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고슬라브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고슬라브인은 1849년 처음 사용된 '유고슬라브'라는 단어를 기원으로 하며, 20세기 초 지식인들의 지지를 받으며 유고슬라비아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단일 유고슬라브 민족을 선언했으나 민족 갈등을 심화시켰고, 195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인구 조사에서 '유고슬라비아인' 범주가 도입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에는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정체성을 밝히는 사람이 감소했으며, 세르비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유고슬라비아의 상징으로는 청백적 삼색기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코소보의 민족 - 알바니아계 코소보인
    알바니아계 코소보인은 코소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코소보의 역사, 문화,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게그 알바니아어 방언을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경향이 있는 알바니아인들을 지칭한다.
  • 북마케도니아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북마케도니아의 민족 - 고라인
    고라인은 코소보,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에 걸쳐 거주하며 "고지대 사람들"을 의미하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우리 사람들"이라는 뜻의 "Našinci"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민족적 정체성을 가지고 역사적으로 이슬람화되었으나 기독교적 전통과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는 민족 집단이다.
유고슬라브인
개요
세계의 유고슬라비아 디아스포라 지도
세계의 유고슬라비아 디아스포라 지도. 인구 조사에서 스스로를 유고슬라브인이라고 밝힌 사람들의 수치.
인구 통계
미국 (2021년)210,395명 (유고슬라브계 미국인)
캐나다 (2016년)38,480명 (유고슬라브계 캐나다인)
세르비아 (2022년)27,143명 (유고슬라브인)
오스트레일리아 (2011년)26,883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3년)2,570명
몬테네그로 (2023년)1,632명
크로아티아 (2021년)942명
슬로베니아 (2002년)527명
북마케도니아 (2021년)344명
러시아 (2021년)60명
언어
사용 언어남슬라브어, 영어
종교
주요 종교무신론,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수니파
관련 민족
관련 민족남슬라브족, 기타 슬라브족

2. 역사적 배경

19세기 후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서 일어난 일리리아 운동은 남슬라브족을 고대 일리리아인과 동일시하고, 슈토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공통 언어를 구축하려 했다. 이는 남슬라브 민족 정체성을 정의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였다.[8]

20세기 초,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단일 유고슬라비아 민족 정체성을 만들고자 했으나, 이는 세르비아 중심주의로 이어져 다른 민족들의 반발을 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이념 아래 민족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유고슬라비아인이라는 초민족적 정체성을 장려했다. 티토는 통합된 유고슬라비아 민족이 자연스럽게 발전하기를 바랐다.[16]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서는 민족과 국적 모두에 대해 "유고슬라비아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2. 1. 유고슬라비즘과 유고슬라비아

18세기 후반부터 남슬라브인 민족 정체성을 정의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유고슬라브'라는 단어는 1849년 요십 유라이 슈트로스마이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7] 유고슬라비즘의 초기 형태는 합스부르크 크로아티아의 일리리아 운동이었으며, 류데비트 가이가 이 운동을 이끌었다.[8]

20세기 초, 이반 메슈트로비치, 요반 치비치 등 지식인들이 유고슬라브 정체성을 지지했다.[9][10] 1914년, 가브릴로 프린치프프란츠 페르디난트 황태자 암살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의 계기가 되었으며, 프린치프는 유고슬라브 민족주의자였다.[11][12][13]

1917년 코르푸 선언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건국의 기초를 마련했다. 1929년, 알렉산드르 1세는 국명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바꾸고 단일 유고슬라브 민족을 선언했으나, 이는 민족 갈등을 심화시켰다. 1939년 철학자 블라디미르 드보르니코비치는 "유고슬라브인의 성격학"에서 유고슬라브 민족 수립을 옹호했다.[10]

2. 2.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자기 확인

유고슬라비아 왕국 당국이 20세기 초에 시행한 통일 정책은 남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단일 유고슬라비아 민족 정체성을 만들고자 했지만, 국민 대다수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유고슬라비아 통일주의와 세르비아 민족주의 반대자들은 그러한 정책과 세르비아 왕가인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권력 집중 시도를 유고슬라비아 비세르비아계 인구의 점진적인 세르비아화로 해석했다.

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추축국 점령자로부터 나라를 해방시킨 후, 새롭게 수립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연방으로 조직되었다. 집권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은 이전 왕정에서 장려되었던 민족 통일주의에 이념적으로 반대했고, 대신 유고슬라비아 여러 국가와 소수 민족 간의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개념 안에서 민족 다양성과 사회적 유고슬라비아주의를 인정하고 장려했다. 전통적인 민족 정체성은 다시 유고슬라비아 대부분 주민들이 사용하는 주요 민족 지칭이 되었고, 1990년대 초반 국가 해체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유고슬라비아가 단단한 공동체로 통합되어 더 이상 형식적인 공동체가 아니라 단일 유고슬라비아 민족의 공동체가 되는 날을 보고 싶다"고 말하며, 하나로 통합된 유고슬라비아 민족이 자연스럽게 발전하기를 바란다는 뜻을 표명했다.[16]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는 티토의 이상을 반영하여 민족과 국적 모두에 대해 "유고슬라비아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정체성은 국가의 다민족 지역에서 더 흔했는데, 구성 공화국이 다민족일수록 그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중부, 보이보디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높았고,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 코소보에서는 가장 낮았다. 197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인은 273,077명으로 전체 인구의 1.33%였다. 티토 사후 1년 후인 1981년 인구 조사에서는 유고슬라비아인이 1,216,463명(5.4%)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15]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자기 확인한 비율[15]
지역1961년1971년1981년
크로아티아0.4%1.9%8.2%
세르비아 중부0.2%1.4%4.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8.4%1.2%7.9%
코소보0.5%0.1%0.1%
마케도니아0.1%0.2%0.7%
몬테네그로0.3%2.1%5.3%
슬로베니아0.2%0.4%1.4%
보이보디나0.2%2.4%8.2%
유고슬라비아1.7%1.3%5.4%


  • 1991년 인구 조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민의 5.54%(242,682명)가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밝혔다.[17]
  • 같은 인구 조사에서 몬테네그로 인구의 약 5%도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밝혔다.
  • 198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인은 크로아티아 인구의 약 8.2%를 차지했는데, 이는 구성 공화국 내에서 ''유고슬라비아인''의 비율로는 사상 최고치였다. 1991년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비아인 수는 인구의 2%로 감소했다. 독립 이후 첫 번째 인구 조사인 2001년 크로아티아 인구 조사에서는 유고슬라비아인이 176명으로 당시 인구의 0.01% 미만이었다.[18] 2011년 다음 인구 조사에서는 크로아티아에서 331명의 유고슬라비아인이 등록되었는데, 마찬가지로 인구의 0.01% 미만이었다.[19]
  • 전통적으로 다민족으로 구성된 보이보디나는 1981년 인구 조사에서 크로아티아와 비슷한 비율을 기록했는데, 200만 명의 주민 중 약 8%가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밝혔다.[15]


유고슬라비아 해체 직전과 직후, 대부분의 유고슬라비아인들은 자신의 민족 및 지역 정체성으로 돌아갔다.

3.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195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실시된 인구 조사[59]에서 '유고슬라비아인'이라는 범주가 도입되었다. 이는 민족적, 종교적 귀속을 묻는 항목과 관련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는 다민족 국가였으며, 여러 민족 간 혼혈이 진행되어 자신의 민족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규정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존재했다. 특히 민족 간 혼혈이 많이 진행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 자치주, 도시 지역 등에서 유고슬라비아인이 많았다.

1971년 국세 조사에서는 273,077명(전체 인구의 1.3%), 1981년에는 1,216,463명(전체 인구의 5.4%)이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신고하여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유고슬라비아 해체 움직임이 진행되면서 이 수는 감소했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마지막 국세 조사에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239,777명이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신고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 국가들에서 2001년부터 2003년 사이에 실시된 국세 조사에서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자신을 신고하는 사람들의 수는 줄어들었다. 2002년 세르비아 국세 조사에서는 80,721명이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신고했다.

오늘날에도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신고하는 사람들은 공산주의 체제를 지지하거나, 유고슬라비아를 회고하거나,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반성하며 민족 간 화합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이념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모의 민족이 다르다는 이유로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신고하는 사람들도 있다.

3. 1. 해체 이후의 자기 확인

21세기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끝나고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03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가 분리되면서,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자신을 정체화하는 사람들의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24][23][21][20][22][25]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정체화하는 사람들의 수와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세르비아이며, 북마케도니아가 가장 낮다. 코소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통계는 없다.

스스로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밝힌 사람들
국가인구 수
(센서스 연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13)[20]
크로아티아(2021)[21]
코소보알 수 없음
몬테네그로(2023)[22]
북마케도니아(2021)[23]
세르비아(2022)[24]
슬로베니아(2002)[25]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슬로베니아를 제외한 전 유고슬라비아 영토에서 "남동유럽의 상징적 국가 건설 전략"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유된 정체성에 대한 여론 조사가 실시되었다.[26][27] 응답자들에게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 지금도 그렇게 느낀다", "아니다, 결코 그렇게 느낀 적이 없다", "이제는 더 이상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의 세 가지 선택지가 주어졌다.

조사 대상 여섯 개국 모두에서 응답자 대다수(~70~98%)가 결코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끼지 않았거나 더 이상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고 답했다. 세르비아가 가장 낮았고 코소보가 가장 높았다. 크로아티아코소보는 95%가 위에서 언급한 옵션 중 하나를 선택했고 3% 미만이 여전히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다고 답하여 가장 명확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코소보에서는 92% 이상이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 적이 없다고 답했다.

반면, 몬테네그로세르비아는 각각 약 28%와 32%가 여전히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다고 답해 가장 의견이 분분했다. 이 두 국가는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 적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보다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가 더 많은 유일한 국가였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더 이상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약 48%로 가장 높았고, 몬테네그로세르비아가 그 뒤를 이었다.[26][27]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크로아티아코소보북마케도니아몬테네그로세르비아
네, 지금도 그렇게 느낍니다19.2%2.8%2.0%14.9%28.1%31.8%
예전에는 그렇게 느꼈지만, 이제는 아닙니다48.1%29.1%5.8%38.2%46.4%42.9%
아니오, 유고슬라비아인이라고 느낀 적이 없습니다32.5%66.3%92.1%47.0%23.7%24.4%


3. 2. 조직

유고슬라브 연합 로고


크로아티아에는 유고슬라브인 관련 단체가 여럿 있다. 2010년 자그레브에서 설립된 "유고슬라브 연합"(Savez Jugoslavena)은 종교, 성별, 정치적 견해 등에 관계없이 크로아티아의 유고슬라브인들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8] 이 단체의 주요 목표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등 모든 유고슬라비아 계승 국가에서 유고슬라브 민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것이다.[29]

"우리 유고슬라비아"(Udruženje "Naša Jugoslavija")는 유고슬라브 민족 인정을 옹호하는 또 다른 친유고슬라비아 단체로, 크로아티아에 공식 등록되어 있다.[30] 이스트리아의 도시 풀라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31] 2009년 7월 30일에 설립되었다.[32] 리예카, 자그레브, 풀라에 가장 많은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33] 주요 목표는 유고슬라비아 계승 국가 간의 관계 안정화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도 활동하지만, 당국은 공식 등록을 거부했다.[30]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잘 알려진 친유고슬라비아 단체는 해안 도시 티바트에 본부를 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총영사관"이다. 2011년 인구 조사 전에 이 단체의 회장 마르코 페르코비치는 몬테네그로의 유고슬라브인들에게 다가오는 인구 조사에서 유고슬라브 정체성을 자유롭게 밝힐 것을 촉구했다.[34]

4. 주요 인물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지도자이자, 비동맹 운동의 공동 창립자이다.[35][3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저항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조직하고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한 추축국 군대를 몰아냈다.[37][38]
  • 이보 안드리치: 소설가.
  • 고란 브레고비치: 영화 음악 작곡가.
  • 레파 브레나: 가수.[37][38]
  • 요슈카 브로즈(Joška Broz):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손자.[39]
  • 올리버 둘리치(Oliver Dulić)[40][41]
  • 스르잔 드라고예비치(Srđan Dragojević)
  • 죠르제 죠가니(Đorđe Đogani)[42]
  • 브랑코 주리치(Branko Đurić)
  • 이반 에르기치(Ivan Ergić)[43]
  • 안드레이 그루바치치(Andrej Grubačić)
  • 에크렘 예브리치(Ekrem Jevrić)[44]
  • 에드빈 칸카 추디치(Edvin Kanka Ćudić)
  • 보조 코프리비차(Božo Koprivica)[45]
  • 마그니피코(Magnifico)[46][47]
  • 이고르 만디치(Igor Mandić)
  • 브랑코 밀리체비치 "코치카"(Branko Milićević "Kockica")[48]
  • 밀란 밀리시치(Milan Milišić)[49]
  • 아쇼크 무르티(Ašok Murti)[50]
  • 이비차 오심(Ivica Osim)[51]
  • 스르자 포포비치(Srđa Popović)[52][53]
  • 제바드 프레카지(Dževad Prekazi)[52][53]
  • 밀년코 스모예(Miljenko Smoje)
  • 브라니미르 슈툴리치(Branimir Štulić)[54]
  • 보그단 타녜비치(Bogdan Tanjević)
  • 두브라브카 우그레시치(Dubravka Ugrešić)
  • 요반 바비치(Jovan Vavic)
  • 두시코 부요셰비치(Duško Vujošević)
  • 밀리치 부카시노비치: 록 음악가.[55][56]
  • 죠르제 발라셰비치(Đorđe Balašević)[57]

5. 상징

유고슬라비아인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가장 흔히 연관되는 상징은 중앙에 노란색 테두리의 빨간 별이 있는 청백적 삼색기이다.[58] 이 깃발은 1945년부터 1991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기로도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청백적 삼색기가 유고슬라비아주의의 상징이었으며, 이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즉, 전간기유고슬라비아 국기이기도 했다.

6. 같이 보기

wikitext


  • 유고노스탈지아
  • 세르비아의 유고슬라비아인

참조

[1] 웹사이트 2021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11-19
[2]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http://www12.statcan[...] statcan.gc.ca 2017-10-25
[3] 웹사이트 Fact sheets : Ancestry – Serbian https://www.abs.gov.[...]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6-09-20
[4] 웹사이트 2. Состав группы населения "Указавшие другие ответы о националь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3-09
[5] 서적 The Yugoslav Retrospective Case https://www.rand.org[...] 2001-01-01
[6] 서적 Balkan Idols: Religion and Nationalism in Yugoslav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 백과사전 Enciklopedija Jugoslavij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Yugoslav Peop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0] 서적 Making a Nation, Breaking a Nation: Literature and Cultural Politics in Yugoslav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First World War.com'' Primary Documents: Archduke Franz Ferdinand's Assassination, 28 June 1914 http://www.firstworl[...] 2002-11-03
[13]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New York University Press
[14] 서적 Modernism: The Creation of Nation-State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Who Were the Yugoslavs? Failed Sources of a Common Identity in the Former Yugoslavia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94-02-01
[16] 학술지 The Serbian Hegemony, Ethnic Heterogeneity and Yugoslav Break-Up 1999-04-09
[17] 문서 Ethnic composition of Bosnia-Herzegovina population, by municipalities and settlements, 1991. census Zavod za statistiku Bosne i Hercegovine – Bilten no.234
[18] 웹사이트 Population of Croatia 1931–2001 http://www.vojska.ne[...]
[19] 웹사이트 Državni zavod za statistiku Republike Hrvatske http://www.dzs.hr/Hr[...]
[20]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Bosni i Hercegovini – Etnička/nacionalna pripadnost, vjeroispovjest i maternji jezik https://www.popis.go[...] Agency for Statistics of Bosnia and Herzegovina
[21] 웹사이트 Balkan, Srbija i popis 2022: Ko su danas Jugosloveni i ima li ih uopšte https://www.bbc.com/[...] 2022-10-10
[22]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23 https://monstat.org/[...] Monstat
[23] 웹사이트 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2021 – прв сет на податоци https://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2022-03-30
[24] 웹사이트 Final results of the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2022 https://popis2022.st[...]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04-28
[25] 웹사이트 Statistični urad RS – Popis 2002 http://www.stat.si/p[...]
[26] 서적 Strategije simbolične izgradnje nacije u državama jugoistočne Europe Srednja Europa
[27] 뉴스 O jugonostalgiji i lojalnosti svojoj državi https://www.slobodna[...] 2017-03-06
[28] 뉴스 U Zagrebu osnovan Savez Jugoslavena http://www.jutarnji.[...] Jutarnji list 2010-03-23
[29] 뉴스 U Zagrebu osnovan Savez Jugoslavena: Imamo pravo na očuvanje baštine Jugoslavije http://www.index.hr/[...] Index.hr 2010-03-23
[30] 웹사이트 Yugoslavs in the twenty-first century: 'erased' people https://www.opendemo[...] 2011-02-17
[31] 뉴스 Udruženje "Naša Jugoslavija" osniva Klubove Jugoslavena https://web.archive.[...] Dubrovački vjesnik 2010-07-25
[32] 뉴스 Osnovano udruženje "Naša Jugoslavija" u Puli http://www.rtv.rs/sr[...] Radio Television of Vojvodina 2009-07-30
[33] 뉴스 "Naša Jugoslavija" širi se Hrvatskom http://www.vesti-onl[...] Vesti online 2010-07-27
[34] 뉴스 Perković pozvao Crnogorce da se izjasne i kao Jugosloveni https://web.archive.[...] Srbijanet 2011-03-03
[35] 서적 Tito and his People http://www.trussel.c[...]
[36] 웹아카이브 Liberation of Belgrade and Yugoslavia https://web.archive.[...] 2007-12-02
[37] 뉴스 Lepa Brena u Zagrebu?! http://dnevnik.hr/sh[...] Dnevnik.hr 2008-12-13
[38] 웹사이트 Lepa Brena: Nisam ni Hrvatica ni Srpkinja, ja sam Jugoslavenka! https://www.index.hr[...] 2008-08-08
[39] 뉴스 DANI – Intervju: Joška Broz, unuk Josipa Broza Tita http://www.skibyusa.[...] BH Dani 2009-08-14
[40] 웹아카이브 Слушам савете многих, али одлуке доносим сам https://web.archive.[...] 2015-09-23
[41] 웹사이트 Dulić: 'Nisam Hrvat nego Jugoslaven' http://dnevnik.hr/vi[...] Dnevnik.hr 2007-05-23
[42] 웹아카이브 ЏОЛЕ: Со Слаѓа сум во одлични односи! https://web.archive.[...] Večer 2011-07-22
[43] 뉴스 "Ich bin ein alter Jugoslawe" http://www.ballester[...] Ballesterer 2008-05-13
[44] 웹사이트 Pas do pasa, beton do betona http://www.vreme.com[...] Vreme 2010-07-29
[45] 뉴스 U fudbalu nema nacionalizma https://web.archive.[...] Monitor Online 2010-07-16
[46] 웹아카이브 Intervju: Magnifico Il Grande. Po domače, Car https://web.archive.[...] Mladina 2008-04-19
[47] 뉴스 А1 репортажа – Словенија денес http://www.a1.com.mk[...] A1 Television 2009-01-01
[48] 웹사이트 Uz mališane 33 godine http://www.blic.rs/V[...] Blic 2011-07-20
[49] 뉴스 Život za slobodu http://www.e-novine.[...] E-Novine 2010-10-04
[50] 뉴스 Ostao sam ovde iz inata http://www.blic.rs/I[...] Blic 2008-03-23
[51] 웹아카이브 Nikad nisam skrivao da sam Jugosloven https://web.archive.[...] E-Novine 2013-12-03
[52] 웹아카이브 Kako preživeti slavu https://web.archive.[...] Standard 2012-03-18
[53] 웹사이트 ISPOVEST Dževad Prekazi za Blicsport: Još sam zaljubljen u Jugoslaviju, sahranite me sa dresom Partizana http://sport.blic.rs[...]
[54] 웹아카이브 Тивка војна меѓу Србија и Хрватска за Џони Штулиќ!? https://web.archive.[...] Večer 2011-09-28
[55] 뉴스 Tifa: Navijam za mog Miću http://www.blic.rs/Z[...] Blic 2008-03-04
[56] 웹아카이브 Sve za razvrat i blud https://web.archive.[...] Glas Javnosti 2010-03-25
[57] 뉴스 Balašević: Nisam Srbin nego Jugosloven https://www.blic.rs/[...] Blic 2012-09-11
[58] 웹아카이브 U Crnoj Gori oko 1.000 Jugoslovena, 100 Turaka, 130 Njemaca... https://web.archive.[...] Vijesti 2016-05-13
[59] 문서 正確には「住民・世帯調査」。以下、人口調査と略す。
[60] 서적 人口調査の政治性: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のムスリム人をめぐって 山川出版社
[61] 웹아카이브 2013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web.archive.[...] 미국 인구조사국 2019-01-18
[62]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http://www12.statcan[...] statcan.gc.ca 2017-10-25
[63] 웹사이트 Fact sheets : Ancestry – Serbian http://www.abs.gov.a[...] 2012-08-16
[64] 서적 Population : ethnicity : data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2-12-02
[65] 문서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11 http://www.monstat.o[...] Monstat –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66] 웹아카이브 Statistični urad RS - Popis 2002 https://web.archive.[...] 2022-03-05
[67] 웹아카이브 Croatian 2011 Census, detailed classification by nationality https://archive.toda[...] 2022-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