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사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사략은 1377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베트남의 역사서이다. 사 희안이 편찬을 담당했다는 설이 있으며, 레 반 흐우의 《대월사기》를 요약하거나 쩐 포의 《월지》에 쩐 왕조의 연호를 추가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명나라의 침략으로 많은 서적이 소실되었지만, 월사략은 중국으로 옮겨져 《월사략》이라는 이름으로 《사고전서》에 수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이 책은 조타의 치세부터 리 왕조의 멸망까지의 베트남 역사를 다루며,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반랑 건국부터 12사군 난까지, 권2와 권3은 리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역사책 -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로, 응오시리엔이 이전의 역사서를 바탕으로 1479년에 15권으로 완성했으며, 이후 수정 및 증보를 거쳐 1697년 레히가 간행한 25권의 정화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 베트남의 역사책 - 대월사기
    대월사기는 레반휴가 쩐 태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베트남의 공식 역사서로, 남월 건국부터 리찌우황 통치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소실 후 재구성되어 《대월사기전서》 편찬의 토대가 되었다.
  • 편년체 - 자치통감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은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294권의 방대한 편년체 역사서로, 통치자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 다양한 시각과 사마광의 역사관을 담아 송대 이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편년체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월사략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제목대월사략
원제大越史略
저자미상
국가대월
언어한문
주제베트남의 역사
장르역사학
출판사쩐 왕조
출판일1377년경

2. 편찬 배경 및 역사

『대월사략(大越史略)』(대월사략)은 편찬 시기와 저자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2] 다만, 책의 마지막 기록, 저자, 보존 경위와 관련한 몇 가지 단서와 추정들이 존재한다. 1978년, 『대월사략』은 한자에서 러시아어로 직접 번역된 최초의 베트남 역사서가 되었다.[13]

2. 1. 편찬 시기 추정

『월사략』의 정확한 편찬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2] 책의 마지막 기록이 쩐 폐제의 연호였기 때문에, 1377년경에 편찬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3][4]

2. 2. 저자 관련 논란

『대월사략(大越史略)』의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2] 역사학자 사 희안이 편찬을 담당했다는 주장이 여러 출처에서 제기되고 있다.[4] 1363년 과거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한 사 희안은 역사 지식으로 매우 유명하여 쩐 황제가 그의 성을 쩐(陳)에서 사(史, 베트남어로 "역사"를 의미)로 바꾸도록 결정했다.[5] 다른 출처에서는 『대월사략(大越史略)』이 레 반 흐우가 1272년에 저술한 『대월사기』의 요약본이거나, 혹은 쩐 포의 『월지』에 쩐 왕조의 연호를 추가한 것일 뿐이라고 추정하지만, 역사적 증거 부족으로 이 두 가설은 검증할 수 없다.[6]

2. 3. 명나라의 서적 수탈과 보존

제4차 중국 지배 기간 동안, 명나라대월의 귀중한 서적들을 약탈했는데, 이 과정에서 『대월사기』를 포함한 많은 서적이 유실되었다.[6][7][8][9] 그러나 『대월사략(大越史略)』은 중국으로 옮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원형 그대로 보존되었고, 청나라 때 『사고전서』에 『월사략(越史略)』이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었다. 이때 중국의 예법에 따라 책 제목의 첫 글자인 '대(大)'는 생략되었다.[6] 이러한 연유로 『월사략(越史略)』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베트남 역사에 관한 가장 오래된 연대기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2][5][11]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반입된 가장 중요한 책으로 여겨진다.[12]

3. 구성 및 내용

《월사략》은 한자로 쓰였으며, 조타의 치세(기원전 2세기)부터 리 왕조의 멸망(1225년)까지의 베트남 역사를 다루고 있다. 내용은 3권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권1상고 시대의 역사, 중국 역대 왕조의 군현 통치, 독립 이후의 응오 왕조, 딘 왕조, 전 레 왕조의 역사를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권2리 왕조리 태조부터 리 인종까지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권3리 신종부터 리 소황까지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쩐 왕조 성립 이후에는 리 왕조 복원의 기대를 끊기 위해 리(Lý)씨를 응우옌(Nguyễn)씨로 칭하였다.[2][16]

《월사략》은 편찬 품질이 일관성이 없어, 상세하게 기록된 시기도 있었지만 매우 간략하게 기록된 부분도 있었다.[2] 10세기 중반까지의 기간에 대한 편찬은 주로 중국 자료에 의존한 것으로 보이며, 리 왕조의 치세에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하여 광범위하게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6]

현존하는 《사고전서》 판 《월사략》에는 청나라 사람이 작성한 《제요(提要)》 1편과 원래 책 끝에 있던 《附陳朝紀年|부진조기년중국어》 1편이 있다.

3. 1. 권1: 상고 시대 ~ 딘 왕조

국서연각(國書沿革)으로 명명되었으며, 기원전 7세기 베트남 최초의 국가인 반랑 건국[15]부터 12사군 난(10세기)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중국 역대 왕조의 군현 통치, 독립 이후의 응오 왕조, 딘 왕조, 전 레 왕조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3. 2. 권2, 권3: 리 왕조

리 왕조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으며, 응우옌 기(Nguyễn kỷ)라고도 한다. 쩐 왕조 성립 후 리 왕조 복원의 기대를 끊기 위해 리(Lý)씨를 응우옌(Nguyễn)씨로 칭하였다. 이는 쩐 태종 황제 조부인 쩐 리(Trần Lý)의 휘(이름)를 피하기 위함이었다.[2][16]

3. 3. 부록: 쩐 왕조 초기 연호 목록

附陳朝紀年|부진조기년중국어에는 쩐 태종부터 쩐 폐제까지 쩐 황제의 연호 목록이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다.[14]

4. 특징 및 한계

越史略중국어한자로 쓰였으며, 기원전 2세기 조타의 치세부터 1225년 리 왕조의 멸망까지의 베트남 역사를 다룬다. 부록으로 쩐 태종부터 쩐 폐제까지 쩐 황제의 연호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14] 편찬 품질이 일정하지 않아 상세하게 기록된 시기도 있는 반면, 매우 간략하게 기록된 부분도 있다.[2] 10세기 중반까지는 주로 중국 자료에 의존하여 편찬되었으나, 리 왕조 시대의 역사는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었다.[6]

4. 1. 사료 가치

명나라의 제4차 중국 지배 기간 동안, 대월의 많은 귀중한 서적들이 빼앗겨 분실되었다.[6][7][8][9] 『대월사략』은 중국으로 옮겨졌음에도 불구하고,[10] 원래 형태로 보존되어 청나라의 『사고전서』에 『월사략(越史略)』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중국의 예법과 역사적 전통에 맞춰 첫 글자 "대(大, '위대함'을 의미)"는 생략되었다.[6] 따라서 이 책은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베트남의 역사에 관한 가장 초기의 연대기로 여겨지며,[2][5][11]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반입된 가장 중요한 책으로 평가받는다.[12] 1978년, 『대월사략(大越史略)』은 한자에서 러시아어로 직접 번역된 최초의 베트남 역사서였다.[13]

4. 2. 내용 서술의 특징

한자로 쓰인 ''대월사략''은 조타의 치세(기원전 2세기)부터 리 왕조의 멸망(1225년)까지의 베트남 역사를 다루며, 쩐 태종부터 쩐 폐제까지 쩐 황제의 연호 목록이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다.[14] ''대월사략''은 편찬 품질이 일관되지 않아 상세하게 기록된 시기도 있는 반면, 매우 간략하게 기록된 부분도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2] 10세기 중반까지는 주로 중국 자료에 의존하여 편찬되었으나, 리 왕조 시대의 역사는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었다.[6]

5. 현대의 연구 및 번역

(내용 없음)

5. 1. 베트남 국외 반출

1978년, 『월사략』은 한자를 러시아어로 직접 번역한 최초의 베트남 역사서가 되었다.[13]

참조

[1] 서적 Postcolonial Vietnam: new histories of the national past Duke University
[2] 백과사전 Đại Việt sử lược http://dictionary.ba[...]
[3] 참고문헌
[4] 학술지 Sách Hán Nôm tại Thư viện Vương quốc Anh http://www.hannom.or[...] Institute of Hán Nôm
[5] 백과사전 Sử Hy Nhan http://dictionary.ba[...]
[6] 참고문헌
[7] 참고문헌
[8] 참고문헌
[9]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 Asia Center
[10] 학술지 Lược khảo về thư tịch cổ Việt Nam du nhập vào Trung Quốc http://www.hannom.or[...] Institute of Hán Nôm
[11] 백과사전 Phong Châu http://dictionary.ba[...]
[12] 학술지 Khảo thuật về cổ tịch có liên quan đến Việt Nam thuộc các triều đại ở Trung Quốc http://www.hannom.or[...] Institute of Hán Nôm
[13] 학술지 "Việt sử lược" với bản tiếng Nga của A. B. Pôliacốp http://www.hannom.or[...] Institute of Hán Nôm
[14] 참고문헌
[15] 서적 Britain in Vietnam: prelude to disaster, 1945-6 Routledge
[16] 학술지 Bước đầu nghiên cứu chữ húy đời Trần http://www.hannom.or[...] Institute of Hán Nô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