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본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본드는 표시 통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는 채권으로, 원래는 무기명 채권 형태로 발행되어 원천징수세가 면제되었다. 1963년 이탈리아의 오토스트라데가 최초로 발행한 유로본드는 미국의 이자평형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으며, 이후 변동금리부 유로채권, 비거주자 유로 엔화 채권 등으로 발전했다. 1980년대에는 크레디 스위스 퍼스트 보스턴과 같은 기관이 인수 주간사로 활동했고, 1990년대에는 일본 증권 회사의 점유율이 높아졌다. 유로본드는 중동유럽,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경제 안정에 기여했으며, 전자적 형태로 거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금융 - 외환위기
외환 위기는 한 국가의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으로, 과도한 재정 적자, 금융 시스템 취약성, 외부 경제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여러 형태의 금융 위기로 나타난다. - 국제금융 - 중진국 함정
중진국 함정은 임금 상승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잃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도약하지 못해 1인당 국민 소득이 일정 수준에 갇히는 현상으로, 낮은 투자, 산업 다변화 부족, 열악한 노동 시장 등의 요인으로 나타나며, 신규 시장 개척, 생산성 및 혁신 투자를 통해 벗어날 수 있다. - 채권 - 전쟁 채권
전쟁 채권은 전쟁 수행 자금 조달을 위해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이며, 애국심을 고취하고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여 전쟁 비용 조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채권 - 유동화
유동화는 자산 보유자가 자금 조달을 위해 채권, 대출,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을 담보로 증권을 발행하여 현금화하는 금융 기법으로, 자산 보유자의 자금 조달 비용 절감 및 대차대조표 효율적 관리와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지만 위험 요소도 수반한다.
| 유로본드 | |
|---|---|
| 개요 | |
| 명칭 | 유로본드 (Eurobond) |
| 유형 | 국제 채권 (외국 통화 표시 채권) |
| 설명 | 자국 통화가 아닌 다른 통화로 표시된 국제 채권 |
2. 용어
유로본드는 표시 통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유로엔 및 유로달러 채권은 각각 일본 엔과 미국 달러로 표시된다. 원래 "유로채"는 해당 채권의 표시 통화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행 및 구매되는 채권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이후 시장의 발전에 따라 역외 시장에서 발행되는 경우, 발행국의 통화로 표시되더라도 유로채로 간주하게 되었다.[1]
1963년 이탈리아 고속도로 네트워크 오토스트라데가 최초의 유로본드를 발행했다.[3] 이는 미국의 이자평형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다.[6] 이자평형세는 미국인들의 외국 증권 수요를 줄여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를 줄이는 것이 목표였다. 이 세금으로 인해 미국인들은 세금을 우회할 수 있었고, 유럽인들은 미국의 자본에 대한 접근을 유지할 수 있었다.
3. 역사
3. 1. 초기 역사
1963년 이탈리아 고속도로 네트워크 오토스트라데가 최초의 유로본드를 발행했다.[3] 이 회사는 15년 만기, 연 5.5%의 쿠폰을 지급하는 총 1500만달러 규모의 채권으로, 각 250USD 상당의 무기명 채권 6만 개를 발행했다. 이 발행은 런던 은행가 S. G. 워버그가 주선했다.[4][5] 이 채권은 룩셈부르크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런던의 매직 서클 로펌 중 하나인 앨런 앤 오버리가 이 거래의 변호사였다.
이 유로본드의 개념은 미국의 이자평형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다.[6] 이 세금의 목표는 미국인들의 외국 증권 수요를 줄여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를 줄이는 것이었다. 미국인들은 비용이 많이 드는 세금을 우회할 수 있었고, 유럽인들은 미국의 자본에 대한 접근을 열어둘 수 있었다.
3. 2. 프린지 뱅킹 (Fringe Banking)
프린지 뱅킹(Fringe Banking)이란 은행의 "주변부"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를 가리킨다.[4]
S. G. Warburg & Co.|SG 워버그영어는 1963년 이전부터 스웨덴 크로나 등의 통화로 국제 채권을 발행했다.[10]
1962년부터 영국에서 아이슬란드와 벨기에의 외채가 무기명으로 발행되었다. 1963년 4월 발표되어 8월부터 실시된 세제 개혁으로 무기명 증권 발행이 인정되었다. 무기명 증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도 발행되었으며, 그 당시 6%의 세금이 부과되었다. 무기명 증권 발행의 세율은 영국 거주자 발행의 경우 3%, 비거주자의 경우 2%로 인하되었다. 이 세제 개혁이 런던으로 유로 시장을 유치하는 유인이 되었다.
시장 형성기에는 유로 채권의 80% 정도를 스위스 3대 은행(스위스 연방 은행, 크레디 스위스, 스위스 은행 코퍼레이션)이 인수하여 스위스 안팎의 고객에게 판매하여 소화시켰다고 한다. 스위스 다음의 판매처는 베네룩스 3국이었다. 최종적인 매수자는 대륙 유럽의 부유한 개인 투자자이거나, 기관 투자자로는 스칸디나비아 및 그리스 해운 회사, 스칸디나비아 보험 회사, 이스라엘 중앙 은행, 런던의 크라운 에이전트, 스위스 3대 은행이 운영하는 투자 신탁 등이다.[9]
3. 3. 변동금리부 유로채 (FRN)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유로 신디케이트 론이 융성했다. 유로 시장이 통합되면서 단기 자금(오일 머니나 콜머니 등)이 LIBOR 등에 의해 롤오버되어 중·장기 대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14] 이 Floating rate note|변동금리채(FRN)영어가 바로 세컨더리 뱅킹의 주력 상품이었다. 1974년, Franklin National Bank|프랭클린 내셔널영어의 환차손이 표면화되거나, Herstatt Bank|헤르슈타트 은행영어이 파산하면서 콜머니에 의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1월부터 자율 규제를 철폐한 미국 은행이 자금을 공급했다.[15]
FRN은 1975년 BNP가 6년 만기 5000만달러를 발행한 것을 시작으로 프랑스 은행과 영국의 어음 교환소 가맹 은행도 발행하게 되었다. 남미에서 채무 위기가 발생하자 FRN 보유에서 은행의 비율이 80%를 넘었다고 추정된다. 1982-1983년 1분기까지는 신용도가 높은 유럽형 은행이 고정 금리 채권을 발행하여 이를 변동 금리 지급으로 스왑하고, 반대쪽에서는 Baa 등급 정도의 미국 기업이 변동 금리 채권을 발행하여 이를 고정 금리 지급으로 스왑하는 장외 거래가 두드러지게 이루어졌다. 이 거래는 고정 금리 시장과 변동 금리 시장에서의 신용 평가의 차이를 이용하여 서로 조달 비용을 낮추는 수단이었다. 그러나 은행의 발행이 너무나 많은 액수에 달했기 때문에 고정 금리 채권 시장에서는 은행 발행물이 포화되어, 신용도가 낮은 기업의 고정 금리 채권에 대한 프리미엄이 축소되었다. 스왑은 ALM 목적으로 이용되게 되었다. 그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은행이나 투자 은행이 마켓 메이킹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었다(시티코프만으로 전체 스왑의 1/4 미만).[16]
3. 4. 비거주자 유로 엔화 채권
1980년 개정 외국환법의 성립과 함께 유로 엔화 채권이 자유화되기 시작하였다.[19] 1985년 9월 플라자 합의를 거치면서 자유화가 본격화되었다. 2년 후 블랙 먼데이를 계기로 각국의 대미 투자와 미국의 경상 수지 적자가 세계 신용을 팽창·수축시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20] 일본에서 본 일련의 외압은 달러 방출과 일본 엔화 획득을 꾀하고 있었다. 미국의 입장만 생각하면 그 목적은 경상 수지 개선에 있었다. 그러나 유로 시장의 기관 투자자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로 엔화 채권을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을 일본 주식에 투입하고 싶어했다.[21] 오버론으로 계열화되어 있던 일본 경제를 기관화하기 위해[21] 정치·경제 양면에서 압박해 들어갔다. 비거주자 유로 엔화 채권은 엔화 표시 외채와 일본 엔화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기도 하여, 일본의 계열 경제로서는 자유화하고 싶지 않았으나, 결과적으로 외압에 밀려 자유화하게 되었다.
3. 5. 발행 가이드라인 완화
1984년 5월 미일 엔화·달러 위원회 보고서에서 비거주 유로 엔화 채권 발행 가이드라인 완화가 발표되었다(12월 실시).[22]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86년 4월, 민간 채권의 적격 채권 기준이 등급 제도로 전면 이행되어, 공공 채권과 마찬가지로 A등급 이상이면 발행이 인정되었다.[22] 1992년 3월에는 세계은행의 글로벌 본드에 대한 '''환류 제한''' 적용이 제외되어, 내외 동시 모집이 가능해졌다.[22] 1993년 7월에는 등급을 취득하지 않아도 발행을 인정하기로 하여, 비거주 유로 엔화 채권의 적격 채권 기준이 철폐되었다.[22] 1995년 8월, 비거주 유로 엔화 채권의 환류 제한이 전면 폐지되었다.[22]
환류 제한이란 유로 엔화 채권을 일본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였다.
3. 6. 사후 보고제와 결과
1995년 1월부터 유효기간 1년의 포괄 허가 제도가 도입되어, 한 번 허가를 받으면 그 후 1년간은 사후 보고만으로 증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1998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개정 외환법에 따라, 허가 제도는 폐지되고 사후 보고제로 변경되었다.[22]
방대한 비거주 유로 엔 채권을 일본의 기관 투자자도 소화하게 되어[21], 거액의 외환 보유고와 움직이지 않는 엔고를 초래했다.
4. 인수와 주간사
유로본드의 인수(북러너)와 주간사(리드 매니저)는 일본 경제의 기관화에 따라 교체되었다.
| 1985 | 1989 | 1994 | |
|---|---|---|---|
| 1위 | CSFB (14.00) | 노무라 증권 (15.1) | 메릴린치 (8.0) |
| 2위 | 메릴린치 (6.16) | 다이와 증권 (7.8) | CSFB (6.4) |
| 3위 | 모건 개런티 트러스트 (5.89) | 야마이치 증권 (7.8) | 골드만삭스 (5.5) |
| 4위 | 솔로몬 브라더스 (5.88) | 닛코 증권 (7.3) | 노무라 인터내셔널 (5.0) |
| 5위 | 모건 스탠리 (5.13) | 도이치 은행 (4.6) | 스위스 은행 코퍼레이션 (4.9) |
| 6위 | 도이치 은행 (4.43) | CSFB (4.2) | 리먼 브라더스 (4.0) |
| 7위 | 골드만삭스 (4.06) | JP모건 (3.7) | 모건 스탠리 (3.9) |
| 8위 | 노무라 증권 (3.81) | 메릴린치 (3.4) | JP모건 (3.9) |
| 9위 | UBS (2.80) | 모건 스탠리 (3.1) | 스위스 유니온 (3.9) |
| 10위 | 파리바 (2.53) | 파리바 (2.9) | 다이와 유럽 (3.5) |
| 1-10위의 점유율 합계 | 54.7 | 60.5 | 49.4 |
1980년대에는 CSFB, 메릴린치, 모건 개런티 트러스트 등이 주요 인수 기관이었다. 1990년대에는 노무라 증권, 다이와 증권, 야마이치 증권 등 일본 증권 회사의 점유율이 높아졌다.
| 1989 | 1995 | |
|---|---|---|
| 1위 | 시티코프 (97.6) | 케미컬 뱅크 (209.9) |
| 2위 | 매뉴팩처러스 하노버 (81.3) | JP모건 (128.6) |
| 3위 | 뱅크 오브 아메리카 (77.5) | 시티코프 (116.5) |
| 4위 | 체이스 맨해튼 (76.0) | 체이스 맨해튼 (62.4) |
| 5위 | 제일공업은행 (73.5) | CSFB (45.9) |
| 6위 | 일본장기신용은행 (67.4) | 뱅크 오브 아메리카 (42.2) |
| 7위 | 스미토모 은행 (63.3) | 네이션스뱅크 (38.9) |
| 8위 | 뱅커스 트러스트 (60.4) | UBS (31.1) |
| 9위 | 스코샤 은행 (59.3) | 퍼스트 시카고 (25.0) |
| 10위 | 후지 은행 (55.9) | 뱅커스 트러스트 (24.8) |
5. 거시 경제에 대한 영향
1990년대 후반, 유로 채권은 중동유럽 국가들의 경제 안정에 기여했다. 보스니아 내전 종결 후, 폴란드, 체코, 헝가리는 NATO에 가입했다. 유로 채권은 직접 투자와 함께 이들 국가의 정세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25]
유로 채권은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여, 1999년 말에는 브래디 채권(Brady Bonds)을 제치고 벤치마크 지위를 차지했다.[27] 러시아와 아프리카 국가에도 대출되었으나, 채무 불이행이 발생하기도 했다.[28]
2005년, 시티 그룹은 유로 채권 대량 거래를 통한 부정 조작 혐의로 영국 금융청으로부터 제재금을 부과받았다.[33]
세계 금융 위기는 유로 채권 발행 시장에 큰 타격을 주었다.[34] 각국이 단기 국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일반적인 수단이었던 유로 채권 발행액 자체가 감소하면서 금리는 국가 위험에 더욱 민감해졌다. 이는 유로 위기를 촉발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35]
유로 채권은 2014년 우크라이나 소요에서 EU 지지 세력을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블라디미르 푸틴이 빅토르 야누코비치에게 유로 채권 매입을 제안했지만, 이는 우크라이나 경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17 December 2013 Ukrainian–Russian action plan)[38]
6. 아프리카에서의 발행 상황
2010년대 들어 아프리카 국가들의 유로본드 발행이 증가하였다. 2013년 아프리카로의 순자본 유입액 중 유로본드가 100억 달러를 차지했다.[39] 가나, 세네갈,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케냐, 잠비아, 가봉 등에서 발행이 활발했다. 2014년의 빠른 발행 속도(1년 동안 70억 달러)에 국제 통화 기금은 경고를 하기도 하였다.[40]
| 국가명 | 발행 연도 | 발행액 (100만달러) | 연이율(%) | 신용 등급 |
|---|---|---|---|---|
| 르완다 | 2013 | 400 | 6.88 | B |
| 가나 | 2007 | 750 | 8.50 | B+ |
| 2013 | 750 | 8.00 | B | |
| 2014 | 1000 | 8.13 | B | |
| 2015 | 1000 | 10.75 | B | |
| 세네갈 | 2009 | 200 | 9.25 | B |
| 2011 | 500 | 9.13 | B1 | |
| 2014 | 500 | 6.25 | B2 | |
| 나이지리아 | 2011 | 500 | 7.00 | BB |
| 2013 | 500 | 5.375 | BB- | |
| 500 | 6.63 | BB- | ||
| 코트디부아르 | 2010 | 2300 | 10.18 | - |
| 2014 | 750 | 5.63 | B | |
| 2015 | 1000 | 6.63 | B | |
| 케냐 | 2014 | 500 | 5.875 | B+ |
| 1500 | 6.88 | B+ | ||
| 잠비아 | 2012 | 750 | 5.63 | B+ |
| 2015 | 1250 | 9.38 | B | |
| 가봉 | 2007 | 1000 | 8.20 | BB- |
| 2013 | 1500 | 6.38 | BB- | |
| 2015 | 500 | 6.95 | B+ |
7. 전자적 형태
현재 거의 모든 유로본드는 실물 형태가 아닌 무권화된 전자 계좌 대체 형태로 거래된다.[7] 채권은 유로클리어 및 클리어스트림과 같은 결제 시스템 내에서 보유 및 거래된다.[8] 쿠폰은 유로본드 소유자(또는 대리 계좌)에게 결제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지급된다.
8. 보유 비율 (일본 상장 기업)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일본 상장 기업의 주식 보유 비율에서 기관 투자자(국내 및 해외)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안정 주주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1987 | 1992 | 1997 | 2002 | |
|---|---|---|---|---|
| 기관 투자자 (국내) | 3.5% | 5.74% | 5.07% | 8.01% |
| 기관 투자자 (해외) | 3.62% | 4.45% | 6.83% | 6.66% |
| 안정 주주 | 30.54% | 30.34% | 27.61% | 16.67% |
| 종업원 지주 | 0.84% | 0.90% | 1.16% | 1.53% |
| 표본 크기 | 977 | 1079 | 1164 | 1369 |
참조
[1]
서적
Eurobonds
[2]
웹사이트
World Federation of Exchanges Monthly Statistics, extracted from 'Number of Bonds Listed' report
http://www.world-exc[...]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utostrade Group
http://www.autostrad[...]
2009-06-17
[4]
뉴스
$15M. Autostrade Loan, Consortium Headed By Warburgs
1963-06-19
[5]
서적
High Financier: the Lives and Times of Siegmund Warburg
2010
[6]
뉴스
Subterranean capitalist blues
https://www.economis[...]
2013-10-26
[7]
웹사이트
Bearer Bond Definition
https://www.investop[...]
[8]
서적
Corporate Bonds and Structured Financial Products
[9]
간행물
ユーロ債市場の形成とS・G・ウォーバーグ商会、1963-1968年(1)
2002-09
[10]
간행물
ユーロ債市場の形成とS・G・ウォーバーグ商会、1963-1968年(2)
2003-01
[11]
서적
Bonds without Borders: A History of the Eurobond Market
John Wiley & Sons
2014
[12]
서적
多国籍企業とドル体制
有斐閣
1985
[13]
간행물
International Banking, A Supplement to a Compendium of Papers Prepared for the Fine Study
1976-05
[14]
서적
ドル体制と国際通貨
ミネルヴァ書房
1996
[15]
간행물
International Banking, A Supplement to a Compendium of Papers Prepared for the Fine Study
1976-05
[16]
간행물
1980年代における国際金融仲介ネットワークの再編
2004-03
[17]
서적
Open-end Investment Fund
Avalon Publishing
1977
[18]
서적
Bonds without Borders: A History of the Eurobond Market
John Wiley & Sons
2014
[19]
간행물
円の国際的役割
1998-09
[20]
간행물
グローバル・トレーディングと金融機関の国際競争(1) 発行市場の性格に規定されるユーロ債流通市場の構造
2010-12
[21]
서적
Changing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in China and Japan
Springer
2008
[22]
간행물
非居住者ユーロ円債
2006-01
[23]
서적
中国対外債務
勁草書房
1996
[24]
서적
ゼミナール国際経済入門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5
[25]
서적
From the Soviet Bloc to the European Union: The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Since 197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6]
간행물
Latin American Eurobonds: The Quest for Relative Value
Salomon Brothers
1993
[27]
간행물
Bond markets for Latin American debt in the 1990s
UN
2000-11
[28]
뉴스
The Specter of Eurobond Default
1999-04-22
[29]
서적
Bonds without Borders: A History of the Eurobond Market
John Wiley & Sons
2014
[30]
서적
Bonds without Borders: A History of the Eurobond Market
[31]
간행물
欧州でも本格化する債券の電子取引
野村資本市場研究所
2000
[32]
웹사이트
MTS Shareholders
https://www.mtsmarke[...]
2017-12
[33]
서적
How the Global Financial Markets Really Work: The Definitive Guide to Understanding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Money Flows
Kogan Page Publishers
2009
[34]
간행물
2008年の世界金融危機以降の台湾と日本の経済・貿易関係の動向から 両国金融市場での交流・協力を見る
[35]
문서
[36]
서적
From Saviour to Guarantor: EU Member States’ Economic Intervention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pringer
2015
[37]
서적
Designing a European Fiscal Union: Lessons from the Experience of Fiscal Federations
Routledge
2014
[38]
뉴스
ECBの無制限債券買い入れ、欧州司法裁法務官「条件付き合法」
ロイター
2015-01-14
[39]
간행물
The Mutual Review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in Africa 2014 Promise and Performance: Promise and Performance
OECD Publishing
2014
[40]
뉴스
IMF warns African countries over Eurobond borrowing
TheAfricaReport
2018-05-06
[41]
서적
Africa in World Politics: Constructing Political and Economic Order
Routledge
2018
[42]
웹사이트
ショーグン債(しょうぐんさい)
https://www.tokaitok[...]
東海東京証券株式会社
2019-08-18
[43]
웹사이트
スシ債
https://www.ifinance[...]
株式会社エフ・ブイ・ゲート
2019-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