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네다 보조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네다 보조정리는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에서 집합의 범주로 가는 함자에 대한 정리이다. 이 정리는 범주의 각 대상에 대해 존재하는 함자를 통해 범주의 구조를 파악하고, 함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요네다 보조정리는 자연 변환과 함자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특히 요네다 매장과 표현 가능 함자와 같은 개념을 이끌어낸다. 이 정리는 범주론의 중요한 도구로, 케일리 정리와 같은 다른 수학적 개념과도 연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조정리 - 베주 항등식
베주 항등식은 주 아이디얼 정역에서 두 원소의 최대공약수를 그 두 원소의 정수 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며,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통해 베주 계수를 구할 수 있고, 정수, 다항식 등 다양한 대수적 구조로 확장 가능하다. - 보조정리 - 모스 이론
모스 이론은 미분다양체 위의 함수의 임계점과 지표를 이용하여 다양체의 위상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이론으로, 함수값에 따른 부분공간 변화를 관찰하여 다양체의 호몰로지를 계산하고 위상수학적 성질을 밝히는 데 응용된다. - 범주론 - 작은 범주
그로텐디크 전체 가 주어졌을 때, -작은 범주는 대상과 사상의 모임이 모두 의 원소인 범주를 의미하며, 이는 함자와 자연 변환과 함께 완비 범주이자 쌍대 완비 범주인 2-범주를 이룬다. - 범주론 - 토포스
토포스는 유한 완비 범주이자 데카르트 닫힌 범주이며 부분 대상 분류자를 갖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주로서, 일계 논리 또는 일계 정의가 있는 대상의 부분 대상 개념을 갖는 데카르트 닫힌 범주로 이해될 수 있고, 위상 공간의 일반화이자 집합론에 대한 범주론적 일반화로서 수학의 공리적 기초를 제공한다.
| 요네다 보조정리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요네다 보조정리 |
| 분야 | 범주론 |
| 명명자 | 요네다 노부오 |
| 내용 | |
| 내용 | 임의의 작은 범주 C에 대해, 범주 C에서 집합으로 가는 함자 범주 SetCop로의 '요네다 매장'이라고 불리는 사상이 존재한다. "요네다 매장" Y : C → SetCop는 C의 대상 A를 A에서 표현 가능한 함자 hom(A , _)에 대응시키는 사상이다. Y는 C의 사상 f : A → B를 hom(C, f) : hom(B, _ ) → hom(A, _)에 대응시킨다. 요네다 보조정리는, Y가 완전히 충실한 함자임을 말한다. Y의 완전성은 임의의 두 대상 A와 B에 대해, Y가 사상 hom(C(A, B)) : hom(A, B) → Hom(Y(A), Y(B))를 전단사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Hom(Y(A), Y(B))는 함자 hom(A , _ )에서 hom(B, _)로의 자연 변환의 모임이다. Y의 충실성은 Y가 사상 hom(C(A, B)) : hom(A, B) → Hom(Y(A), Y(B))를 단사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
| 요네다 보조정리의 공식 | Hom(hom(A , _), F) ≅ F(A) |
| 요네다 보조정리의 의미 | 범주 C에서 대상 A에 의해 표현되는 함자 hom(A , _)에서 함자 F로의 자연 변환은 F(A)의 원소와 같다. |
| 따름 정리 | hom함자 hom(A , _)와 hom(_, A)는 A를 결정한다. 특히, hom(A , _) ≅ hom(B, _) 이면 A ≅ B이다. 함자 hom(A , _)는 A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Nobuo Yoneda, On Ext and exactness of sequences of groups |
2. 보조정리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임의의 두 대상 사이의 사상들의 모임이 항상 집합인 범주)라고 하자. 각 대상 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함자가 존재한다 (는 집합의 범주).
:
:
이 함자에서, 사상 의 상은 다음과 같다.
:
: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함자가 존재한다 (는 반대 범주).
:
:
:
:
그리고 함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요네다 보조정리'''에 따르면, 모든 대상 에 대하여, 다음 두 집합이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
이 때,
위의 일대일 대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마찬가지로, 모든 함자 및 대상 에 대하여, 다음 두 집합이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
이 때
이 일대일 대응
:
요네다 보조정리는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를 연구하는 대신, 에서 (집합 범주로 함수가 사상인 범주)로 가는 모든 함자의 범주를 연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은 우리가 잘 이해한다고 생각하는 범주이며, 에서 으로 가는 함자는 알려진 구조 측면에서 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원래 범주 는 이 함자 범주에 포함되지만, 에는 존재하지 않고 "숨겨져" 있던 새로운 대상이 함자 범주에 나타난다. 이 새로운 대상을 예전 대상과 똑같이 취급하면 종종 이론이 통일되고 단순해진다.
이 접근 방식은 환을 해당 환 위의 가군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유사하며(사실 일반화한다). 환은 범주 의 자리를 차지하며, 환 위의 가군의 범주는 에서 정의된 함자의 범주이다.
요네다 보조정리는 고정된 범주 에서 집합 범주 로 가는 함자에 관한 것이다. 만약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라면, 의 각 대상 는 hom-함자라고 하는 로 가는 함자를 발생시킨다. 이 함자는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
공변 hom-함자 는 를 사상 집합 로 보내고, 사상 (여기서 )를 사상 (왼쪽에서 와의 합성)로 보내는데, 이 사상은 의 사상 를 의 사상 로 보낸다. 즉,
:
:
요네다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표기 는 에서 로 가는 함자의 범주를 나타낸다.
에서 로 가는 자연 변환 가 주어지면, 에 해당하는 원소는 이고, 의 원소 가 주어지면, 해당 자연 변환은 로 주어지며, 이는 사상 에 의 값을 할당한다.
요네다 보조정리의 반변 버전이 있는데, 이는 에서 으로의 반변 함자와 관련이 있다. 이 버전은 반변 홈-함자
:
를 포함하며, 이는 를 홈-집합 로 보낸다. 에서 으로의 임의의 반변 함자 가 주어지면, 요네다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다.
:
2. 1. 요네다 사상
'''C'''를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라고 하자. 즉, '''C'''의 각 대상 , 에 대해 는 집합이다. 대상 를 고정할 때, 공변 hom 함자 는 대상 에 대해 집합 를 할당하고, 사상 에 대해 사상 를 할당하는 함자이다. 또한, 를 집합 값 함자라고 하고, 에서 로의 모든 자연 변환 클래스 에 대해 생각한다.이때, '''요네다 사상'''(Yoneda map)이라고 불리는 전단사
가 존재하며, 이 동형은 와 에 대해 자연스럽다는 주장이 요네다 보조정리이다. 또한, 가 반변 함자 인 경우에도, 반변 hom 함자 와의 사이에
라는 전단사가 존재하고, 이는 와 에 대해 자연스럽게 된다. 이 두 가지 모두를 요네다 보조정리라고 한다.
관수 가 공변()이라고 하자. 이때, 공변 hom 관수 에서 로의 자연 변환 는 임의의 의 사상 에 대해 가 정의로부터 성립한다. 이제, 의 경우에, 에서의 항등 사상 가 어떻게 사상되는지를 추적함으로써, 등식
을 얻는다. 여기에서, 자연 변환 의 정보는 로부터 모두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2. 표준적 일대일 대응 (자연 동형)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라고 할 때, 요네다 보조정리는 모든 대상 와 함자 에 대하여 다음 두 집합 사이의 표준적인 일대일 대응(자연 동형)이 존재함을 보장한다.[19]:
여기서,
이 일대일 대응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즉, 자연 변환 는 에서의 항등 사상 를 의 원소로 보내는 함수 의 값으로 대응된다.
이 대응이 "표준적"이라는 것은, 이 일대일 대응이 다음 두 함자 사이의 자연 동형을 이룬다는 의미이다.[1]
:
:
:
:
여기서 는 에서 으로 가는 함자들과 자연 변환들의 범주를 나타낸다.
첫 번째 함자 에서, 사상 의 상은 다음과 같다.
:
:
두 번째 함자 에서, 사상 의 상은 다음과 같다.
:
:
마찬가지로, 반변 함자 에 대해서도 비슷한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
이 경우에도 위와 같은 자연 동형이 성립한다.
요네다 사상은 전단사 로 표현 될 수 있다.
2. 3. 증명
쌍대성에 따라, 함자 가 인 경우를 증명하면 충분하다. (의 경우, 를 그 반대 범주로 대체한다.)임의의 자연 변환 에 대해 를 생각할 수 있다. 는 함자를 의 원소로 옮겨야 하고, 이므로,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모든 에 대해 인 유일한 자연 변환 를 대응할 수 있다는 것만 증명하면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과 그림 쫓기(diagram chasing|다이어그램 체이싱영어)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자연 변환
:
은 자명하게 를 만족한다. 반대로, 자연 변환의 정의에 따라 위 가환이 성립하므로, 를 만족하는 자연 변환은 위 자연 변환밖에 없다. 다시 말해, 의 선택에 따라 자연 변환이 결정되므로 증명이 완성된다.[2]
다른 증명 방법으로는 요네다 사상 를 자연 변환 에 대해 로 정의하고, 가 전단사임을 보이는 방법이 있다.
'''단사성''' : 에 대해, 자연 변환 가 존재하여 라고 가정한다. 이때, 임의의 사상 에 대해 는 를 만족한다. 이로 인해 의 모든 컴포넌트가 유일하게 결정된다. 즉, 그러한 는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는 단사이다.
'''전사성''' : 를 임의로 고정한다. 의 대상 각각에 대해, 사상 를 로 정의한다. 이때, 와 에 대해 가 성립하므로, 는 어떤 자연 변환 의 컴포넌트이다. 정의로부터 이므로 가 성립한다. 즉, 는 전사이다.
3. 요네다 매장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에 대하여, 요네다 보조정리는 대상 와 함자 에 대해 다음 전단사 함수를 제공한다.[1]
:
:
이는 함자 범주 로 가는 함자
:
:
:
를 임의의 사상 집합으로 제한한 것이다. 이 함자는 충실충만한 함자이며, 범주 를 안에 그대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이 함자를 '''요네다 매장'''([米田]埋藏, Yoneda embedding영어)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요네다 보조정리에 따라 다음 전단사 함수가 성립하며,[1]
:
:
다음과 같은 충실충만한 함자가 존재한다.
:
:
:
요네다 보조정리는 고정된 범주 에서 집합 범주 로 가는 함자에 관한 것이다.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이면, 의 각 대상 는 hom-함자 를 발생시킨다.
공변 hom-함자 는 를 로 보내고, 사상 ()를 (왼쪽에서 와의 합성)로 보낸다. 즉,
:
:
요네다 보조정리에 따르면,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에서 으로 가는 함자 에 대해, 의 각 대상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1]
:
요네다 보조정리의 반변 버전은 에서 으로의 반변 함자와 관련이 있으며, 반변 홈-함자 를 포함한다. 에서 으로의 임의의 반변 함자 가 주어지면, 요네다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다.[1]
:
요네다 보조정리의 중요한 특수한 경우는 가 일 때이다. 이 경우, 요네다 보조정리의 공변 버전은 다음과 같다.[1]
:
즉, hom-함자 간의 자연 변환은 관련 객체 간의 사상(반대 방향)과 일대일 대응을 이룬다.
는 에서 으로 가는 모든 (공변) 함자의 함자 범주인 로 가는 반변 함자이다. 를 공변 함자로 해석하면,
:
이다. 요네다 보조정리는 함자 가 충실하고 완전하며, 따라서 을 으로 가는 함자의 범주에 포함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네다 보조정리의 반변 버전은 다음과 같다.[1]
:
따라서, 은 에서 으로 가는 반변 함자의 범주로 가는 공변 함자를 생성한다.
:
요네다 매장은 때때로 よ, 즉 히라가나 요로 표시된다.[3]
4. 귀결
요네다 보조정리는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를 연구하는 대신, 에서 집합 범주()로 가는 모든 함자의 범주를 연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은 우리가 잘 이해하는 범주이며, 에서 으로 가는 함자는 알려진 구조 측면에서 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원래 범주 는 이 함자 범주에 포함되지만, 에는 존재하지 않고 "숨겨져" 있던 새로운 대상이 함자 범주에 나타난다. 이 새로운 대상을 예전 대상과 똑같이 취급하면 종종 이론이 통일되고 단순해진다.
이는 환을 해당 환 위의 가군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환은 범주 의 자리를 차지하며, 환 위의 가군의 범주는 에서 정의된 함자의 범주이다.
요네다 보조정리에 따르면,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의 각 대상 에 대해, hom-함자 에서 에서 로 가는 함자 로 가는 자연 변환은 의 원소와 일대일 대응을 이룬다. 즉,
:
이 동형사상은 와 에서 자연 동형사상이다.
요네다 매립은 모든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에 대해 해당 범주의 객체가 표현가능 함자에 의해 전층으로, 완전하고 충실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전층 ''P''에 대해
:
가 성립한다. 많은 일반적인 범주는 전층의 범주이며, 자세히 살펴보면 층의 범주임이 밝혀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토포스로 간주될 수 있으며, 요네다 보조정리는 범주의 위상적 구조를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지렛대 역할을 한다.
4. 1. 표현 가능 함자
집합 값 함자 ''F'' : '''C''' → '''Set'''영어가 어떤 1=''H''''A'' = hom(''A'', _)영어와 자연 동형일 때, F영어를 표현 가능 함자(representable functor)라고 하며, A영어는 F영어의 표현 대상 (representing object) 또는 단순히 F영어의 표현이라고 한다.[13] F영어가 표현 가능 함자일 때, 요네다 보조정리의 결과로 다음 주장이 성립한다.범주 가 국소적으로 작고, 함자 ''F'' : '''C''' → '''Set'''영어는 표현 가능하다 하자. 이 때, F영어의 표현은 다음 조건이 성립하는 의 대상 A영어와 ''u'' ∈ ''F''(''A'')영어의 쌍으로 구성된다.
- 임의의 ''B'' ∈ '''C'''영어와 ''x'' ∈ ''F''(''B'')영어의 쌍에 대해, 의 사상 가 유일하게 존재하여, ''F''가 성립한다.
역으로, 위 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A영어와 ''u'' ∈ ''F''(''A'')영어의 쌍을 F영어의 보편 원소 (universal element)라고 부른다.[13] 더 일반적으로, 함자 ''F'' : '''C''' → '''D'''영어와 ''d'' ∈ '''D'''영어에 대해, d영어의 F영어로의 보편성(universality)은, ''A'' ∈ '''C'''영어와 의 사상 ''u'' : ''d'' → ''FA''영어의 쌍으로서, 임의의 ''B'' ∈ '''C'''영어와 의 사상 ''x'' : ''d'' → ''FB''영어에 대해, 의 사상 가 유일하게 존재하여, 1=''F''가 성립하는 것을 말한다.
보편 원소의 성질은 한 점 집합으로부터의 보편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보편성은 '''D'''(''d'', ''F''_) : '''C''' → '''Set'''영어의 보편 원소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보편성, 보편 원소, 표현 가능 함자는 각각 서로의 개념을 포함한다.[13]
4. 2. 보편성
집합 값 함자 가 어떤 와 자연 동형일 때, 를 표현 가능 함자라고 하며, 는 의 표현 대상 또는 단순히 의 표현이라고 한다. 가 표현 가능 함자일 때, 요네다 보조정리의 귀결로서 다음 주장이 성립한다.범주 가 국소적으로 작고, 함자 는 표현 가능하다 하자. 이 때, 의 표현은 다음 조건이 성립하는 의 대상 와 의 쌍으로 구성된다.
- 임의의 와 의 쌍에 대해, 의 사상 가 유일하게 존재하여, 가 성립한다.
역으로, 위 정리의 조건을 만족하는 와 의 쌍을 의 보편 원소 (universal element)라고 부른다. 더 일반적으로, 함자 와 에 대해, 의 로의 보편성은, 와 의 사상 의 쌍으로서, 임의의 와 의 사상 에 대해, 의 사상 가 유일하게 존재하여, 가 성립하는 것을 말한다.
보편 원소의 성질은 한 점 집합으로부터의 보편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보편성은 의 보편 원소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보편성, 보편 원소, 표현 가능 함자는 각각 서로의 개념을 포함한다.[13]
4. 3. 전층의 부분 대상 분류자

유한 극한을 갖는 범주 위의 전층이란 로부터의 반변관수 를 말하며, 이때 전층의 범주를 로 나타낸다. 범주 의 부분 대상 분류자란 (존재한다면) 의 대상 와 모노 사상 (은 종 대상)이며, 임의의 모노 사상 에 대해, 이고 그 가환도가 당김이 되도록 하는 가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전층의 범주 로의 요네다 매장을 로 나타낸다고 하자. 이제, 에 부분 대상 분류자 가 존재한다면, 특히 ()에 대해가 성립한다 (오른쪽의 동형성은 요네다 보조정리에서 따른다). 부분 대상 분류자의 정의로부터, 좌변의 집합은 의 부분 대상의 집합과 일대일 대응한다. 따라서, 등식 전체가 에 대해 자연스럽다는 것으로부터, 는 반드시 부분 대상 분류자를 가지며, 그것은 표현 가능한 전층 의 부분 대상을 조사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
4. 4. (co)end calculus
두 범주 와 가 주어지고 두 개의 함자 가 주어지면, 이들 사이의 자연 변환은 다음의 끝으로 쓸 수 있다.:
임의의 함자 와 에 대해 다음 공식들은 모두 요네다 보조정리의 공식이다.
:
:
5. 전가법 범주, 환 및 가군
요네다 보조정리는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를 연구하는 대신, 에서 집합 범주 (함수가 사상인 범주)로 가는 모든 함자의 범주를 연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 접근 방식은 환을 해당 환 위의 가군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유사하며(사실 일반화한다).
''전가법 범주''는 사상 집합이 아벨 군을 이루고 사상의 합성이 쌍선형 연산자인 범주이다. 아벨 군이나 가군 범주가 그 예시이다. 전가법 범주에서, 사상의 "곱셈"과 "덧셈"이 모두 존재하는데, 이것이 전가법 범주가 환의 일반화로 간주되는 이유이다. 환은 하나의 대상만 가지는 전가법 범주이다.
요네다 보조정리는 원래 범주에서 아벨 군 범주로 가는 ''가법 함자'' 반변 함자 범주를 확장으로 선택하면 전가법 범주에서도 유효하다. 이 함자는 사상의 덧셈과 호환되며 원래 범주에 대한 ''가군 범주''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요네다 보조정리는 전가법 범주를 확장하여 확장된 버전이 전가법 범주로 유지되도록 하는 자연스러운 절차를 제공한다. 환 의 경우, 확장된 범주는 위의 모든 오른쪽 가군의 범주이며, 요네다 보조정리의 명제는 다음의 잘 알려진 동형 사상으로 축소된다.
: ( 위의 모든 오른쪽 가군 에 대해).
6. 케일리 정리와의 관계
요네다 보조정리는 군론의 케일리 정리를 광범위하게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사상이 동형 사상(하나의 대상이 있는 군 범주)인 단일 대상 {*}가 있는 범주 를 생각해보자. 그러면 는 합성 연산에 대해 군을 형성하며, 임의의 군은 이러한 방식으로 범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맥락에서, 공변성 함자 는 집합 와 군 준동형 사상 로 구성되며, 여기서 는 의 순열 군이다. 즉, 는 G-집합이다. 이러한 함자 간의 자연 변환은 -집합 간의 등변 사상과 동일하다. 모든 의 와 의 에 대해 의 속성을 가진 집합 함수 이다. (이 방정식의 왼쪽에서 는 의 에 대한 작용을 나타내고, 오른쪽에서는 에 대한 작용을 나타낸다.)
이제 공변성 hom-함자 는 자신에 대한 의 좌곱셈에 의한 작용에 해당한다(반변성 버전은 우곱셈에 해당한다). 를 사용한 요네다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다.
:
즉, 이 -집합에서 자신으로의 등변 사상은 와 일대일 대응된다. 그러나 (1) 이러한 사상이 합성 연산에 대해 군을 형성하며, 이는 의 부분군이고, (2) 일대일 대응을 제공하는 함수가 군 준동형 사상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가면, 모든 의 에 대해 에 의한 우곱셈의 등변 사상을 연관시킨다.) 따라서 는 의 부분군과 동형이며, 이는 케일리 정리의 내용이다.
7. 역사
요네다 노부오가 1954년에 발표하였다.[20] 1996년 키노시타 요시키(木下喜貴)는 "요네다 보조정리"라는 용어가 손더스 매클레인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손더스 매클레인이 파리 북역에서 요네다 노부오(米田信夫)와 인터뷰한 후에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참조
[1]
서적
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Springer
1998
[2]
서적
Category Theory in Context
http://www.math.jhu.[...]
Dover
2017
[3]
웹사이트
Yoneda embedding
https://ncatlab.org/[...]
2019-07-06
[4]
웹사이트
Prof. Nobuo Yoneda passed away
http://www.mta.ca/~c[...]
1996-04-23
[5]
웹사이트
le lemme de la Gare du Nord
http://www.neverendi[...]
2016-11-18
[6]
문서
Kinoshita
1996
[7]
문서
Kinoshita
1998
[8]
문서
MacLane
1998
[9]
문서
Mac Lane
1998
[10]
문서
Riehl
2016
[11]
문서
Riehl
2016
[12]
문서
Awodey
2010
[13]
문서
Mac Lane
1998
[14]
문서
Mac Lane
1998
[15]
저널
(Op)lax natural transformations, twisted quantum field theories, and “even higher” Morita categories
https://www.scienced[...]
2017-02-05
[16]
서적
(Co)end Calculu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01
[17]
문서
Adámek
2010
[18]
문서
Mac Lane
1992
[19]
서적
[20]
저널
On the homology theory of modules
19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