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선아리랑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아리랑열차는 2015년 1월 2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관광열차로, 청량리역에서 출발하여 강원도 정선군 아우라지역까지 운행한다. 열차 이름의 "A"는 아리랑, 놀라움(amazement), 모험(adventure)을 의미하며, 정선아리랑을 주제로 한 다양한 객차와 내부 활동을 제공한다. 2002년 11월 27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통일호 등급의 정선아리랑유람열차로 운행하다가, 2015년 1월 22일 새마을호 특실 등급으로 재개통되었다. 2024년 2월 19일 낙석 사고로 민둥산역과 아우라지역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열차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철도 여행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1999년부터 한국 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주요 역과 철도 관련 시설에 비치되어 철도 팬과 여행객에게 의미를 지니지만, 일부 스탬프는 비치 장소 변경 또는 날인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 철도 여행 - 바다열차
    2007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안 해안 절경을 감상하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를 잇는 관광 열차였던 바다열차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를 개조한 한국철도 9501계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특실, 가족실, 스낵바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잦은 노선 변경과 차량 노후화, 지자체의 재정 지원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정선아리랑열차
기본 정보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정선역에 들어오는 정선아리랑열차
열차 종류관광열차
노선중앙선, 태백선, 정선선
기점청량리역
종점아우라지역
운영 주체한국철도공사
운행 시작2015년 1월 22일
이전 운행2002년 11월 27일 ~ 2007년 12월 31일 (정선아리랑 테마열차)
상세 정보
차량 종류디젤 동차
편성6량
궤간1435mm
영업 최고 속도120km/h (설계 최고 속도: 150km/h)

2. 역사

2002년 11월 27일부터 기존의 정선선에서 객차 1량, 발전차 1량으로 운행하던 일반 통일호 열차를 관광열차로 대체하고, 통일호 등급으로 정선아리랑유람열차 운행을 개시했다.[9] 원래 정선선 여객열차 등급은 비둘기호였다가 2000년 11월 14일을 끝으로 비둘기호가 폐지되어서 통일호 등급으로 조정되었다. 과거에 새마을호로 운행했던 무궁화호를 개조해 사용하였으며, 전용 발전차가 존재하였다.[10] 기관차에 객차 1량과 발전차 1량만을 연결한 편성이었으나, 여행 성수기에는 일반 무궁화호를 2량 증결해 운행하기도 했다. 2004년 4월 1일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통근열차로 변경되었으며 통일호 객차가 폐차된 이후로는 통근열차 등급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객차형 차량으로 운행하는 사례였다. 2008년 1월 1일자 시간표 개정을 앞두고 통근열차 운행노선 축소 및 해당 객차내구 연한 경과로 2007년 12월 31일 운행을 종료하였다. 이후 2015년 1월 15일까지 아우라지제천·청량리(매월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에만 운행) 간을 오가는 일반 무궁화호가 투입되고 있었다.

2015년 1월 15일 청량리역 구내에서 정선아리랑열차 개통식이 열렸다.[5] 2015년 1월 22일 정선아리랑열차(A-Train) 운행을 개시했고(새마을호 특실 등급), 제천~아우라지 무궁화호는 폐지되었다. [5]

열차 이름의 "A"는 "아리랑"(한국 민요)과 "놀라움(amazement)"과 "모험(adventure)"에서 따왔다.[6] 아리랑은 다양한 변주가 있으며, 정선아리랑은 지역적 특징을 가진 아리랑이다.[6] 이 노래는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때로는 한국의 비공식적인 국가로 여겨진다.[2]

이 열차는 대형 창문과 유리 벽으로 이루어진 4개의 테마 객차를 갖추고 있다. 스카이룸, 찻집, 동강과 산등성이와 같은 정선의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빨강, 노랑, 파랑, 보라색으로 장식된 객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1] 열차 외관은 정선의 공식 꽃인 할미꽃을 상징하는 보라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아리랑 멜로디를 상징하는 곡선으로 장식되어 있다.[5][1][8] 열차 내에서는 스토리텔링, 음악, 마술 쇼, 퀴즈 게임 등의 활동이 진행된다.[7]

정선군을 향해 가는 A-Train


정선으로 가는 새로운 노선은 한국의 지명을 딴 최초의 열차이며, 인근 도시인 평창군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지역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2]

2016년 7월 1일 아우라지역 - 정선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17년 3월 8일 재개되었다. 2018년 2월 9일~3월 18일에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및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관계로 만종역 - 청량리역 구간 운행이 일시 중지되었다가 2018년 3월 19일 운행이 재개되었다.

2024년 2월 19일, 민둥산과 별어곡 사이에서 낙석 사고로 선로가 파손되어 22일부터 민둥산과 아우라지 간 운행이 무기한 중단되었다.

정차역은 청량리역 - 민둥산역 - 별어곡역 - 선평역 - 정선역 - 나전역 - 아우라지역이다.[5] 예상 소요 시간은 3시간이다.

2. 1. 정선아리랑열차 이전

2002년 11월 27일부터 기존의 정선선에서 객차 1량, 발전차 1량으로 운행하던 일반 통일호 열차를 관광열차로 대체하고, 통일호 등급으로 정선아리랑유람열차 운행을 개시했다.[9] 원래 정선선 여객열차 등급은 비둘기호였다가 2000년 11월 14일을 끝으로 비둘기호가 폐지되어서 통일호 등급으로 조정되었다. 과거에 새마을호로 운행했던 무궁화호를 개조해 사용하였으며, 전용 발전차가 존재하였다.[10] 기관차에 객차 1량과 발전차 1량만을 연결한 편성이었으나, 여행 성수기에는 일반 무궁화호를 2량 증결해 운행하기도 했다. 2004년 4월 1일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통근열차로 변경되었으며 통일호 객차가 폐차된 이후로는 통근열차 등급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객차형 차량으로 운행하는 사례였다. 2008년 1월 1일자 시간표 개정을 앞두고 통근열차 운행노선 축소 및 해당 객차내구 연한 경과로 2007년 12월 31일 운행을 종료하였다. 이후 2015년 1월 15일까지 아우라지제천·청량리(매월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에만 운행) 간을 오가는 일반 무궁화호가 투입되고 있었다.

2. 2. 정선아리랑열차

정선아리랑열차(A-Train)는 2015년 1월 22일 청량리역에서 출발하여 서울 북동부를 거쳐 민둥산, "정선 오일장"이 열리는 정선군을 포함한 강원도 내 여러 역을 지나 아우라지역에 도착하는 관광열차이다.[3][4][5] 2015년 1월 15일 청량리역 승강장에서 개업식을 하고[5], 1월 22일 정식 운행을 개시하였다.[5]

열차 이름의 "A"는 "아리랑"(한국 민요)과 "놀라움(amazement)"과 "모험(adventure)"에서 따왔다.[6] 아리랑은 다양한 변주가 있으며, 정선아리랑은 지역적 특징을 가진 아리랑이다.[6] 이 노래는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때로는 한국의 비공식적인 국가로 여겨진다.[2]

이 열차는 대형 창문과 유리 벽으로 이루어진 4개의 테마 객차를 갖추고 있다. 스카이룸, 찻집, 동강과 산등성이와 같은 정선의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빨강, 노랑, 파랑, 보라색으로 장식된 객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1] 열차 외관은 정선의 공식 꽃인 할미꽃을 상징하는 보라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아리랑 멜로디를 상징하는 곡선으로 장식되어 있다.[5][1][8] 열차 내에서는 스토리텔링, 음악, 마술 쇼, 퀴즈 게임 등의 활동이 진행된다.[7]

정선으로 가는 새로운 노선은 한국의 지명을 딴 최초의 열차이며, 인근 도시인 평창군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지역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2]

정선아리랑열차는 2002년 11월 27일 통일호 등급의 정선아리랑유람열차로 운행을 시작했으나, 2008년 1월 1일 운행을 중지하고 제천~아우라지 간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이후 2015년 1월 22일 새마을호 특실 등급의 정선아리랑열차(A-Train)로 다시 운행을 시작하면서 제천~아우라지 간 무궁화호는 폐지되었다.

2016년 7월 1일 아우라지역 - 정선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17년 3월 8일 재개되었다. 2018년 2월 9일~3월 18일에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및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관계로 만종역 - 청량리역 구간 운행이 일시 중지되었다가 2018년 3월 19일 운행이 재개되었다.

2024년 2월 19일, 민둥산과 별어곡 사이에서 낙석 사고로 선로가 파손되어 22일부터 민둥산과 아우라지 간 운행이 무기한 중단되었다.

정차역은 청량리역 - 민둥산역 - 별어곡역 - 선평역 - 정선역 - 나전역 - 아우라지역이다.[5] 예상 소요 시간은 3시간이다.

3. 운행 구간

정선아리랑열차는 주중에는 기본적으로 운행하지 않으나, 공휴일이나 정선 5일장이 열리는 날, 그 외 연선 축제 등으로 수요가 기대되는 날에는 주중에도 운행된다.

정선아리랑열차는 청량리발 아우라지행 제2541열차로서 출발하여 아우라지역에 종착한 뒤 방향을 바꾸어 5시간정도 대기한 후 아우라지발 청량리행 제2542열차로서 청량리역에 종착함으로써 그 날의 운행을 마친다. 아우라지역에서는 기관차와 열차를 분리한 뒤 기관차가 역의 다른 선로를 통해 객차 반대편에 다시 연결됨으로써 회차가 이루어진다.[5]

운행 노선은 중앙선, 태백선, 함백선, 정선선이다.

청량리-원주-제천-영월-예미-민둥산-별어곡-선평-정선-나전-아우라지

3. 1. 정차역

청량리-원주-제천-영월-예미-민둥산-별어곡-선평-정선-나전-아우라지

4. 열차 특징

정선아리랑열차의 이름 "A"는 한국 민요인 아리랑과 "놀라움(amazement)", "모험(adventure)"에서 따왔다.[6] 아리랑은 다양한 변주가 있으며, 정선 지역의 특징을 가진 정선아리랑이 있다.[6] 이 노래는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때로는 한국의 비공식적인 국가로 여겨진다.[2]

열차는 대형 창문과 유리 벽으로 이루어진 4개의 테마 객차를 갖추고 있다.[7][1] 객차는 스카이룸, 찻집, 그리고 동강과 산등성이와 같은 정선의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빨강, 노랑, 파랑, 보라색으로 장식된 객차로 구성되어 있다.[7][1] 열차 외관은 정선의 공식 꽃인 할미꽃을 상징하는 보라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아리랑 멜로디를 상징하는 곡선으로 장식되어 있다.[5][1][8] 열차 내에서는 스토리텔링, 음악, 마술 쇼, 퀴즈 게임 등의 활동이 진행된다.[7]

정선으로 가는 새로운 노선은 한국의 지명을 딴 최초의 열차이며, 인근 도시인 평창군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지역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2]

2015년 1월 22일 청량리역에서 출발하여 서울 북동부를 거쳐 민둥산, "정선 오일장"이 열리는 정선군을 포함한 강원도 내 여러 역을 지나 아우라지역에 도착한다.[3][4][5] 2024년 2월 19일, 민둥산과 별어곡 사이에서 낙석 사고로 선로가 파손되어 22일부터 민둥산과 아우라지 간 운행이 무기한 중단되었다.

4. 1. 외관

4. 2. 내부

5. 이용 정보

5. 1. 나드리패스

나드리패스는 2일권 및 3일권으로 발권하며, 자유석은 2일권 50,000, 3일권 70,000원이며, 좌석 지정권은 2일권 70,000원, 3일권 100,000원이다. 나드리 패스를 구매하면 이 열차뿐만 아니라 일반 열차인 새마을호는 물론 무궁화호 특실까지 좌석을 지정하여 승차 가능하다. 다만, 열차 좌석이 매진된 경우에는 패스를 소지하고 입석으로 탑승 가능하며, 승무원에게 패스를 제시하면 자유석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5. 2. 기타

일반 열차처럼 승차 구간을 정해 승차권을 발권하고 승하차할 수 있다. 정선역~청량리역 구간 운임은 27,600원이다.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A-train to Jeongseon runs to 'Arirang' tun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01-22
[2] 웹사이트 An active weekend begins on the new A-Train http://koreajoongang[...] JoongAng Ilbo 2015-01-24
[3] 웹사이트 Explore the mountain village of Jeongseon http://www.korea.net[...] Korea.net 2015-01-23
[4] 웹사이트 청량리발 ‘정선 아리랑 열차’ 15일 개통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5-01-14
[5] 웹사이트 A-Train takes you to birthplace of 'Arirang' http://www.korea.net[...] Korea.net 2015-01-22
[6] 웹사이트 Head off on newly launched trains https://koreatimes.c[...] The Korea Times 2015-02-11
[7] 웹사이트 코레일 야심작 ‘정선아리랑열차’ 타고 5일장 체험 http://www.ytn.co.kr[...] YTN 2015-02-24
[8] 웹사이트 "아라리 아라리요~" 정선아리랑열차 22일부터 운행 http://www.yonhapnew[...] Yonhap 2015-01-05
[9] 뉴스 정선 아리랑 유람열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11-27
[10] 문서 운행 당시 통일호/통근열차 등급으로 차량번호는 11035호이며, 발전차의 차량번호는 99268호였다. 현재 해당 객차는 정선선 아우라지역에서 정선군 농특산물 홍보관으로 쓰이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