポールマン(Eric T. Poehlman)(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10
[152]
웹사이트
ドンピョウ・ハン(Dong-Pyou Han)(米)改訂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10
[153]
웹사이트
ヨン・スドベ (Jon Sudbø) (ノルウェー)改訂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10
[154]
웹사이트
エリアス・アルサブティ (Elias Alsabti)(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10
[155]
웹사이트
アンドリュー・ウェイクフィールド (Andrew Wakefield)(英)改訂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10
[156]
뉴스
研究不正を犯したら~死刑もある中国、おとがめなしの日本(榎木英介)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0-11-10
[157]
웹사이트
1‐5‐9.研究ネカトで自殺者をだすな!
https://haklak.com/p[...]
白楽ロックビル
2019-05-04
[158]
뉴스
論文の査読「自作自演」 新たな研究不正発覚、遠い根絶への道(写真=共同)
https://www.nikkei.c[...]
2023-03-07
[159]
뉴스
Opinion {{!}} Science Has a Nasty Photoshopping Problem
https://www.nytimes.[...]
2022-11-04
[160]
웹사이트
AI Holds Potential to Support Ethical Principles in Hematology—but There’s a Dark Side
https://web.archive.[...]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22-11-22
[161]
웹사이트
研究不正「基盤むしばむ」 首相、総合科技会議で対策指示
https://www.nikkei.c[...]
2022-11-05
[162]
논문
「研究不正」を見つけたら……
[163]
웹사이트
1‐5‐6 パブピア(PubPeer)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23
[164]
웹사이트
Retraction Watch Database
http://retractiondat[...]
2022-11-04
[165]
웹사이트
When Your Supervisor Is Accused of Research Misconduct
https://www.the-scie[...]
2020-11-06
[166]
웹사이트
7-64 ネカト被災者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07
[167]
웹사이트
The Lab
https://lab.jst.go.j[...]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2020-11-10
[168]
웹사이트
「The Lab: Avoiding Research Misconduct」の体験
https://confit.atlas[...]
日本分子生物学会2018年年会
2020-11-10
[169]
서적
科学者の研究倫理
東京化学同人
2018-06-08
[170]
논문
Nobel-winning brain researcher retracts two papers
https://www.nature.c[...]
2010-09-23
[171]
뉴스
京大 山中教授が自身の論文巡り会見
http://www3.nhk.or.j[...]
2022-08-28
[172]
웹사이트
論文9本に捏造や改ざん、熊本大院教授らの不正認定: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eb.archive.[...]
2022-11-13
[173]
웹사이트
マイケル・ロスバッシュ(Michael Rosbash)(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3
[174]
웹사이트
ルイ・イグナロ(Louis Ignarro)(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3
[175]
논문
Identification of a specific domain required for dimerization of activation-induced cytidine deaminase
https://pubmed.ncbi.[...]
2008-01-04
[176]
웹사이트
マーティン・エヴァンズ(Martin Evans)(英)ノーベル賞受賞者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3
[177]
학술지
Targeting of HIF-α to the von Hippel-Lindau Ubiquitylation Complex by O 2 -Regulated Prolyl Hydroxylation
https://pubpeer.com/[...]
2001-04-20
[178]
웹사이트
化学:フランシス・アーノルド(Frances Arnold)、インハ・チョ(Inha Cho、조인하、曹仁河)(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3
[179]
웹사이트
化学:フレイザー・ストッダート(Fraser Stoddart)(米)ノーベル賞受賞者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3-10-04
[180]
웹사이트
ブルース・ボイトラー(Bruce Beutler)(米)ノーベル賞受賞者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3-10-04
[181]
웹사이트
ロバート・レフコウィッツ(Robert Lefkowitz)(米)、マイルズ・ハウスリー(Miles Houslay)(英) ノーベル賞受賞者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3-10-05
[182]
간행물
次世代シーケンサーによる遺伝子解析の精度保証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東京大学
2022-10-24
[183]
웹사이트
白楽の研究者倫理 {{!}} ネカト(ねつ造・改ざん・盗用)・クログレイ・性不正(含・セクハラ)・アカハラ・・・白楽ロックビルのバイオ政治学
https://haklak.com/
2022-11-22
[184]
웹사이트
「ネカト許さない文化を」 告発続ける75歳 日本は研究不正大国
https://web.archive.[...]
2022-03-20
[185]
웹사이트
パウル・カンメラー(Paul Kammerer)(オーストリア)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186]
학술지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https://www.nature.c[...]
1953-04
[187]
서적
ロザリンド・フランクリンとDNA―ぬすまれた栄光
草思社
1979-06-01
[188]
웹사이트
「二重らせん」のワトソンとクリックを告発する理由 {{!}} MRのための読書論 {{!}} ミクスOnline
https://www.mixonlin[...]
2022-12-08
[189]
웹사이트
ウィリアム・サマリン(William Summerlin)(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190]
웹사이트
マーク・スペクター(Mark Spector)(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191]
문서
『イグ・ノーベル賞』、マーク・エーブラハムズ。阪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
웹사이트
マルコム・ピアース(Malcolm Pearce)(英)改訂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193]
웹사이트
フリートヘルム・ヘルマン(Friedhelm Herrmann)、マリオン・ブラッハ(Marion Brach)(独)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194]
학술지
ドイツにおける研究倫理への取り組み(1) : 「DFG 提言」(1998)および「補遺」(2013)の検討を中心に
https://doi.org/10.1[...]
2014-07-01
[195]
뉴스
英医学誌、自閉症と新三種混合ワクチンの関係示した論文を撤回
フランス通信社
2013-01-18
[196]
웹사이트
これが石器を埋める現場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22-11-17
[197]
웹사이트
隠された事実を暴き、歴史の歪曲正す {{!}} ジャーナリズムの軌跡 過去の受賞作を振り返る
https://www.pressnet[...]
2022-11-17
[198]
웹사이트
旧石器捏造事件 発覚(2000年11月5日:毎日新聞)
http://yamatetsu1441[...]
2022-11-17
[199]
웹사이트
閼伽出甕 特集:「旧石器発掘ねつ造」事件
https://www2m.biglob[...]
2022-11-17
[200]
서적
論文捏造
https://www.worldcat[...]
中央公論新社
2006
[201]
문서
NHK BSドキュメンタリー『史上空前の論文捏造』(2004年。[[ヘンドリック・シェーン|有機物高温超電導]]の事件を扱った50分の番組。論文捏造の数と撤回論文の数の相関を断じるような間違った主張を含んではいる。村松秀著『論文捏造』の元。2005年にはNHK-BS1 ハイビジョン特集で90分に拡大したものを放送。)
[202]
문서
石黒武彦『科学の社会化シンドローム』p.8
[203]
학술지
我が国における研究不正(ミスコンダクト)等の概観 : 新聞報道記事から(その2)
https://saigaku.repo[...]
2010-12-01
[204]
웹사이트
記者会見でも決着つかぬJ-ADNI事件「不都合な真実」 旧帝大でまたも不正が発覚
https://archive.is/2[...]
集中 Medical Confidential
2022-11-23
[205]
웹사이트
障がいを持つ子供たちの野球教室が開催されました
https://amitohyama.e[...]
2022-11-16
[206]
웹사이트
なぜデータ捏造をするのか {{!}} 生きるすべ IKIRU-SUBE 柳田充弘ブログ
https://web.archive.[...]
2006-01-28
[207]
학술지
Retraction Note to: Hes1 is a target of microRNA-23 during retinoic-acid-induced neuronal differentiation of NT2 cells
https://www.nature.c[...]
2003-11
[208]
웹사이트
日本 RNA 学会から再現性に疑惑が指摘された論文に関する最終調査報告
https://www.u-tokyo.[...]
東京大学
2020-11-10
[209]
뉴스
揺らぐ科学の信頼~東大・論文ねつ造疑惑~
https://www.nhk.or.j[...]
NHKクローズアップ現代
2007
[210]
뉴스
元教授解雇、二審も支持 「助手の実験、確認怠る」
http://www.47news.jp[...]
47NEWS
2014-01-17
[211]
서적
国家を騙した科学者―「ES細胞」論文捏造事件の真相
https://www.worldcat[...]
牧野出版
2006-10
[212]
뉴스
論文ねつ造した韓国人学者のES細胞 米国で特許取得
https://jp.yna.co.kr[...]
2014-02-11
[213]
웹사이트
Stem cell fraudster made 'virgin birth' breakthrough
http://www.theregist[...]
2007-08-03
[214]
웹사이트
ノルウェーでも研究論文の捏造問題が浮上
https://web.archive.[...]
[215]
웹사이트
不正行為があった疑いのある2論文に関する調査報告書 大阪大学大学院生命機能研究科 研究公正委員会
https://web.archive.[...]
大阪大学
2020-12-05
[216]
웹사이트
若手教育シンポジウム - 日本分子生物学会
https://www.mbsj.jp/[...]
2007
[217]
웹사이트
鹿児島大学の事件
https://shinka3.exbl[...]
2022-11-17
[218]
뉴스
<東北大>論文データ転用で助教の解雇は無効 仙台地裁
2010-05-18
[219]
웹사이트
【魚拓】河北新報 東北のニュース/「東北大の判断は適正」元助教の控訴棄却 解雇無効訴訟
https://megalodon.jp[...]
2022-11-17
[220]
웹사이트
博士学位の取消しについて
https://www.tohoku.a[...]
2022-11-18
[221]
서적
東北大総長おやめください―研究不正と大学の私物化
https://www.worldcat[...]
社会評論社
2011
[222]
문서
元東京大学工学系研究科助教に係る論文の不正行為に関する調査報告について
http://www.u-tokyo.a[...]
[223]
뉴스
琉大論文不正:“ドタバタ劇”に募る不信
沖縄タイムス
2011-06-30
[224]
간행물
我が国における研究不正(ミスコンダクト)等の概観 : 新聞報道記事から(その7)
https://saigaku.repo[...]
2016-12-01
[225]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論文不正発覚史
https://megalodon.jp[...]
2015
[226]
뉴스
特集 不正の構図
http://www.molcom.jp[...]
医療タイムス
2013-09-02
[227]
웹사이트
「論文不正問題に関する早急な情報開示の要望書」
https://www.mbsj.jp/[...]
日本分子生物学会
2012-11-08
[228]
웹사이트
理事会企画フォーラム「研究公正性の確保のために今何をすべきか?」開催報告 - 日本分子生物学会
https://www.mbsj.jp/[...]
2013-12-03
[229]
웹사이트
論文不正は止められるのか ~始まった防止への取り組み~
https://web.archive.[...]
2015-03-10
[230]
문서
記者会見「東京大学分子細胞生物学研究所・旧加藤研究室における論文不正に関する調査報告( 最終 )」の実施について
http://www.u-tokyo.a[...]
2014-12-26
[231]
웹사이트
「ペテン師」だらけの東大医学部
https://www.sentaku.[...]
2013-08
[232]
웹사이트
公益社団法人 日本生化学会 » Blog Archive » 「生化学」誌96巻3号電子版発刊のご案内
https://www.jbsoc.or[...]
2024-07-10
[233]
웹사이트
プログラム - 第97回日本生化学会大会
https://aeplan.jp/jb[...]
2024-04-16
[234]
웹사이트
元会員の論文捏造に関する理事会声明
https://web.archive.[...]
[235]
웹사이트
The new retraction record holder is a German anesthesiologist, with 184
https://retractionwa[...]
2023-07-12
[236]
웹사이트
Retraction count grows to 35 for scientist who faked emails to do his own peer review
http://retractionwat[...]
[237]
웹사이트
ヒュンイン・ムン(문형인、Hyung-In Moon)(韓国)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38]
웹사이트
(2)第二部 対談 ─由井芳樹 × 桑島 巖(司会) [特別企画:ディオバン事件 問題点と教訓を考える]|Web医事新報{{!}}日本医事新報社
https://www.jmedj.co[...]
2016-06-18
[239]
간행물
Concerns about the Jikei Heart Study
https://www.thelance[...]
2012-04-14
[240]
서적
偽りの薬 バルサルタン臨床試験疑惑を追う
https://www.worldcat[...]
毎日新聞社
2014-11
[241]
뉴스
相次ぐ論文不正!ある医師の証言・・・データ改ざんの背景を探る
TBS報道特集
2013
[242]
웹사이트
臨床研究「VART study」に関する国立大学法人千葉大学 研究活動の不正行為対策委員会最終報告
https://web.archive.[...]
千葉大学
2014-07-15
[243]
웹사이트
臨床研究「Valsartan Amlodipine Randomized Trial」に関する調査結果概要
https://www.u-tokyo.[...]
[244]
웹사이트
令和5年度名誉教授の称号授与
https://www.u-tokyo.[...]
[245]
뉴스
〈クスリの闇第4弾!〉「疑惑の降圧剤バルサルタン」&「保険診療費」に群がった学者を直撃
FRIDAY 講談社
2013-06-14
[246]
웹사이트
Suspicions Raised About Another Japanese Cardiovascular Researcher
https://www.forbes.c[...]
Science
2013-05-10
[247]
웹사이트
製薬会社と医学部の癒着 現役国立大学教授が実名で現状告発
https://www.news-pos[...]
2014-02-10
[248]
뉴스
論文不正 告発に生データ見ず「適正」 岡山大調査委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1-04
[249]
웹사이트
炎上岡山大学~研究不正疑義申し立てた教授が解雇される(榎木英介)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0-11-06
[250]
뉴스
岡山大論文 「シロ」判定 文科省指針では公表不要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1-04
[251]
웹사이트
研究所元職員による研究活動上の特定不正行為及び倫理指針不適合について
https://www.ncvc.go.[...]
国立循環器病研究センター
2023-03-24
[252]
웹사이트
岡山大学・神谷厚範教授 がんの論文で捏造113か所 実験に使われたマウスは13分の1以下
https://newsdig.tbs.[...]
RSK山陽放送
2023-03-24
[253]
웹사이트
岡山大教授が論文で捏造113カ所 調査に「データは地震で壊れた」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3-03-24
[254]
뉴스
論文捏造で教授懲戒解雇 岡山大、本人弁明せず
https://www.sankei.c[...]
2023-04-17
[255]
간행물
座談会「最先端研究どう伝える STAP報道の現場から」(PDF 4.5MB)
https://s3-us-west-2[...]
日本記者クラブ会報
2014-11-10
[256]
서적
捏造の科学者 STAP細胞事件
https://www.worldcat[...]
文藝春秋
2014
[257]
웹사이트
(2ページ目)「STAP細胞はありましたか」小保方女史へ笹井未亡人からの代表質問
https://www.dailyshi[...]
2022-11-12
[258]
뉴스
読売新聞朝刊
2014-04-02
[259]
뉴스
早稲田大、博士論文280本を調査 不正の疑い指摘受け
http://www.asahi.com[...]
2022-03-07
[260]
문서
博士学位論文の訂正について
https://archive.is/E[...]
早稲田大学先進理工学部
2017-03-27
[261]
문서
捏造問題にもっと怒りを
https://archive.md/V[...]
日本の科学を考える
2016-12-06
[262]
문서
【超STAP事件】日本の学会は捏造論文だらけ!大スキャンダルに発展か
http://www.mag2.com/[...]
「むしマガ」Vol.272
2015-01-11
[263]
문서
第189回国会 科学技術・イノベーション推進特別委員会 第3号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5-05-19
[264]
웹사이트
すっきりしないけど、阪大疑惑論文の調査打ち切り
https://archive.ph/Q[...]
産経新聞
2022-11-14
[265]
문서
インターネット上で指摘のあった論文の画像データに係る調査結果について
http://www.u-tokyo.a[...]
東京大学
2015-07-31
[266]
문서
東京大学の研究不正の調査のあり方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angiin.[...]
参議院
2016-10-12
[267]
웹사이트
https://twitter.com/lemonstoism/status/553562288804753408
https://twitter.com/[...]
世界変動展望
2015-01-09
[268]
서적
BAD BLOOD シリコンバレー最大の捏造スキャンダル 全真相
https://www.worldcat[...]
集英社
[269]
웹사이트
企業:血液検査(Blood tests):セラノス社(Theranos)(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270]
문서
匿名による申立て事案にかかる本調査への移行について
http://www.u-tokyo.a[...]
東京大学広報室
2016-09-20
[271]
문서
記者会見「22報論文の研究不正の申立てに関する調査報告」の実施について
http://www.u-tokyo.a[...]
東京大学
2017-08-01
[272]
뉴스
論文不正の告発を受けた東京大学(3) 告発通りに図版の誤りはあったが……
https://news.yahoo.c[...]
Yahoo news 詫摩雅子
2017-08-14
[273]
문서
22報論文に関する調査報告
http://scienceandtec[...]
東京大学
[274]
웹사이트
3P-0804 生命科学分野における研究不正事案の分析 何が不正行為なのか
https://confit.atlas[...]
日本分子生物学会
2020-11-10
[275]
문서
熊本地震本震の臨時観測公開データの問題について
https://archive.is/6[...]
土木学会地震工学委員会のホームページ
2017-09-27
[276]
웹사이트
元准教授、東日本大震災も不正か 熊本地震で捏造指摘
https://web.archive.[...]
2019-01-29
[277]
웹사이트
研究活動上の特定不正行為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https://www.osaka-u.[...]
2019-03-16
[278]
웹사이트
研究活動の不正行為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https://www.hirosaki[...]
2022-11-15
[279]
웹사이트
Tide of lies
https://www.science.[...]
Science
2022-11-16
[280]
웹사이트
"「撤回論文数」世界ランキング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5
[281]
웹사이트
サイエンス誌があぶり出す「医学研究不正大国」ニッポン(榎木英介) - 個人
https://news.yahoo.c[...]
2022-11-15
[282]
웹사이트
ウウナ・ロンステット(Oona M. Lönnstedt)(スウェーデン)改訂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283]
웹사이트
企業:データねつ造(data fabrication)、ハルデン原子炉(Halden reactor)(ノルウェー)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0-11-10
[284]
웹사이트
原子力施設等におけるトピックス (令和元年7月29日~8月18日)
https://warp.da.ndl.[...]
原子力規制委員会
2020-11-11
[285]
웹사이트
原子力規制委員会記者会見録(平成31年1月23日(水)14:30~)
https://www.nsr.go.j[...]
原子力規制委員会
2020-11-11
[286]
웹사이트
第50回技術情報検討会
https://www.nra.go.j[...]
原子力規制委員会
2022-09-08
[287]
논문
An open letter to Mehra et al and The Lancet
https://zenodo.org/r[...]
2020-05-28
[288]
웹사이트
Surgisphere: governments and WHO changed Covid-19 policy based on suspect data from tiny US company
http://www.theguardi[...]
2021-06-29
[289]
웹사이트
政治化された「エビデンス」 新型コロナ研究不正疑惑の波紋 {{!}} 欧州ニュースアラカルト {{!}} 八田浩輔
https://mainichi.jp/[...]
2021-06-29
[290]
웹사이트
新型コロナ 英文誌での論文撤回 ここから私たちが学ぶべきこと(忽那賢志)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1-06-29
[291]
웹사이트
Who’s to blame? These three scientists are at the heart of the Surgisphere COVID-19 scandal
https://www.sciencem[...]
2021-06-29
[292]
웹사이트
サパン・デサイー(Sapan Desai)(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293]
웹사이트
研究活動上の特定不正行為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https://www.osaka-u.[...]
2020-11-06
[294]
웹사이트
A 2015 PNAS paper is six pages long. Its correction is four pages long.
https://retractionwa[...]
2020-11-06
[295]
웹사이트
国立循環器病センター調査報告書
https://web.archive.[...]
2021-02-02
[296]
웹사이트
不正論文もとに臨床研究、参加した患者に影響は?阪大
https://archive.vn/z[...]
朝日新聞
2021-02-02
[297]
웹사이트
Gregg Semenza: real Nobel Prize and unreal research data
https://web.archive.[...]
2020-11-06
[298]
웹사이트
グレッグ・セメンザ(Gregg Semenza)(米)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299]
논문
Targeting of HIF-α to the von Hippel-Lindau Ubiquitylation Complex by O 2 -Regulated Prolyl Hydroxylation
https://www.science.[...]
2001-04-20
[300]
논문
Dozens of papers co-authored by Nobel laureate raise concerns
https://www.nature.c[...]
2022-10-21
[301]
웹사이트
Paper about Herbalife®-related patient death removed after company threatens to sue the journal
https://scienceinteg[...]
2022-11-05
[302]
웹사이트
無罪:シリアック・フィリップス(Cyriac Philips)(インド)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2-11-12
[303]
뉴스
Meet the student who helped boot the president of Stanford
https://www.washingt[...]
2023-08-04
[304]
웹사이트
Stanford president’s research under investigation
https://stanforddail[...]
2022-12-08
[305]
웹사이트
Stanford misconduct probe of president stumbles as new journal launches inquiry
https://www.science.[...]
2022-12-08
[306]
웹사이트
Review found ‘falsified data’ in Stanford President’s research, colleagues allege
https://stanforddail[...]
2023-02-25
[307]
웹사이트
Report of the Scientific Panel of the Special Committee of the Stanford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https://boardoftrust[...]
Stanford University
2023-07-21
[308]
뉴스
Stanford President Will Resign After Report Found Flaws in His Research
https://www.nytimes.[...]
2023-07-19
[309]
웹사이트
Q&A: How this Stanford freshman brought down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https://www.latimes.[...]
2023-07-24
[310]
웹사이트
金沢大、浜松医大の元教授も関与 福井大査読偽装、計6本に
https://mainichi.jp/[...]
2023-01-14
[311]
웹사이트
古川宇宙飛行士の研究で筑波大が論文発表、「不正なし」に異論
https://mainichi.jp/[...]
2023-01-14
[312]
웹사이트
ケン・スズキ(Ken Suzuki、鈴木 憲)(英、日本) {{!}} 白楽の研究者倫理
https://haklak.com/p[...]
2023-08-04
[313]
웹사이트
「心臓病の最高権威」に研究論文の改ざん疑惑 最新AIが見抜いた阪大研究者たちの「画像加工・再利用」の手口
https://www.news-pos[...]
2023-07-21
[314]
웹사이트
「心臓病の最高権威」国循・大津欣也理事長に研究論文捏造・改ざん疑惑、直撃取材に語ったこと
https://www.news-pos[...]
2023-07-21
[315]
웹사이트
心臓病の最高権威「国立循環器病研究センター」幹部6人に論文不正疑惑“画像の使い回し”か(NEWSポストセブン)
https://news.yahoo.c[...]
2023-09-29
[316]
웹사이트
国立循環器病研究センター元室長 懲戒解雇相当の処分に|NHK 関西のニュース
https://www3.nhk.or.[...]
2023-07-21
[317]
웹사이트
国循の元室長ら、論文不正で処分
https://www.nikkei.c[...]
2021-03-31
[318]
간행물
Corrigendum: The Ras–MAPK pathway is important for olfaction in Caenorhabditis elegans
https://www.nature.c[...]
2004-12
[319]
웹사이트
"「尿一滴でがんがわかる」で話題 線虫がん検査「精度86%」は問題だらけ"
https://bunshun.jp/a[...]
2023-09-22
[320]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
https://hbio.jp/news[...]
2023-09-22
[321]
웹사이트
虚飾のユニコーン
https://newspicks.co[...]
2023-09-22
[322]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
https://hbio.jp/news[...]
2023-09-22
[323]
웹사이트
手を洗う救急医Taka
https://note.com/mph[...]
2023-09-20
[324]
웹사이트
株式会社ユーザベースを被告とした民事訴訟について
https://hbio.jp/news[...]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2023-10-02
[325]
Youtube
【スクープ】世界初の「線虫がん検査」、衝撃の実態を徹底取材 解説:須田桃子
https://www.youtube.[...]
2023-10-02
[326]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27]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28]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29]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30]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31]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32]
웹사이트
HIROTSUバイオサイエンス {{!}} 線虫がん検査に関する世界最先端の線虫行動解析技術
https://hbio.jp/news[...]
2024-10-28
[333]
웹사이트
2024年 調査報道大賞・発表|報道実務家フォーラム
https://j-forum.org/[...]
2024-10-30
[334]
문서
知的財産からみたライフサイエンス分野の知識創造と活用のありかた
http://www.iir.hit-u[...]
味の素(株)知的財産センター 森岡一
2007-03-05
[335]
서적
工業所有権法逐条解説第15版
特許庁編
[336]
문서
[337]
문서
[338]
뉴스
産学連携と知財戦略 第11回「明細書におけるデータ捏造問題」
https://web.archive.[...]
先端技術事業化メールマガジン 第94号、日経BP社 産学連携事務局
2006-11-22
[339]
웹인용
대표적 연구부정행위 10가지
https://www.enago.co[...]
2016-10-03
[340]
서적
실천연구윤리
과학기술부
2007
[341]
웹인용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
https://www.law.go.k[...]
국가법령정보센터
[342]
논문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규제 및 법정책 연구
2006
[343]
서적
앞의 책
[344]
서적
앞의 책
과학기술부
[345]
서적
앞의 책
[346]
논문
연구진실성의 쟁점과 역사적 형성: 유럽 각국의 정책과 사례를 중심으로
2006-02
[347]
서적
과학기술의 발전과 연구윤리
형설출판사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