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루구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루구 문자는 기원전 인도 북부의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의 일종으로, 텔루구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4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 남부 인도에서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1300년경 칸나다 문자와 분리되었다. 16세기 경 현재와 가까운 형태가 되었으며, 16개의 모음과 여러 자음, 그리고 모음 결합 표기를 통해 음절을 표기한다. 텔루구 문자는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텔루구 문자 | |
---|---|
개요 | |
![]() | |
유형 | 아부기다 |
사용 언어 | 텔루구어 람바디어 곤디어 코야어 콘다어 산스크리트어 사우라슈트라어 |
사용 시기 | –현재 |
계통 | 이집트 원시 시나이 페니키아 아람 브라흐미 문자 텔루구-칸나다 문자 |
자매 문자 | 칸나다 |
유니코드 | U+0C00–U+0C7F |
ISO 15924 | Telu |
2. 역사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텔루구 문자는 인도 데칸 고원 남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글자 형태가 변화하며 성립되었다. 마우리아 제국 시기에 크리슈나강 삼각주 지역에 도달한 브라흐미 문자는 바티프로루 문자로 이어졌고,[3][4] 불교는 인근 항구를 통해 동아시아로 전파되었다.[5]
4세기-6세기경 남북 인도에서 글자 형태에 큰 차이가 생겼는데, 특히 인도 중남부에서는 글자 시작 부분이 굵고 사각형으로 강조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후 카담바 문자를 거쳐 7세기 이후 텔루구-칸나다 문자로 진화했다.[8][6][7]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는 1300년경에 분리되었으며, 15세기경에는 두 문자 간의 차이가 뚜렷해졌다. 이슬람 역사가이자 학자인 알 비루니는 텔루구어와 그 문자를 모두 "안드리"라고 언급했다.[11] 16세기경에는 현재와 유사한 서체가 완성되었으며, 이후 큰 변화는 없었다.
2. 1. 기원과 발전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텔루구 문자는 인도 데칸 고원 남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글자 형태가 변화하며 성립되었다. 마우리아 제국 시기에 크리슈나강 삼각주 지역에 도달한 브라흐미 문자는 바티프로루 문자로 이어졌고,[3][4] 불교는 인근 항구를 통해 동아시아로 전파되었다.[5]4세기-6세기경 남북 인도에서 글자 형태에 큰 차이가 생겼는데, 특히 인도 중남부에서는 글자 시작 부분이 굵고 사각형으로 강조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경향은 카담바 왕조와 바카타카 왕조의 지배하에 있던 지역에서 두드러졌으며, '상자형 문자' 또는 카담바 문자로 불리기도 한다.
이후 카담바 문자는 카담바 왕조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7세기 이후 텔루구-칸나다 문자로 진화했다.[8][6][7] 초기 찰루키아 왕조 시대(6~8세기)에는 문자가 곡선 형태로 쓰이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현재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의 원형이 되었다. 10~12세기경에는 문자 전체가 둥글고 한 획으로 쓰는 것에 가까운 서체로 변화했으며, 이 시기의 서체는 원 칸나다 문자 또는 텔루구·칸나다 문자 등으로 불린다.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는 1300년경에 분리되었다.[8][9][10] 15세기경에는 두 문자 간의 차이가 뚜렷해졌으며, 이후 각각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로 구분되어 불린다. 이슬람 역사가이자 학자인 알 비루니는 텔루구어와 그 문자를 모두 "안드리"라고 언급했다.[11]
16세기경에는 현재와 유사한 서체가 완성되었으며, 이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현재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는 많은 자모가 매우 흡사하다.
다음은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 타밀 문자의 자모를 비교한 표이다.
2. 2. 초기 형태
기원전 인도 북부에서 성립된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후 1세기경부터 차츰 글자 형태가 변화함과 동시에 지방 차이가 생기게 되었고, 4세기-6세기경에는 남북으로 글자 형태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시기의 브라흐미 문자는 인도 전체에서 세로획의 시작 부분이 강조되어 필기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당시 인도 중남부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당시 기록된 사료에서는 시작 부분을 굵고 사각형으로, 때로는 사각형 상자 형태로 쓰인 글자 형태가 발견되고 있다. 이를 상자형 문자라고도 한다.[8][6][7]이후 인도 전체에서 필기 도구의 발달로 인해 초서체가 발달하게 된다. 초기 찰루키아 왕조 시대(6~8세기)에는 문자가 약간 곡선적으로 쓰이기 시작했으며(찰루키아 문자), 이것이 현행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의 원류이다. 이후 10~12세기경에는 문자 전체가 둥글고 한 획으로 쓴 것에 가까운 서체로 변화해갔다. 이 시기의 서체는 원 칸나다 문자, 또는 텔루구·칸나다 문자 등으로 불린다.[8][9][10]
2. 3. 칸나다 문자와의 분리
7세기 이후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어 텔루구-칸나다 문자로 진화했다.[8][6][7]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는 대략 1300년경에 분리되었다.[8][9][10]인도 중남부에서 동서 간 서체 차이는 초기에는 미미했으나, 10세기 이후 점차 나타나기 시작하여 15세기경 뚜렷해졌다. 이 시기 이후 동쪽 서체는 텔루구 문자, 서쪽 서체는 칸나다 문자로 구분된다.
16세기경 현재 서체와 가까워진 이후 큰 변화는 없었으며, 현재도 많은 자모가 흡사하다. 다음은 데바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 타밀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자모를 비교한 표이다.
텔루구어는 16개의 모음을 사용하며, 각 모음은 단독 형태와 자음과 결합하여 음절을 만드는 변모음 형태를 가진다. 모음 길이에 따라 단모음과 장모음을 구분한다.
3. 문자 체계
단독 형태 క|카te와 함께 ISO IPA 단독 형태 క|카te와 함께 ISO IPA అ|아te క|카te a ఆ|아te కా|카te ā ఇ|이te కి|키te i ఈ|이te కీ|키te ī ఉ|우te కు|쿠te u ఊ|우te కూ|쿠te ū ఋ|루te కృ|크루te r̥ ౠ|루te కౄ|크루te r̥̄ ఌ|루te కౢ|크루te l̥ ౡ|루te కౣ|크루te l̥̄ ఎ|에te కె|케te e ఏ|에te కే|케te ē ఐ|아이te కై|카이te ai ఒ|오te కొ|코te o ఓ|오te కో|코te ō ఔ|아우te కౌ|카우te au
단독 형태는 모음이 단어 또는 음절의 시작에 오거나, 그 자체로 완전한 음절일 때 사용된다. 변모음 형태는 자음에 붙어 자음-모음 음절을 만든다. అ|아te는 모든 자음에 이미 포함되어 있어 변모음 형태가 없다.
자음 조음 위치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뉜다.
그 외에, 다음 위치는 위 다섯 가지의 조합이다.
자음 조음 시도 ('''Uccāraṇa Prayatnam''')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스프르스타''' (Sparśa): 파열음
:: '''이샤트 스프르스타''' (Īṣat Sparśa): 접근음
:: '''이샤트 삼브르타''' (Īṣat Saṁvr̥ta): 마찰음
:: '''알파프라남''' (Alpaprānam): 무기음
:: '''마하프라남''' (Mahāprānam): 유기음
:: '''스와사''' (Śvāsa): 무성음
:: '''나담''' (Nādam): 유성음
Prayatna Niyamāvalī | Kanthya (jihvāmūlam) | Tālavya (jihvāmadhyam) | Mūrdhanya (jihvāgram) | Dantya (jihvāgram) | Dantōṣṭya | Ōshtya (adhōṣṭa) | |||
---|---|---|---|---|---|---|---|---|---|
Sparśa | Śvāsa | Alpaprānam | ka (క) | ca (చ) | ṭa (ట) | ta (త) | — | pa (ప) | |
Mahāprānam | kha (ఖ) | cha (ఛ) | ṭha (ఠ) | tha (థ) | — | pha (ఫ) | |||
Nāda | Alpaprānam | ga (గ) | ja (జ) | ḍa (డ) | da (ద) | — | ba (బ) | ||
Mahāprānam | gha (ఘ) | jha (ఝ) | ḍha (ఢ) | dha (ధ) | — | bha (భ) | |||
Anunāsikam]] | Nādam, Alpaprānam, | Avyāhata | ṅa (ఙ) | ña (ఞ) | ṇa (ణ) | na (న) | — | ma (మ) | |
Antastha | — | ya (య) | ra (ర) (Lunṭhita) ḷa (ళ) (Pārśvika) | la (ల) (Pārśvika) ṟa (ఱ) (Kampita) | va (వ) | — | |||
Ūṣman | Śvāsa]] | Mahāprāṇam | Visarga | śa (శ) | ṣa (ష) | sa (స) | — | — | |
Nādam]] | ha (హ) | — | — | — | — | — |
3. 1. 특징
텔루구 문자는 아부기다에 속하며, 각 자음 기본 자모는 "자음+수반 모음(a)" 음절을 나타낸다. 자음 자모에 다른 모음 부호를 붙여 해당 모음을 포함한 음절을 표기할 수 있다.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은 별도의 모음 기초 자모를 사용하여 표기한다.텔루구어는 16개의 모음을 사용하며, 각 모음은 단독 형태와 변모음 형태를 모두 가지고 있어, 자음과 함께 사용하여 음절을 만든다. అ|아te는 변모음 형태가 없는데, 이 모음이 이미 모든 자음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시:
ఖ|카te + ఈ|이te (ీ|이te) → ఖీ|키te | + → |
జ|자te + ఉ|우te (ు|우te) → జు|주te | + → |
텔루구 문자는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자음 결합을 가지며, 후행 자음은 아래 첨자 형태를 취하고, 종종 탈라카투(v자 모양의 머리획)를 잃는다. 이러한 자음과 모음 결합 표기는 '''구닌탈루'''(గుణింతాలు|구니탈루te)라고 불린다.[15]
텔루구 문자의 기원이 된 브라흐미 문자 또한 아부기다의 하나이며, 이 문자에서 파생된 남아시아·동남아시아의 문자의 대부분이 아부기다로 분류된다. 이에 반해 기초 자모를 음절로 하지 않고 단독으로 자음 또는 모음을 나타내는 라틴 문자와 같은 시스템을 알파벳이라고 부르며, 기초 자모를 자음으로 하고 모음을 보조적으로 표기하는(그리고 자주 생략되어 표기되는) 아라비아 문자와 같은 시스템을 아브자드라고 하며, 이들과는 구별된다.
3. 2. 자음
텔루구 문자의 자음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결합을 가지며, 뒤따르는 자음은 아래 첨자 형태를 취하고, 종종 탈라카투(v자 모양의 머리획)를 잃는다. 텔루구어에서는 이를 '''vattulu''' (వత్తులు)라고 부른다.텔루구 문자 자음 자모와 그 발음(로마자 표기, IPA)은 다음과 같다.
rowspan="2" | | 파열음 | 비음 | ||||||||
---|---|---|---|---|---|---|---|---|---|---|
무기 무성음 | 유기음 무성음 | 무기 유성음 | 유기음 유성음 | |||||||
연구개음 | క | ka | ఖ | kha | గ | ga | ఘ | gha | ఙ | ṅa |
경구개음 | చ | ca | ఛ | cha | జ | ja | ఝ | jha | ఞ | ña |
권설음 | ట | ṭa | ఠ | ṭha | డ | ḍa | ఢ | ḍha | ణ | ṇa |
치경음 | త | ta | థ | tha | ద | da | ధ | dha | న | na |
양순음 | ప | pa | ఫ | pha | బ | ba | భ | bha | మ | ma |
기타 | ||||||||||
반모음・유음 | య | ya | ర | ra | ల | la | ళ | ḷa | వ | va |
마찰음 외 | శ | śa | ష | ṣa | స | sa | హ | ha | ళ | ṟa |
몇 가지 참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많은 자모 상부에 체크 마크 형태의 획이 있는데, 이는 "'''타라카투'''"라고 불리며, 모음 부호 표기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 ప pa 와 వ va, స sa 와 న na 등은 타라카투와 본체의 부착 여부로 구별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유기음 자모는 산스크리트어 등 차용어 표기를 위해 도입되었다. 원래 드라비다어족인 텔루구어에는 유기음/무기음 구분이 없었다.
- ఱ ṟa 자모는 현재 ra로 표기된다.
3. 3. 모음
텔루구어는 16개의 모음을 사용하며, 각 모음은 단독 형태와 변모음 형태를 모두 가지고 있어, 자음과 함께 사용하여 음절을 만든다. 이 언어는 모음 길이에 따라 단모음과 장모음을 구분한다.단독 형태 | కte ()와 함께 | ISO | IPA | 단독 형태 | కte ()와 함께 | ISO | IPA |
---|---|---|---|---|---|---|---|
అte | కte | a | ఆte | కాte | ā | ||
ఇte | కిte | i | ఈte | కీte | ī | ||
ఉte | కుte | u | ఊte | కూte | ū | ||
ఋte | కృte | r̥ | ౠte | కౄte | r̥̄ | ||
ఌte | కౢte | l̥ | ౡte | కౣte | l̥̄ | ||
ఎte | కెte | e | ఏte | కేte | ē | ||
ఐte | కైte | ai | |||||
ఒte | కొte | o | ఓte | కోte | ō | ||
ఔte | కౌte | au |
단독 형태는 모음이 단어 또는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거나 그 자체가 완전한 음절일 때 사용된다(예: a, u, o). 변모음 형태는 자음(점선 원으로 표시)에 추가되어 자음-모음 음절을 형성한다(예: ka, kr̥, mo). అte는 변모음 형태가 없는데, 이 모음이 이미 모든 자음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변모음은 자음에 추가되어 발음을 해당 모음의 발음으로 변경한다.
예시:
ఖte + ఈte (ీte) → ఖీte | + → |
జte + ఉte (ుte) → జుte | + → |
텔루구어에서 자음과 모음 결합 표기는 '''구닌탈루'''(గుణింతాలుte)라고 불린다.[15] 모음 결합 표기, 기호, 이름은 다음과 같다.
모음 결합 기호 | 모음 문자 | 모음 결합 이름 | 예시 |
---|---|---|---|
없음 | (అ, a) | తలకట్టుte () | క |
ా | (ఆ, ā) | దీర్ఘంte () | కా |
ి | (ఇ, i) | గుడిte () | కి |
ీ | (ఈ, ī) | గుడి దీర్ఘంte () | కీ |
ు | (ఉ, u) | కొమ్ముte () | కు |
ూ | (ఊ, ū) | కొమ్ము దీర్ఘంte () | కూ |
ృ | (ఋ, ṛ) | వట్రసుడిte () | కృ |
ౄ | (ౠ, ṝ) | వట్రసుడి దీర్ఘంte () | కౄ |
ౢ | (ఌ, ḷ) | ఌత్వంte () | కౢ |
ౣ | (ౡ, ḹ) | ఌత్వ దీర్ఘంte () | కౣ |
ె | (ఎ, e) | ఎత్వంte () | కె |
ే | (ఏ, ē) | ఏత్వంte () | కే |
ై | (ఐ, ai) | ఐత్వంte () | కై |
ొ | (ఒ, o) | ఒత్వంte () | కొ |
ో | (ఓ, ō) | ఓత్వంte () | కో |
ౌ | (ఔ, au) | ఔత్వంte () | కౌ |
ం | (అం, am) | సున్నాte () | కం |
ః | (అః, aha) | విసర్గte () | కః |
ఁ | (అఁ, an̆) | అరసున్నాte () | కఁ |
్ | — | పొల్లుte () | క్ |
다음은 모음 자모에 대한 설명이다. 아래 표의 첫 번째 열은 자음이 없는 모음만으로 구성된 음절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두 번째 열의 모음 부호는 자음 뒤에 오는 모음 a를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 세 번째 열은 사용 예시를 보여준다. 타라카투(위쪽의 체크 기호 모양의 획)가 있는 자음 문자에 붙는 경우, 타라카투를 제거하고 붙이는 부호에는 "○"가 표시된다.
모음 자모 | 부호 | కte +의 예 | 모음 발음 | 타라카투를 제거하는 것 | 부호에 대한 비고 |
---|---|---|---|---|---|
అte | (없음) | కte | a | ||
ఆte | ాte | కాte | ā | ○ | 타라카투의 모서리 점보다 약간 왼쪽에서 시작한다. |
ఇte | ిte | కిte | i | ○ | |
ఈte | ీte | కీte | ī | ○ | |
ఉte | ుte | కుte | u | 자음 글자의 오른쪽 아래에 붙여서 위로 쓴다. | |
ఊte | ూte | కూte | ū | ||
ఋte | ృte | కృte | ṛ | ||
ౠte | ౄte | కౄte | ṝ | ||
ఎte | ెte | కెte | e | ○ | 위쪽 기호는 아래에서 왼쪽 위로 쓴다. |
ఏte | ేte | కేte | ē | ○ | |
ఐte | ైte | కైte | ai | ○ | |
ఒte | ొte | కొte | o | ○ | |
ఓte | ోte | కోte | ō | ○ | |
ఔte | ౌte | కౌte | au | ○ | |
모음 (a) 제거 기호 | ్te | క్te | ○ | 아래에서 위로 쓴다. |
ఋte는 원래 산스크리트어에서 모음으로 취급되었으며, 때로는 రte ra로 변경된다. 또한 ౠte와 표에는 없지만 ఌte , ౡte와 같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모음 글자가 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자음 글자에 ఌ, ౡte를 추가할 때는 자음 글자 아래에 ఌ, ౡte를 약간 작게 쓴다.
모음 기호를 자음 글자에 추가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최대한 한 획으로''' 쓰는 것이다. 따라서 부호가 연결되어 쓰인 것 같은 글자 형태가 많은 경우가 있다.
: 예: బte ba ⇒ బెte be, బోte bō.
자음 위쪽에 붙는 부호의 시작점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다.
# 타라카투가 있는 자음 글자: 타라카투의 모서리 지점(타라카투는 제거)
# 타라카투가 없는 자음 글자: 자음 글자의 획이 끝나는 지점에서 이어서 쓴다.
:: 예: పte pa ⇒ పెte pe; వte va ⇒ వెte ve; లte la ⇒ లెte le; ఞte ña ⇒ ఞెte ñe(오른쪽 위로 뻗는 짧은 막대가 종획).
- * ణte a는 획이 오른쪽 아래에서 끝나지만, 오른쪽 위에 타라카투가 있는 것처럼 기호를 붙인다. ణెte e.
그러나 자음 글자와 모음 부호의 조합에 따라 예외적인 부착 방식이 상당히 많으며, 특히 i, ī의 경우 부착 방식이 3가지 패턴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 빠르다. 여기 각 부호에 대한 예외적인 부착 방식과 주의사항을 보여준다.
- ాte ā, ొte o, ోte ō, ౌte au:
- * వte va 등과 같이 획의 종점이 타라카투에서 멀리 떨어진 글자(పte pa, ఫte pha, షte a, సte sa): 획이 위로 뻗어 있다.
::
colspan="2" | | ā | o | ō | au | |
---|---|---|---|---|---|
pa | పte | పాte | పొte | పోte | పౌte |
pha | ఫte | ఫాte | ఫొte | ఫోte | ఫౌte |
ṣa | షte | షాte | షొte | షోte | షౌte |
sa | సte | సాte | సొte | సోte | సౌte |
- * 타라카투와 종획이 상당히 멀리 떨어진 글자(ఘte gha, ఝte jha, మte ma, యte ya): ā와 au는 타라카투를 그대로 붙인다. o, ō는 특수하며, 특히 o는 e와 비슷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colspan="2" | | ā | o | ō | au | e(참고) | |
---|---|---|---|---|---|---|
gha | ఘte | ఘాte | ఘొte | ఘోte | ఘౌte | ఘెte |
jha | ఝte | ఝాte | ఝొte | ఝోte | ఝౌte | ఝెte |
ma | మte | మాte | మొte | మోte | మౌte | మెte |
ya | యte | యాte | యొte | యోte | యౌte | యెte |
- * 그 외의 특수 예(హte ha)
::
colspan="2" | | ā | o | ō | au | |
---|---|---|---|---|---|
ha | హte | హాte | హొte | హోte | హౌte |
- ిte i, ీte ī: 타라카투를 제거한 글자 모양에 따라 다음 3가지 패턴의 규칙 중 하나로 나뉜다.
# 상부가 아치형 글자(క 제외): 아치를 추가한다.
#: 예: గte ga ⇒ గిte gi, గీte gī; దte da ⇒ దిte di, దీte dī; రte ra ⇒ రిte ri, రీte rī.
# 획의 끝이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로 뻗는 글자(ఘte gha, ఝ tejha, టte a, య teya 제외): 이어 쓴다. 부호 모양의 변화에 주의한다.
#: 예: ఖte kha ⇒ ఖిte khi, ఖీte khī; జte ja ⇒ జిte ji, జీte jī; తte ta ⇒ తిte ti, తీte tī; బte ba ⇒ బిte bi, బీte bī; మte ma ⇒ మిte mi, మీte mī.
# 기타: 위 표와 같이 기호를 붙인다. 이어 쓰지 않는다.
#: 예: కte ka ⇒ కిte ki, కీte kī; ఘte gha ⇒ ఘిte ghi, ఘీte ghī; ఙte a ⇒ ఙిte i, ఙీte ī; పte pa ⇒ పిte pi, పీte pī.
- * యte ya는 예외이며 타라카투를 제거한다. యిte yi, యీte yī. యాte yā와의 유사성에 주의하십시오.
- ుte u, ూ teū:
- * పte pa, ఫte pha, వteva: 특히 pha와 va에 그대로 ు te를 붙이면 ఘte gha, మte ma와 같은 형태가 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보다 아래에서 부호를 쓰기 시작한다.
::
colspan="2" | | u | ū | 비고 | |
---|---|---|---|---|
pa | పte | పుte | పూte | |
pha | ఫte | ఫుte | ఫూte | ఘte gha |
va | వte | వుte | వూte | మte ma |
- * 오른쪽 위로 향하는 모양의 글자(ఙte a, జte ja, ఞte ña, హte ha): 오른쪽 획에 연결하여 작게 쓴다.
::
colspan="2" | | u | ū | |
---|---|---|---|
ṅa | ఙte | ఙుte | ఙూte |
ja | జte | జుte | జూte |
ña | ఞte | ఞుte | ఞూte |
ha | హte | హుte | హూte |
- * ళte a: 아래에서 쓴다. ళుte u ళూte ū.
ృte, ౄte, ఌte, ౡte, ెte e, ేte ē, ైte ai, ్te(모음 a를 제거하는 부호)에는 부착에 예외가 없다.
3. 4. 이중 자음
텔루구 문자의 이중 자음은 일반적으로 두 번째 자음을 첫 번째 자음 아래나 오른쪽 아래에 작게 쓰는 방식으로 표기한다. 아래에 쓰는 문자는 타라카투(머리획)를 제거한다.[14]예:
- ద్ద dda
- డ్జె ḍje
자주 쓰이는 8개의 자음은 두 번째 자음으로 올 때 형태가 변한다.
아래에 오는 자음 | ka | ta | na | ma | ya | ra | la | va |
---|---|---|---|---|---|---|---|---|
k 아래에 붙는 예 | క్క | క్త | క్న | క్మ | క్య | క్ర | క్ల | క్వ |
k + ṣa는 특수한 형태(kṣa)를 가진다. 이는 ṣa의 칸나다 문자 형태(ಷ)에서 윗부분 가로선을 제거한 형태가 아래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른 자음에 ṣa가 올 때는 규칙적으로 타라카투를 제거하고 아래에 작게 쓴다. (예: ప్ష pṣa)
자음 오른쪽에 ౯를 쓰면 자음 앞에 r-가 붙는다. (예: ఘ౯ rgha). 하지만, ర్ఘ처럼 두 번째 자음을 아래에 쓰는 방식으로도 표기할 수 있다.
3. 5. 특수 기호 및 구두점
텔루구 문자에는 다른 여러 부호도 사용된다. ్는 자음의 모음을 묵음 처리하여 자음만 발음되도록 한다. ం와 ఁ는 부착된 모음 또는 음절을 비음화한다. ః는 부착된 모음 또는 음절 뒤에 무성 호흡을 추가한다.
예시:
క + ్ → క్ | క + ఁ → కఁ | క + ం → కం | క + ః → కః |
음절 말 자음을 나타내는 데는 다음과 같은 특수 기호가 있다.
기호 | 명칭 | 사용 예 | 용도 |
---|---|---|---|
ం | 아누스바라 | కం | 음절 말에 비음이 오는 것을 나타낸다. 비음은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 , 등 다양하게 발음된다. |
ః | 비사르가 | కః | 음절 말에 기식이 붙는 것을 나타낸다.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경우는 산스크리트 기원의 단어에 한정된다. |
구두점에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서양식 마침표(.), 쉼표(,), 물음표(?)를 사용하며, 전통적인 것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숫자
텔루구 문자는 고유한 숫자를 가지고 있다. 사용법은 아라비아 숫자와 완전히 같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౯౦౬ = 906
텔루구 문자 숫자는 아래 표와 같다.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౦ | ౧ | ౨ | ౩ | ౪ | ౫ | ౬ | ౭ | ౮ | ౯ |
౸|0/4te | ౹|1/4te | ౺|2/4te | ౻|3/4te | ౦|0/16te | ౼|1/16te | ౽|2/16te | ౾|3/16te |
---|---|---|---|---|---|---|---|
౸ | ౹ | ౺ | ౻ | ౦ | ౼ | ౽ | ౾ |
౹|1/4te, ౺|2/4te, ౻|3/4te는 1/64, 2/64, 3/64, 1/1024 등에도 사용되며, ౼|1/16te, ౽|2/16te, ౾|3/16te는 1/256, 2/256, 3/256, 1/4096 등에도 사용된다.[16]
다만, 현재는 아라비아 숫자(0, 1, 2…)가 대부분의 장소에서 사용되며, 텔루구 문자 고유의 것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5. 컴퓨터 처리
텔루구 문자는 가타카나와 같은 음절 문자와 달리, 하나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가 하나의 음절에 대한 글리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글꼴 렌더링 규칙을 사용하여 여러 코드 포인트를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에 대한 글리프를 생성한다.[17][18]
이처럼 복잡한 문자 체계를 가진 텔루구 문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브라흐미 계열 문자 전반에 해당하지만) 컴퓨터에서 글자 모양을 올바르게 출력하는 것이 어려워, 출력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이 난제이다 (복잡한 텍스트 배치 참조).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이후의 운영 체제(OS)에서는 해당 텍스트 처리 시스템을 설치하면 키보드에서 텔루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2018년 2월 중순, iOS 11.2.5에서 "심볼"을 의미하는 "జ్ఞా"를 수신하면, 애플(Apple Inc.)사의 제품이 충돌하여 메시지 앱이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22] [23]
5. 1. 유니코드
텔루구 문자는 1991년 10월 유니코드 표준 버전 1.0에 추가되었다.[17][18] 텔루구 문자의 유니코드 블록은 U+0C00에서 U+0C7F까지이다.텔루구 문자 ([https://www.unicode.org/charts/PDF/U0C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0C0x | ఀ | ఁ | ం | ః | ఄ | అ | ఆ | ఇ | ఈ | ఉ | ఊ | ఋ | ఌ | ఎ | ఏ | |
U+0C1x | ఐ | ఒ | ఓ | ఔ | క | ఖ | గ | ఘ | ఙ | చ | ఛ | జ | ఝ | ఞ | ట | |
U+0C2x | ఠ | డ | ఢ | ణ | త | థ | ద | ధ | న | ప | ఫ | బ | భ | మ | య | |
U+0C3x | ర | ఱ | ల | ళ | ఴ | వ | శ | ష | స | హ | ఼ | ఽ | ా | ి | ||
U+0C4x | ీ | ు | ూ | ృ | ౄ | ె | ే | ై | ొ | ో | ౌ | ్ | ||||
U+0C5x | ౕ | ౖ | ౘ | ౙ | ౚ | ౝ | ||||||||||
U+0C6x | ౠ | ౡ | ౢ | ౣ | ౦ | ౧ | ౨ | ౩ | ౪ | ౫ | ౬ | ౭ | ౮ | ౯ | ||
U+0C7x | ౷ | ౸ | ౹ | ౺ | ౻ | ౼ | ౽ | ౾ | ౿ |
가타카나와 같은 음절 문자와 달리, 텔루구 문자는 복잡한 글꼴 렌더링 규칙을 사용하여 여러 코드 포인트를 결합하여 음절 글리프를 생성한다.[17][18] 텔루구 문자는 자음 문자와 모음 기호의 조합, 이중 자음의 조합이 복잡하고 예외도 존재하여, 컴퓨터에서 올바르게 출력하기 어렵다. (복잡한 텍스트 배치 참조)
반점(,) 및 마침표(.)는 텔루구 문자 영역에 정의되어 있지 않고, 데바나가리 문자로 정의된 U+0964 및 U+0965를 사용한다. (향후 U+0C64 및 U+0C65로 정의될 가능성 존재) 마침표(.), 쉼표(,), 물음표(?)는 영어와 동일하며, 텔루구 문자 영역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
5. 2. 윈도우/iOS 처리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이후의 운영 체제(OS)에서는 해당 텍스트 처리 시스템을 설치하면 키보드에서 텔루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설치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Help:다국어 지원 (인도 문자)를 참조한다.2018년 2월 중순, iOS 11.2.5에서 "심볼"을 의미하는 "జ్ఞా"를 수신하면, 애플(Apple Inc.)사의 제품이 충돌하여 메시지 앱이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22] [23] iOS 11.2.6[24] 및 macOS High Sierra 10.13.3 추가 업데이트[25]에서 수정되었다.
5. 3. 키보드
6. 조음 위치 및 방법
텔루구 문자의 조음 위치는 크게 수동 조음과 능동 조음으로 나뉜다. 수동 조음은 조음 기관의 윗부분을 기준으로, 능동 조음은 조음 기관의 아랫부분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자음 조음 시도 ('''Uccāraṇa Prayatnam''')는 텔루구어에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텔루구 문자는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자음 결합을 가지며, 후행 자음은 아래 첨자 형태를 취하고, 종종 탈라카투(v자 모양의 머리획)를 잃는다. 이것들은 텔루구어에서 '''vattulu''' (వత్తులు)라고 불린다.
텔루구어에서 자음과 모음 결합 표기는 '''구닌탈루'''(గుణింతాలుte)라고 불린다. "구니타"는 '스스로를 곱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각 자음 소리는 모음 소리와 곱해져 모음 결합 표기를 생성할 수 있다. 모음 결합 표기, 기호, 이름은 아래 표와 같다.[15]
모음 결합 기호 | 모음 문자 | 모음 결합 이름 | 예시 |
---|---|---|---|
없음 | (అ, a) | తలకట్టుte () | క |
ా | (ఆ, ā) | దీర్ఘంte () | కా |
ి | (ఇ, i) | గుడిte () | కి |
ీ | (ఈ, ī) | గుడి దీర్ఘంte () | కీ |
ు | (ఉ, u) | కొమ్ముte () | కు |
ూ | (ఊ, ū) | కొమ్ము దీర్ఘంte () | కూ |
ృ | (ఋ, ṛ) | వట్రసుడిte () | కృ |
ౄ | (ౠ, ṝ) | వట్రసుడి దీర్ఘంte () | కౄ |
ౢ | (ఌ, ḷ) | ఌత్వంte () | కౢ |
ౣ | (ౡ, ḹ) | ఌత్వ దీర్ఘంte () | కౣ |
ె | (ఎ, e) | ఎత్వంte () | కె |
ే | (ఏ, ē) | ఏత్వంte () | కే |
ై | (ఐ, ai) | ఐత్వంte () | కై |
ొ | (ఒ, o) | ఒత్వంte () | కొ |
ో | (ఓ, ō) | ఓత్వంte () | కో |
ౌ | (ఔ, au) | ఔత్వంte () | కౌ |
ం | (అం, am) | సున్నాte () | కం |
ః | (అః, aha) | విసర్గte () | కః |
ఁ | (అఁ, an̆) | అరసున్నాte () | కఁ |
్ | — | పొల్లుte () | క్ |
텔루구어의 자음과 모음 결합 표기는 아래 표와 같다.
అ | ఆ | ఇ | ఈ | ఉ | ఊ | ఋ | ౠ | ఌ | ౡ | ఎ | ఏ | ఐ | ఒ | ఓ | ఔ | అఁ | అం | అః | — |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క్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ఖ్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గ్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ఘ్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ఙ్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చ్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ఛ్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జ్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ఝ్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ఞ్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ట్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ఠ్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డ్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ఢ్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ణ్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త్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థ్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ద్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ధ్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న్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ప్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ఫ్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బ్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భ్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మ్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య్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ర్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ల్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వ్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శ్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ష్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స్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హ్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ళ్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క్ష్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ఱ్ |
6. 1. 조음 위치 (수동 조음)
수동 조음에는 다음 다섯 가지 분류가 있다.그 외에도, 다음은 위의 다섯 가지를 조합한 것이다.
6. 2. 능동 조음
능동 조음에는 세 가지 위치가 있다.- '''지흐바물람''': 연구개음에 해당한다.
- '''지흐바마드얌''': 경구개음에 해당한다.
- '''지흐바그람''': 권설음과 치음에 해당한다.
- '''''': 아랫입술, 순음에 해당한다.[14]
6. 3. 자음 조음 시도 (Uccāraṇa Prayatnam)
텔루구어 자음 조음 시도 ('''Uccāraṇa Prayatnam''')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바히야 프라야트남'''(बाह्य प्रयत्नम, 외부 노력):
- '''스프르스타'''(स्पृष्टा, 파열음)
- '''이샤트 스프르스타'''(ईषत् स्पृष्टा, 접근음)
- '''이샤트 삼브르타'''(ईषत् संवृता, 마찰음)
- '''아브얀타라 프라야트남'''(आभ्यन्तर प्रयत्नम, 내부 노력):
- '''알파프라남'''(अल्पप्राणम, 무기음)
- '''마하프라남'''(महाप्राणम, 유기음)
- '''스와사'''(श्वासा, 무성음)
- '''나담'''(नादम, 유성음)
텔루구어 자음의 조음은 두 개의 prayatna 내 구성 요소의 논리적인 조합이다. 아래 표는 자음의 조음에 대한 관점을 제공한다.[14]
Prayatna Niyamāvalī | Kanthya (jihvāmūlam) | Tālavya (jihvāmadhyam) | Mūrdhanya (jihvāgram) | Dantya (jihvāgram) | Ōshtya (adhōṣṭa) | ||||
---|---|---|---|---|---|---|---|---|---|
Sparśa | Śvāsa | Alpaprānam | ka (క) | ca (చ) | ṭa (ట) | ta (త) | — | pa (ప) | |
Mahāprānam | kha (ఖ) | cha (ఛ) | ṭha (ఠ) | tha (థ) | — | pha (ఫ) | |||
Nāda | Alpaprānam | ga (గ) | ja (జ) | ḍa (డ) | da (ద) | — | ba (బ) | ||
Mahāprānam | gha (ఘ) | jha (ఝ) | ḍha (ఢ) | dha (ధ) | — | bha (భ) | |||
Anunāsikam]] | Nādam, Alpaprānam, | Avyāhata | ṅa (ఙ) | ña (ఞ) | ṇa (ణ) | na (న) | — | ma (మ) | |
Antastha | — | ya (య) | ra (ర) (Lunṭhita) ḷa (ళ) (Pārśvika) | la (ల) (Pārśvika) ṟa (ఱ) (Kampita) | va (వ) | — | |||
Ūṣman | Śvāsa]] | Mahāprāṇam | Visarga | śa (శ) | ṣa (ష) | sa (స) | — | — | |
Nādam]] | ha (హ) | — | — | — | — | — |
6. 4. 자음 조음표
문자 | 아래 첨자 | ISO | IPA | 문자 | 아래 첨자 | ISO | IPA | 문자 | 아래 첨자 | ISO | IPA | 문자 | 아래 첨자 | ISO | IPA | 문자 | 아래 첨자 | ISO | IPA |
---|---|---|---|---|---|---|---|---|---|---|---|---|---|---|---|---|---|---|---|
క | ్క | ka | ఖ | ్ఖ | kha | గ | ్గ | ga | ఘ | ్ఘ | gha | ఙ | ్ఙ | ṅa | |||||
చ | ్చ | ca | ఛ | ్ఛ | cha | జ | ్జ | ja | ఝ | ్ఝ | jha | ఞ | ్ఞ | ña | |||||
ట | ్ట | ṭa | ఠ | ్ఠ | ṭha | డ | ్డ | ḍa | ఢ | ్ఢ | ḍha | ణ | ్ణ | ṇa | |||||
త | ్త | ta | థ | ్థ | tha | ద | ్ద | da | ధ | ్ధ | dha | న | ్న | na | |||||
ప | ్ప | pa | ఫ | ్ఫ | pha | బ | ్బ | ba | భ | ్భ | bha | మ | ్మ | ma | |||||
య | ్య | ya | ర | ్ర | ra | ల | ్ల | la | వ | ్వ | va | ళ | ్ళ | ḷa | |||||
శ | ్శ | śa | ష | ్ష | ṣa | స | ్స | sa | హ | ్హ | ha |
아래 첨자 문자는 자음군과 중복 자음에 사용된다.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font-size:12pt"
|-
! !! క !! ఖ !! గ !! ఘ !! ఙ !! చ !! ఛ !! జ !! ఝ !! ఞ !! ట !! ఠ !! డ !! ఢ !! ణ !! త !! థ !! ద !! ధ !! న !! ప !! ఫ !! బ !! భ !! మ !! య !! ర !! ల !! వ !! శ !! ష !! స !! హ !! ళ !! క్ష !! ఱ
|-
! క
| క్క || క్ఖ || క్గ || క్ఘ || క్ఙ || క్చ || క్ఛ || క్జ || క్ఝ || క్ఞ || క్ట || క్ఠ || క్డ || క్ఢ || క్ణ || క్త || క్థ || క్ద || క్ధ || క్న || క్ప || క్ఫ || క్బ || క్భ || క్మ || క్య || క్ర || క్ల || క్వ || క్శ || క్ష || క్స || క్హ || క్ళ || క్క్ష || క్ఱ
|-
! ఖ
| ఖ్క || ఖ్ఖ || ఖ్గ || ఖ్ఘ || ఖ్ఙ || ఖ్చ || ఖ్ఛ || ఖ్జ || ఖ్ఝ || ఖ్ఞ || ఖ్ట || ఖ్ఠ || ఖ్డ || ఖ్ఢ || ఖ్ణ || ఖ్త || ఖ్థ || ఖ్ద || ఖ్ధ || ఖ్న || ఖ్ప || ఖ్ఫ || ఖ్బ || ఖ్భ || ఖ్మ || ఖ్య || ఖ్ర || ఖ్ల || ఖ్వ || ఖ్శ || ఖ్ష || ఖ్స || ఖ్హ || ఖ్ళ || ఖ్క్ష || ఖ్ఱ
|-
! గ
| గ్క || గ్ఖ || గ్గ || గ్ఘ || గ్ఙ || గ్చ || గ్ఛ || గ్జ || గ్ఝ || గ్ఞ || గ్ట || గ్ఠ || గ్డ || గ్ఢ || గ్ణ || గ్త || గ్థ || గ్ద || గ్ధ || గ్న || గ్ప || గ్ఫ || గ్బ || గ్భ || గ్మ || గ్య || గ్ర || గ్ల || గ్వ || గ్శ || గ్ష || గ్స || గ్హ || గ్ళ || గ్క్ష || గ్ఱ
|-
! ఘ
| ఘ్క || ఘ్ఖ || ఘ్గ || ఘ్ఘ || ఘ్ఙ || ఘ్చ || ఘ్ఛ || ఘ్జ || ఘ్ఝ || ఘ్ఞ || ఘ్ట || ఘ్ఠ || ఘ్డ || ఘ్ఢ || ఘ్ణ || ఘ్త || ఘ్థ || ఘ్ద || ఘ్ధ || ఘ్న || ఘ్ప || ఘ్ఫ || ఘ్బ || ఘ్భ || ఘ్మ || ఘ్య || ఘ్ర || ఘ్ల || ఘ్వ || ఘ్శ || ఘ్ష || ఘ్స || ఘ్హ || ఘ్ళ || ఘ్క్ష || ఘ్ఱ
|-
! ఙ
| ఙ్క || ఙ్ఖ || ఙ్గ || ఙ్ఘ || ఙ్ఙ || ఙ్చ || ఙ్ఛ || ఙ్జ || ఙ్ఝ || ఙ్ఞ || ఙ్ట || ఙ్ఠ || ఙ్డ || ఙ్ఢ || ఙ్ణ || ఙ్త || ఙ్థ || ఙ్ద || ఙ్ధ || ఙ్న || ఙ్ప || ఙ్ఫ || ఙ్బ || ఙ్భ || ఙ్మ || ఙ్య || ఙ్ర || ఙ్ల || ఙ్వ || ఙ్శ || ఙ్ష || ఙ్స || ఙ్హ || ఙ్ళ || ఙ్క్ష || ఙ్ఱ
|-
! చ
| చ్క || చ్ఖ || చ్గ || చ్ఘ || చ్ఙ || చ్చ || చ్ఛ || చ్జ || చ్ఝ || చ్ఞ || చ్ట || చ్ఠ || చ్డ || చ్ఢ || చ్ణ || చ్త || చ్థ || చ్ద || చ్ధ || చ్న || చ్ప || చ్ఫ || చ్బ || చ్భ || చ్మ || చ్య || చ్ర || చ్ల || చ్వ || చ్శ || చ్ష || చ్స || చ్హ || చ్ళ || చ్క్ష || చ్ఱ
|-
! ఛ
| ఛ్క || ఛ్ఖ || ఛ్గ || ఛ్ఘ || ఛ్ఙ || ఛ్చ || ఛ్ఛ || ఛ్జ || ఛ్ఝ || ఛ్ఞ || ఛ్ట || ఛ్ఠ || ఛ్డ || ఛ్ఢ || ఛ్ణ || ఛ్త || ఛ్థ || ఛ్ద || ఛ్ధ || ఛ్న || ఛ్ప || ఛ్ఫ || ఛ్బ || ఛ్భ || ఛ్మ || ఛ్య || ఛ్ర || ఛ్ల || ఛ్వ || ఛ్శ || ఛ్ష || ఛ్స || ఛ్హ || ఛ్ళ || ఛ్క్ష || ఛ్ఱ
|-
! జ
| జ్క || జ్ఖ || జ్గ || జ్ఘ || జ్ఙ || జ్చ || జ్ఛ || జ్జ || జ్ఝ || జ్ఞ || జ్ట || జ్ఠ || జ్డ || జ్ఢ || జ్ణ || జ్త || జ్థ || జ్ద || జ్ధ || జ్న || జ్ప || జ్ఫ || జ్బ || జ్భ || జ్మ || జ్య || జ్ర || జ్ల || జ్వ || జ్శ || జ్ష || జ్స || జ్హ || జ్ళ || జ్క్ష || జ్ఱ
|-
! ఝ
| ఝ్క || ఝ్ఖ || ఝ్గ || ఝ్ఘ || ఝ్ఙ || ఝ్చ || ఝ్ఛ || ఝ్జ || ఝ్ఝ || ఝ్ఞ || ఝ్ట || ఝ్ఠ || ఝ్డ || ఝ్ఢ || ఝ్ణ || ఝ్త || ఝ్థ || ఝ్ద || ఝ్ధ || ఝ్న || ఝ్ప || ఝ్ఫ || ఝ్బ || ఝ్భ || ఝ్మ || ఝ్య || ఝ్ర || ఝ్ల || ఝ్వ || ఝ్శ || ఝ్ష || ఝ్స || ఝ్హ || ఝ్ళ || ఝ్క్ష || ఝ్ఱ
|-
! ఞ
| ఞ్క || ఞ్ఖ || ఞ్గ || ఞ్ఘ || ఞ్ఙ || ఞ్చ || ఞ్ఛ || ఞ్జ || ఞ్ఝ || ఞ్ఞ || ఞ్ట || ఞ్ఠ || ఞ్డ || ఞ్ఢ || ఞ్ణ || ఞ్త || ఞ్థ || ఞ్ద || ఞ్ధ || ఞ్న || ఞ్ప || ఞ్ఫ || ఞ్బ || ఞ్భ || ఞ్మ || ఞ్య || ఞ్ర || ఞ్ల || ఞ్వ || ఞ్శ || ఞ్ష || ఞ్స || ఞ్హ || ఞ్ళ || ఞ్క్ష || ఞ్ఱ
|-
! ట
| ట్క || ట్ఖ || ట్గ || ట్ఘ || ట్ఙ || ట్చ || ట్ఛ || ట్జ || ట్ఝ || ట్ఞ || ట్ట || ట్ఠ || ట్డ || ట్ఢ || ట్ణ || ట్త || ట్థ || ట్ద || ట్ధ || ట్న || ట్ప || ట్ఫ || ట్బ || ట్భ || ట్మ || ట్య || ట్ర || ట్ల || ట్వ || ట్శ || ట్ష || ట్స || ట్హ || ట్ళ || ట్క్ష || ట్ఱ
|-
! ఠ
| ఠ్క || ఠ్ఖ || ఠ్గ || ఠ్ఘ || ఠ్ఙ || ఠ్చ || ఠ్ఛ || ఠ్జ || ఠ్ఝ || ఠ్ఞ || ఠ్ట || ఠ్ఠ || ఠ్డ || ఠ్ఢ || ఠ్ణ || ఠ్త || ఠ్థ || ఠ్ద || ఠ్ధ || ఠ్న || ఠ్ప || ఠ్ఫ || ఠ్బ || ఠ్భ || ఠ్మ || ఠ్య || ఠ్ర || ఠ్ల || ఠ్వ || ఠ్శ || ఠ్ష || ఠ్స || ఠ్హ || ఠ్ళ || ఠ్క్ష || ఠ్ఱ
|-
! డ
| డ్క || డ్ఖ || డ్గ || డ్ఘ || డ్ఙ || డ్చ || డ్ఛ || డ్జ || డ్ఝ || డ్ఞ || డ్ట || డ్ఠ || డ్డ || డ్ఢ || డ్ణ || డ్త || డ్థ || డ్ద || డ్ధ || డ్న || డ్ప || డ్ఫ || డ్బ || డ్భ || డ్మ || డ్య || డ్ర || డ్ల || డ్వ || డ్శ || డ్ష || డ్స || డ్హ || డ్ళ || డ్క్ష || డ్ఱ
|-
! ఢ
| ఢ్క || ఢ్ఖ || ఢ్గ || ఢ్ఘ || ఢ్ఙ || ఢ్చ || ఢ్ఛ || ఢ్జ || ఢ్ఝ || ఢ్ఞ || ఢ్ట || ఢ్ఠ || ఢ్డ || ఢ్ఢ || ఢ్ణ || ఢ్త || ఢ్థ || ఢ్ద || ఢ్ధ || ఢ్న || ఢ్ప || ఢ్ఫ || ఢ్బ || ఢ్భ || ఢ్మ || ఢ్య || ఢ్ర || ఢ్ల || ఢ్వ || ఢ్శ || ఢ్ష || ఢ్స || ఢ్హ || ఢ్ళ || ఢ్క్ష || ఢ్ఱ
|-
! ణ
| ణ్క || ణ్ఖ || ణ్గ || ణ్ఘ || ణ్ఙ || ణ్చ || ణ్ఛ || ణ్జ || ణ్ఝ || ణ్ఞ || ణ్ట || ణ్ఠ || ణ్డ || ణ్ఢ || ణ్ణ || ణ్త || ణ్థ || ణ్ద || ణ్ధ || ణ్న || ణ్ప || ణ్ఫ || ణ్బ || ణ్భ || ణ్మ || ణ్య || ణ్ర || ణ్ల || ణ్వ || ణ్శ || ణ్ష || ణ్స || ణ్హ || ణ్ళ || ణ్క్ష || ణ్ఱ
|-
! త
| త్క || త్ఖ || త్గ || త్ఘ || త్ఙ || త్చ || త్ఛ || త్జ || త్ఝ || త్ఞ || త్ట || త్ఠ || త్డ || త్ఢ || త్ణ || త్త || త్థ || త్ద || త్ధ || త్న || త్ప || త్ఫ || త్బ || త్భ || త్మ || త్య || త్ర || త్ల || త్వ || త్శ || త్ష || త్స || త్హ || త్ళ || త్క్ష || త్ఱ
|-
! థ
| థ్క || థ్ఖ || థ్గ || థ్ఘ || థ్ఙ || థ్చ || థ్ఛ || థ్జ || థ్ఝ || థ్ఞ || థ్ట || థ్ఠ || థ్డ || థ్ఢ || థ్ణ || థ్త || థ్థ || థ్ద || థ్ధ || థ్న || థ్ప || థ్ఫ || థ్బ || థ్భ || థ్మ || థ్య || థ్ర || థ్ల || థ్వ || థ్శ || థ్ష || థ్స || థ్హ || థ్ళ || థ్క్ష || థ్ఱ
|-
! ద
| ద్క || ద్ఖ || ద్గ || ద్ఘ || ద్ఙ || ద్చ || ద్ఛ || ద్జ || ద్ఝ || ద్ఞ || ద్ట || ద్ఠ || ద్డ || ద్ఢ || ద్ణ || ద్త || ద్థ || ద్ద || ద్ధ || ద్న || ద్ప || ద్ఫ || ద్బ || ద్భ || ద్మ || ద్య || ద్ర || ద్ల || ద్వ || ద్శ || ద్ష || ద్స || ద్హ || ద్ళ || ద్క్ష || ద్ఱ
|-
! ధ
| ధ్క || ధ్ఖ || ధ్గ || ధ్ఘ || ధ్ఙ || ధ్చ || ధ్ఛ || ధ్జ || ధ్ఝ || ధ్ఞ || ధ్ట || ధ్ఠ || ధ్డ || ధ్ఢ || ధ్ణ || ధ్త || ధ్థ || ధ్ద || ధ్ధ || ధ్న || ధ్ప || ధ్ఫ || ధ్బ || ధ్భ || ధ్మ || ధ్య || ధ్ర || ధ్ల || ధ్వ || ధ్శ || ధ్ష || ధ్స || ధ్హ || ధ్ళ || ధ్క్ష || ధ్ఱ
|-
! న
| న్క || న్ఖ || న్గ || న్ఘ || న్ఙ || న్చ || న్ఛ || న్జ || న్ఝ || న్ఞ || న్ట || న్ఠ || న్డ || న్ఢ || న్ణ || న్త || న్థ || న్ద || న్ధ || న్న || న్ప || న్ఫ || న్బ || న్భ || న్మ || న్య || న్ర || న్ల || న్వ || న్శ || న్ష || న్స || న్హ || న్ళ || న్క్ష || న్ఱ
|-
! ప
| ప్క || ప్ఖ || ప్గ || ప్ఘ || ప్ఙ || ప్చ || ప్ఛ || ప్జ || ప్ఝ || ప్ఞ || ప్ట || ప్ఠ || ప్డ || ప్ఢ || ప్ణ || ప్త || ప్థ || ప్ద || ప్ధ || ప్న || ప్ప || ప్ఫ || ప్బ || ప్భ || ప్మ || ప్య || ప్ర || ప్ల || ప్వ || ప్శ || ప్ష || ప్స || ప్హ || ప్ళ || ప్క్ష || ప్ఱ
|-
! ఫ
| ఫ్క || ఫ్ఖ || ఫ్గ || ఫ్ఘ || ఫ్ఙ || ఫ్చ || ఫ్ఛ || ఫ్జ || ఫ్ఝ || ఫ్ఞ || ఫ్ట || ఫ్ఠ || ఫ్డ || ఫ్ఢ || ఫ్ణ || ఫ్త || ఫ్థ || ఫ్ద || ఫ్ధ || ఫ్న || ఫ్ప || ఫ్ఫ || ఫ్బ || ఫ్భ || ఫ్మ || ఫ్య || ఫ్ర || ఫ్ల || ఫ్వ || ఫ్శ || ఫ్ష || ఫ్స || ఫ్హ || ఫ్ళ || ఫ్క్ష || ఫ్ఱ
|-
! బ
| బ్క || బ్ఖ || బ్గ || బ్ఘ || బ్ఙ || బ్చ || బ్ఛ || బ్జ || బ్ఝ || బ్ఞ || బ్ట || బ్ఠ || బ్డ || బ్ఢ || బ్ణ || బ్త || బ్థ || బ్ద || బ్ధ || బ్న || బ్ప || బ్ఫ || బ్బ || బ్భ || బ్మ || బ్య || బ్ర || బ్ల || బ్వ || బ్శ || బ్ష || బ్స || బ్హ || బ్ళ || బ్క్ష || బ్ఱ
|-
! భ
| భ్క || భ్ఖ || భ్గ || భ్ఘ || భ్ఙ || భ్చ || భ్ఛ || భ్జ || భ్ఝ || భ్ఞ || భ్ట || భ్ఠ || భ్డ || భ్ఢ || భ్ణ || భ్త || భ్థ || భ్ద || భ్ధ || భ్న || భ్ప || భ్ఫ || భ్బ || భ్భ || భ్మ || భ్య || భ్ర || భ్ల || భ్వ || భ్శ || భ్ష || భ్స || భ్హ || భ్ళ || భ్క్ష || భ్ఱ
|-
! మ
| మ్క || మ్ఖ || మ్గ || మ్ఘ || మ్ఙ || మ్చ || మ్ఛ || మ్జ || మ్ఝ || మ్ఞ || మ్ట || మ్ఠ || మ్డ || మ్ఢ || మ్ణ || మ్త || మ్థ || మ్ద || మ్ధ || మ్న || మ్ప || మ్ఫ || మ్బ || మ్భ || మ్మ || మ్య || మ్ర || మ్ల || మ్వ || మ్శ || మ్ష || మ్స || మ్హ || మ్ళ || మ్క్ష || మ్ఱ
|-
! య
| య్క || య్ఖ || య్గ || య్ఘ || య్ఙ || య్చ || య్ఛ || య్జ || య్ఝ || య్ఞ || య్ట || య్ఠ || య్డ || య్ఢ || య్ణ || య్త || య్థ || య్ద || య్ధ || య్న || య్ప || య్ఫ || య్బ || య్భ || య్మ || య్య || య్ర || య్ల || య్వ || య్శ || య్ష || య్స || య్హ || య్ళ || య్క్ష || య్ఱ
|-
! ర
| ర్క || ర్ఖ || ర్గ || ర్ఘ || ర్ఙ || ర్చ || ర్ఛ || ర్జ || ర్ఝ || ర్ఞ || ర్ట || ర్ఠ || ర్డ || ర్ఢ || ర్ణ || ర్త || ర్థ || ర్ద || ర్ధ || ర్న || ర్ప || ర్ఫ || ర్బ || ర్భ || ర్మ || ర్య || ర్ర || ర్ల || ర్వ || ర్శ || ర్ష || ర్స || ర్హ || ర్ళ || ర్క్ష || ర్ఱ
|-
! ల
| ల్క || ల్ఖ || ల్గ || ల్ఘ || ల్ఙ || ల్చ || ల్ఛ || ల్జ || ల్ఝ || ల్ఞ || ల్ట || ల్ఠ || ల్డ || ల్ఢ || ల్ణ || ల్త || ల్థ || ల్ద || ల్ధ || ల్న || ల్ప || ల్ఫ || ల్బ || ల్భ || ల్మ || ల్య || ల్ర || ల్ల || ల్వ || ల్శ || ల్ష || ల్స || ల్హ || ల్ళ || ల్క్ష || ల్ఱ
|-
! వ
| వ్క || వ్ఖ || వ්గ || వ්ఘ || వ්ఙ || వ්చ || వ්ఛ || వ්జ || వ්ఝ || వ్ఞ || వ්ట || వ්ఠ || వ්డ || వ්ఢ || వ්ణ || వ්త || వ්థ || వ්ద || వ්ధ || వ්న || వ්ప || వ්ఫ || వ්బ || వ්భ || వ්మ || వ్య || వ్ర || వ්ల || వ్వ || వ්శ || వ්ష || వ්స || వ්హ || వ්ళ || వ්క్ష || వ්ఱ
|-
! శ
| శ్క || శ్ఖ || శ్గ || శ్ఘ || శ్ఙ || శ్చ || శ్ఛ || శ్జ || శ్ఝ || శ్ఞ || శ్ట || శ్ఠ || శ్డ || శ్ఢ || శ్ణ || శ్త || శ్థ || శ్ద || శ్ధ || శ్న || శ్ప || శ్ఫ || శ్బ || శ్భ || శ్మ || శ్య || శ్ర || శ్ల || శ్వ || శ්శ || ଶ್ష || ଶ್ಸ || ශ්హ్హ || ଶ්ళ || ଶ්క్ష || ଶ්ఱ
|-
! ష
| ష్క || ష్ఖ || ష్ଗ || ష్ଘ || ష్ఙ || ష్ଚ || ష్ఛ || ష్జ || ష్ଝ || ష్ఞ || ଷ୍ଟ || ଷ୍ఠ || ଷ୍ଡ || ଷ୍ఢ || ଷ୍ణ || ଷ୍ତ || ଷ୍ଥ || ଷ୍ଦ || ଷ୍ధ || ଷ୍ନ || ଷ୍ପ || ଷ୍
참조
[1]
뉴스
Evolution of Telugu Character Graphs
http://www.engr.mun.[...]
2013-07-22
[2]
웹사이트
chart
https://web.archive.[...]
2020-06-15
[3]
웹사이트
Antiquity of Telugu language and script
http://www.hindu.com[...]
[4]
웹사이트
Ananda Buddha Vihara
http://www.buddhavih[...]
[5]
웹사이트
The Great Stupa at Nagarjunakonda in Southern India
http://www.wuys.com/[...]
[6]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Writing Systems
[7]
서적
Handbook of Literacy in Akshara Orthography
[8]
서적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the Indo-Ary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elugu Script
http://www.tdil.meit[...]
2002-04-00
[10]
서적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1948
[11]
서적
English translation of 'Kitab-ul Hind'
National Book Trust
[12]
웹사이트
Telugu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s://omniglot.com[...]
[13]
웹사이트
Proposal to encode 0C5A TELUGU LETTER RRRA
https://unicode.org/[...]
2012-00-00
[14]
문서
Telugulo Chandoviseshaalu
[15]
웹사이트
Pedda Balasiksha
https://archive.org/[...]
Poomagal Vilasam Mudraksharasala, Madras
[16]
웹사이트
Telugu Measures and Arithmetic Marks
http://www.dkuug.dk/[...]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2-07-29
[17]
웹사이트
Developing OpenType Fonts for Telugu Script
https://docs.microso[...]
2018-02-08
[18]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5.0: Chapter 9, South Asian Scripts-I
https://www.unicode.[...]
Addison-Wesley
2007-00-00
[19]
웹사이트
rdar://37458268: iOS and Mac OS System can't render symbol and has crashed
http://www.openradar[...]
2018-02-12
[20]
뉴스
iPhones, iPads and Macs crashed by Indian Telugu character sent via SMS, WhatsApp and other apps
https://www.independ[...]
2018-02-15
[21]
뉴스
Apple to Fix Telugu Character Bug Causing Devices to Crash in Minor iOS Update
https://www.macrumor[...]
2018-02-15
[22]
웹사이트
http://www.mobilewor[...]
[23]
웹사이트
https://www.itmedia.[...]
[24]
웹사이트
https://www.itmedia.[...]
[25]
웹사이트
https://www.it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