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신예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신예찬》은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가 1509년 여름에 집필한 풍자 문학 작품이다. 어리석음의 여신 모리아가 등장하여 인간 사회의 어리석음을 비판하며, 권위자들의 허위와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풍자한다. 이 책은 에라스뮈스 시대에 큰 인기를 얻어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우신예찬》은 인간의 어리석음과 역설적인 행복의 관계를 탐구하며, 현재까지도 사회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 집필 배경

1509년 여름, 에라스뮈스는 이탈리아에서 영국으로 여행하던 중 친구 토머스 모어를 떠올렸다. 이때 모어의 라틴어 이름 '모루스(Morus)'에서 착안하여 '모리아(痴愚女神)'라는 이름을 생각해 냈다. '모리아'는 그리스어로 '어리석음', '광기'를 의미하는 동시에 모어의 이름을 연상시키는 중의적인 표현이었다. 에라스뮈스는 이 모리아 여신의 입을 빌려 당시의 어리석은 세상을 풍자하고자 했다. 영국에 도착한 에라스뮈스는 모어의 집에 머무르면서 단숨에 이 책을 집필했다.[5]

3. 내용

《우신예찬》은 어리석음의 여신 모리아(Μωρία|모리아grc)가 청중 앞에서 연설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5] 모리아는 성경과 그리스·로마 고전을 자유롭게 인용하며 인간 사회의 어리석음과 그 반복되는 어리석은 행동을 풍자한다.

모리아는 왕, 귀족, 성직자, 신학자, 문법학자, 철학자 등 당시 사회의 권위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인간 행위의 근본에는 어리석음이 작용하고 있으며, 바로 그 어리석음 때문에 행복하다고 역설한다.

어리석음이 생명의 근원이며, 청춘과 쾌락을 가져다주는 반면, 학식은 노쇠의 상징이라고 주장한다. 학자나 현인은 책 속 지식에만 갇혀 현실 경험이 부족하지만, 어리석은 자는 현실 경험을 통해 진정한 사려분별을 터득한다고 말한다. 황금시대처럼 학문 없이 자연에 따라 사는 인간이 가장 행복하다고 주장한다.

기독교는 어리석음과 혈연관계에 있으며, 그리스도는 십자가의 어리석음을 통해 인류의 죄를 대신 갚으려 했다고 주장한다.

모리아(Moria)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어리석음", "광기"를 뜻하며, 토머스 모어의 라틴어 이름 모루스(Morus)에서 따온 것이다. 이 책은 토머스 모어에게 헌정되었다.

3. 1. 주요 등장인물

한스 홀바인의 재치 있는 어리석음의 여백 그림(1515), 에라스무스 자신이 소유한 사본


《우신예찬》은 고전적인 암시로 가득 차 있으며, 르네상스의 학식 있는 인문주의자들의 전형적인 스타일로 전달된다. 어리석음은 부의 신인 플루토스와 젊음의 요정의 자식인 여신으로 행세한다. 그녀는 두 명의 다른 요정인 술에 취함과 무지에 의해 양육되었다. 그녀의 충실한 동반자는 다음과 같다.[5]

  • 필라우티아(자기애)
  • 콜라키아(아첨)
  • 레테(망각)
  • 미소포니아(게으름)
  • 헤도네(쾌락)
  • 아노이아(치매)
  • 트리페(방종)
  • 두 신: 코모스(무절제)와 니그레토스 히프노스(깊은 잠)


어리석음은 멈추지 않고 스스로를 칭찬하며, 그녀가 없으면 삶이 지루하고 불쾌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4. 문학적 특징

《우신예찬》은 풍자적인 학문적 찬사로 시작하는데, 여기서 어리석음은 스스로를 칭찬하며, 이는 에라스무스와 토마스 모어 경이 최근 라틴어로 번역한 그리스 풍자 작가 루키아노스(서기 2세기)의 방식을 따른다.[5] 어리석음은 연인에서 왕자, 발명가, 작가, 주사위 놀이꾼, 전문 거짓말쟁이, 은둔자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모든 부분을 비판한다.

이후 어리석음은 일련의 연설에서 더 어두운 어조를 띠며 자기 기만과 광기를 칭찬하고, 가톨릭 교리의 미신적인 남용과 당시 교회 사람들과 사제들의 부패한 관행에 대한 풍자적 고찰로 옮겨간다. 에라스무스는 항상 교회에 충실했으며, 학자의 어리석음을 비판한다. 어리석음은 점점 에라스무스 자신의 꾸짖는 목소리를 띠게 된다.

에라스무스는 모어와 좋은 친구였으며, 건조한 유머와 기타 지적 추구를 함께 공유했다. 제목 《모리아 에코미움》은 "모어 찬양"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읽힐 수 있다. 이중 또는 삼중 의미는 텍스트 전체에서 계속된다.

이 작품은 르네상스의 학식 있는 인문주의자들의 전형적인 스타일로 전달되는 고전적인 암시로 가득하다. 어리석음은 부의 신인 플루토스와 젊음의 요정의 자식인 여신으로 행세한다. 그녀는 두 명의 다른 요정인 술에 취함과 무지에 의해 양육되었다. 그녀의 충실한 동반자로는 필라우티아(자기애), 콜라키아(아첨), 레테(망각), 미소포니아(게으름), 헤도네(쾌락), 아노이아(치매), 트리페(방종), 그리고 두 신, 코모스(무절제)와 니그레토스 히프노스(깊은 잠)가 있다. 어리석음은 멈추지 않고 스스로를 칭찬하며, 그녀가 없으면 삶이 지루하고 불쾌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상에서의 삶에 대해 어리석음은 "그것이 나에게 빚진 어떠한 유쾌함이나 행운도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거만하게 말한다.

《우신예찬》의 주목할 만한 전환점 중 하나는, 이 책이 고린도전서 1:21-23, 즉 ''십자가의 어리석음''에 대한 거의 정교한 설교로 밝혀진다는 것이다.

어리석음의 여신 모리아(모리에)는 청중 앞에서 대연설회를 열어, 성서 전설이나 그리스·로마 고전에서 인용한 수많은 구절과 종횡무진으로 쏟아지는 경구를 통해 인간 사회의 어리석음과 반복되는 우행을 묘하게 풍자한다. 어리석음의 여신은 경쾌하고 유쾌한 어조로 왕후 귀족, 성직자, 신학자, 문법학자, 철학자 등 권위자들을 철저히 비판하며, 인간 행위의 근저에는 어리석음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인간은 어리석기 때문에 행복한 것이라고 자화자찬의 긴 연설을 펼친다.

어리석음의 여신 모리아(Moria)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어리석음", "광기"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모어(More)의 라틴어 이름 모루스(Morus)에서 연상된 것이다. 이 책은 토마스 모어(Thomas More)에게 헌정되었다.

5. 영향

《우신예찬》은 1511년 출판 이후 유럽 각국에서 번역본과 해적판이 다수 출판되었으며, 종교 개혁 시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池田薫|이케다 가오루일본어 역 (하쿠스이샤, 1940년), 渡辺和雄|와타나베 가즈오일본어 역 (이와나미 문고, 1954년, 복간 1984년 외), 小出昭|오데 아키라일본어 역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2004년), 沓掛良彦|구쓰가케 요시히코일본어 역 (주오코론 문고, 2014년) 등이 있다.

이 책은 과격한 풍자 내용으로 인해 교회와 성직자로부터 적대시되어 금서 처분을 받기도 했다. 특히 궁정인이나 교황까지 풍자 대상으로 삼은 점이 문제가 되었다.[5] 에라스뮈스는 이 책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때문에 집필을 후회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1. 출판 및 번역

1511년 출판 이후, 유럽 각국에서 번역본과 해적판이 다수 출판되었으며, 수십 판을 거듭하며 종교 개혁 시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일설에는 수십만 부가 인쇄되었다고 하며,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베스트셀러였다. 그러나, 궁정인이나 교황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그 과격한 풍자 내용으로 인해 종종 교회·성직자로부터 적대시되어 발금 처분을 받았으며, 문제되는 부분을 삭제한 판도 출판되었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池田薫|이케다 가오루일본어 역 (하쿠스이샤, 1940년), 渡辺和雄|와타나베 가즈오일본어 역 (이와나미 문고, 1954년, 복간 1984년 외), 小出昭|오데 아키라일본어 역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2004년), 沓掛良彦|구쓰가케 요시히코일본어 역 (주오코론 문고, 2014년) 등이 있다.

5. 2. 비판과 논란

《우신예찬》은 출판 이후 과격한 풍자 내용으로 인해 교회와 성직자로부터 적대시되었다. 특히 궁정인이나 교황까지 풍자 대상으로 삼은 점이 문제가 되었다.[5] 이로 인해 책은 금서 처분을 받았으며, 문제가 되는 부분을 삭제한 판본이 출판되기도 했다.

초판 인쇄 이후, 유럽 각국에서 번역 및 해적판이 다수 출판되었으며, 일설에는 수십만 부가 인쇄되어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베스트셀러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기의 이면에는 비판과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에라스뮈스는 이 책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때문에 집필을 후회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평가

에라스뮈스의 《우신예찬》은 농담처럼 가볍게 시대의 어리석음과 사람들의 결점을 비웃으며, 독자들에게 한 걸음 물러나 그것을 바라보고 넘어설 수 있는 자유를 느끼게 해주는 책으로 평가된다.[16] 16세기 후반 수사학 교육에 영향을 미쳤으며, 쓸모없는 주제를 칭찬하는 애독소그래피(adoxography) 예술은 엘리자베스 시대 문법 학교에서 인기 있는 연습이 되었다.[16]

한스 홀바인 2세는 1515/16년 바젤 판본에 펜과 잉크 드로잉으로 삽화를 그렸는데,[17] 이는 《우신예찬》의 가장 유명한 삽화로 꼽힌다.

참조

[1] 서적 Erasmus And The Right To Heresy https://archive.org/[...] 1934
[2] 웹사이트 https://www.pepysdia[...]
[3] 서적 Hans Holbein the Younger: The Basel Years, 1515-1532 https://books.google[...] Prestel
[4] 서적 The University in Medieval Life, 1179–1499 https://books.google[...] McFarland
[5] 서적 Praise of Folly Penguin
[6] 웹사이트 Analytic Table of Contents for Hans Urs Von Balthasar's Trilogy https://www.academia[...]
[7] 간행물 The Praise of Folly in Context: The Commentary of Girardus Listrius https://www.jstor.or[...] 1971
[8] 웹사이트 In Praise of Folly Erasmus 1709 Edition https://www.raptisra[...]
[9] 웹사이트 The Praise of Folly, by Desiderius Erasmus https://www.gutenber[...]
[10] 웹사이트 IN PRAISE OF FOLLY, by Erasmus https://www.gutenber[...]
[11] 간행물 The Praise of Folly. By Desiderius Erasmus. Translated from the Latin, with an Essay & Commentary, by Hoyt Hopewell Huds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1. Pp. xl, 165. $2.50.) https://academic.oup[...] 1942-07
[12] 웹사이트 Moriae encomium; or, The praise of folly https://primo.getty.[...]
[13] 웹사이트 The Praise of Folly https://yalebooks.ya[...]
[14] 서적 Praise of Folly Penguin UK 2004-09-30
[15] 서적 Relics of literature Thomas Boys.
[16] 서적 The Rhetoric of Tragedy: form in Stuart dra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7] 서적 Hans Holbein the Younger, 1497/98–1543: the German Raphael Taschen
[18] 서적 Philosophers and Religious Leaders; Volume 2 of Lives and legaci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 서적 The Erasmus Reade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0
[20] 간행물 "The Praise of Folly," the Women Rhetor, and Post-Modern Skepticism https://www.jstor.or[...] 1992
[21]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