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딩위안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딩위안 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추저우시에 위치한 현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진나라 시대에 현이 설치된 이후, 여러 왕조와 시대에 걸쳐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16개 진, 5개 향, 1개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이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 리커창의 고향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저우시의 행정 구역 - 톈창시
    톈창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추저우시에 위치한 시로, 1개의 가도와 14개의 진을 관할하며, 1월 평균 기온은 2.0°C, 7월 평균 기온은 27.5°C이다.
  • 추저우시의 행정 구역 - 펑양현 (추저우시)
    펑양현은 안후이성 추저우시에 있는 현으로, 홍무제의 고향이자 명황릉과 중도 유적지가 있는 역사적 요충지이며, 비옥한 토지, 풍부한 광물 자원, 편리한 교통망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추구하는 지역이다.
  • 안후이성의 현 - 린취안현
    린취안현은 안후이성 푸양시에 위치한 3천 년 역사의 현으로, 온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2020년 빈곤 현에서 벗어났고, 2019년 기준 230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며 린취안 곡예로 알려져 있다.
  • 안후이성의 현 - 슈닝현
    슈닝현은 안후이성 황산시에 위치한 현으로, 많은 장원을 배출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온대 계절풍 기후에 9개의 진과 12개의 향을 관할하고, 철도 및 고속도로 교통이 연결되어 있으며, 기운산, 덩펑교 등 관광 명소가 있고, BBC 다큐멘터리 "중국 학교"를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딩위안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다른 이름Tingyuan
종류
별칭없음
지도 정보
정원 현 시가지 풍경
정원 현 시가지 풍경
추저우 시 내의 정원현 위치
추저우 시 내의 정원현 위치
행정 구역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 성
지급시추저우 시
중심지정보 없음
정부
정부 형태정보 없음
지도자정보 없음
면적
총 면적2998 km²
참고govdy
고도
해발 고도정보 없음
최대 고도정보 없음
최소 고도정보 없음
인구
2017년974900 명
참고xzqhdy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기타 정보
우편 번호233200
지역 번호정보 없음
웹사이트정원현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딩위안현의 역사는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오랜 기간 동안 인류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2] 춘추 시대전국 시대에는 초나라의 영토였으며, 진나라의 중국 통일 이후 현(縣)이 설치되면서 행정 구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 이후 한나라, 삼국 시대, 진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에 변화가 있었다.[2]

특히 남북조 시대에는 남조와 북조의 세력 다툼 속에서 지배권과 행정 구역이 빈번하게 변경되는 혼란기를 겪었다.[2] '딩위안'(定遠)이라는 현재의 이름은 504년 남조 양나라 때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국경을 안정시키고 먼 땅을 되찾는다(定邊遠)"는 의미를 담고 있다.[2]

수나라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정원현'(定遠縣)이라는 명칭과 행정 구역이 점차 자리를 잡았고, 745년에는 현의 중심지가 현재 위치로 이전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2] 이후 오대 십국 시대,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왕조를 거쳐 중화민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통치 세력은 계속 바뀌었지만, 정원현이라는 행정 단위는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되었다.[2]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1949년부터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추현전구, 벙부전구 등에 속했다가 1992년 추저우시가 설립되면서 현재의 행정 체계에 편입되었다.[2] 전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였던 리커창이 이곳 출신이다.[1]

2. 1. 고대

딩위안(TING-YÜAN) 지역을 포함한 지도 (1953년)


딩위안현에서의 인류 활동은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관산진(官山鎭)의 샤오자(肖家) 유적과 칠리탕진(七里塘鎭)의 허우자자이(侯家寨) 유적을 통해 알 수 있다. 춘추 시대전국 시대 동안 딩위안현 주변 지역은 초나라의 일부였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여섯 국가를 통일한 후, 현재의 딩위안 지역에 구강군 산하로 음릉현(陰陵縣, 현재의 카오산향(靠山鄉) 고성촌(古城村) 부근) 및 동성현(東城縣, 현재의 따차오진(大橋鎮) 싼관지(三官集) 부근)이 설치되었다.[2]

전한 시대에는 현 지역의 일부가 곡양후국(曲陽侯國)의 관할로 추가되었으며, 세 행정 구역(음릉현, 동성현, 곡양후국)은 여전히 구강군 소속이었다. 왕망신나라 시대에는 동성현이 무성현(武城縣)으로, 음릉현이 음륙현(陰陸縣)으로, 곡양후국이 연평정(延平亭)으로 잠시 이름이 변경되었다.[2] 후한 시대에 들어서면서 현의 이름은 원래대로 돌아갔고, 연평정은 서곡양현(西曲陽縣)으로 개명되었다. 72년(영평 15년), 동성현은 서주 소속의 하비국으로 이관되었다.[2] 삼국 시대 위나라 때는 동성현과 음릉현이 폐지되었다가,[2] 서진 시대에 회남군 아래 다시 설치되었으며, 이 구조는 동진 시대까지 유지되었다.[2]

남북조 시대에는 장회(江淮) 지역이 남조와 북조 세력의 각축장이 되면서 행정 구획이 빈번하게 변경되었다.[2] 동성현은 처음에는 남조 송에 속했으나 후에 북위에 점령되었다.[2] 남조 제 시대에는 현 지역에 마구군(馬丘郡)이 설치되었다.[2] 504년, 남조 양은 동성현의 이름을 "딩위안"(定遠)으로 개명했는데, 이는 국경을 안정시키고 먼 땅을 되찾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2] 처음에는 현(縣)이었으나 나중에 군(郡)으로 강등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510년에는 북위에 의해 다시 점령되어 안주(安州)가 설치되었다.[2] 524년(보통 5년), 남조 양의 조시종(曹世宗) 장군이 서곡양현, 음릉현, 동성현을 통합하여 정원군(定遠郡)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 '''정원현'''(定遠縣)을 두었다.[2] 540년(대동 6년)에는 안주(安州)를 신설하여 정원군과 림호군(臨濠郡)을 관할하게 되었다.[2] 북위 점령 이후, 북조에서는 동위에 걸쳐 현 지역에 서패군(西沛郡)을 설치하여 소현(蕭縣), 패현(沛縣), 평양현(平陽縣)을 관할했다.[2] 북제는 광안군(廣安郡)을 설치했다.[2] 573년(태건 5년), 남조 진이 이 지역을 다시 남쪽으로 귀속시켰으나,[2] 579년(대상 원년)에는 북주의 판도에 편입되었다.[2]

수나라 시대인 602년(인수 원년), 광안군이 림호현(臨濠縣)으로 개칭되었고, 그 소재지는 옛 동성현 지역에 있었으며 호주(濠州, 후에 종리군으로 개편)의 관할이 되었다.[2] 당나라 시대인 620년(무덕 3년), 종리군 림호현이 호주 소속의 정원현(定遠縣)으로 개편되었다.[2] 정관 연간 이후로는 회남도에 속했다.[2] 745년(천보 4년), 정원현의 현청 소재지가 정성(定城)으로 이전되었으며, 그 이후로 계속 유지되고 있다.[2] 오대 십국 시대에는 이 지역이 남당후주 왕조의 관할 하에 있었다.[2] · 전쟁 시기에는 이 지역의 통제권이 자주 바뀌었지만, 결국 남송의 권한 아래에 머물렀다.[2] 이후 중화민국 시대까지 통치 왕조는 자주 변경되었지만, 정원현의 설치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2]

2. 2. 남북조 시대 ~ 중화민국

남북조 시대에는 장회(江淮) 지역이 남조와 북조 세력의 충돌 지점이 되면서 잦은 전쟁으로 인해 행정 구획과 통치권이 빈번하게 변경되었다.[2] 처음 남조 송에 속했던 동성현(東城縣)은 이후 북위에 점령되었다.[2] 남조 제 시대에는 현 지역에 마구군(馬丘郡)이 추가로 설치되었다.[2] 남조 양 시대인 524년(보통 5년), 조시종(曹世宗) 장군이 서곡양현(西曲陽縣), 음릉현(陰陵縣), 동성현(東城縣)을 통합하여 정원군(定遠郡)을 설치하였고, 그 아래에 '''정원현'''(定遠縣)을 처음으로 두었다.[2] '정원(定遠)'이라는 이름에는 국경을 안정시키고 먼 땅을 되찾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1][2] 540년(대동 6년)에는 남조 양이 이곳에 안주(安州)를 설치하여 정원군과 림호군(臨濠郡)을 관할했다.[2] 이후 북조의 지배 하에 놓였다가 573년(태건 5년) 남조 진에 의해 다시 남조의 영토가 되었다.[2]

북조의 통치 기간 동안에도 행정 구역 변화가 있었다. 북위에서 동위에 걸쳐 현 지역에는 서패군(西沛郡)이 설치되어 소현(蕭縣), 패현(沛縣), 평양현(平陽縣) 3개 현을 관할했다.[2] 또한 북제는 광안군(廣安郡)을 설치했으며, 579년(대상 원년)에는 북주의 판도로 편입되었다.[2]

수나라 시대인 602년(인수 원년), 광안군은 림호현(臨濠縣)으로 개칭되었고, 그 중심지는 옛 동성현 지역에 두었으며 호주(濠州, 후에 종리군(鍾離郡)으로 개편)의 관할이 되었다.[2] 당나라 시대인 620년(무덕 3년), 림호현은 호주 소속의 정원현으로 다시 개편되었고, 정관 연간 이후로는 회남도(淮南道)에 속했다.[2] 745년(천보 4년), 정원현의 중심지(縣治)가 현재의 위치인 딩청(定城)으로 이전되어 그 이후로 계속 유지되고 있다.[1]

오대십국 시대에는 남당후주의 관할 하에 있었으며, 이러한 행정 구획은 송나라 시대까지 이어졌다.[2] 송금 전쟁 시기에는 남송금나라 사이에서 통제권이 자주 바뀌었으나, 결국 남송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1][2]

원나라 초기에는 호주(濠州)의 관할이었으나, 1278년(지원 15년)에 림회부(臨淮府)로 개칭되었다.[2] 1291년(지원 28년)에는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河南江北等處行中書省) 안풍로(安豐路) 산하 호주의 관할이 되었다.[2]

명나라가 건국된 후, 1380년(홍무 13년)에 봉양부(鳳陽府)의 관할이 되었고, 1403년(영락 원년)부터는 수도 난징(南京)에 속한 남직례(南直隸) 봉양부 소속이 되었다.[2]

청나라 초기에는 강남성(江南省)에 속했으나, 1667년(강희 6년) 안휘성(安徽省)이 분리되면서 안휘성 봉영육사도(鳳潁六泗道) 봉양부의 관할이 되었다.[2]

중화민국이 성립된 이후에도 안휘성 소속의 정원현으로 계속 유지되었다.[2] 이 시기까지 통치 방식에는 여러 변화가 있었지만, 정원현이라는 행정 구역 자체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1][2]

2. 3.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 리커창의 고향이다.[1]

1949년 1월 18일, 중국 공산당의 실효 지배 하에 놓인 딩위안현은 처음에는 강회 제일 지구의 관할이 되었다. 같은 해 4월 21일에는 완북행서 추현전구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56년 1월에는 벙부전구로 다시 관할이 바뀌었다가, 1961년 4월에는 추현전구로 재편입되었다. 추현전구는 1973년 이후 추현지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1992년 12월, 지급시인 추저우시가 성립되면서 딩위안현은 추저우시의 관할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2]

3. 행정 구역

딩위안 현(간체: 定远县zho, 정체: 定遠縣zho, 병음: Dìngyuǎn Xiàn)은 안후이성 추저우 시의 현급 행정 구역이다. 하위 행정 구역으로 16개의 진, 5개의 , 1개의 민족향 및 3개의 기타 구역을 관할한다.[3][4][5]

3. 1. 진

[3][4][5]

딩청제파이지
루차오시사뎬
장차오융캉
츠허상젠
장지산허지
주완어우탕
롄장다차오
우쉬


3. 2. 향

wikitext

향 이름원어 표기
치리탕七里塘乡중국어
넝런能仁乡중국어
판강范岗乡중국어
옌차오严桥乡중국어
푸샤오拂晓乡중국어


3. 3. 민족향

얼롱(二龙回族乡)

3. 4. 기타 구역


  • 딩위안 경제 기술 개발구安徽定远经济开发区중국어
  • 딩위안 염화 공업원定远盐化工业园중국어
  • 링자후 농장凌家湖农场중국어

4. 기후

딩위안의 기후 (1991년~2020년 평년값, 1981년~2010년 극값)[6][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총합
역대 최고 기온 (°C)19.8°C26.3°C28.1°C33.1°C36.6°C37.4°C39.6°C39.1°C38.4°C33.6°C28.6°C22.1°C39.6°C
월평균 최고 기온 (°C)6.5°C9.4°C14.7°C21.3°C26.5°C29.5°C31.8°C31.2°C27.4°C22.4°C15.8°C9°C20.5°C
일평균 기온 (°C)2.1°C4.8°C9.6°C16°C21.4°C25.1°C27.9°C27.1°C22.8°C17.2°C10.6°C4.3°C15.7°C
월평균 최저 기온 (°C)-1.2°C1.1°C5.5°C11.4°C16.9°C21.3°C24.7°C23.9°C19.2°C13.1°C6.6°C0.8°C11.9°C
역대 최저 기온 (°C)-13°C-11.8°C-4.8°C0°C6.7°C11.7°C18°C15.3°C10.5°C1.2°C-6°C-14.5°C-14.5°C
강수량 (mm)37.3mm40.5mm67.8mm67.1mm83.8mm160.4mm179.3mm145.6mm73.1mm50.7mm46.6mm26.3mm978.5mm
평균 강수일수 (≥ 0.1 mm)7.48.59.08.39.19.611.111.87.77.37.76.2103.7
평균 상대 습도 (%)73737170707681827873737274
월평균 일조 시간127.4126.9162.5189.4199.7171.9193.4191.6167.1165.4149.5141.01985.8
일조율 (%)40404448464045474647484545
평균 강설일수4.73.01.30.10000000.61.711.4


5.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新任总理的安徽印记——寻访李克强当年足迹(图)--新闻报道-人民网 http://cpc.people.co[...] 2021-10-01
[2] 웹사이트 历史沿革 https://www.dingyuan[...] the government of Dingyuan 2024-02-04
[3] 웹사이트 Plan of Administrative Divisions http://www.dingyuan.[...] 2019-05-15
[4] 웹사이트 Dingyuan County Historical Development http://www.xzqh.org/[...] XZQH.org 2015-12-30
[5] 웹사이트 2018 Statistical Area Numbers and Rural-Urban Area Numbers: Dingyuan County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8-01-01
[6]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7
[7]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7
[8] 웹인용 中国地面气候标准值月值(1981-2010)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