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평역 (양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평역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철도역으로, 1908년 양근군과 지평군 통합으로 양평군이 되면서 지역 중심지라는 의미를 담아 역명이 정해졌다.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사 증축 및 등급 조정, 화물 취급 중단 등의 변화를 거쳤다.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되었으며, ITX-새마을, KTX-이음,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한다. 현재 4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중앙선 일반 열차가 운행한다. 양평역은 서울특별시 양평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5호선 양평역과 한자, 한글 표기, 발음이 유사하여 혼동의 여지가 있다. 역 주변에는 양평군청, 양평시장, 양평시외버스터미널 등 주요 시설과 학교,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전철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 양평군의 전철역 - 용문역 (양평)
    용문역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14년 용문면 명칭에서 유래하여 1941년 보통역으로 시작,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으며,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되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양평역 (양평)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경기 양평역 2010
역 건물
역 이름양평역
로마자 표기Yangpyeong-yeok
한자 표기楊平驛
주소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역전길 30 (양근리 137)
운영 정보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 정보중앙선
역 번호K135
플랫폼4면 6선
구조지상역
역사
개업일1939년 4월 1일
노선 정보
기타 정보
역 코드 (단말기)091, 11745, 11187
관리역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양평관리역
역 등급2급
이전 역오빈
다음 역원덕
이전 역2.2km
다음 역5.8km
통계 (2018년 기준)
일일 승차 인원3,632명
일일 승강 인원7,381명

2. 역명 유래

1908년양근군지평군이 통합되어 양평군으로 개칭되면서, 이 지역의 중심지라는 의미를 담아 양평역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3. 역사

양평역 이정표. 전역에 간이역인 국수가 보인다.


양평역은 1939년 4월 1일 영업을 시작하여, 1967년 역사 증축, 1972년 사무관역으로 승격, 1977년 주사역으로 격하, 1978년 사무관역으로 재승격, 1987년 3급역으로 격하, 1989년 역사 재증축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1997년1999년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임시역사 이전 후 구 역사는 철거되었다.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2014년 ITX-새마을 운행 시작, 2017년 강릉선 KTX 운행, 2021년 KTX-이음 운행 등 철도 교통의 중심지로서 발전을 거듭했다.

3. 1. 일제강점기

1939년 4월 1일 : 한국 국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3. 2. 해방 이후

4. 역 구조

양평역은 4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바깥쪽 2면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사용하고, 안쪽 2면은 중앙선 일반 열차가 사용한다. 경의·중앙선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설치되어 있어 개찰구 내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4. 1. 승강장

양평역은 4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지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반대편으로 건너갈 수 없는 횡단 불가 구조이므로 이용에 주의해야 한다. 현재 2, 4, 5, 7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노선열차 종류행선지
1사용하지 않음 (KTX 선행 대피를 위한 화물열차 도착 시 사용)
2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원덕, 용문, 지평 방면
3·4KTX만종, 평창, 진부, 강릉, 동해 방면
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원주, 제천, 안동, 부전, 동해 방면
5·6KTX상봉, 청량리, 서울 방면
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덕소, 청량리 방면
7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덕소, 회기, 문산 방면
8사용하지 않음 (KTX 선행 대피를 위한 화물열차 도착 시 사용)


4. 2. 특징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 승강장은 반대편으로 건너갈 수 없는 횡단 불가 구조이다. 2, 4, 5, 7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5. 명칭 문제

서울역 발매기에 표시된 두 노선 양평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5호선 양평역(楊坪驛)과 한자 한 글자만 다르고 한글·로마자 표기와 발음이 모두 같다. 두 역 모두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역이기 때문에 1회용 교통카드 구매 시 혼란의 여지가 있으며, 양 역을 이동할 때 왕십리역, 공덕역에서 환승하여야 한다.

6. 이용객 변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양평역의 이용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9년 개통 당시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2,897명이었으나, 2014년에는 4,031명까지 증가했다.[9] 그러나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용객 수가 크게 감소하여 2023년에는 하루 평균 3,166명이 승차하고 있다.

6. 1. 연도별 이용객 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의 연도별 이용객 수 현황은 다음과 같다.[9]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의·중앙선승차2,8973,0433,4823,7043,8544,0313,9673,9783,9463,6323,5582,3572,5262,9193,166
하차2,7903,1133,5543,7203,8744,0594,0234,0243,9923,7493,6692,3882,5812,9743,243[9]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7. 역 주변

주변은 양평군의 중심지로, 양평읍사무소, 양평군청 등 여러 공공기관과 편의시설이 밀집해 있다.

7. 1. 주요 시설

주요 시설


7. 2. 교육 시설

양평초등학교, 양일중학교, 양일고등학교, 양평중학교가 있다.

7. 3. 주거 시설


  • 오스타코아루아파트
  • 코아루리버팰리스아파트
  • 양평해모로아파트
  • 현대아파트

참조

[1] 간행물 Grain Transportation Report. December 25, 2014 2014-12-25
[2]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3] 문서 도라산 기점 117.9 km
[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224호 1939-04-01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7-51호, 1997-52호 1997-09-19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8-72호 1998-12-21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10-20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153호 2009-12-09
[9]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