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마르 무크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마르 무크타르는 1858년 리비아에서 태어난 아랍 민피 부족 출신으로, 세누시 교단의 일원이자 부족 지도자였다. 그는 프랑스의 차드 침략에 맞서 싸웠으며, 1911년 이탈리아의 리비아 침공 이후 20년 동안 게릴라전을 통해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무크타르는 사막 지형을 활용한 게릴라 전술로 이탈리아군에 큰 타격을 입혔으나, 1931년 체포되어 공개 처형되었다. 그는 리비아 독립의 상징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그의 생애는 영화 '사막의 라이언'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혁명가 - 무아마르 알 카다피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1969년 쿠데타로 리비아를 42년간 통치하며 자마히리야 체제를 수립했으나 독재 정치를 펼쳤고, 2011년 리비아 내전 중 사망했다.
오마르 무크타르
지도
기본 정보
이름오마르 알무크타르
로마자 표기‘Umar Al-Mukhtār
별칭'사막의 사자'
아랍어 표기عمر المختار
출생일1858년 8월 20일
출생지벤가지, 오스만령 트리폴리타니아, 오스만 제국
사망일1931년 9월 16일
사망지솔루크 수용소, 벤가지,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국적오스만 제국, 리비아
종교수니파
안장 장소솔루크
가족
부모알무크타르 이븐 무함마드 (아버지), 아이샤 빈트 무하립 (어머니)
자녀무함마드
직업 및 활동
직업사누시 자위야의 통치자
주요 활동오스만령 트리폴리타니아에 대한 아랍 토착 저항을 이끈 지도자
봉사 기간1896–1902년 (아인 칼크 통치자), 1902–1923년 (자위야트 라크수르 통치자), 1923–1931년 (사누시 군사령관)
정치 경력
아인 칼크 통치자1896년–1902년
라크수르 자위야 통치자1902년–1911년
군사 경력
소속사누시 교단
군사 지위사누시 군사령관
복무 기간1923년 4월 24일 – 1931년 9월 16일
이전 사령관이드리스 알세누시
다음 사령관유수프 보라힐
주요 전투이탈리아-터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사누시 전역
리비아 진정
기타
별칭'순교자의 샤이크'
관련 인물셰이크
순교자순교자
서명

2. 초기 생애

오마르 무크타르는 1858년 오스만 제국 키레나이카 지역 토브룩 근처 잔주르 마을에서 아랍 민피 부족 출신으로 태어났다. 이드리스 1세처럼 세누시 족에 속했으며[6][7], 훗날 부족의 지도자가 되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가난 속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으나, 한 셰이크에게 입양되어 후세인 가리아니의 조카인 샤리프 알 게리아니와 친구가 되었다. 그의 삼촌은 키레나이카의 정치 종교 지도자였다.

2. 1. 종교 교육과 세누시 교단

무크타르는 지역 모스크에서 초기 교육을 받은 후, 자그부브에 있는 세누시 수도원에서 8년 동안 수학했다.[8] 그는 세누시 수피교단의 회원이 되었고 꾸란 전문가이자 이맘으로 명성을 얻었다. 또한 부족 간 분쟁을 해결하는 역할을 맡으면서 사회 구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게 되었다.

2. 2. 세누시 운동과의 관계

무크타르는 자그부브 시절 세누시 운동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1895년 알-마흐디 세누시와 함께 남쪽 쿠프라로, 그리고 또 다른 경우에는 차드의 카로까지 여행을 갔고, 아인 칼크 자위야의 셰이크로 임명되었다.[8] 1899년 프랑스 제국이 차드를 침략하자, 다른 세누시 사람들과 함께 차드를 프랑스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세누시는 중앙 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에서 프랑스의 선교 활동으로 인해 그들의 확장이 위험하다고 여겼다.[8] 1902년 알-마흐디 사망 후 북쪽으로 소환되었고, 새로운 세누시 지도자 아흐메드 샤리프 알 세누시(Ahmed Sharif as-Senussi)는 그를 키레나이카 북부의 불안한 라크수르 자위야의 셰이크로 임명했다.

3. 이탈리아의 침략과 저항 운동

1911년 10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계기로 이탈리아 함대가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 해안에 나타났다. 이탈리아 함대 사령관 파라벨리는 리비아에 항복을 요구하며, 불응 시 도시를 파괴하겠다고 협박했다. 리비아군은 도시에서 퇴각했지만, 이탈리아 함대는 3일간 함포 사격을 퍼부었고, 그 후 트리폴리는 이탈리아의 통치 하에 들어갔다.[9] 오스만 제국은 철수했지만, 이는 이탈리아 점령군과 오마르 무크타르가 이끄는 저항군 간의 전쟁 시작을 알렸다.

리비아 이탈리아 침공


옴마르 무크타르 흉상


전투는 이탈리아군의 우세로 전개되었고, 1912년 10월 18일 강화 조약이 체결되어 트리폴리타니아, 페자즈, 키레나이카이탈리아 왕국에 할양되었다. 산누시 교단은 그 후에도 이탈리아 군과 전쟁을 계속했다. 1920년에 키레나이카의 지배권을 인정받았지만,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 성립으로 대립이 격화되어, 지도자 무함마드 이드리스는 1921년 12월 21일에 이집트 왕국으로 탈출했다.

무흐타르는 이드리스에 의해 리비아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반이탈리아 운동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17] 무흐타르는 키레나이카의 지형과 사막전에 정통했으며, 1924년까지 각지의 반이탈리아 게릴라를 지휘하에 두었다.[18] 게릴라전에서는 이탈리아군의 보급로와 통신시설을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이탈리아군을 몰아붙였다.[19]

1925년 4월, 이탈리아군의 반격으로 세력이 감소하자 전술을 변경하여 베두인과 이웃 국가인 이집트의 지원을 얻어 반격을 시작했고, 1926년 벵가지 전투에서는 패배했지만 이탈리아군에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20] 반이탈리아 세력은 1927년부터 1928년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1,000명 이상의 이탈리아 병사를 사살했다.[21]

1929년 1월, 리비아 총독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평화를 제안했다. 무흐타르는 협상에 응했고, 6월에 부총독 도메니코 시칠리아니와 휴전에 합의했다.[22] 11월 8일, 이탈리아 병사 4명이 게릴라에 살해당하자 트리폴리타니아 총독 에밀리오 데 보노는 전투 재개를 지시했다.[23] 또한, 1930년 1월 10일에는 시칠리아니가 무흐타르를 "배신자"로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3] 이에 대해 무흐타르는 세누시 교단의 리비아 정치 지도자 무함마드 레다의 망명을 이유로 전투 재개를 정당화했다.[24]

1930년 3월, 무솔리니는 철저한 진압을 위해 시칠리아니를 해임하고 로돌포 그라치아니를 후임 부총독으로 임명했다.[25][26] 그라치아니는 5월 29일, 무흐타르와 협력하는 종교 지도자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저항 운동을 재정적으로 압박했다.[27][28] 또한, 바돌리오는 무흐타르와 베두인의 연계를 끊기 위해 강제 수용소를 건설하고 베두인을 강제적으로 격리하도록 지시했고, 그라치아니는 이를 실행했다.[26][29][30] 더 나아가, 그라치아니는 이집트로부터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리비아-이집트 국경을 봉쇄하여 무흐타르에 대한 지원 루트를 차단했다.[31]

1930년 8월, 그라치아니는 게릴라의 근거지인 오아시스에 폭격을 시작했고, 12월 16일 지상군을 파견하여 오아시스를 섬멸했다.[32]

3. 1.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1911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리비아에 전란이 미쳤다. 10월 2일, 루이지 파라벨리의 이탈리아 해군 함대가 트리폴리에 나타났다. 오스만 군이 항복을 거부하자 이탈리아 함대는 포격을 개시했다.[15] 3일간의 포격으로 도시는 파괴되고 점령되었다.[16] 이 사건은 이탈리아 식민지군과 리비아 무장 반대 세력 사이의 키레나이카에서 일련의 전투의 시작을 알렸다.[10]

3. 2. 세누시 교단의 저항

1911년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으로 리비아에 전란이 발생하자, 세누시 교단은 오스만 군에 협력하여 이탈리아 군에 대항했다.[16] 무크타르는 이 전투에 참여하여 이후 20년간 이탈리아 군에 맞서 싸우는 계기가 되었다.[16]

4. 게릴라 전쟁

무크타르는 꾸란 교사이자 이맘이었을 뿐만 아니라, 사막 지형과 전술에 능통한 군사 지도자였다. 그는 리비아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이탈리아군에 효과적으로 맞섰다. 소규모 정예 부대를 이끌고 이탈리아군을 반복 공격한 후 사막 지형으로 사라지는 전술을 구사했다.

1924년 제벨 아크다르(녹색 산맥) 산악 지대에서 이탈리아 총독 에르네스토 봄벨리는 대게릴라 부대를 창설했지만(1925년 4월), 무크타르는 전술을 수정하고 이집트의 지원을 받아 대응했다. 1926년 벵가지 전투에서는 패배했지만 이탈리아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20] 1927년부터 1928년까지 세력을 확장하여 1,000명 이상의 이탈리아 병사를 사살했다.[21]

1929년 1월, 리비아 총독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무크타르와 평화 협상을 맺었으나, 10월 말 무크타르는 이를 비난하고 리비아군의 행동 통일을 재확립하여 1930년 3월부터 이탈리아 군사 사령관이 된 로돌포 그라치아니와의 대결을 준비했다.

1930년 6월, 무크타르의 부대에 대한 대규모 공세가 실패하자, 그라치아니는 제벨 아크다르의 10만 명의 주민들을 해안의 강제 수용소로 이주시키고, 리비아-이집트 국경을 울타리로 막아 외부 지원을 차단하는 강경책을 시행했다. 1931년 초부터 시작된 이러한 조치로 세누시 저항은 큰 타격을 입었다. 무크타르는 어려움 속에서도 투쟁을 계속했지만, 1931년 9월 11일 슬론타 근처에서 매복 공격을 받아 체포되었다.

무크타르의 마지막 적이었던 이탈리아 장군 로돌포 그라치아니는 그를 "중간 키에, 뚱뚱하고, 흰 머리카락, 수염, 콧수염을 가진 오마르는 재빠르고 활기찬 지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종교 문제에 정통했고, 이타적이고 타협하지 않는 정력적이고 충동적인 성격을 드러냈습니다."라고 묘사했다.[12]

4. 1. 사막전의 달인

원래 꾸란을 가르치는 선생이었던 무크타르는 사막 전술에도 능숙했다. 그는 자기 나라의 지형을 잘 알고 있었고, 사막전에 익숙하지 않았던 이탈리아군을 상대로 한 전투에서 이 점을 활용하였다. 소규모 기동력이 풍부한 리비아 저항군은 이탈리아군을 공격한 후 사막으로 사라졌다. 무크타르의 부하들은 교묘하게 이탈리아군 기지를 기습하고, 매복 공격을 가했으며, 병참 및 통신선을 공격했다. 이탈리아군은 베두윈족 게릴라 부대에 번번이 속아 당하기 일쑤였다.[11] 무크타르는 키레나이카의 지형과 사막전에 정통했으며, 1924년까지 각지의 반이탈리아 게릴라를 지휘했다.[18] 그는 게릴라전을 통해 이탈리아군의 보급로와 통신 시설을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이탈리아군을 몰아붙였다.[19]

4. 2. 이탈리아군의 고전

원래 꾸란을 가르치는 선생이었던 무크타르는 사막 전술에도 능숙했다. 그는 자기 나라의 지형을 잘 알고 있었고, 사막 전투에 익숙하지 않았던 이탈리아군을 상대로 한 전투에서 이 점을 활용하였다. 소규모 기동력이 풍부한 리비아 저항군은 이탈리아군에 대한 공격을 성공한 후, 사막으로 사라졌다. 무크타르의 부하들은 교묘하게 이탈리아군 기지 기습, 매복 공격, 병참 및 통신선을 공격했다. 이탈리아군은 베두윈족 게릴라 부대에 번번이 속아 당하기 일쑤였다.[11]

5. 이탈리아의 탄압과 강제 수용소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의 정권을 잡은 후, 리비아에서는 무크타르의 저항 운동과 이탈리아의 탄압이 계속되었다. 무크타르는 이탈리아군을 계속해서 괴롭혔고, 이에 무솔리니는 루돌포 그라치아니를 리비아 총독으로 파견했다. 그라치아니는 평화 회담을 열어 시간을 벌면서 이집트-리비아 국경에 철조망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무크타르를 차단하고, 베드윈족을 강제 수용소로 보냈다.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무크타르는 조국과 동족들의 해방을 위해 저항 운동을 계속 이어나갔다.

5. 1. 그라치아니의 부임과 탄압 강화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정권을 잡은 후, 루돌포 그라치아니가 리비아 총독으로 파견되었다.[25][26] 그라치아니는 평화 회담을 통해 시간을 벌면서 리비아이집트 국경에 철조망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오마르 무크타르를 차단하고, 베두인족을 강제 수용소로 보냈다.[26][29][30]

이러한 조치는 리비아 저항군의 식량 공급을 차단하고, 더 많은 리비아인들이 무크타르의 저항군에 가담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12만 5천 명이 강제 수용소로 끌려갔으며, 이 중 2/3가 사망했다.[26][29][30]

1930년 3월, 무솔리니는 철저한 진압을 위해 시칠리아니를 해임하고 그라치아니를 부총독으로 임명했다.[25][26] 그라치아니는 5월 29일, 무크타르와 협력하는 종교 지도자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저항 운동을 재정적으로 압박했다.[27][28]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무크타르와 베두인의 연계를 끊기 위해 강제 수용소를 건설하고 베두인을 강제 격리하도록 지시했고, 그라치아니는 이를 실행했다.[26][29][30] 나아가, 그라치아니는 이집트로부터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리비아-이집트 국경을 봉쇄하여 무크타르에 대한 지원 루트를 차단했다.[31]

5. 2. 강제 수용소의 참상

이탈리아는 리비아 저항군의 저항을 약화시키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다. 식량 공급을 차단하여 굶주림에 시달리게 하고, 리비아인들이 무크타르의 저항군에 가담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탈리아는 12만 5천 명의 베두인족을 강제 수용소로 이주시켰고, 그 결과 수용소로 끌려간 사람들 중 2/3가 사망했다.[26][29][30] 이는 1930년 3월, 베니토 무솔리니로돌포 그라치아니를 부총독으로 임명하면서 더욱 가혹하게 진행되었다.[25][26] 그라치아니는 무크타르와 협력하는 종교 지도자들의 재산을 몰수하고,[27][28] 피에트로 바돌리오의 지시에 따라 베두인족을 강제 수용소에 격리했다.[26][29][30]

6. 체포와 처형

무크타르는 20여 년간 저항 운동을 이끌었으나, 1931년 슬론타 근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이탈리아군에게 체포되었다.[13] 리비아인들에게 영웅으로 추앙받던 무크타르는 이탈리아에게는 범죄자 취급을 받았다. 70세가 넘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군은 그가 탈출할 것을 우려하여 손목과 발목을 쇠사슬로 묶었다.

오마르 무크타르가 법정에 들어서는 모습


무크타르는 심문 과정에서도 꾸란 구절을 읊조리며 의연한 태도를 보였고, 이탈리아 간수들마저 그의 굳은 의지에 감명받았다고 전해진다. 이탈리아는 무크타르를 군사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을 선고했고, 1931년 9월 16일 솔루크 강제 수용소에서 공개 처형했다. 이탈리아는 무크타르의 죽음으로 리비아 저항 운동이 끝나기를 바랐으나, 그의 죽음 이후에도 저항은 계속되었다. 무크타르의 재판 정당성에 대한 논란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무크타르는 처형 직전 "우리는 신에게서부터 왔고, 언젠가는 다시 신에게로 돌아간다"는 말을 남겼다.[35][36]

오늘날 그의 얼굴은 리비아 10 디나르 지폐에 그려져 있으며, 그의 생애는 영화 《사막의 라이언》에 묘사되어 있다.

6. 1. 슬론타 전투와 체포

무크타르는 1931년 9월 11일 슬론타 근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이탈리아군 리비아 사바리들에게 포로로 잡혔다.[13] 무크타르가 저항운동을 시작한 지 거의 20년 만의 일이었다. 이탈리아군은 그를 '현지 주민의 영웅적 지도자'로 간주하여 치료를 베풀었다.[33]

1931년 9월 15일, 법정으로 이송되는 무흐타르


9월 14일,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무흐타르의 사망을 저항 운동의 종식을 상징하기 위해 즉시 공개 처형하라"고 로돌포 그라치아니에게 지시했다.[34] 그러나 그라치아니는 부하의 의견을 받아들여 무흐타르를 재판에 회부했고, 9월 15일 사형이 선고되었다.[35][36]

9월 16일 오전 9시, 무크타르는 솔룩에서 민중 앞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는 죽기 전 코란의 한 구절인 "우리는 신의 것이며, 우리는 신에게 돌아가야 한다"를 읊조렸다.[36]

1931년, 무흐타르는 솔룩 강제 수용소에서 처형되었다.

6. 2. 불법 재판과 처형

무크타르는 20년 가까이 저항운동을 이끌다가 1931년 9월 11일, 슬론타 근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이탈리아군에게 생포되었다.[13] 이탈리아는 무크타르를 군사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을 선고했고, 1931년 9월 16일 솔루크 강제 수용소에서 추종자들이 보는 앞에서 교수형을 집행했다.[35][36]

이탈리아는 무크타르의 죽음으로 리비아의 저항이 끝나기를 바랐지만, 이 재판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논란이 있다. 무크타르는 재판 과정에서 심문관을 똑바로 쳐다보며 꾸란 구절을 읊는 등 의연한 모습을 보였고, 처형 직전에는 "우리는 신에게서부터 왔고, 언젠가는 다시 신에게로 돌아간다."라는 말을 남겼다.[35][36]

7. 유산과 영향

오마르 무크타르는 리비아에서 독립운동을 이끈 인물로, '리비아 독립의 아버지'로 존경받는다.[37] 카다피 정권 시절에는 최고액권인 10디나르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기도 했다.[37] 카다피는 1981년에 미국 할리우드와 공동으로 무크타르와 이탈리아군의 전투를 그린 영화 '사막의 사자'를 제작하고, 3500만달러를 제작비로 투자했다.[37]

2009년 카다피는 무크타르의 아들과 함께 로마를 방문했는데, 그 자리에서 무크타르가 이탈리아군에 체포되었을 당시 사진을 가슴에 붙이고 베를루스코니 총리와 회담을 가져 논란을 일으켰다.[38][39]

무크타르가 남긴 "우리는 항복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승리하거나 죽을 것이다."라는 말은 무슬림들 사이에서 유명한 구절이 되었다.

7. 1. 리비아 독립의 상징

무크타르는 리비아인들에게 독립과 저항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의 얼굴은 오늘날 리비아의 10 디나르 지폐에 그려져 있으며,[14] 그의 마지막 생애는 영화 《사막의 라이언(1981년 영화)에 잘 묘사되어 있다.

2011년 리비아 내전이 발발하자 무크타르는 다시 통일되고 자유로운 리비아의 상징이 되었고, 그의 사진은 카다피 반대 세력의 다양한 깃발과 포스터에 등장했다.[14] "옴마르 무크타르 여단"이라는 이름의 반카다피 부대도 등장했다.[40] 반카다피 세력인 리비아 국민회의가 근거지를 둔 벵가지에서는 1디나르 지폐의 초상을 카다피에서 무크타르로 바꿔 붙인 위조지폐가 유통되기 시작했다.[41]

2011년 6월 7일, 무크타르와 이드리스의 사진을 든 반카다피 시위대


다음은 무크타르의 이름을 딴 것들이다.

종류지역이름
대학교리비아오마르 무크타르 대학교
학교요르단 이르비드무크타르의 이름을 딴 학교
모스크미국 플로리다주 템파마스지드 오마르 알 무크타르(Masjid Omar Al Mokhtar)
거리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오마르 알-무크타르 거리
가자 지구 가자오마르 무크타르 거리
이집트 카이로오마르 알 무크타르 거리
카타르 도하 웨스트 베이 지역오마르 알 무크타르 거리
튀니지 비제르테오마르 알 무크타르 거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오마르 알 무크타르 도로
모로코 탕헤르오마르 무크타르 가


7. 2. 2011년 리비아 내전

2011년 리비아 내전이 발발하자, 오마르 무크타르는 카다피 독재에 저항하는 시민들에게 자유의 상징으로 다시 부각되었다. 그의 초상은 반(反)카다피 세력의 깃발과 포스터에 등장했으며, "오마르 무크타르 여단"이라는 이름의 반군 부대도 조직되었다.[14][40]

반카다피 세력이 근거지를 둔 벵가지에서는 1디나르 지폐의 초상을 카다피에서 무크타르로 바꿔 붙인 위조지폐가 유통되기 시작했다.[41] 쿠두스 알아라비 신문은 반카다피 세력과의 완전 항전을 주장하는 카다피를 무크타르에 빗대어 "카다피는 무크타르가 아니라 무솔리니의 동류"라고 비판했다.[42]

참조

[1] 서적 al-Sanusiya
[2] 서적
[3] 서적 Omar Al Mokhtar Lion of the Desert (The Biography of Shaikh Omar Al Mukhtar)
[4] 서적 Social Structure and Change: Religion and Kinship Sage Publications
[5] 서적 The Colour of Time: A New History of the World, 1850-1960
[6] 서적 New Times https://books.google[...] Newspaper "Trud," 1948
[7] 서적 Journal https://books.googl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Great Britain) 1932
[8] 서적 Cirenaica Pacificata
[9] 서적 Wars Of Imperial Conquest In Africa, 1830-1914 Routledge
[10]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on Omar al-Mukhtar http://www.bookrags.[...]
[11] 뉴스 Libya profile - Timeline http://news.bbc.co.u[...] BBC News Asia 2011-11-01
[12] 서적 Cirenaica Pacificata
[13] 서적 Lo squadrone bianco Edizioni Mondadori Le Scie
[14] 웹사이트 Libyan rebels crack down on rogue militias - The Globe and Mail https://web.archive.[...] 2011-08-01
[15] 서적
[16] 웹사이트 Omar al-Mukhtar http://www.bookrags.[...] BookRags.com 2015-03-07
[17] 서적
[18] 서적
[19] 웹사이트 Libya profile http://news.bbc.co.u[...] BBC 뉴스 2015-03-07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웹사이트 http://www.istoreto.[...]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Lo squadrone bianco Edizioni Mondadori Le Scie
[34] 서적
[35] 웹사이트 http://www.istoreto.[...]
[36] 서적 null null
[37] 웹사이트 Il leone del deserto - Recensione http://www.ecodelcin[...] 2015-03-07
[38] 웹사이트 Gheddafi in Italia con foto eroe anti-italiano sul petto http://it.reuters.co[...] 로이터 2009-06-10
[39] 웹사이트 More make-up (and hair dye) than his 40 virgin bodyguards, but Libyan leader Gaddafi is still a murderous menace http://www.dailymail[...] 데일리 메일 2009-06-12
[40] 웹사이트 Libyan rebels crack down on rogue militias http://www.theglobea[...] The Globe and Mail 2012-09-06
[41] 웹사이트 リビア、「革命グッズ」店が盛況 反体制派拠点に活力 http://www.47news.jp[...] 共同通信社 2011-06-27
[42] 웹사이트 カッザーフィーのもっとも血なまぐさいスピーチ http://www.el.tufs.a[...] クドゥス・アラビー 2011-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