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옵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옵아트는 시각적 착시 현상을 활용하여 움직임, 깊이감, 율동감 등의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추상 미술의 한 형태이다. 20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기하학적 패턴, 색채 대비, 도형-배경 관계 등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며, 초기에는 흑백 작품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다채로운 색상을 활용했다. 옵아트는 바우하우스의 구성주의 관행에서 파생되었으며, 브리짓 라일리, 빅토르 바자렐리 등의 작가들이 대표적이다. 미술, 디자인,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의 지각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미술 -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옵아트
개요
명칭옵 아트 (Op Art)
다른 명칭옵티컬 아트 (Optical Art), 시각 예술
정의시각적인 착시를 활용한 추상 미술의 한 형태
특징
기법기하학적 형태, 반복적인 패턴, 색채 대비 등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환영이나 착시를 유발
효과움직임, 떨림, 팽창, 수축 등의 착시 효과
표현평면적인 화면에서 3차원적인 깊이감이나 움직임을 느끼게 함
주요 요소
형태
색상
역사
발전 시기1960년대
영향바우하우스
신인상주의
미래주의
관련 개념게슈탈트 심리학
대표 작가 및 작품
작가빅토르 바자렐리
브리짓 라일리
헤수스 라파엘 소토
율리안 스타인브레너
리처드 앨런
테스 자로스
작품빅토르 바자렐리: 제브라 (1938), 베가 연작
브리짓 라일리: 폴리스 (1967), 카타락트 3 (1967)
헤수스 라파엘 소토: Penetrable de Chicago
스타일
종류키네틱 아트 (Kinetic Art)
착시 미술
관련 미술추상 미술
미니멀리즘
개념 미술
응용
응용 분야광고
디자인
건축
패션
영화
추가 정보
참고 문헌Gianvittorio, Giovanni. Optical Art. New York: Hacker Art Books, 1975.
Barrett, Terry. Criticizing Art: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Mountain View, California: Mayfield Publishing Company, 2000.
관련 링크
관련 웹사이트옵 아트
현대 미술관 컬렉션

2. 역사

옵아트 작품은 도형의 율동적인 움직임, '바탕'과 '도형'의 반전, 숨겨진 도안의 입체적 부상, 색채의 유동성, 깊이감, 빨려 들어가는 듯한 환각 등 다양한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이러한 실험 정신은 키네틱 아트로 이어지기도 한다.

옵아트 제작에는 정밀한 구도 계산, 색면과 윤곽 처리, 미세 패턴 재현 등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초기에는 흑백 위주의 단색 작품이 주를 이루었으나, 1960년대 말부터 다색 작품도 등장했다.

요제프 알버스의 저서 ''Interaction of Color''(한국어 번역본: 『색채 구성: 배색에 의한 창조』, 1963년)는 옵아트뿐 아니라 현대 미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옵아트는 원근법이나 조르주 쇠라의 점묘 기법처럼,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각적 인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아니쉬 카푸어의 "공동 조각"이나 제임스 터렐의 뚫린 천장과 어퍼처 시리즈 등 입체 작품에서도 옵아트의 영향으로 시각적 계산에 기초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thumb의 야외 작품]]

2. 1. 초기 역사

환영주의는 평평한 그림 내에서 확장된 공간의 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예술사 초창기부터 발견된다. 그러나 그래픽 효과와 이국적인 시각적 착시에 대한 관심 측면에서 옵아트의 선조는 신인상주의, 입체주의, 미래주의, 구성주의 및 다다에서 찾을 수 있다.[2] 라즐로 모호이너지는 사진 옵아트를 제작했고 바우하우스에서 이 주제를 가르쳤다.

1964년 타임지는 줄리안 스탄착의 전시회 ''마르타 잭슨 갤러리''의 ''광학 회화''에 대한 응답으로 옵아트라는 용어를 만들어, 시각적 착시를 사용하는 추상 미술의 한 형태(구체적으로 비객관 미술)를 의미했다.[4][5] 현재 "옵아트"로 묘사되는 작품은 ''타임''의 1964년 기사가 나오기 여러 해 전에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빅토르 바자렐리의 그림 ''얼룩말''(1938)은 윤곽선으로 제한되지 않는 곡선형 흑백 줄무늬로 완전히 구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줄무늬는 주변 배경에서 융합되고 터져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존 맥헤일이 1956년 ''이것은 내일'' 전시회에 설치한 초기 흑백 "눈부심" 패널과 1962년 현대 미술 연구소에서 열린 그의 ''판도라'' 시리즈는 프로토 옵아트 경향을 보여준다. 마틴 가드너는 1965년 7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수학 게임 칼럼에서 옵아트와 수학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탈리아에서 원래 건축가로 훈련받은 프랑코 그리그나니는 옵아트 또는 키네틱 아트가 중심이 되는 그래픽 디자인의 선두 주자가 되었다. 그의 울마크 로고(1964년 영국에서 출시)는 아마도 그의 모든 디자인 중 가장 유명할 것이다.[6]

옵아트는 바우하우스의 구성주의 관행에서 더 밀접하게 파생되었을 것이다.[5] 발터 그로피우스가 설립한 이 독일 학교는 분석과 합리성의 틀 내에서 형태와 기능의 관계를 강조했다. 학생들은 통일된 작품을 제시하기 위해 전체 디자인 또는 전체 구성을 집중하는 것을 배웠다. 옵아트는 또한 ''트롱프뢰유''와 아나모르포시스에서 유래한다. 특히 게슈탈트 이론 및 정신생리학과 관련하여 심리적 연구와의 연관성도 이루어졌다.[2] 1933년 바우하우스가 문을 닫아야 했을 때, 많은 강사들이 미국으로 도망갔다. 그곳에서 이 운동은 시카고에 뿌리를 내렸고, 결국 애쉬빌, 노스캐롤라이나의 블랙 마운틴 칼리지에서 애니와 요제프 알버스가 가르치게 되었다.[7]

1955년 파리의 데니스 르네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회 ''무브망''에서 빅토르 바자렐리와 폰투스 훌텐은 그들의 "옐로우 매니페스토"에서 시각적 및 발광 현상과 회화 환영주의에 기반한 새로운 키네틱 표현을 홍보했다.

요제프 알버스가 1949년 이래로 계속 그려온 "정사각형에 대한 오마주" 시리즈는 색채의 명도 대비, 상호 간섭 효과에 대한 극단적인 실험이었다.

2. 2. 발전과 확산

스테판 크냅의 옵아트 모자이크 (폴란드 토룬 대학교 강당, 1972년)


1964년, ''타임''지는 줄리안 스탄착의 ''마르타 잭슨 갤러리'' 전시 ''광학 회화''에 대한 반응으로 "옵아트"라는 용어를 만들었다.[4] 이는 시각적 착시를 활용하는 추상 미술의 한 형태였다.[5] 존 맥헤일은 1956년 ''이것은 내일'' 전시회에 초기 흑백 "눈부심" 패널을 설치했고, 1962년 현대 미술 연구소에서 ''판도라'' 시리즈를 선보이며 프로토 옵아트 경향을 보였다. 브리짓 라일리는 1960년대 초 이미 개인전을 열 정도로 옵아트에 빠르게 접근했다.

1961년부터 1968년까지 프랑수아 모렐레, 훌리오 르 파르크, 프란시스코 소브리노 등이 설립한 ''시각 예술 연구 그룹''(GRAV)은 옵토-키네틱 예술가들의 집단이었다. 이들은 1963년 선언문에 따라, 특히 인터랙티브 미로를 사용하여 대중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1965년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열린 ''반응하는 눈(The Responsive Eye)'' 전시는 대중에게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방문객 수 18만 명 이상),[12] 평론가들은 옵아트를 눈속임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옵아트 이미지는 여러 상업적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며, 브라이언 드 팔마는 이 전시회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14]

브리짓 라일리는 1968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회화 부문 국제상을 수상하며 옵아트의 대중적 인지도를 더욱 높였다. 1960년대 후반에는 패션인테리어 디자인 등 상업 미술 및 디자인 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주요 특징

옵아트는 시각의 작용 방식과 관련된 지각적 경험을 다루는 예술이다. 이는 전경과 배경의 두 평면을 긴장되고 모순적인 병치 상태로 만드는 불협화음적인 도형-배경 관계에서 파생된 역동적인 시각 예술이다.[2] 작가들은 주로 패턴과 선, 또는 색채를 통해 이러한 효과를 창출한다.

초기 옵아트 작품은 흑백 또는 회색조(''그리자유'')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브리짓 라일리의 초기 작품 ''Current''(1964)는 캔버스 표면에 흑백의 물결치는 선들을 가까이 배치하여 불안정한 도형-배경 관계를 만들어냈다. 제툴리오 알비아니는 알루미늄 표면을 이용하여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빛 패턴을 만들기도 했다(진동하는 질감 표면).

1965년부터 브리짓 라일리는 색채 기반의 옵아트를 제작하기 시작했다.[15] 줄리안 스탠착과 리처드 아누스키에비츠와 같은 예술가들은 항상 색상을 작업의 주된 초점으로 삼았다.[16] 요제프 알버스는 예일 대학교에서 이 두 작가에게 색채 기능을 가르쳤다. 색채주의 옵아트 작품은 도상-배경 움직임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면서도, 대조적인 색상의 요소를 추가하여 눈에 다른 효과를 생성한다. 아누스키에비츠의 "사원" 그림에서는 두 가지 대조적인 색상의 병치가 환각적인 3차원 공간에서 깊이감을 유발하여 건축 형태가 보는 사람의 공간을 침범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옵아트는 추상표현주의 (색면 회화)와 유사점을 갖는다. 두 스타일 모두 미니멀리즘적이며, 소수의 색상만이 지배적이고, 객체나 줄거리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내적 조화, 리처드 아누스키에비츠, 1965


야코브 아감의 불과 물 분수,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디젠고프 광장, 1986

3. 1. 기법 및 원리

옵아트는 평면 위에 그려진 그림이 마치 움직이는 듯한 착시를 일으키거나, 전경과 배경이 모호하게 뒤섞이는 듯한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이러한 효과는 다음과 같은 기법과 원리를 통해 구현된다.

  • 도형-배경 관계의 모호성: 전경과 배경의 구분을 흐릿하게 만들어 시각적인 긴장감을 유발한다. 브리짓 라일리의 초기작 ''Current''(1964)에서는 흑백의 물결치는 선들이 서로 얽히면서 불안정한 도형-배경 관계를 형성한다.[15]
  • 강렬한 색채 대비: 서로 대비되는 색상을 나란히 배치하여 시각적인 잔상 효과를 만들어낸다. 요제프 알버스는 색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효과를 탐구했으며, 그의 "정사각형에 대한 오마주" 연작은 색채의 명도 대비와 상호 간섭 효과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리처드 아누스키에비츠의 "사원" 그림과 같이, 강렬한 색상 대비는 깊이감을 만들어내어, 마치 그림 속 형태가 공간을 뚫고 나오는 듯한 착시를 일으킨다.
  • 기하학적 패턴의 반복: 정밀하게 계산된 기하학적 패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움직임과 깊이감을 표현한다. 제툴리오 알비아니는 알루미늄 표면을 활용하여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빛 패턴을 만들어냈다.
  • 기타: 괴테는 ''색채론''에서 빛과 어둠이 만나는 경계에서 색이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는 밝음과 어둠이 색 창조의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야코프 아감의 불과 물 분수와 같이, 옵아트는 키네틱 아트와 연결되기도 한다.

다음은 옵아트와 관련된 주요 작가 및 작품 예시이다.

작가작품/기법특징
빅토르 바자렐리얼룩말(1938), 페치의 시각적 착시 현상 그림곡선형 흑백 줄무늬를 사용하여 배경과 융합되는 듯한 착시 효과
존 맥헤일이것은 내일 전시회 설치 작품(1956), 판도라 시리즈(1962)초기 흑백 "눈부심" 패널, 프로토 옵아트 경향
프랑코 그리그나니울마크 로고(1964)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옵아트/키네틱 아트를 활용
보이치에흐 방고르옵아트 세라믹 모자이크(1963)폴란드 바르샤바 기차역에 설치된 작품
스테판 크냅옵아트 모자이크폴란드 토룬 대학교 강당에 에나멜 페인트로 그린 그림(1972)
프란시스 피카비아옵토폰 I(Optophone I)잉크, 수채화 및 연필, 72cm × 60cm.
헤수스 소토카라카스 (1996)주황색 원이 있는 기둥


4. 주요 작가


  • 빅토르 바자렐리: 옵아트의 선구자. 헝가리 출신으로, 1930년대 "얼룩말" 시리즈를 통해 윤곽선 없이 흑백 줄무늬만으로 배경과 융합, 돌출되어 보이는 효과를 구현하며 옵아트의 가능성을 제시했다.[4][5]
  • 브리짓 라일리: 흑백의 기하학적 패턴으로 독창적인 옵아트 세계를 구축, 1960년대 초반부터 개인전을 열며 활동했다.[14]
  • 요제프 알버스: 바우하우스 교수이자 색채 이론가. "정사각형에 대한 오마주" 연작을 통해 색채의 명도 대비, 상호 간섭 효과를 실험했고, 저서 ''Interaction of Color''(1963) (한국어 번역: 『색채 구성: 배색에 의한 창조』)는 현대 미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옵아트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다.[7]
  • 헤수스 라파엘 소토: 키네틱 아트와 옵아트를 결합, 움직이는 조각 작품을 선보였다.[2] 카라카스 (1996) 등의 작품이 있다.
  • 줄리안 스탠착: 1964년 마르타 잭슨 갤러리의 '광학 회화' 전시회를 통해 ''타임''지가 옵아트라는 용어를 만드는 계기를 제공했다.[4]
  • 리처드 아누스케비츠: 1965년 뉴욕 현대 미술관의 ''반응하는 눈(The Responsive Eye)'' 전시에 참여했다.[10][11]
  • 프랑코 그리그나니: 이탈리아 그래픽 디자이너. 옵아트적 요소를 활용한 울마크 로고(1964년) 디자인으로 유명하다.[6]
  • 보이치에흐 방고르: 폴란드 바르샤바 기차역(1963) 등 옵아트 세라믹 모자이크 작품을 제작했다.
  • 스테판 크냅: 폴란드 토룬 대학교(1972)에 강철 에나멜 페인트로 그린 현대 건축 옵아트 작품을 남겼다.
  • 존 맥헤일: 1956년 ''이것은 내일'' 전시회에 설치한 초기 흑백 "눈부심" 패널과 1962년 현대 미술 연구소의 ''판도라'' 시리즈로 프로토 옵아트 경향을 보였다.
  • 아놀드 슈미트: 1964년부터 뉴욕 테레인 갤러리에서 크고 흑백의 모양을 가진 광학 회화 개인전을 여러 번 열었다.[9]

5. 영향 및 의의

옵아트는 시각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대중에게 신선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했다. 미술뿐만 아니라 패션, 디자인,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68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브리짓 라일리가 회화 부문 국제상을 수상하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고, 1960년대 후반의 패션과 인테리어 디자인 등 상업 미술, 디자인 업계에 큰 붐을 일으켰다.[17][18]

인간의 지각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이를 예술에 접목시킨 중요한 시도로 평가받는다. 요제프 알버스의 ''Interaction of Color'' (한국어 번역본: 『색채 구성: 배색에 의한 창조』)는 옵아트뿐만 아니라 현대 미술 전반에 걸쳐 고전으로 여겨진다. 현대 미술에서 시각적 효과와 착시 현상을 활용하는 다양한 실험의 기반이 되었으며, 원근법이나 조르주 쇠라 등의 점묘 기법과 함께 논할 수 있다.[17][18] 지각의 면밀한 계산에 기초한 작품은 아니쉬 카푸어의 "공동 조각"이나 제임스 터렐의 뚫린 천장과 어퍼처 시리즈 등, 입체 작품의 영역에서도 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참조

[1] 서적 Artspeak
[2] 웹사이트 The Collection - MoMA http://www.moma.org/[...] The Museum of Modern Art 2017-11-05
[3] 논문 Seurat and Science.
[4] 뉴스 Op Art Time 1964-10-23
[5] 웹사이트 Op-Art: History, Characteristics http://www.visual-ar[...] 2019-12-15
[6] 웹사이트 The Hypnotic, Mind-bending Work of Italian Designer Franco Grignani https://eyeondesign.[...] 2019-12-15
[7] 웹사이트 Black Mountain College Movement Overview https://www.theartst[...] 2019-12-15
[8] 서적 Julian Stanczak: Decades of Light Yale Press
[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Terrain Gallery http://www.terrainga[...] TerrainGallery.org 2017-11-05
[10] 서적 The Responsive Eye (exhibition catalog) http://ubu.com/histo[...] Museum of Modern Art 2016-01-23
[11] 간행물 The Responsive Eye https://www.moma.org[...] Museum of Modern Art 2016-01-23
[12] Youtube The Responsive Eye https://www.youtube.[...] Columbia Broadcasting System, Inc. 1965
[13] 웹사이트 MoMA 1965: The Responsive Eye http://www.coolhunti[...] CoolHunting.com 2017-11-05
[14] 영상 The Responsive Eye http://ubu.com/film/[...] 1966
[15] 서적 After Modern Art 1945-2000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7-11-05
[16] 문서 Color Function Painting: The Art of Josef Albers, Julian Stanczak, and Richard Anuszkiewicz Wake Forest University
[17] 웹사이트 The Collection - MoMA http://www.moma.org/[...] 2023-08-03
[18] 논문 Seurat and Science.
[19] 문서 옵티컬 아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