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역 (양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문역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있는 철도역이다. 1914년 용문면의 명칭에서 유래했으며, 194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 1957년에 복구되었다. 2009년 임시 역사로 이전하고 구 역사를 철거한 후, 같은 해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이 되었다. 현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중앙선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전철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 양평군의 전철역 - 양평역 (양평)
양평역은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08년 양평군으로 통합되면서 지역 중심지라는 의미로 역명이 정해졌으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중앙선 일반 열차가 운행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양평역과 혼동될 수 있다. - 1941년 개업한 철도역 - 동운역
동운역은 1941년 임촌역으로 시작하여 전라선 복선 전철화 구간 이설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2004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 1941년 개업한 철도역 - 우노마치역
우노마치역은 에히메현 사이조시에 위치한 시코쿠 여객철도 요산선의 역으로,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특급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주요 도시로의 접근성을 제공하고, 2021년부터 종일 무인역으로 운영되다 2022년 신역사가 개통되어 지역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용문역 (양평)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용문역 |
로마자 표기 | Yongmunnyeok |
한자 표기 | 龍門驛 |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역길 21 |
기본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앙선 |
역 번호 | K137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4면 6선 |
개업일 | 1941년 4월 1일 |
역 정보 (한국어) | |
역 등급 | 3급 |
승차 인원 (2018년) | 3,059명 |
승강 인원 (2018년) | 6,153명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 간 거리 | 이전 역: K136 원덕 (4.8 km) 다음 역: 지평 K138 (3.6 km) |
기점으로부터 거리 | 118.7 km (문산 기점) |
노선 정보 (기타) | |
중앙선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58.5 km |
중앙선 영업 거리 (도라산 기점) | 도라산 기점 128.5 km |
용문기지선 영업 거리 | 용문 기점 0.0 km |
용문기지선 다음 역 | 용문기지 (2.7km) |
운행 정보 | |
중앙선 (ITX-새마을) | 이전 역: 양평 (10.6 km, 청량리 방면) 다음 역: 지평 (3.6 km, 안동 방면) |
중앙선 (무궁화호) | 이전 역: 양평 (10.6 km, 청량리 방면) 다음 역: 지평 (3.6 km, 안동, 동해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이전 역: K136 원덕 (4.8 km, 문산 방면) 다음 역: K138 지평 (3.6 km, 지평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 | 이전 역: K135 양평 (10.6 km, 문산 방면) |
이미지 | |
![]() | |
![]() |
2. 역명 유래
1914년 3월 1일 상서면과 하서면을 합면하여 지금의 용문면이라 불린 데서 유래하였다.
3. 역사
4. 역 구조
용문역은 4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승강장마다 개찰구가 분리되어 있어 개표 없이 승강장 사이를 이동할 수 없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1. 승강장
용문역은 4면 6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일반 열차용 상대식 승강장 양쪽에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섬식 승강장이 있는 형태이다. 경의·중앙선은 상하행 승강장별로 개찰구가 분리되어 있다.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종류 | 행선지 |
---|---|---|---|
1·2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 | 지평 방면, 당역 종착(입고 열차만) |
3 | 중앙선 | ITX-새마을, 무궁화호 | 제천, 부전, 동해 방면 |
4 | 중앙선 | ITX-새마을, 무궁화호 | 양평, 덕소, 청량리 방면 |
5·6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 | 양평, 덕소, 청량리, 문산 방면 |
4. 2. 배선도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해야 한다. 주어진 소스 코드에서 배선도 관련 텍스트 정보가 없으므로, 배선도에 대한 언급만 남기고 템플릿은 삭제한다.용문역과 용문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5. 이용객 변동
용문역한국어의 최근 일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10]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경의·중앙선한국어 | 승차 | 미개통 | 3,049 | 2,870 | 2,905 | 3,110 | 3,280 | 3,342 | [10] | |||
하차 | 3,030 | 2,885 | 2,916 | 3,109 | 3,267 | 3,353 | ||||||
노선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의·중앙선한국어 | 승차 | 3,380 | 3,412 | 3,335 | 3,059 | 2,848 | 1,801 | 2,011 | 2,196 | 2,282 | ||
하차 | 3,408 | 3,417 | 3,339 | 3,094 | 2,890 | 1,845 | 2,029 | 2,231 | 2,308 |
6. 역 주변
용문면 중심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7. 인접한 역
중앙선
태백선
(대부분 열차 시종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