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나다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나다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인도 남부의 고유 문자로, 찰루키아 왕조 시대에 텔루구 문자와 분리되었다. 11세기에 알 비루니가 '카르나타' 문자라고 언급했으며, 16세기 이후 자형의 큰 변화 없이 19세기 초 인쇄술의 발달로 자형의 차이가 나타났다. 칸나다 문자는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음절을 표기하는 아부기다 방식이며, 13개의 모음과 3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다. 유니코드에는 U+0C80–U+0CFF 블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컴퓨터 입력에는 다양한 음역 체계가 사용된다. 또한, 칸나다 문자는 이모티콘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칸나다 문자 | |
---|---|
개요 | |
![]() | |
유형 | 아부기다 |
사용 언어 | 칸나다어 산스크리트어 툴루어 코다바어 바다가어 베어리어 산케티 방언 콘칸어 마라티어 |
사용 시기 | 기원전 4세기 – 현재 |
조상 문자 | 이집트 상형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카담바 문자 칸나다-텔루구 문자 |
자매 문자 | 텔루구 문자 |
자식 문자 | 고이카나디 |
유니코드 범위 | U+0C80–U+0CFF |
ISO 15924 | Knda |
문자 체계 | |
문자 이름 (칸나다어) | ಅಕ್ಷರಮಾಲೆ (Aksharamale) ವರ್ಣಮಾಲೆ (Varnamale) |
문자 유형 | 아부기다 |
문자 수 | 49자 (모음 13자, 자음 34자, 요가바하카 2자) |
문자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합자 | 존재하는 (ಒತ್ತಕ್ಷರ - Ottakshara) |
모음 | ಸ್ವರ (스바라 - Svara) |
자음 | ವ್ಯಂಜನ (뱐자나 - Vyanjana) |
요가바하카 | ಯೋಗವಾಹಕ (요가바하카 - Yogavahaka) |
글자 | ಅಕ್ಷರ (악샤라 - Akshara), ಅಕ್ಕರ (악카라 - Akkara), ವರ್ಣ (바르나 - Varna), ಆಕಾರ (아카라 - Akara) |
소리 | ಶಬ್ದ (샤브다 - Shabda) |
칸나다어 | |
칸나다어 화자 수 | 5690만 명 |
2. 역사
칸나다 문자는 아쇼카 브라흐미 문자에서 진화했으며,[12][13][14] 이후 찰루키아 왕조와 후기 벵기 찰루키아 왕조 시대에 칸나다-텔루구 문자로 발전했다.[15][16][17]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는 대략 1300년경에 분리되었다.[18][19]
5세기까지 칸나다 문자에는 단모음 ಎ|에kn, ಒ|오kn 와 장모음 ಏ|에-kn, ಓ|오-kn 사이의 구분이 없었으나, [r] ಱ|러kn, 권설 측음 ಳ|럴kn 및 권설음 ೞ|러kn 와 같은 특수 자음을 나타내기 위해 뚜렷한 기호가 사용되었다.
2. 1. 기원
칸나다 문자는 인도 북부에서 기원전 성립된 브라흐미 문자가 데칸고원 남부(인도 중남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여 만들어졌다.[12][13][14]4세기경 브라흐미 문자는 남북 간 자형에 큰 차이가 생겼는데, 이때 데칸고원 남부에서 사용되던 자형이 현재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근원이 되는 카담바 문자이다. 카담바 문자는 당시 시대의 문자라는 의미이다. 이 무렵부터 고대 칸나다어로 쓰여진 텍스트가 나타나며, 5세기에 새겨진 할미디 비문이 그 예시이다.
이후 필기 도구가 패엽(야자)에 가는 철필로 흠집을 내는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패엽이 찢어지지 않도록 곡선이 많은 형태로 문자 모양이 바뀌었다. 9세기 전후, 이러한 곡선화 경향이 두드러진 문자를 텔루구-칸나다 문자(원 칸나다 문자)라고 한다.[15][16][17]
10세기 이후 동서 간 자형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5세기경 안드라프라데시 주에서 사용되는 텔루구 문자와 차이가 분명해졌다. 이 시기 이후 동쪽 자형은 텔루구 문자, 서쪽 자형은 칸나다 문자가 되었다.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는 16세기경 큰 자형 변화가 없어졌고, 19세기 초 인쇄술 발달로 자형 차이가 뚜렷해졌지만, 여전히 많은 자모가 유사하다.[18][19]
11세기 페르시아 학자 알 비루니는 칸나다 문자를 ''카르나타''에서 사용된 ''카르나타'' 문자라고 불렀다.[20]
ka | ja | ṭa | pa | la | sa | sā | sai | |
---|---|---|---|---|---|---|---|---|
칸나다 문자 | ಕ | ಜ | ಟ | ಪ | ಲ | ಸ | ಸಾ | ಸೈ |
텔루구 문자 | క | జ | ట | ప | ల | స | సా | సై |
2. 2. 카담바 문자
칸나다 문자는 아쇼카 브라흐미 문자에서 진화했으며,[12][13][14] 이후 찰루키아 왕조와 후기 벵기 찰루키아 왕조 시대에 칸나다-텔루구 문자로 진화했다.[15][16][17]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는 대략 서기 1300년경에 분리되었다.[18][19]11세기 페르시아 학자이자 박식가인 알 비루니는 칸나다 문자를 ''카르나타''에서 사용된 ''카르나타'' 문자라고 부른다.[20]
칸나다 문자는 기원전 인도 북부에서 성립된 브라흐미 문자가 데칸고원 남부(인도 중남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형 변화를 거쳐 성립된 것이다. 기원전 인도 북부에서 성립된 브라흐미 문자는 이후 인도 각지에서 여러 가지로 자형이 변화했으며, 4세기 경에는 남북에서 자형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때 데칸고원 남부에서 사용되던 자형이 현재의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근원이 되는 카담바 문자(이 시대의 문자를 그 특징에서 상자형 문자, 혹은 카담바 왕조 시대의 문자라는 의미)이다. 5세기에 새겨졌다고 전해지는 할미디 비문은 고대 칸나다어로 쓰여진 현존하는 텍스트의 예시이다.
2. 3. 텔루구-칸나다 문자
칸나다 문자는 아쇼카의 브라흐미 문자에서 진화했으며,[12][13][14] 이후 찰루키아 왕조와 후기 벵기 찰루키아 왕조 시대에 칸나다-텔루구 문자로 발전했다.[15][16][17]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는 대략 1300년경에 분리되었다.[18][19]칸나다 문자는 기원전 인도 북부에서 만들어진 브라흐미 문자가 데칸고원 남부(인도 중남부)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형태가 변화하여 만들어졌다. 4세기경 남북의 문자 형태에 큰 차이가 생겼는데, 이때 데칸고원 남부에서 사용되던 문자가 현재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기원이 되는 카담바 문자이다. 이 시대의 문자는 그 특징 때문에 상자형 문자, 혹은 카담바 왕조 시대의 문자라는 뜻으로 카담바 문자 등으로 불린다.
5세기에 새겨진 할미디 비문은 Old Kannada영어로 쓰여진 현존하는 텍스트의 예시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필기 도구가 변화했는데, 패엽(야자)에 가는 철필로 흠집을 내어 쓰는 방식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패엽의 섬유를 따라 필기하여 서면이 찢어지지 않도록 곡선이 많은 형태로 변화했다. 9세기 전후의 문자를 텔루구-칸나다 문자(원 칸나다 문자라고도 함)라고 한다.
10세기 이후 동서 간에 문자 형태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안드라프라데시 주에서 사용되는 텔루구 문자와 거의 같은 변화를 겪었다. 텔루구 문자와의 차이가 뚜렷해진 것은 15세기경으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 시기 이후 동쪽의 형태는 텔루구 문자, 서쪽의 형태는 칸나다 문자가 되었다.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 모두 16세기경부터 큰 형태 변화가 없어졌고, 19세기 초에는 인쇄가 성행하면서 형태의 차이가 더 뚜렷해졌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두 문자는 많은 글자가 매우 비슷하다.
ka | ja | ṭa | pa | la | sa | sā | sai | |
---|---|---|---|---|---|---|---|---|
칸나다 문자 | ಕ | ಜ | ಟ | ಪ | ಲ | ಸ | ಸಾ | ಸೈ |
텔루구 문자 | క | జ | ట | ప | ల | స | సా | సై |
2. 4.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분리
칸나다 문자는 인도 북부에서 기원된 브라흐미 문자가 데칸고원 남부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형태가 변화하여 만들어졌다.4세기경, 남북 인도에서 브라흐미 문자의 형태에 큰 차이가 생겼다. 이때 데칸고원 남부에서 사용되던 문자가 현재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기원이 되는 카담바 문자(카담바 문자(고대 문자))이다. 이 시기부터 고대 칸나다어로 쓰여진 텍스트가 나타나는데, 5세기에 새겨진 할미디 비문이 그 예이다.
이후 필기 도구가 변화하면서, 패엽(야자)에 철필로 흠집을 내어 쓰는 방식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패엽이 찢어지지 않도록 곡선이 많은 형태로 문자가 변화했다. 9세기 전후,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 문자를 텔루구-칸나다 문자라고 한다.
10세기 이후, 동서 간에 문자 형태의 차이가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다. 안드라프라데시 주에서 사용되는 텔루구 문자와 거의 같은 형태로 변화해왔으며, 텔루구 문자와의 차이가 뚜렷해진 것은 15세기경으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 시기 이후 동쪽의 형태는 텔루구 문자, 서쪽의 형태는 칸나다 문자가 되었다.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 모두 16세기경에는 큰 형태 변화가 없어졌고, 19세기 초에는 인쇄술의 발달로 형태 차이가 더 뚜렷해졌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두 문자는 많은 글자 모양이 매우 비슷하다.
ka | ja | ṭa | pa | la | sa | sā | sai | |
---|---|---|---|---|---|---|---|---|
칸나다 문자 | ಕ | ಜ | ಟ | ಪ | ಲ | ಸ | ಸಾ | ಸೈ |
텔루구 문자 | క | జ | ట | ప | ల | స | సా | సై |
칸나다 문자는 아부기다의 일종으로, 자음 문자에 모음 부호를 붙여 음절을 표기한다. 기본 자음 문자는 "자음+a" 음절을 나타내며, 다른 모음을 붙일 때는 해당 모음 부호를 자음 문자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ಕ"는 "ka"로 읽지만, "ಕಾ"는 "kā"로, "ಕೊ"는 "ko"로 읽는다. 자음 없이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은 별도의 모음 기초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ಆ"는 "ā"를 나타낸다.
3. 특징
이러한 문자 체계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기원했으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여러 문자들이 이와 유사한 방식을 따른다. 라틴 문자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독립적인 문자로 표기되는 체계는 알파벳이라고 부른다.
3. 1. 자음
칸나다 문자의 자음은 단독으로 "자음 + 수반 모음(칸나다 문자의 경우 a )" 음절을 나타낸다. 따라서 칸나다 문자는 음절 문자이다. 예를 들어 기본 자음 문자 ಕ는 단독으로 "ka" 로 읽히는 하나의 음절이다.
자음에 단모음 a 이외의 모음을 붙인 음절을 표기하고 싶을 때는 자음 문자에 모음 부호를 붙인다. 예를 들어 자음 k에 장모음 ā 를 붙인 음절 "kā"를 표기하려면, 모음 부호 ാ의 파선의 원에 자음 문자를 넣어서 ಕಾ로 쓰고, 이것을 "kā" 라고 읽는다. 마찬가지로 단모음 o 를 붙이고 싶을 경우에는 ൊ라는 형태의 모음 부호를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ಕೊ라고 쓰고, 이것을 "ko" 라고 읽는다.
또한, 자음이 없고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표기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모음의 기초 문자가 있으며, 그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ಆ는 단독으로 ā 를 나타낸다.
이처럼 기초 문자를 단독으로 "자음 + 모음"의 음절로 읽고, 음절에 부속된 모음을 바꾸고 싶을 때 부가 기호를 붙이는 이러한 서자 시스템을 아부기다라고 부른다. 칸나다 문자의 기원이 된 브라흐미 문자 자체가 이러한 서자 시스템이며, 때문에 이 문자에서 파생된 남아시아·동남아시아의 문자의 대부분이 아부기다에 분류된다. 영어, 독일어 등에서 사용되는 라틴 문자는 자음과 모음을 별개의 독립 문자로 나타내므로, 라틴 문자 같은 표기 시스템을 칸나다 문자 같은 아부기다와 구별하여 알파벳이라고 부른다.
칸나다 문자는 자음 결합 클러스터가 풍부하며, 대부분의 자음은 표준 부기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진정한 합자 클러스터는 거의 없다. 글꼴에 따라 개별 결합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특히 ರkn (ra) 문자와 관련된 시퀀스에 주목해야 한다. 다른 문자와 달리, 결합 형태는 시퀀스에서 먼저 발음되더라도 두 번째로 쓰인다. 예를 들어, ''Karnāṭaka'' (ಕರ್ನಾಟಕ)라는 단어의 /rnaː/는 ರ್ನಾ가 아닌 ರ್ನಾ로 쓰여진다.
비음 자음 ಙkn (ṅa), ಞkn (ña), ಣkn (ṇa), ನkn (na), 및 ಮkn (ma)는 다른 자음에 앞서면 자음 결합이 아닌 아누스바라 ಂkn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Beṅgaḷūru'' (ಬೆಂಗಳೂರು)라는 단어의 /ŋg/는 ಙ್ಗkn (ಬೆಙ್ಗಳೂರು)가 아닌 ಂಗkn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3. 1. 1. 구조 자음
칸나다어에서 자음 문자(ವ್ಯಂಜನ|vyan̄janakn)는 '''구조 자음'''과 '''비구조 자음'''의 두 가지 범주로 정의된다. 구조 자음은 혀가 입천장에 닿는 위치인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무성음 | 무성유기음 | 유성음 | 유성유기음 | 비음 | |
---|---|---|---|---|---|
연구개음 | ಕ (ka) | ಖ (kha) | ಗ (ga) | ಘ (gha) | ಙ (ṅa) |
경구개음 | ಚ (ca) | ಛ (cha) | ಜ (ja) | ಝ (jha) | ಞ (ña) |
권설음 | ಟ (ṭa) | ಠ (ṭha) | ಡ (ḍa) | ಢ (ḍha) | ಣ (ṇa) |
치음 | ತ (ta) | ಥ (tha) | ದ (da) | ಧ (dha) | ನ (na) |
순음 | ಪ (pa) | ಫ (pha) | ಬ (ba) | ಭ (bha) | ಮ (ma) |
칸나다 문자의 자음 자모와 그 발음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 표의 순서는 사전 순이다.
파열음 | 비음 | |||||||||
---|---|---|---|---|---|---|---|---|---|---|
무기무성음 | 유기 무성음 | 무기유성음 | 유기 유성음 | |||||||
연구개음 | ಕ | ka | ಖ | kha | ಗ | ga | ಘ | gha | ಙ | ṅa |
치경구개음 | ಚ | ca | ಛ | cha | ಜ | ja | ಝ | jha | ಞ | ña |
권설음 | ಟ | ṭa | ಠ | ṭha | ಡ | ḍa | ಢ | ḍha | ಣ | ṇa |
치음 | ತ | ta | ಥ | tha | ದ | da | ಧ | dha | ನ | na |
양순음 | ಪ | pa | ಫ | pha | ಬ | ba | ಭ | bha | ಮ | ma |
기타 | ||||||||||
반모음・유음 | ಯ | ya | ರ | ra | ಲ | la | ವ | va | ಶ | śa |
마찰음 | ಷ | ṣa | ಸ | sa | ಹ | ha | ಳ | ḷa | ||
기타 유음 | ಱ | ṟa | ೞ | ḻa |
이들 자모의 모양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 많은 자모의 윗부분에는 오른쪽 끝이 위로 꺾인 형태의 가로획이 있는데, 이를 "'''타레카투'''"라고 부른다. 타레카투는 브라흐미 계열의 여러 문자가 발달하는 단계에서 세로 획의 시작 부분이 변화한 것으로, 데바나가리 등 북방 계열 문자에서 보이는 윗부분 가로선(시로레카)에 해당한다. 모음 부호를 표기할 때, 타레카투를 가진 문자는 그 오른쪽 끝의 모양을 변형하여 부호를 붙인다.
- 파열음을 나타내는 자모 중에는, ಪ (pa)에 대해 ಫ (pha)처럼, 무기음에 대해 아랫부분 중앙에 짧은 세로선을 붙이는 것만으로 유기음을 나타내는 자모가 있다. 원래 드라비다어족의 하나인 칸나다어에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음운 대립이 없었고, p와 ph는 같은 소리로 인식되어 유기음을 나타내는 자모는 필요하지 않았다. 유기음 자모는 산스크리트어 등의 인도유럽어족 인도어파 언어에서 온 차용어에 자주 사용된다.
참고로, ಱ (ṟa)와 ೞ (ḻa)는 고전에 사용되었던 문자이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3. 1. 2. 비구조 자음
칸나다어에서 자음 문자(ವ್ಯಂಜನ|vyan̄janakn)는 구조 자음과 비구조 자음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비구조 자음은 특정 구조에 속하지 않는 자음을 말한다.ಯ|yakn | ರ|rakn | ಱ|ṟakn | ಲ|lakn | ವ|vakn | ಶ|śakn | ಷ|ṣakn | ಸ|sakn | ಹ|hakn | ಳ|ḷakn | ೞ|ḻakn |
참고로, ಱ|ṟakn, ೞ|ḻakn는 고전에 사용되었던 문자이며, 현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1]
3. 1. 3. 소멸된 문자
칸나다 문학 작품에서는 ಱ|ṟ|르kn (rh로 음역) 및 ೞ|ḻ|르kn (lh 또는 zh로 음역) 문자를 사용했으며, 이들의 발음 방식은 현재 말라얄람어 및 타밀어와 유사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 문자들은 각각 12세기와 18세기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후의 칸나다 작품에서는 'rh'와 'lh'를 각각 ರ|ra|라kn와 ಳ|la|라kn로 대체했다.[22]이 문자는 여전히 바다가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모음 + 비라마 + ḻ는 바다가어의 권설 모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23]
사라진 또 다른 문자(또는 분류되지 않은 ''vyanjana''(자음))는 'nh' 또는 'inn'이다.

참고로, ಱ|ṟa|라kn , ೞ|ḻa|라kn 는 고전에 사용되었던 문자이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3. 2. 모음
현대 칸나다어에는 13개의 모음 문자(ಸ್ವರ|스바라kn)가 있다. 칸나다 문자는 아부기다로, 자음 뒤에 모음이 오면 별도의 문자가 아닌 변별 기호로 표기된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3개의 구식 모음도 있다.칸나다 문자는 음절 단위인 악샤라(또는 '카구니타')로 쓰인다. 자음 문자는 모음의 변별 기호와 결합하는데, 변별 기호가 없는 자음 문자(예: ಕ|카kn)는 기본 모음 ಅ|아kn를 포함한다. 모음이 없는 자음(예: ಕ್|크kn)은 '킬러' 획, 즉 ಹಲಂತ|할란타kn (비라마)으로 표시되며, 이 문자는 ಅರ್ಧಾಕ್ಷರ|아르다악샤라kn(반 자음)라고 불린다.[21]
칸나다어는 모음 길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므로, 단모음(ಹ್ರಸ್ವ|흐라스바kn)과 장모음(ದೀರ್ಘ|디르가kn)을 구별하는 두 가지 변별 기호가 있다.[21]
3. 2. 1. 독립형 모음
현대 칸나다어에는 13개의 모음 문자(ಸ್ವರ|스바라kn)가 있다. 칸나다 문자는 아부기다로, 자음 뒤에 모음이 오면 별도의 문자가 아닌 변별 기호로 표기된다.칸나다어는 음소 모음 길이 구분을 가지므로, 단모음과 장모음에 대한 두 세트의 변별 기호가 있다. 단모음은 ಹ್ರಸ್ವ|hrasvakn라고 하며, 장모음은 ದೀರ್ಘ|dīrghakn라고 한다.[21]
독립형 |
---|
는 원래 산스크리트어에서 모음으로 취급되었으며, 때때로 로 바뀐다. 그 외에도 도 산스크리트어 기원의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이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2. 2. 모음 부호
칸나다 문자는 아부기다의 일종으로, 자음 뒤에 모음이 올 때 별도의 문자가 아닌 변별 기호로 표기된다. 자음에 모음이 결합된 형태를 악샤라 또는 '카구니타'라고 부른다.[21]모음이 없는 자음은 '킬러' 획으로 표시되는 ಹಲಂತ|할란타kn (비라마)로 표시되며, 이 문자는 ಅರ್ಧಾಕ್ಷರ|아르다악샤라kn라고 불린다.[21]
칸나다어는 모음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단모음(ಹ್ರಸ್ವ|흐라스바kn)과 장모음(ದೀರ್ಘ|디르가kn)을 구분하는 두 가지 변별 기호가 있다.[21]
독립형 | 변별 기호 템플릿 | ದ와 함께 사용되는 변별 기호 |
---|---|---|
다음 표는 모음 문자, 부가 기호, ಕ와의 결합 예시, 그리고 각 모음의 발음을 보여준다.
모음 문자 | 부가 기호 | ಕ + 의 예 | 모음의 발음 |
---|---|---|---|
ಅ | (없음) | ಕ | a (ʌ) |
ಆ | ಾ | ಕಾ | ā (ɑː) |
ಇ | ಿ | ಕಿ | i (ɪ) |
ಈ | ೀ | ಕೀ | ī (iː) |
ಉ | ು | ಕು | u (ʊ) |
ಊ | ೂ | ಕೂ | ū (uː) |
ಋ | ೃ | ಕೃ | ṛ (ru) |
ೠ | ೄ | ಕೄ | ṝ (ruː) |
ಌ | (오른쪽으로 쓰기 연결) | ಕಌ | ḷ (ɭu) |
ೡ | (오른쪽으로 쓰기 연결) | ಕೡ | ḹ (ɭuː) |
ಎ | ೆ | ಕೆ | e (e) |
ಏ | ೇ | ಕೇ | ē (eː) |
ಐ | ೈ | ಕೈ | ai (ai) |
ಒ | ೊ | ಕೊ | o (o) |
ಓ | ೋ | ಕೋ | ō (oː) |
ಔ | ೌ | ಕೌ | au (au) |
모음(a) 삭제 기호 | ್ | ಕ್ |
는 원래 산스크리트어에서 모음으로 취급되었으며, 때때로 로 바뀐다. 도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모음 문자이지만, 현대 칸나다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부가 기호 중 일부는 상부에 부가되며, 그 중 를 제외한 (모음 삭제 부호)는 자음자가 타레카투(상부 우측이 말린 가로획)를 갖는지 여부에 따라 붙는 방식이 다르다.
- 타레카투가 있는 자음자: 우측의 말린 부분을 바꾼다.
- 타레카투가 없는 자음자: 자음자의 필획의 종점(우상단에서 끝남)에서 이어서 쓴다.
- 는 타라카투가 있는 것처럼 붙인다.
- 는, 추가적인 획을 더한 후 이어서 부가 기호를 붙인다.
자음자와 모음 부가 기호의 조합에 따라 예외적인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는 붙는 방식이 3가지 패턴으로 나뉜다.
- (모음 삭제 부호):
- 타레카투와 획의 종점이 떨어져 있는 자모(): 타레카투에 잇지 않고 우측의 획의 종점에 이어서 쓴다.
colspan="2" | | ā | au | 모음 삭제 | |
---|---|---|---|---|
jha | ||||
ma | ||||
ya |
- : 타레카투를 뗀 자형에 따라 다음 3가지 패턴 중 하나를 따른다.
1. 상부가 원호 형태의 자형 자모 ( 제외): 타레카투를 제거하고 원호와 같은 것을 첨가한다.
2. 획의 끝이 타레카투에 연결되어 있으며, 획의 끝이 우하에서 좌상으로 뻗어가는 형태의 자모: 타레카투를 뗀 후 이어서 쓴다. 부가 기호 형태 변화에 주의한다.
3. 기타: 타레카투를 제거한 후 위 표대로 기호를 붙인다.
- 는 두 번째 방법에 따른다.
- 는 타레카투 바로 전 획까지 제거하고 부가 기호를 더한다.
- :
- : 통상보다 아래에서 부가 기호를 쓰기 시작한다.
colspan="2" | | u | ū | |
---|---|---|---|
pa | style="background:#ccc;" | | ||
pha | style="background:#ccc;" | | ||
va | style="background:#ccc;" | |
- :
- : 의 경우와 같이 통상보다 아래에서 부가 기호를 쓰기 시작한다.
- 타레카투와 획의 종점이 떨어져 있는 자모 (): 획을 줄인 다음 부가 기호를 연결한다.
colspan="2" | | o | ō | |
---|---|---|---|
jha | style="background:#ccc;" | | ||
ma | style="background:#ccc;" | | ||
ya | style="background:#ccc;" | |
에는, 붙는 방식에 예외가 없다.
3. 3. 특수 기호
현대 칸나다어에서 사용되는 ''요가바하''(부분 모음, 부분 자음) 문자는 두 개가 있으며, 다른 두 개는 산스크리트어 표기에 사용되는 ''아르다비사르가''로 알려져 있다.기호 | 아누스와라(anusvara) | 비사르가(visarga) | 지흐바물리야(jihvamuliya) | 우파드마니야(upadhmaniya) |
---|---|---|---|---|
ಅ와 함께 사용되는 기호 | ಅಂ | ಅಃ | ಅೱ | ಅೲ |
ದ와 함께 사용되는 기호 | ದಂ | ದಃ | ದೱ | ದೲ |
음절 말 자음을 나타내는 데는 다음과 같은 특수 기호가 있다.
부호 | 명칭 | 사용 예 | 용도 |
---|---|---|---|
ಂ | 아누스와라 | ಕಂ (kaṁ) | 음절 말에 비음(n, m 등)이 옴을 나타낸다. |
ಃ | 비사르가 | ಕಃ (kaḥ) | 음절 말에 기식이 붙는 것을 나타낸다. 산스크리트어 기원의 단어에 한정되어 사용된다. |
구두점에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서구식의 마침표(.), 쉼표(,), 물음표(?)를 사용하며, 전통적인 것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숫자
칸나다 문자의 십진수 숫자는 다음과 같다.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೦ | ೧ | ೨ | ೩ | ೪ | ೫ | ೬ | ೭ | ೮ | ೯ |
사용법은 아라비아 숫자와 같다. 예를 들어 906은 ೯೦೬으로 쓴다.
하지만, 현재는 서양식 "0123456789"가 대부분의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칸나다 문자 고유의 숫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5. 유니코드
[https://www.unicode.org/charts/PDF/U0C8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