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고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고탑은 발해 시대 상경 용천부가 있었던 곳으로, 건주여진의 올적합이 근거하던 지역이다. 청 초기에는 헤이룽장성에 영고탑앙방장경이 설치되었다가 지린성으로 옮겨 지린 장군으로 개칭되었다. 닝구타에는 구성과 신성이 있었으며, 만주 지배를 위한 거점으로 강화되었다. 1676년 닝고탑 장군이 지린시로 이전하면서 길림 장군으로 개칭되었지만, 닝구타는 만주 동부의 군사, 정치, 경제적 요충지로 기능했다. "영고탑"은 만주어로 "여섯"을 의미하며, 여섯 형제가 거주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베이징 조약 이후 러시아와의 교역이 쇠퇴하고, 동청 철도 건설로 하얼빈 등 도시가 건설되었지만, 닝구타는 농림업과 군사적 거점으로 남았다. 19세기 말부터 한족과 조선인이 이주하여 농사를 시작했으며, 신해 혁명 이후에는 다양한 세력의 거점이 되었다.
영고탑은 발해가 상경 용천부를 설치했던 곳이자, 건주여진 탈알령(脱斡怜) 부족의 올적합(兀狄哈)이 근거지로 삼았던 지역이다.[1]
2. 역사
청나라 초기에는 헤이룽장성에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을 설치했으나, 이후 지린성(吉林省)으로 옮기고 지린 장군으로 개칭했다.[1]
2. 1. 발해와 여진 시대
발해는 상경 용천부를 영고탑에 설치하였고, 건주여진의 탈알령(脱斡怜) 부족 올적합(兀狄哈)이 이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다.[1]
청나라 초기에는 헤이룽장성에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을 설치하였으나, 이후 지린성(吉林省)으로 옮겨 지린 장군으로 개칭하였다.[1]
2. 2. 청나라 시대
영고탑은 발해 시대에 상경 용천부가 있었던 곳으로, 건주여진의 탈알령(脱斡怜) 부족 올적합(兀狄哈)이 근거하던 지역이었다.
청 초기 헤이룽장성에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현재의 지린성(吉林省)으로 옮겨진 후 지린 장군으로 개칭되었다.
녕고탑에는 구성(旧城)과 신성(新城)이 있었다. 최초의 녕고탑(구성)은 현재의 무단강시 하이린시 창팅진(長汀鎮) 하이랑허(海浪河) 남안의 분지에 있었으며, 내성(둘레 687m)과 외성(둘레 2,500m)으로 둘러싸인 소규모 도시로 그 유구가 남아있다. 하이린 주변은 농지로서 비옥할 뿐 아니라 임업·어업·수렵의 적지이며, 육로와 수로 등 교통의 요지이기도 했다.
1653년(순치 10년) 아무르강(흑룡강)·우스리강 연안 일대를 장악하기 위한 군사 조직이 설치되었고, 1662년(강희 원년) 군사 조직이 개편되었다. 1666년 (강희 5년) 녕고탑 장군이 신성으로 이전하였고, 1676년 녕고탑 장군이 지린시로 이전하여 길림 장군으로 개칭되었다.
청대 중기, 무단강 하류에 건설된 삼성(이렌 할라, 현재의 하얼빈시 이란현)이 모피 공납을 도맡기 전에는 녕고탑이 산단 무역을 통괄했으며, 유배지로도 사용되었다.[5]
2. 2. 1. 명칭 유래
'''영고탑'''은 금의 태조가 군사를 일으킨 곳에 위치한다. 이름에 "탑"이 붙어 있지만, 실제 탑은 없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여섯 형제가 각자 한 곳을 차지했는데, 만주어(건주 여진)로 "여섯ninggun"을 "영고nínggǔ", "개ta"를 "탑tǎ"이라고 발음하기 때문에, "여섯 개ningguta"의 의미로 "영고탑nínggǔtǎ"이라고 한다.[2]
"여섯 형제"란 영고탑 베일레닝구타 베일레를 말하며, 누르하치의 할아버지 교창가를 포함한 여섯 형제를 가리킨다. 그러나 닝구타 베일레가 거주한 곳은 헤투알라를 중심으로 하는 현재의 요녕성 무순시 신빈현 일대이며, 흑룡강성이 아니다. 만주어 "ningguta"의 어원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지만, 통설은 "여섯(개)"의 의미로 여겨진다.[2] 이나바 이와키치는 이 "여섯"에 대해, "손자타sunjata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섯 개의 성이 거기에 있었던 것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냐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2] 또 다른 설에서는, "ta"는 "개"의 의미가 아니라 "수령"을 뜻하는 만주어 "da"[3]의 변화형이라고 한다.[4]
2. 2. 2. 러시아와의 관계
1653년(순치 10년), 아무르강(흑룡강)·우스리강 연안 일대를 장악하는 군사 조직인 암반 장깅(amban janggin, 昂邦章京)과 메이레니 장깅(meiren i janggin, 梅勒章京)이 녕고탑성에 설치되었고, 녕고탑은 만주 지배를 위한 거점으로 강화되었다. 1662년(강희 원년)에는 암반 장깅은 닝구타이 장규윤(ningguta i jiyanggiyūn, 寧古塔將軍)으로, 메이레니 장깅의 한어 명칭은 부도통으로 개정되었고, 1666년(강희 5년)에 녕고탑 장군은 하이랑허보다 큰 강인 무단강에 접한 신성(현재의 무단강시 닝안시의 닝안현성)으로 이전했다. 이후에는 신성이 녕고탑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
1676년 녕고탑 장군이 지린시로 이전하여 길림 장군으로 개칭하고 아무르강 하구까지를 관할하게 되었지만, 녕고탑 성에는 녕고탑 부도통이 남아 만주 동부의 군사·정치·경제의 중요 거점 역할을 계속했다. 연안의 수렵 민족들이 모피 등의 산품을 가지고 무단강이나 우스리강, 아무르강을 따라 녕고탑과 교역했다. 멀리 에조치(홋카이도·사할린·쿠릴 열도)의 아이누인들도 흑룡강 하구의 소수 민족을 통해 녕고탑에서 오는 비단 등 청나라의 산품과 모피 등을 교환하는 산단 무역이라고 불리는 무역 활동을 했다. 청대 중기, 무단강 하류에 건설된 삼성(이렌 할라, 현재의 하얼빈시 이란현)의 거리가 모피 공납을 도맡기 전에는 녕고탑이 이러한 무역을 통괄했다.[5]
17세기 중반, 만주 북부에는 러시아 차르국의 코사크들이 진출하여, 예로페이 하바로프의 탐험을 시작으로 하는 러시아인의 군사 활동 및 정복 활동으로 치안이 흔들리고 있었다.[5]
2. 2. 3. 산단 무역
1676년 지린시로 녕고탑 장군이 이전하면서 길림 장군으로 개칭되었고 아무르강 하구까지 관할하게 되었다. 그러나 녕고탑에는 녕고탑 부도통이 남아 만주 동부의 군사, 정치, 경제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 연안의 수렵 민족들은 모피 등의 산품을 가지고 무단강, 우스리강, 아무르강을 따라 녕고탑과 교역했다. 멀리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의 에조치에 살던 아이누인들도 흑룡강 하구의 소수 민족을 통해 녕고탑에서 생산되는 비단 등의 청나라 산품과 모피 등을 교환하는 산단 무역을 했다. 청대 중기, 무단강 하류에 건설된 삼성(이렌 할라, 현재의 하얼빈시 이란현)이 모피 공납을 도맡기 전에는 녕고탑이 이러한 무역을 통괄했다.[5]
2. 3. 근현대
청대 말기, 베이징 조약 등으로 아무르강 이북과 우수리강 동쪽이 러시아에 할양되면서 모피 무역이 쇠퇴했다. 동청 철도 건설로 하얼빈 등 새로운 도시들이 성장했지만, 닝구타(영고탑)는 여전히 만주 동부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러시아에 대한 군사 거점 역할을 했다. 특히 목단강 유역은 벼농사에 적합하여 19세기 말부터 한족과 조선인들이 이주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지린성 설치 후 닝안부, 닝안현이 닝구타에 설치되었으나, 닝구타라는 이름은 계속 사용되었다. 신해 혁명 이후 혼란기에 닝구타는 중국인 혁명 운동과 조선인 항일 빨치산 등 다양한 세력의 거점이 되었다. 1930년대 일본이 만주국을 세운 후 닝구타는 농림업 중심지로 번성했지만, 무단장시 건설로 인해 그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2. 3. 1. 일제강점기와 한국 독립운동
베이징 조약 등으로 아무르강 이북과 우수리강 동쪽이 러시아에 할양되었고, 모피 무역 등 소수 민족을 상대로 한 교역은 쇠퇴했다. 동청 철도 건설에 따라 하얼빈 등의 도시가 건설되었지만, 닝구타는 만주 동부의 몇 안 되는 도시였으며 러시아 등에 대한 군사 거점이었다. 특히 목단강 연안에 해당하여 수전 경작에 적합한 토지였고, 19세기 말부터 한족과 조선인이 주변으로 이주하여 벼농사나 밭농사를 시작했다.[1]
지린성 설치 이후에는 닝안부, 이어서 닝안현이 닝구타에 설치되었지만, 닝안현 설치 이후에도 닝구타라는 이름은 관용적으로 사용되었다. 신해 혁명 이후 혼란기에는 닝구타는 중국인의 혁명 운동이나 조선인의 항일 빨치산 등 다양한 세력의 거점이 되었다. 1930년대에 일본이 만주국을 이 땅에 건국한 후 얼마 동안 닝구타는 농림업의 집산지로서 번성했지만, 무단장시의 건설로 인해 농림업상·군사상의 거점으로서의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1]
참조
[1]
서적
興京二道河子舊老城
[2]
서적
清朝全史
[3]
서적
新满汉大词典
新疆人民出版社
[4]
간행물
清初ヌルハチ王國の統治機構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