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홀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추홀교통은 2023년 2월 사모펀드에 인수되어 사명을 변경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2003년 선진그룹에 의해 인천선진교통으로 설립되어, 2009년 인천제물포교통을 분사시켰다. 과거에는 12-1번, 24번, 71번 등의 간선버스와 M6405번, M6450번 광역급행버스를 운행했으며, 현재는 12, 75, 76, 77번 등의 간선버스를 운행한다. 현대 그린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렉시티, 일렉시티 FCEV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일원교통
일원교통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을 기점으로 강남01번과 강남03번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회사이다. - 200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JR 시코쿠 버스
JR 시코쿠 버스는 1987년 JR 시코쿠의 버스 사업부로 시작하여 2004년 분사한 고속버스 회사로, 시코쿠와 주요 도시를 잇는 고속버스와 일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 중이나, 2010년대 이후 노선 축소 및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미추홀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이름 | 미추홀교통 주식회사 |
| 원어 이름 | MICHUHOI TRAFFIC CO., LTD. |
| 이전 회사 | 제물포버스여객 ( ~ 2002년) 인천선진교통 (2003년 ~ 2023년) |
| 창립일 | 2003년 3월 1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29, 제1동 (항동7가) |
| 사업 지역 | 인천광역시 |
| 산업 | 운수업 |
| 주요 사업 | 시내버스 |
| 경영진 | |
| 대표 이사 | 한강수, 김헌주 (공동대표이사) |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 자본금 | 200,000,000원 |
| 매출액 | 12,303,205,848원 |
| 영업 이익 | 1,066,941,781원 |
| 순이익 | 1,704,009,414원 |
| 자산 총액 | 15,556,904,656원 |
| 주주 정보 | |
| 주주 | ESG퍼블릭모빌리티 : 100% |
| 직원 정보 | |
| 종업원 수 | 163명 |
2. 연혁
- 1960년: 경기도 인천시 가좌동에 제물포버스여객 설립.
- 1981년 7월 1일: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어 인천시내버스로 면허 전환.
- 1991년: 인천시 좌석버스를 개통하였으며,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 1996년 3월 19일: 인천시내버스 색상변경 차량[2]을 시범운행하였고 당시 2번[3]에 운행하였다.
- 1998년 9월: 보유했던 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하였고, 강인여객으로부터 버스 23대를 양도받아 증차[4]하였다.
- 1999년 9월: 경인여객의 폐업으로 11대의 시내버스를 받아 증차[5]하였고, 이 중 보유버스 6대의 현대자동차 버스를 부성여객에 양도[6]하였다.
- 2000년 3월 26일: 인천시내버스 1차 고정배차제 시행으로 12번, 13번, 21번, 24번, 30번, 32번, 39번 등 7개 시내버스 노선을 배정 받았다.
- 2002년 4월: 39번 시내버스 노선 폐선(박촌-계산신도시-계산고교-계산역-공촌정수장-서부공단-가좌동-경인여상-미주탕-십정동-백운역-부평역-부평구청역).
- 2002년 5월: 32번 시내버스 노선 폐선(박촌-계산신도시-계양구청-효성동-갈산역-부평역-한국아파트-동수역-간석5거리-주안-제물포역-도원역-동인천역).
- 2002년 8월: 13번 시내버스 노선을 서해운수에 매각.
- 2002년 12월: 21번 시내버스 노선을 용현운수에 매각.
- 2003년 2월: 12번, 24번, 30번 시내버스를 선진버스그룹에 매각하고 인천선진교통에 합병.
- 2003년 3월 1일: 선진그룹이 제물포버스여객을 인수하여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55-1에서 인천선진교통을 설립하였다.[1]
- 2003년 3월 20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223-46으로 이전하였다.[1]
- 2003년 7월 1일: 인천 서구 마전지구- 인천 귤현역 간 76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1]
- 2003년 12월 24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7가 58-113으로 이전하였다.[1]
- 2006년 3월: 동양지구-박촌역-계산신도시-이마트를 경유하는 71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1]
- 2007년 7월: 선진여객 87번 시내버스 노선 통합으로 71번 시내버스는 폐선되었다.[1]
- 2007년 9월 1일: 영종운수로부터 78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1]
- 2009년 3월 4일: 인천선진교통에서 인천제물포교통을 분사시켰다.[1]
- 2009년 8월: 광역급행버스 M6405번 노선을 신설 운행하였다.[1]
- 2010년 8월: 광역급행버스 M6405번 노선을 방계회사인 인강여객으로 양도하였다.[1]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1월 31일: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1]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12번 버스와 12-1번 버스를 통폐합하고 노선을 변경하였으며, 76번도 노선을 변경하였다.[1]
- 2019년: 본사를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로 이전하였다.[1]
- 2019년 11월 5일: 친환경 전기버스인 일렉시티를 출고하여 12번 시내버스 노선에 10대의 전기저상버스를 운행 개시하였다.[1]
- 2020년 3월 4일: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는 광역급행버스 M버스 노선(M6450번)에 낙찰되었으며, 5월 초 개통하였다.[1]
- 2020년 5월 26일: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M6450번 노선을 개통하였다.[1]
- 2023년 1월 19일: M6450번 노선을 신동아교통으로 양도하였다.[1]
- 2023년 2월 23일: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피인수되어 '''미추홀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2024년 3월 2일: 77번 시내버스 노선이 한정면허로 전환되어 신차량[1]으로 증차하여 운행하고 있다.
2. 1. 미추홀교통 연혁
- 2023년 2월 23일: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피인수되어 '''미추홀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2024년 3월 2일: 77번 시내버스 노선이 한정면허로 전환되어 신차량[1]으로 증차하여 운행하고 있다.
2. 2. 인천선진교통 연혁
- 2003년 3월 1일: 선진그룹이 제물포버스여객을 인수하여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55-1에서 '''인천선진교통'''을 설립하였다.[1]
- 2003년 3월 20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223-46으로 이전하였다.[1]
- 2003년 7월 1일: 인천 서구 마전지구- 인천 귤현역 간 76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1]
- 2003년 12월 24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7가 58-113으로 이전하였다.[1]
- 2006년 3월: 동양지구-박촌역-계산신도시-이마트를 경유하는 71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1]
- 2007년 7월: 선진여객 87번 시내버스 "동양지구-박촌역-계산신도시-이마트" 구간을 통합하여 71번 시내버스는 폐선되었다.[1]
- 2007년 9월 1일: 영종운수로부터 78번 시내버스(마전지구-검단4거리-원당,당하지구-계양장기지구-개화역-김포공항-송정역)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1]
- 2009년 3월 4일: 인천선진교통에서 인천제물포교통을 분사시켰다.[1]
- 2009년 8월: 광역급행버스 M6405번 노선을 신설 운행하였다.[1]
- 2010년 8월: 광역급행버스 M6405번 노선을 방계회사인 인강여객으로 양도하였다.[1]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1월 31일: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1]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12번 버스와 12-1번 버스를 통폐합하고 노선을 변경하였으며, 76번도 노선을 변경하였다.[1]
- 2019년: 본사를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로 이전하였다.[1]
- 2019년 11월 5일: 친환경 전기버스인 일렉시티를 출고하여 12번 시내버스 노선에 10대의 전기저상버스를 운행 개시하였다.[1]
- 2020년 3월 4일: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는 광역급행버스 M버스 노선(M6450번, 인천송도6,8공구 - EBS - 양재역 - 강남역 - 삼성역)에 낙찰되었으며, 5월 초 개통하였다.[1]
- 2020년 5월 26일: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M6450번 노선을 개통하였다.[1]
- 2023년 1월 19일: M6450번 노선을 신동아교통으로 양도하였다.[1]
- 2023년 2월: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피인수되었다.[1]
2. 3. 제물포버스 연혁
- 1960년: 경기도 인천시 가좌동에 제물포버스여객 설립.
- 1981년 7월 1일: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어 인천시내버스로 면허 전환.
- 1991년: 인천시 좌석버스를 개통하였으며, 공동배차로 운행하였다.
- 1996년 3월 19일: 인천시내버스 색상변경 차량[2]을 시범운행하였고 당시 2번[3]에 운행하였다.
- 1998년 9월: 보유했던 좌석버스를 강인여객에 매각하였고, 강인여객으로부터 버스 23대를 양도받아 증차[4]하였다.
- 1999년 9월: 경인여객의 폐업으로 11대의 시내버스를 받아 증차[5]하였고, 이 중 보유버스 6대의 현대자동차 버스를 부성여객에 양도[6]하였다.
- 2000년 3월 26일: 인천시내버스 1차 고정배차제 시행으로 12번, 13번, 21번, 24번, 30번, 32번, 39번 등 7개 시내버스 노선을 배정 받았다.
- 2002년 4월: 39번 시내버스 노선 폐선(박촌-계산신도시-계산고교-계산역-공촌정수장-서부공단-가좌동-경인여상-미주탕-십정동-백운역-부평역-부평구청역).
- 2002년 5월: 32번 시내버스 노선 폐선(박촌-계산신도시-계양구청-효성동-갈산역-부평역-한국아파트-동수역-간석5거리-주안-제물포역-도원역-동인천역).
- 2002년 8월: 13번 시내버스(불로동-원당,당하지구-서구청-인천교-청운대학교-재능대학교-동산고등학교-제물포역-간석5거리-모래내시장-인천터미널-문학동-학익동-인하대학교) 노선을 서해운수에 매각.
- 2002년 12월: 21번 시내버스(소래-만수3지구-구월동-시청-주안-제물포역-동인천역) 노선을 용현운수에 매각.
- 2003년 2월: 12번, 24번, 30번 시내버스를 선진버스그룹에 매각하고 인천선진교통에 합병.
3. 운행 노선
미추홀교통의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
| 12번 | 연안부두 - 동인천역 - 재능대학교 - 인천의료원 - 씨티은행 - 신현주공아파트 - 갈산역 - 한국GM - 부평구청역 - 부평역 - 부개역 - 일신동 |
| 75번 | 왕길동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역 |
| 76번 | 마전 풍림 아이원 1차 아파트 - 원당중학교(원당고등학교) - 계양역 - 박촌역 - 임학역 - 계산역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 77번 | 마전지구버스차고지 - 계양역 - 귤현역[9] (배차간격: 28~36분, 4대 운행)[8] |
3. 1. 간선버스
미추홀교통의 간선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12번: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 앞 - 국제여객터미널 - 풍물시장 - 라이프아파트 - 연안어시장 - 라이프쇼핑 - 인천종합수산물센터 - 수협중앙회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항운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 출입국관리사무소 - 삼익아파트 - 중구노인복지회관 - 송도중학교 - 신포시장 - 동인천역 - 미림극장 - 배다리 3거리 - 삼익아파트 - 송림시장 - 재능대학교 - 송림고개 - 하늘꿈교회 - 인천교 3거리 - 인천의료원 - 동부제철 - 동아정밀 (일신동발 - 연안부두행: 영창테크노타운) - 성웅아파트 - 가좌농협 - 삼영아파트 - 쌍마아파트 - 거북시장 - 대은교회 - 씨티은행 - 성민병원 - 강남시장 - 신현치안센터 - 신현쇼핑 - 신현주공아파트 - 가정동 기동대 - 가정5거리 - 태화아파트 - 조광아파트 - 아니지고개 - 동오아파트 - 북인천여자중학교 - 새말4거리 - 효성4거리 - KEB하나은행 - 로얄금속 - 동국무역 - 동서식품 - 갈산역 - 한국GM - 부평구청역 - 부평구청 - 백마장 입구 - 부평시장역 - 부평시장 - 부평역 - 신일상호금고 - 부평시장로터리 - 부평시장 입구 - 부흥치안센터 - 부개고등학교 - 성일아파트 - 부개역 - 일신시장 - 일신동 행정복지센터 - 일신동[7]
- ●한국어 75번: 왕길동(기점) - 왕길고가 - 안동포사거리입구 - 완정사거리 - 보람프라자앞 - 도담공원.푸르지오더베뉴 - 인천지방법원북부지원입구 - 이음대로.대성베르힐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역 → 귤현차량기지(안골공원)
- ●한국어 76번: 마전 풍림 아이원 1차 아파트 - 마전지구 - 마전 풍림 아이원 2차 아파트 - 마전고등학교 - 대주파크빌 - 검단초등학교 - 해피하임 - 길훈아파트 - 동성아파트 - 검단2동 행정복지센터 - 월드메르디앙아파트 - 불로 E편안한세상 - 불로중학교 - 동아전기 - 김포교회 - 원당중학교(원당고등학교) - 금호어울림아파트 - 삼정프라자 - 당하마트 - 당하농원 - 독실동(효성전기) - 경문직업전문학교 - 갈현동 경로당 - 부대앞 - 원욱그린타운 - 장기동(계양초등학교) - 계양1동 행정복지센터 - 계양역 - 유진디스콤 - 귤현현대아이파크 - 계양 동부센트리빌1단지 - 계양 동부센트리빌2단지 - 동양GS자이 - 동양도서관 - 당미마을 - 당산초등학교 - 동양주공 1,2단지 - 하우스토리 - 한화꿈에그린 아파트 - 박촌역 - 청소년수련관(어린이과학관) - 병방시장 - 임학역 - 임학4거리 - 안산초등학교 - 계양도서관 - 계산역 - 계산동 수협 - 계산삼거리(신도브레뉴) - 경인교대입구역 - 계양구의회 - 작전역(종점)
- ●한국어 77번: 마전지구버스차고지 - 마전풍림 1차아이원 아파트 - 마전지구 1단지 - 마전풍림2차 아파트 - 마전지구 대원아파트 - 마전고등학교 - 대주파크빌 - 검단초등학교 - 길훈아파트 - 동성아파트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월드아파트 - 불로E편한세상 - 불로중학교 - 동아전기 - 창신초등학교 - 보스턴힐 - 원당사거리(검단선사박물관) - 서구영어마을 - 아라노을공원(한신더휴 아파트) - 유승한내들에듀파크 - 해든초등학교 - 이음1로(예미지시그너스) - 검단대성베르힐 - 이음대로(대성베르힐) - 검단로지스틱스파크 - 드림로갈산교 - 갈현경로당 - 부대앞 - 인혜학교후문 - 장기동 - 계양1동 주민자치센터 - 다남식당 - 계양역 - 계양중학교 - 귤현역[9] (배차간격: 28~36분, 4대 운행)[8]
4. 과거 보유 노선
- 12-1번: 일신동 61사단 후문을 출발하여 금마초등학교, 부개역, 부평역, 부평구청, 부평구청역 등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2009년 1월 30일부터 2016년 7월 30일까지 운행 후 12번과 통합되었다.[1]
- 24번: 연안부두를 출발하여 동인천역, 현대제철, 부평역, 굴포천역, 계산역 등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2004년 1월 원진운수에 매각되었으나, 2006년 11월 부일운수에 다시 매각되었다. 현재 24번은 해성운수, 24-1번은 세운교통에서 분할 운행 중이다.[2]
- 71번: 동양 GS자이를 출발하여 당산초등학교, 박촌역, 임학역, 계양구청 등을 거쳐 이마트 작전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2007년 7월 선진여객에 매각된 후 87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3]
- M6450번: 송도e편한세상 아파트 정문을 출발, 인천대입구역, 캠퍼스타운역, 양재역, 강남역, 선릉역을 거쳐 한국무역센터·삼성역까지 운행하였다. 이 노선은 신동아교통에 양도되었다.[5]
4. 1. 간선버스
- 12-1영어번: 일신동 61사단 후문 - 금마초등학교 - 61사단(장애인복지회관) - 일신동주민센터 - 일신시장 - 부개역 - 부개성일아파트(부개도서관) - 부개치안센터 - 부흥초등학교 - 부평시장 입구 - 진선미예식장 - 부평역 - 부평시장 - 부평시장역 - 부평우체국 - 백마장 입구 - 부평구청 - 부평구청역(반환시: 북부도서관 - 광장주유소 - 부평중학교 - 부평구보건소 - 부평시장 - 부평역 - 신일상호신용금고 - 부평시장 - 부평시장 입구 - 부개치안센터 " 이후 동일 ") (2009년 1월 30일 ~ 2016년 7월 30일까지 운행 후 12번과 통폐합.)
- 24영어번: 연안부두 - 전통게장길조 앞 - 국제여객터미널 - 연안여객터미널 - 라이프쇼핑 - 연안부두 어시장 - 정기무역 - 남항부두 - 연안아파트 - 신선초등학교 - 조달청 비축기지 - 출입국 관리사무소 - 삼익아파트 - 경남아너스빌 아파트 - 삼성래미안 아파트 - 제2국제여객 터미널 -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 신포시장 - 동인천역 - 화평철교 - 동인천역 북광장(계산역 발 - 연안부두 행: 동인천역 북광장 미경유)- 송현시장 - 솔빛마을 아파트 - 솔빛마을 주공아파트 - 동국제강 - 현대제철(계산역 발 - 연안부두 행: 동부시장 - 송현아파트 - 솔빛마을 주공아파트) - 서흥초등학교 - 동부시장 - 송림시장 - 재능대학교 - 송림고개 - 서화초등학교 - 인천교3거리 - 인천의료원 - 동부제철 - 코스모화학 - 가재울4거리 - 가좌고등학교 - 가림고등학교 - 가좌 진주아파트 - 가좌 현대아파트 - 새사미아파트 - 명신여자고등학교 - 삼보아파트 - 산곡중학교 - 보각사 입구 - 산곡여자중학교 - 운화교회 - 인평자동차정보고등학교 - 화랑교회 - 협성양로원 - 부평서중학교 - 현대아파트 - 2001아울렛 부평점 - 부원중학교 - 부평역 - 진선미예식장 - 부평시장 - 부흥5거리 - 나누리병원 - 부평고등학교 - 굴포천역 - 부평농협 - 신트리공원 - 태화아파트 - 두산아파트 - 갈산주공 1단지 아파트 - 삼산4거리 - 부평순복음교회 - 광명아파트 - 작동초등학교 - 현대아파트 - 서운교 - 서운동 - 한진아파트 - 이마트(계산점) - 동보아파트 - 계산공업고등학교 - 태평아파트 - 은행마을 - 초정마을 - 계양경찰서 - 롯데마트계양점 - 안산초등학교 - 계산역(반환시: 한국아파트 - 삼천리1차 아파트 - 삼천리3차 아파트 - 작전초등학교 - 코오롱아파트 - 작전초등학교 - 화전초등학교 - 작전풍림아파트) (2004년 1월 원진운수에 매각되었으나 2006년 11월 부일운수에 매각되었다. 24번은 현재 해성운수/24-1영어번은 세운교통에서 각각 분할 운행중.)
- 71영어번: 동양 GS자이 - 동양도서관 - 당미마을 - 당산초등학교 - 동양주공 1,2단지 - 동양지구 입구 - 하우스토리 - 박촌풍림아파트 - 박촌역 - 어린이과학관(청소년수련관) - 병방초등학교 - 임학역 - 롯데마트 계양점 - 계양경찰서 - 계양구청 - 태산아파트 - 계산공업고등학교 - 까치공원(작전도서관) - 이마트 작전점(종점)(2007년 7월 선진여객에 매각 후 87번과 통합하여 폐선됨.)
4. 2. 광역급행버스
M6405영어번: 웰카운티 - 센트럴파크역 - 해양경비안전본부 - 금호아파트 - 동막역 - 문학터널 - 제2경인고속도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학의 분기점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선바위역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 우면산터널 - 예술의전당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우성아파트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이 노선은 인강여객으로 매각되었다.)M6450영어번: 송도e편한세상 아파트 정문 ↔ 랜드마크시티센트럴더샵203동 ↔ 송도 센트럴공원 ↔ 인천대입구역·롯데몰 ↔ 송도 더샵센트럴시티·글로벌캠퍼스푸르지오 아파트 ↔ 캠퍼스타운역 ↔ 시민의숲·양재 꽃시장 ↔ 양재역 ↔ 우성 아파트 ↔ 강남역 ↔ 선릉역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이 노선은 신동아교통으로 양도.)
5. 보유 차량
미추홀교통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차종이 없다.
5. 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일렉시티
- 현대 일렉시티 FCEV
참조
[1]
버스정보
[2]
버스정보
[3]
버스정보
[4]
버스정보
[5]
버스정보
[6]
버스정보
[7]
버스정보
[8]
버스정보
[9]
버스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