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25년은 서기 425년에 해당하는 해로, 각국의 연호, 기년, 사건, 문화, 교육, 종교, 탄생, 사망 등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사건으로는 서로마 제국의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황제로 즉위하고, 훈족의 이탈리아 침공, 왜왕 찬의 사신 파견 등이 있다.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가 설립되었고, 데모틱 문자의 마지막 사용 사례가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425년 | |
---|---|
425년 | |
달력 | |
로마 | |
집정관 |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 (11번째 임기)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 황제가 집정관을 맡음 |
발생 | |
5월 5일 |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의 칙령으로, 변호사들은 콘스탄티노플의 총독 관저에서만 소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됨 |
출생 | |
사망 |
2. 연호
3. 기년
인교 천황 14년 |
황기 1085년 |
4. 사건
- 2월 27일 -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가 아내 아일리아 에우도키아의 권유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를 설립하였다.
- 갈라 플라키디아 영묘 (라벤나)가 건설되었다. (425년경 ~ 426년)

- 산헤드린이 로마 제국에 의해 해산되었다.
- 이집트에서 데모틱 문자의 마지막 사용 사례가 확인되었다.
- 불교가 동남아시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 왜왕 찬이 사마조달을 송에 파견하여 상표하고 방물을 바쳤다(『송서』).[1]
4. 1. 로마 제국
- 로마 내전: 여름 – 요안네스는 요새 도시 라벤나에서 패배하고 아퀼레이아로 끌려갔다. 굴욕적인 당나귀 퍼레이드와 민중의 모욕을 당한 후 처형되었다.[1]
- 10월 23일 – 갈라 플라키디아의 여섯 살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서로마 제국의 황제(''아우구스투스'')로 즉위하였다. 실제 권력은 섭정이 된 그의 어머니에게 있었다.[1]
-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는 훈족 군대(60,000명)를 이끌고 북부 이탈리아로 진격하였다. 그는 플라키디아와 타협하여 갈리아에서 최고 사령관(''마기스터 밀리툼'') 지위를 얻었다.[1]
- 훈족은 저항 없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진격하였으나, 군대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궤멸되면서 저지되었다(433년 참조).[1]
4. 2. 이스라엘
산헤드린이 로마 제국에 의해 해산되었다.5. 문화
6. 교육
2월 27일 -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가 아내 아일리아 에우도키아의 권유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를 설립하였다.
7. 종교
8. 탄생
- 이암블리코스, 시리아 철학자
- 제논, 동로마 황제 (대략적인 연도)
9. 사망
- 11월 5일 - 아티쿠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 감리엘 6세 - 마지막 ''나시'' (산헤드린의 수장)
- 헬리안 보보 - 중국 흉노 국가 하의 황제 (* 381년)
- 요안네스 - 로마의 찬탈자
- 마비아 - 아랍 전사 여왕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 - 기독교 작가 (추정 연도)
- 약스 누운 아인 1세 - 티칼의 15대 아자우 (추정 연도)
- 혁련발발 - 오호 십육국 시대 하 건국자 (* 381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