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로모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로모인은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16세기 오로모 확장을 통해 에티오피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오로모족은 체와 바히르 호와 차모 호 주변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쿠시어파 언어인 오로모어를 사용한다. 가다 시스템이라는 독특한 자치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통적으로 반농반목 생활을 해왔다. 에티오피아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기독교,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기도 했지만, 전통 종교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 정부로부터 차별과 억압을 받아왔으며, 인권 침해와 정치적 소외에 대한 불만을 제기해왔다. 2018년 오로모족 출신 아비 아흐메드가 총리로 선출되었으나, 민족 간 갈등과 정치적 불안정은 여전히 주요 쟁점으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시족 - 소말리인
    소말리인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거주하며 소말리아어와 수니파 이슬람교를 사용하고 씨족 중심의 사회 구조를 가지는 민족이다.
  • 쿠시족 - 아파르족
    아파르족은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에 주로 거주하며 아파르어를 사용하는 쿠시어족 계통의 유목 민족으로, 독립적인 술탄국 체제를 유지했고 아사이마라와 아도이마라의 두 계층으로 나뉘는 사회 구조를 가지며 이슬람 수니파 샤피이 학파를 믿는다.
  • 에티오피아의 민족 - 티그라이인
    티그라이인은 에티오피아 북부에 거주하며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악숨 제국의 계승자로 여겨지며, 에티오피아 인구의 일부를 차지하고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가 대다수이며,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은 에티오피아 정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 에티오피아의 민족 - 암하라인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며 암하라어를 사용하고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앙을 따르며, 에티오피아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13세기 솔로몬 왕조를 건국하여 1974년까지 정치적 지배력을 유지했다.
  • 오로모인 - 아비 아머드
    에티오피아 최초의 오로모족 총리인 아비 아흐메드는 정치 개혁, 에리트레아와의 관계 개선,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추진했으며 에리트레아와의 평화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내전과 인권 탄압 문제로 비판받기도 하는 정치인이다.
  • 오로모인 - 하찰루 훈데사
    하찰루 훈데사는 1986년 에티오피아에서 태어난 오로모족 출신 가수로, 저항 음악을 통해 오로모족의 단결과 억압에 대한 저항을 촉구했으며, 2020년 암살 사건으로 오로미아 주에서 시위가 발생했다.
오로모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오로모 민족 의상
2015년 이레차 축제에서 오로모 민족 의상을 입은 사람들
민족 이름오로모인
로마자 표기Oromoo
사용 언어오로모어, 암하라어, 티그리냐어
주요 거주 지역에티오피아, 케냐, 수단, 소말리아, 미국, 호주, 캐나다
관련 민족소말리족, 시다마족, 가브라족, 렌딜레족, 이라크족, 베자족, 기타 쿠시어족 민족
인구
총 인구5000만 명 이상
에티오피아25,489,000 명 (2007년)
케냐739,839 명 (2019년)
수단105,000 명 (2022년)
소말리아41,600 명 (2000년)
미국40,000 명
호주4,310 명 (2021년)
캐나다5,890 명 (2021년)
종교
주요 종교이슬람교 (55~60%), 기독교 (40~45%), 전통 종교 (와크 종교) (최대 3%)
이슬람교수니파 47.5%
기독교48.2% (에티오피아 정교회 30.5%, 개신교 17.7%)
전통 종교3.3%
기타

2. 역사

오로모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60년에 완성된 프라 마우로 지도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지도에는 아와시 강 남쪽에 있는 갈라(Galla) 강이 언급되어 있다. 이는 오로모족이 북쪽으로 확장하기 최소 1세기 반 전부터 에티오피아 남부 지역에 거주했음을 시사한다.

12세기 초부터 오로모족의 모든 삶은 가다 시스템에 의해 지배되었다. 가다 시스템은 평등주의 정신, 연령 계층 사회 조직 및 고도로 체계화된 제도를 기반으로 한 정치적·의례적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 하에서 오로모족은 8년마다 합의를 통해 Salgan ya’ii Boranaom(보라나 9개 회의)로 알려진 지도자 9명을 선출했으며,[51][52] 선출된 지도자는 8년 동안만 권력을 유지했다.[24][25][26]

1593년 에티오피아의 승려 바흐레이는 "갈라의 역사"를 저술하여 오로모족에 대한 자세한 역사를 기록했다.[56][55] 이 외에도 아바 파울로스, 주앙 베르무데스, 제로니모 로보, 겔라우데우오스, 사르사 덩겔 등이 남긴 기록에도 오로모족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오로모족이 16세기에 에티오피아 중앙 고원으로 대규모 이동을 시작한 유목민이었음을 보여준다.

16세기에 "대 오로모 이주"가 발생했다. 영국 태생의 에티오피아 역사가인 리처드 판크허스트에 따르면, 이러한 확장은 아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의 에티오피아 제국 정복 시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오로모족이 상대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정치적·군사적 공백을 만들었다.[59] 오로모족은 말을 얻었고, 가다 시스템은 오로모 기병 전사들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주어 전투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게 했다.

16세기 후반,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 서부 아바이 강 남쪽 영토에 정착했다. 그들이 도착한 지 60년 만에 기베 지역에 게라, 고마, 구마, 지마, 림무-에나레아와 같은 5개의 오로모 국가가 등장했다.

기베 지역의 5개 오로모 왕국의 위치.


이러한 국가들은 유목에서 농업으로의 변화를 통해 생겨났으며, 농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토지 소유 계급과 상인 계급이 부상했다. 특히 아르시, 발레, 하라르게에서 오로모족은 19세기 후반까지 주로 유목민으로 남아 있었다.

1863년, 프랑스 여행가 샤를-자비에 로셰 데리쿠르는 에티오피아를 방문하여 셰와의 통치자 사흘레 셀라시를 만났고,[66][67] 오로모족을 포함한 에티오피아의 다양한 민족들을 관찰했다.[68] 그는 오로모족을 "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종족"이라고 묘사하며, 그들의 신체적 특징, 용맹함, 농업 기술 등을 언급했다.

19세기 말, 오로모족 부족과 왕국은 메넬리크 2세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1870년대부터 셰와 왕국은 현대 무기와 오로모 집단 간의 불화를 이용하여 오로모족 영토를 합병했다. 저항이 있었던 지역에서는 셰와인들이 지역 주민들을 농노로 삼았고, 평화롭게 항복한 지역에서는 자치가 허용되었다. 하일레 셀라시에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오로모족은 자치권을 잃었고, 중앙 집중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오로모족의 정치적 소외, 경제적 착취, 문화적 지배에 대한 불만은 1963년 메차 툴라마 자조 협회의 부상으로 이어졌다. 이 협회는 곧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지만, 오로모족의 의식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65]

1995년, 에티오피아의 주가 민족별로 개편되면서 오로모족에게는 오로미아 주가 할당되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마라톤 은메달리스트인 오로모족 출신의 Feyisa Lilesa영어는 결승점에서 정부의 민족 탄압에 항의하는 포즈를 취했다.[160][161]

2017년에는 소말리 주에 거주하는 소말리아인과의 충돌로 1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164]

2. 1. 기원 및 명칭

역사언어학 및 비교 민족학 연구에 따르면, 오로모족은 체와 바히르 호와 차모 호 주변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28][39] 이들은 쿠시계 민족에 속하며, 16세기 이전에는 현재의 케냐 북부와 에티오피아 남부 지역에 주로 거주했다.[29]

오로모족은 오랫동안 이 지역에 살았지만, 이곳에 살았던 민족들의 혼합 상태는 불분명하다.[32] 허버트 S. 루이스에 따르면,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 모두 에티오피아 남부에서 기원했지만, 소말리아족은 오로모족보다 훨씬 이전에 동쪽과 북쪽으로 확장했고, 오로모족은 약 1530년경 오로모 확장이 시작될 때까지 에티오피아 남부와 케냐 북부에만 거주했다.[39] 역사적 증거는 오로모족이 15세기 이전 또는 15세기에 이미 남부 고지대에 정착했으며, 적어도 일부 오로모족은 다른 에티오피아 민족 집단과 상호 작용했다는 것을 시사한다.[45]

과거 식민지 시대 문서에서는 오로모족을 '갈라'라고 언급했다.[36] 이 용어는 현재 경멸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지만, 이러한 문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민족 집단의 구성원이 작성했다.[37][38][39] '갈라'라는 용어는 아비시니아인, 아랍인, 그리고 닐로트족이 오로모족을 부르는 데 사용되었다.[40] 이 용어의 원래 의미는 상당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오로모라는 단어는 Ilm Ormaom에서 유래했으며, 'Orma의 아이들' 또는 '인간의 아들들'을 의미한다.[48] 휴 칠섬이 제시한 또 다른 해석에 따르면, 'Ilm Orma'는 "낯선 사람의 아들"로 번역된다.[49][50]

2. 2. 오로모 확장

16세기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의 여파로 오로모족은 북쪽으로 이동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대 오로모 이주"가 발생했으며, 보라나(Boorana)와 바렌토(Barento)라는 두 개의 주요 연합으로 나뉘어 이동했다.[56] 바렌토는 동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의 아르시, 발레, 하라르게, 워로 지역에 정착했고,[56] 보라나는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셰와, 일루바보르, 웰레가 지역에 정착했다.[56][57][58]

이러한 확장은 아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의 에티오피아 제국 정복 시도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오로모족이 상대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정치적·군사적 공백을 만들었다.[59]

2. 3. 에티오피아 제국과의 관계

16세기 초와 17세기에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 제국에 점차 통합되었다. 수세뇨스 1세 황제는 오로모족의 지원으로 권력을 잡았으며, 그들을 기독교 국가의 정치 체제에 통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오로모족 사이에서 자란 그는 그들의 언어에 능통했고 그들의 삶의 방식을 존경했다. 그는 오로모족 전사들과 군사 전술, 전투 편대를 사용하여 왕위를 놓고 경쟁하는 라이벌들과 맞섰다. 권력을 잡은 후 그는 고위직을 오로모족 지지자들로 채웠고 고자잠과 베겜데르 전역에 여러 오로모족 집단을 정착시켰다. 수세뇨스의 후계자들 치하에서 많은 오로모족은 제국에서 중요한 지위에 올랐으며, 심지어 반 오로모 황제인 이요아스 1세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의 공식 언어를 암하라어에서 오로모어로 변경하기도 했다.[60] 예주 오로모 왕조는 제메네 메사핀트 기간(1784년~1853년) 동안 에티오피아 제국의 사실상 통치자가 되었으며, 특히 베겜데르와 고자잠 지방을 장악했다. 에티오피아 북부 고원에서 일어난 또 다른 오로모족 왕조는 이슬람교도인 와라 히마노(1580~1916)였는데, 이들은 워로를 기독교 에티오피아 중심부에 있는 진정한 이슬람 국가로 변모시켰다. 와라 히마노는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암하라 기독교인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켰고, 전성기에는 암바셀, 칼루, 보레나, 워레-일루, 암하라 사인트 등 워로의 여러 지역에서 패권을 인정받았다. 워로의 라스 미카엘과 에티오피아의 즉위하지 않은 황제인 리지 이야수(1913~1916)와 같은 주목할 만한 통치자들은 이 지배 가문의 후손이다.[62]

19세기 말엽 오로모족 부족과 왕국은 셰와메넬리크 2세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1870년대부터 셰와 왕국은 국제 무기 거래로부터 획득한 현대 무기와 다양한 오로모 집단 간의 불화 덕분에 전례 없는 속도로 오로모족 영토를 합병하기 시작했다. 아르시와 같이 셰와인들이 저항에 직면한 지역에서는 정복 장군들이 주지사로 임명되었고, 암하라 군인이나 네프테냐(neftenya)는 카타마스(katamas)로 알려진 군사 주둔지에 지역을 정착시켰는데, 이후 셰와 통치를 위한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이들은 지역 주민들의 땅에서 생활했고, 지역 주민들은 곧 셰와 귀족들의 농노가 되었다. 지마 왕국과 같이 오로모족이 평화롭게 항복한 지역에서는 토착 통치자들이 왕관에 대한 조공을 바치도록 했지만, 중앙 정부의 최소한의 간섭으로 자치를 허용했다. 하일레 셀라시에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오로모족은 메넬리크가 부여한 자치권을 잃었고, 하일레 셀라시에는 많은 오로모족 국가의 반자치 지위를 폐지하고 중앙 집중화 기간을 시작했다. 유목민들은 기계화된 농업을 위해 쫓겨났고, 교육받은 소수의 오로모족 계급은 권력 있는 지위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동화되거나 암하라화된 오로모족 유력자들에 의해 차지되었다. 오로모족 지역이 에티오피아 경제에 크게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일레 셀라시에 통치 기간 동안 오로모족 지역은 현대화 프로젝트에서 제외되었다.[65]

2. 4. 현대사

1963년, 오로모족의 권익 증진을 위해 메차 툴라마 자조 협회가 설립되었으나,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다.[65] 이 협회는 오로모족의 문화적, 역사적 기여의 중요성과 에티오피아 내에서의 지위에 대한 오로모족의 의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65]

이후 오로모 해방전선(OLF) 등 여러 정치 조직이 결성되어 오로모족의 자치와 독립을 위한 투쟁을 전개했다. 1995년, 에티오피아의 주가 민족별로 개편되면서 오로모족에게는 오로미아 주가 할당되었다.

2018년, 아비 아흐메드가 오로모족 출신으로는 최초로 총리에 선출되었다.[159]

2020년, 유명 가수 하찰루 훈데사의 암살 이후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3. 인구 및 분포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인구의 35.8%),[13] 약 4천만 명에 달한다.[13] 이들은 주로 에티오피아 중부의 오로미아 주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곳은 인구와 면적 모두에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주이다. 오로모족은 아프리카 전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진 민족 집단이며, 특히 호른 지역에서는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민족 집단이다.[70]

오로모족은 케냐 북부의 마르사비트주, 이시오로주, 타나강주에도 상당수 거주하며, 총 약 656,636명이다. 에티오피아의 옛 월로 주와 티그라이 주에도 오로모족이 거주하고 있다.[71]

오로모족은 두 개의 주요 분파로 나뉜다.[72][73]


  • 보라나 오로모족(Borana Oromo): 남부 오로미아와 북부 케냐에 거주하는 반유목민 부족이다.[72][74]
  • 바렌투 오로모족(Barentu Oromo): 오로미아 주 동부에 거주하며, 티그라이 주의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케냐 북부 오로모족 인구 구성 (총 656,636명)[71]
부족명인구
보라나족276,236명
가브라족141,200명
오르마족158,000명
사쿠예족45,200명
와타족20,000명
무뇨야야족16,000명


4. 언어

오로모어는 ''쿠베(Qubee)''로 알려진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 사팔로 문자는 1950년대 오로모 학자 셰이크 바크리 사팔로(Bakri Sapalo)(출생 이름: 아부바커 우스만 오다)에 의해 고안되었다.[75] 오로모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76] 오로미아주[77], 하라리주, 디레다와 주, 아마라주 오로미아 지구를 포함한 에티오피아 연방 시스템 내 여러 주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오로미아주, 하라리주, 디레다와 주, 베니샹굴-구무즈주(Benishangul-Gumuz), 아마라주 오로미아 지구에서는 초등 교육의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티그리냐어와 함께 연방 정부 웹사이트의 인터넷 언어로도 사용된다.[78][79]

에티오피아 인구의 35% 이상이 오로모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이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요 언어가 되게 한다.[77][80] 또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쿠시어파(Cushitic language)이며, 아랍어(Arabic), 하우사어, 스와힐리어에 이어 아프리카에서 네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아프리카 언어(language of Africa)이다.[81] 오로모어는 에티오피아에서 4천만 명이 넘는 오로모인들이 모어로 사용하며, 케냐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도 50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82]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 리비아(Libya), 이집트(Egypt), 수단(Sudan)과 같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이민자들 사이에서도 소수가 사용한다.

모어 사용자 외에도 오로모어와 접촉하는 다른 민족 구성원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서부의 오모틱어파를 사용하는 밤바시어[83] 사용자와 닐로사하라어파를 사용하는 콰마어[84] 사용자들이 제2언어로 사용한다.

오로모족은 기본적으로 반농반목의 민족이지만, 16세기 확산 이후 각 지역에서의 분화가 진행되어 각 지역에서 다른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언어의 분화도 진행되어 각 지역에 방언이 생겨났다.

오로모어는 원래 문자가 없었고, 교육도 암하라어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재도 오로모어로 된 출판물은 적다.

5. 종교

오로모족은 전통적으로 와아케프나(Waaqeffanna)라는 고유의 종교를 믿었으나, 역사적으로 이슬람교와 기독교(에티오피아 정교회, 개신교)로 개종하는 경우가 많았다.[28][27][34][35] 16세기 와아케프나를 따르는 오로모족, 기독교도, 무슬림 세 세력 간의 전쟁은 모두의 정치적 힘을 약화시켰고, 이 과정에서 오로모인들의 종교적 신앙은 변화를 겪었다.[34] 19세기와 20세기 전반에는 수단 내륙 선교회 등 여러 선교 단체의 노력으로 기독교가 확산되었다.[85]

아르시 오로모(Arsi Oromo)인이 이레차(Irreechaa) 축제에 참석하는 모습


19세기 중후반 에티오피아 황제들은 에티오피아 정교회 내부 분열과 이웃 무슬림 국가 및 유럽 열강의 간섭에 직면하여, 다른 종교에 대해 불관용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월로 오로모족(Wollo Oromo people), 아르시 오로모(Arsi Oromo), 툴라마 오로모(Tulama Oromo) 등은 19세기에 에티오피아의 확장과 정교회 기독교 전파에 격렬하게 저항한 집단들인데, 이들 대다수는 기독교인이 아니라 무슬림이었다.[86][87]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오로미아 지역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88]

종교인구비율
기독교13,107,963명약 40~45%
에티오피아 정교회8,204,908명30.4%
개신교4,780,917명17.7%
가톨릭122,138명(기독교 내 비율)
이슬람12,835,410명45~50%
전통 종교887,773명3.3%
기타 종교162,787명(비율)



2016년 제임스 미나한(James Minahan)의 추정에 따르면, 오로모족의 약 절반은 수니파 무슬림이고, 3분의 1은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이며, 나머지는 대부분 개신교이거나 전통적인 종교적 신앙을 따른다.[89] 전통 종교는 남부 오로모 인구에서, 기독교는 도시 중심부와 그 근처에서, 이슬람은 소말리아 국경 근처와 북부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71]

6. 문화

오로모족은 가다라는 독특한 전통 사회 정치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연령 계층에 기반한 평등주의적 사회 조직으로, 8년 주기로 운영되었으며 선출된 지도자는 8년 동안만 권력을 유지했다.[96][24][25][26][51][52]

오로모족은 태음태양력을 사용했는데, 이는 중국, 힌두교, 마야의 달력과 유사하며 정교하다.[98] 이 달력은 가다 시스템의 선거와 권력 이양 일정을 잡는 데 사용되었다.[98]

오로모 사회는 4계층 구조였다.[107] 최상위 계층은 보라나(Boranaom) 귀족, 그 아래는 가바로(Gabbaroom)였다. 이들 아래에는 천대받는 장인 계층이 있었고, 최하위 계층에는 노예들이 있었다.[107] 짐마 왕국과 같은 이슬람 왕국에서는 장인 직업이 주로 혼인을 통해 계승되었다.[112][111][108][109] 19세기에는 오로모 노예가 홍해 노예 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다.[115][116]

6. 1. 가다(Gadaa) 시스템

오로모족은 16세기 이전부터 가다(Gadaa) 시스템에 따라 자치를 해왔다.[95] 이들은 전통적으로 계보적 유대감을 가진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사회였다.[96] 오로모 씨족에서 태어난 남자는 8년 주기의 다섯 단계를 거쳤으며, 이를 통해 가다 직책에 대한 역할과 지위를 확립했다.[96] 8년마다 오로모족은 합의를 통해 가다 직책을 위한 9명의 지도자를 선출했다.[51][52] 가다 시스템에 의해 선출된 지도자는 8년 동안만 권력을 유지하며, 8년이 끝나면 선거가 다시 실시된다.[24][25][26]

Gadaa 깃발


가다에는 세 가지 통치 기구가 있다. 가다 평의회, 가다 총회(gumi gayo|구미 가요om), 그리고 칼루(Qallu) 평의회이다. 가다 평의회는 가다 계급 구성원들의 집단적 성취로 여겨지며, 이레차(Irreecha)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다 총회는 가다 정부의 입법 기관이며, 칼루 평의회는 종교 기관이다.[97]

6. 2. 달력

오로모족은 태음태양력을 개발했다. 지리적, 종교적으로 서로 다른 오로모 공동체들이 같은 달력을 사용한다. 이 달력은 정교하며 중국, 힌두교, 마야에서 발견되는 달력과 유사하다. 이 달력은 오로모족의 전통 종교와 관련이 있으며, 가다(Gadaa) 시스템의 선거와 권력 이양 일정을 잡는 데 사용되었다.[98]

이전 5000m 세계 기록 보유자 티루네시 디바바(에티오피아)가 런던 마라톤을 달리고 있다.


보라나 오로모 달력 체계는 한때 기원전 300년경 나모라퉁가에서 발견된 초기 쿠시트 달력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여겨졌다. 천문학자이자 고고학자인 클라이브 러글스는 나모라퉁가 유적지를 재검토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99] 이 달력에 따르면 오로모족의 새해는 10월에 해당한다.[100] 이 달력에는 주가 없지만 매달의 각 날에 대한 이름이 있다. 이것은 태음성력 체계이다.[101][102]

6. 3. 사회 계층

오로모족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과 동아프리카의 다른 민족 집단과 마찬가지로 4계층의 사회 구조를 발전시켰다.[107] 최상위 계층은 Boranaom라고 불리는 귀족이었고, 그 아래에는 Gabbaroom(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부 에티오피아 문서에서는 dhalattaom로 언급됨)가 있었다. 이 두 상위 계층 아래에는 천대받는 장인 계층이 있었고, 최하위 계층에는 노예들이 있었다.[107]

짐마 왕국과 같은 이슬람 왕국에서는 오로모 사회의 계층 구조가 주로 혼인을 통해 계승되는 장인 직업으로 구성되었다.[112][111][108][109] 각 계층 집단은 제철, 목공, 무기 제작, 도자기 제작, 직조, 가죽 제작, 사냥과 같은 특정 직업을 전문으로 했다.[110][111]

오로모 사회의 각 계층은 지정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계층명설명
Tumtuom대장장이
Fugaom도예가
Faqiom무두장이와 가죽 세공인
Semmanoom직조공
Gagurtuom양봉가이자 꿀 제조업자
Wattaom사냥꾼이자 채집가

[112][113][114]

노예는 사회 내의 한 계층이었지만, 계층에 관계없이 많은 오로모인들이 다른 곳으로 팔려갔다. 19세기가 되자 오로모 노예는 인기가 많았고, 에티오피아-수단 국경의 곤다르와 갈라바트 노예 시장뿐만 아니라 홍해의 마사와와 타주라 시장에서 팔리는 노예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다.[115][116] 예멘 해안의 알후다이다에도 대규모 노예 시장이 있었다.[117]

7. 생활 양식

오로모 지역의 오로모 마을 사람들


오로모족은 전통적으로 반농반목 생활을 해왔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생계 방식을 발전시켰다. 남부 오로모족(특히 보라나 오로모족)은 주로 염소와 소를 기르는 유목 생활을 한다. 다른 지역의 오로모족은 농업, 도시 생활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한다. 오로모족은 커피 재배와 관련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커피는 오로모족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이다. 일부 오로모족은 커피콩과 같은 많은 상품과 식료품을 지역 시장에서 판매하기도 한다.[118]

16세기 이후 오로모족은 각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분화가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언어의 분화도 진행되어 각 지역에 방언이 생겨났다. 오로모어는 원래 문자가 없었고, 암하라어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재도 오로모어로 된 출판물은 적다.

오로모족의 묘소는 돌을 쌓아 올린 무덤 형태이다. 무덤 자체가 제사의 장소가 되거나 기념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유력자의 묘소에는 인형이 새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 합장되는 경우가 많고, 묘비명도 새겨지지 않는다.[165]

8. 현대의 쟁점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지만, 인권 문제, 정치적 대표성 문제, 다른 민족과의 갈등 등 여러 쟁점을 안고 있다.

오로모족은 역사적으로 에티오피아 중앙 정부로부터 차별과 억압을 받아왔으며, 인권 단체들은 정부의 인권 침해 사례를 지속적으로 보고하고 있다.[119] 2016년에는 에티오피아 정부가 오로모족과 암하라족의 시위에 대응하여 계엄령을 선포하기도 했다.

정치적으로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정치 권력에서 소외되어 왔다는 불만을 가지고 있다.[159] 오로모 해방전선(OLF) 등 여러 민족 기반 정치 조직이 결성되어 오로모족의 정치적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일부는 무력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오로모 국가 건설을 추구하기도 한다.[135][136] 2018년에는 오로모족 출신인 아비 아흐메드가 총리로 선출되면서 정치적 대표성 확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159]

오로모 해방전선(OLF)과 오로모 해방군(OLA)의 깃발.


오로모족은 소말리아인 등 다른 민족 집단과의 갈등을 겪어왔으며, 이는 대규모 난민 발생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23][124][164] 특히, 오로미아 주와 소말리 주 경계 지역에서 빈번하게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164] 2017년 오로모-소말리 충돌로 최대 4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123] 2018년에는 게데오-오로모 충돌과 오로미아-소말리아 국경 지역의 지속적인 폭력으로 140만 명의 새로운 이재민이 발생했다.[124]

8. 1. 인권 문제

오로모족은 역사적으로 에티오피아 중앙 정부로부터 차별과 억압을 받아왔다. 인권 단체들은 에티오피아 정부의 오로모족에 대한 인권 침해 사례를 지속적으로 보고하고 있다.[119] 2009년 12월, 인권옹호자들에 의해 작성된 보고서에는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시대의 에티오피아 제국, 마르크스주의적 데르그 정권,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 구성원들이 주도한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 정권 하에서 에티오피아 오로모족에 대한 인권 침해 사례가 기록되었다.[119]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실에 따르면, 오로미아 지원 그룹(OSG)은 2005년부터 2008년 8월까지 에티오피아 정부 보안군에 의한 오로모족 594명의 사법 외 살해와 43명의 구금 중 실종 사례를 기록했다.[120]

2015년 11월부터 주로 오로모족이 아디스아바바 시의 행정 구역 경계가 오로미아 주로 확장되는 것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면서 인권 옹호자들과 독립 감시 기구에 따르면 500명 이상이 사망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121][122] 이후 시위는 다른 민족 집단으로 확산되어 더 광범위한 사회적 불만을 포함하게 되었다. 에티오피아는 2016년 10월 오로모족과 암하라족의 시위에 대응하여 계엄령을 선포했다.

정치적 불안이 고조됨에 따라 오로모족이 연루된 민족 간 폭력이 발생했는데, 예를 들어 오로모족과 소말리아인 간의 오로모-소말리 충돌로 2017년 최대 4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123] 국가 남부의 오로모족과 게데오족 간의 게데오-오로모 충돌과 오로미아-소말리아 국경 지역의 지속적인 폭력으로 인해 에티오피아는 2018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집을 떠나는 국가가 되었으며, 140만 명의 새로운 이재민이 발생했다.[124]

2018년 9월, 아디스아바바 근처 오로미아에서 발생한 소규모 시위에서 아디스아바바 사리스 아보 지역에서 43명의 오로모족이 사망한 후 23명이 사망했다.[125]

2020년 6월 29일 음악가 하찰루 훈데사가 암살된 후 에티오피아 전역, 특히 오로미아 지역에서 시위가 발생하여 최소 200명이 사망했다.[127] 2020년 6월 30일, 오로모족 시위대에 의해 런던에 있는 전 에티오피아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동상이 파괴되었다.[128] 이는 인기 가수 하찰루 훈데사의 살해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정권 하에서 오로모어가 교육에서 금지되고 행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것에 대한 오로모족의 불만에 대한 반응이었다.[129][130][131]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마라톤 은메달리스트이자 에티오피아 대표인 오로모족 출신의 Feyisa Lilesa|페이사 릴레사영어는 결승점에 들어오면서 정부의 민족 탄압에 항의하는 포즈를 취했다.[160][161]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 남자 1500m T13(시각 장애) 은메달리스트인 에티오피아 대표 타밀 데미세도 릴레사와 마찬가지로 항의 포즈를 취했다.[162][163]

2017년에는 주로 소말리 주에 거주하는 소말리아인과의 사이에 산발적인 충돌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9월에는 주 경계 부근을 중심으로 100명 단위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규모로 확대되었다. 이 충돌로 양측에서 1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164]

8. 2. 정치적 대표성

오로모족은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지만, 역사적으로 정치 권력에서 소외되어 왔다는 불만을 가지고 있다.[159] 19세기와 20세기 에티오피아의 주요 정치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로모족은 중앙 집권주의, 연방주의, 분리주의 세력 모두에서 소외감을 느껴왔다.

1963년 1월, 오로모족의 권익 증진을 위한 최초의 조직인 메차 툴라마 자조 협회가 설립되었으나, 1966년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다.[134] 이후 오로모 해방전선(OLF), 오로모 연방 민주 운동(OFDM) 등 여러 민족 기반 정치 조직이 결성되어 오로모족의 정치적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러한 단체들 중 일부는 무력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오로모 국가 건설을 추구하기도 한다.[135][136] 반면, 집권 여당인 오로모 인민 민주 조직(OPDO)과 에티오피아 의회의 여러 야당은 민족 연방주의를 지지한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대부분의 오로모 야당은 국가 내 경제적, 정치적 불평등을 비난한다.[137][138]

2018년, 오로모족 출신인 아비 아흐메드가 총리로 선출되면서 오로모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159]

8. 3. 민족 간 갈등

오로모족은 소말리아인 등 다른 민족 집단과의 갈등을 겪어왔으며, 이는 대규모 난민 발생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23][124][164] 특히, 오로미아 주와 소말리 주 경계 지역에서 빈번하게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164]

2017년에는 주로 소말리 주에 거주하는 소말리아인과의 사이에 산발적인 충돌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9월에는 주 경계 부근을 중심으로 100명 단위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규모로 확대되었다. 이 충돌로 양측에서 10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164]

정치적 불안이 고조됨에 따라 오로모족이 연루된 민족 간 폭력이 발생했는데, 예를 들어 오로모족과 소말리아계 민족 간의 오로모-소말리 충돌로 2017년 최대 4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123] 국가 남부의 오로모족과 게데오족 간의 게데오-오로모 충돌과 오로미아-소말리아 국경 지역의 지속적인 폭력으로 인해 에티오피아는 2018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집을 떠나는 국가가 되었으며, 140만 명의 새로운 이재민이 발생했다.[124]

참조

[1] 웹아카이브 Census 2007 http://www.csa.gov.e[...] 2012-02-14
[2] 웹사이트 2019 Keny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Volume IV: 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ttps://www.knbs.or.[...] 2024-07-21
[3] 웹사이트 Oromo, West Central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09-27
[4] 웹사이트 Refworld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Somalia https://www.refworld[...]
[5] 웹사이트 Oromo Community of Minnesota | CareerForce https://www.careerfo[...]
[6] 웹아카이브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21,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Cultural diversity data summary, 2021 https://www.abs.gov.[...] 2022-11-10
[7]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 Ethnic or Cultural Background – Canada – provinces & territories https://www150.statc[...] 2024-07-25
[8] 웹사이트 Ethiopia and the Oromo People: Is i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Ethiopian is an ethnic Oromo by the individual's last name? What religion or religions are practiced by ethnic Oromos in Ethiopia https://www.refworld[...] United States Bureau of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1998-04-28
[9] 서적 Institutional Change in the Horn of Africa: The Allocation of Property Right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Universal-Publishers
[10]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http://ihi.eprints.o[...] 2017-12-07
[1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12]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23-10-25
[13] 웹사이트 Ethiop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12-24
[14] 웹사이트 Table 2.2 Percentage Distribution of Major Ethnic Groups: 2007 http://www.csa.go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23-07-15
[15] 웹사이트 Ethiopia https://www.cia.gov/[...] 2023-10-16
[16] 서적 The Oromo and the Christian Kingdom of Ethiopia, 1300-1700 http://worldcat.org/[...] Boydell & Brewer, Limited 2017-05-19
[17]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18] 서적 Being and Becoming Oromo: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Enquiries http://urn.kb.se/res[...] Nordic Africa Institute
[19] 서적 The Galla of Ethiopia; the Kingdoms of Kafa and Janjero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20] 서적 The State in the Zamana Masafent (1786-1853)
[2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Yajju Dynasty (1784–1980)
[22] 웹사이트 Gada system, an indigenous democratic socio-political system of the Oromo https://ich.unesco.o[...] 2018-05-30
[23]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Slaves and Slavery in Africa: Volume Two: The Servile E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5] 서적 Slaves and Slavery in Africa: Volume Two: The Servile E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an African Society in Transformation: the Case of Macca Oromo (Ethiopi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9] 서적 Africa: Its Problems and Prospects; a Bibliographic Survey https://books.google[...]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1967
[30] 논문 Wars in the Horn of Africa and the dismantling of the Somali State https://cea.revues.o[...] University of Lisbon 2016-11-07
[31] 논문 Frankfurter afrikanistische Blätter https://books.google[...] 2017-07-24
[32] 서적 Being and Becoming Oromo: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Enquiries http://urn.kb.se/res[...] Nordic Africa Institute
[33] 서적 Being and Becoming Oromo: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Enquiries http://urn.kb.se/res[...] Nordic Africa Institute
[34]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35]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an African Society in Transformation: the Case of Macca Oromo (Ethiopi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36] 웹사이트 ETHIOPIA LESSONS IN REPRESSION: VIOLATIONS OF ACADEMIC FREEDOM IN ETHIOPIA https://www.hrw.org/[...]
[37]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an African Society in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5-05-21
[38] 서적 Peoples of South-west Ethiopia and its Borderland Routledge 1956
[39]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Galla and Somali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간행물 The Origins of the Galla and Somali Tribes https://archive.org/[...] 1924-09
[41] 서적 On the Origin of the Gallas https://books.google[...] John E. Taylor 1848
[42] 서적 A History of the Abyssinian Expedi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1869
[43] 서적 An Ancient People in the State of Menelik The Oromo (said to be of Gallic Origin) Great African Nation https://books.google[...] Ayalew Kanno 2005
[44] 서적 Ethiopia: The land, its people, history and culture New Africa Press 2013
[45] 서적 The Oromo and the Christian Kingdom of Ethiopia: 1300–1700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Original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Ethnographic Survey of Africa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1969
[47] 서적 Ethiopian Philosophy: The treatise of Zärʼa Yaʻe̳quo and Wäldä Ḥe̳ywåt https://books.google[...] Addis Ababa University 1976
[48] 서적 The Oromo and the Christian Kingdom of Ethiopia: 1300-1700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49] 백과사전 Gallas
[50] 웹사이트 Oromo http://www.merriam-w[...]
[51] 학술지 Sustaining generations of Indigenous voices: Reclaiming language and integrating multimedia technology https://www.research[...]
[52]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an African Society in Transformation: the Case of Macca Oromo (Ethiopi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53] 웹사이트 The Gadaa System and Some of Its Institutions among the Booranaa: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www.ajol.inf[...]
[54]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55] 서적 The Oromo and the Christian Kingdom of Ethiopia: 1300–1700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56]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57]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논문 Chapter 7 Political Development in the Pre-colonial Horn of Africa http://dare.uva.nl/d[...]
[59]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60]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Volume 4 Harrassowitz Verlag
[61] 서적 The Portuguese Expedition to Abyssinia in 1541-1543 as Narrated by Castanhoso https://books.google[...] Hakluyt Society
[62] 논문 https://etd.uwc.ac.z[...] 2022-03
[63] 서적 Aṣma Giyorgis and His Work: History of the Gāllā and the Kingdom of Šawā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Wiesbaden GmbH 1987
[64] 서적 Identities on the Move: Clanship and Pastoralism in Northern Kenya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9
[65]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Volume 4 Harrassowitz Verlag
[66] 간행물 Notice biographique sur Charles Xavier Rochet d’Héricourt 1863-11-01
[67] 웹사이트 Rochet d’Héricourt, Charles-Xavier https://en.sewasew.c[...] 2021-08-16
[68] 서적 Voyage sur la côte orientale de la mer rouge, dans le pays d’adel et le royaume de choa A. Bertrand 1841
[69] 웹사이트 Oromia Regional State http://www.ethiopia.[...] 2019-06-05
[70] 서적 Civil Militia Routledge
[71] 웹사이트 Oromo people https://www.britanni[...] 2016-11-18
[72] 웹사이트 Oromo, Borana-Arsi-Guji http://www.ethnologu[...] 2009-01-16
[73] 논문 The Eagle as Messenger, Pilgrim and Voice: Divinatory Processes among the Waso Boorana of Kenya Journal of Religion in Africa, Vol. 26, Fasc. 1 (Feb. 1996), pp. 56–72
[74]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5] 논문 The Oromo Orthography of Shaykh Bakri Saṗalō
[76] 뉴스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ww.africane[...] 2021-01-25
[7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1-10-19
[78] 웹사이트 Home http://www.mcit.gov.[...] Ministry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2021-01-25
[79] 웹사이트 ቤት | FMOH http://www.moh.gov.e[...] 2021-01-25
[80] 웹사이트 Language data for Ethiopia https://translatorsw[...]
[81] 웹사이트 Children's books breathe new life into Oromo language https://www.bbc.co.u[...]
[82] 웹사이트 Ethnologue Ethiopia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1-07-14
[83] 웹사이트 Ethnologue myf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1-07-14
[84] 웹사이트 Ethnologe kmq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1-07-14
[8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86] 서적 Islam in Nineteenth-Century Wallo, Ethiopia https://brill.com/vi[...] Brill 2000-10-25
[87] 서적 Conquest and Resistance in the Ethiopian Empire, 1880 – 1974: The Case of the Arsi Oromo
[88] 간행물 Census http://www.csa.gov.e[...] Ethiopia
[89] 서적 Encyclopedia of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90] 서적 The world of caffeine : the science and culture of the world's most popular drug https://archive.org/[...] 2001
[91] 간행물 Ethiopia: Special Cuisines As a Symbol of Oromo Lifestyle https://allafrica.co[...] 2020-09-15
[92] 웹사이트 TYPES OF OROMO FOODS / RECIPES https://oromiaculina[...] 2024
[93] 웹사이트 UNPO: Oromo: Farmer from Ethiopia Mmay be the Oldest Living Person in the World https://unpo.org/art[...] 2009-11-02
[94] 웹사이트 Let Us Talk About Food: Oromo vs. Ethiopian https://www.opride.c[...] 2009-06-07
[95] 웹사이트 Gada system, an indigenous democratic socio-political system of the Oromo https://ich.unesco.o[...]
[96]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an African Society in Transformation: the Case of Macca Oromo (Ethiopi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97] 웹사이트 Chapter 7: The Gadaa Council (Adula) https://www.addisher[...] 2019-10-14
[98] 서적 In the Shadow of Conquest: Islam in Colonial Northeast Africa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99] 서적 Ancient Astronomy: An Encyclopedia of Cosmologies and Myth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
[100] 서적 The Public Face of African New Religious Movements in Diaspor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1] 서적 Ancient Astronomy: An Encyclopedia of Cosmologies and Myth https://books.google[...] ABC-CLIO
[102] 논문 The Borana Calendar Reinterpreted
[103] 서적 Being and Becoming Oromo: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Enquiries http://urn.kb.se/res[...] Nordic Africa Institute
[104] 서적 Localising Salafism: Religious Change Among Oromo Muslims in Bale, Ethiopi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05] 서적 Localising Salafism: Religious Change Among Oromo Muslims in Bale, Ethiopi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06] 서적 Imagined Differences: Hatred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07] 학술지 Review: ''Oromo Religion. Myths and Rites of the Western Oromo of Ethiopia'' by Lambert Bartels
[108] 학술지 The Process of Caste Formation in Ethiopia: A Study of the Beta Israel (Felasha), 1270–1868 Boston University African Studies Center
[109] 학술지 Pouvoir de bénir et de maudire : cosmologie et organisation sociale des Oromo-Arsi https://www.persee.f[...] 1997-04-10
[110] 간행물 Oromo Peoplehood: Historical and Cultural Overview http://trace.tenness[...]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111] 서적 Hierarchie und Kaste : zur Geschichte und politischen Struktur der Dizi in Südwest-Äthiopien Steiner
[112] 서적 Jimma Abba Jifar, an Oromo Monarchy: Ethiopia, 1830–1932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113]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4] 서적 The Folk-Literature of the Oromo of Southern Abyssinia Istituto Orientale di Napoli, Harva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The Economics of the Indian Ocean Slave Trade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6] 서적 Islam's Black Slaves: The Other Black Diaspor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17] 서적 Ten Years in Abyssinia and Sixteen Years in Syria being the Autobiography of Theophilus Waldmeier https://archive.org/[...]
[118] 서적 Human: The Definitive Visual Guide Dorling Kindersley
[119]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Ethiopia: Through the Eyes of the Oromo Diaspora http://www.theadvoca[...] 2017-08-26
[120] 웹사이트 Human rights abuses under EPRDF http://lib.ohchr.org[...] 2017-08-26
[121] 뉴스 Ethiopian forces 'kill 140 Oromo protesters' https://www.bbc.com/[...] 2015-01-08
[122] 뉴스 Unrest in Ethiopia: Grumbling and rumbling: Months of protests are rattling a fragile federation https://www.economis[...] 2016-03-26
[123] 뉴스 Ethnic violence displaces hundreds of thousands of Ethiopians http://www.irinnews.[...] irinnews.com 2017-11-08
[124] 뉴스 Ethiopia tops global list of highest internal displacement in 2018 https://reliefweb.in[...] Relief Web
[125] 뉴스 At least 23 die in weekend of Ethiopia ethnic violence http://www.dailystar[...] 2018-09-17
[126] 뉴스 Thousands Are Arrested in Ethiopia After Ethnic Violence https://www.nytimes.[...] 2018-09-24
[127] 뉴스 Ethiopia arrests suspects over Haacaaluu Hundeessaa killing https://www.aljazeer[...] 2020-07-10
[128] 웹사이트 Haile Selassie statue destroyed in London park https://www.bbc.co.u[...] 2020-07-02
[129] 뉴스 Oromo children's books keep once-banned Ethiopian language alive https://www.theguard[...] 2016-02-13
[130] 웹사이트 Language & Culture https://nalrc.indian[...]
[131] 웹사이트 Ethiopians: Amhara and Oromo https://iimn.org/pub[...] 2017-01
[132] 웹사이트 Migrations profoundly affected the Oromo unity http://lcweb2.loc.go[...] Lcweb2.loc.gov
[133] 웹사이트 Raya Oromos inside the Weyane revolt of Tigray http://hrw.org/repor[...]
[134] 서적 A History of Modern Ethiopia: 1855–1991 James Currey
[135] 웹사이트 Ethiopia talks with Oromo rebel group end without deal for a third time https://www.aljazeer[...] 2023-11-22
[136] 웹사이트 Latest peace talks between Ethiopia's government and Oromo militants break up without an agreement https://apnews.com/a[...] 2023-11-21
[137] 웹사이트 The Trouble With Ethiopia's Ethnic Federalism https://www.nytimes.[...] 2019-01-03
[138] 학술지 The Four Faces of Ethiopian Federalism https://ssrn.com/abs[...] 2023-03-17
[139] 웹사이트 Oromo nationalism should cross the river of resentment https://www.ethiopia[...] 2022-08-24
[140] 웹사이트 Ethiopia's Oromia conflict: 'People are dying on a daily basis' https://www.thenewhu[...] 2023-01-12
[141] 웹사이트 Awash bank in lawsuit over unpaid bills https://www.ethiopia[...] 2018-03-02
[142] 웹사이트 Ethiopia's Awash International Bank : Growth amid challenges – Shiferaw https://www.theafric[...] 2013-10-14
[143] 웹사이트 Oromia Bank rebrands with excellence in mind https://www.capitale[...] 2021-12-06
[144] 서적 Africa: a market profile Praeger 1965
[145] 서적
[146] 서적 World Radio and Television Handbook Radio Data Centre GmbH
[147] 웹사이트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 Can Ethiopia's new PM deliver? https://www.opride.c[...]
[148] 웹사이트 Govt. continues rejecting license for Jimma Times Afaan Oromoo newspaper http://www.ethioguar[...] Ethioguardian.com 2008-05-09
[149] 웹사이트 Ethiopia's "government" attacks Macha-Tulama, Jimma Times media & Oromo opposition party http://nazret.com/bl[...] Nazret.com
[150] 웹사이트 CJFE award nominee http://www.cjfe.org/[...]
[151] 웹사이트 Ethiopia's Largest Ethnicity Group Deprived of Linguistic and Cultural Sensitive Media Outlets http://www.rap21.org[...] Rap21.org
[152] 웹사이트 OFDM Press Release: The Massacre of May, 2008 http://www.jimmatime[...] Jimmatimes.com
[153] 웹사이트 Ethiopia: 'Because I am Oromo': Sweeping repression in the Oromia region of Ethiopia https://www.amnesty.[...] 2014-10-28
[154] 뉴스 Ethiopia mourns 55 killed during protest at Oromia festival https://www.bbc.com/[...] 2016-10-03
[155] 웹사이트 Investors shy away from Ethiopia in the wake of violent protests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156] 웹사이트 Security Force Response to the 2016 Irreecha Cultural Festival https://www.hrw.org/[...] 2017-09-19
[157]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Ethnic Affiliation http://www.knbs.or.k[...] Keny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158] 웹사이트 Canada – Ethnocultural Portrait of Canada Highlight Tables, 2011 Census http://www12.statcan[...] 2.statcan.ca 2010-10-06
[159] 뉴스 ノーベル平和賞のエチオピア首相に抗議デモ、16人死亡 https://www.afpbb.co[...] 2019-10-25
[160] 뉴스 エチオピアのマラソン選手、抗議のポーズでゴール リオ五輪 https://www.cnn.co.j[...] CNN 2016-08-22
[161] 뉴스 マラソンで抗議のエチオピア選手、政府が身の安全を保証 https://www.cnn.co.j[...] CNN 2016-08-23
[162] 뉴스 市民弾圧に抗議のポーズ…「銀」エチオピア選手 https://web.archive.[...] 2016-09-13
[163] 뉴스 五輪で抗議「正しかった」=祖国の民族弾圧に屈さず-エチオピア〔五輪〕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6-09-15
[164] 웹사이트 エチオピア、民族衝突で100万人避難 https://www.afpbb.co[...] AFP 2018-02-06
[165] 서적 世界の葬式 新潮社 199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