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육군특수전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대한민국 육군의 특수 작전 수행 부대로, 1969년 창설되었다. 한국 전쟁 참전 용사들을 기반으로 1958년 창설된 제1공수특전여단이 모체이며, 산악, 육상, 공중 침투를 비롯해 해상 및 해중 침투 등 다양한 특수 작전을 수행한다. 특전사는 6개의 공수특전여단과 국제평화지원단, 특수전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외 파병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2017년에는 북한 수뇌부 암살을 목표로 하는 제13특수임무여단(일명 참수부대)을 창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령부 - 제100군수사령부
    제100군수사령부는 1965년 대한민국 육군이 창설한 부대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군수, 공병, 항공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 1973년 해체되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령부 - 주월한국군사령부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의 파병 부대를 지휘하기 위해 1965년 창설되어 사이공에서 업무를 시작했으며, 1973년 한국군 철수 결정에 따라 해체되었다.
  • 육군특수전사령부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제707특수임무단
    제707특수임무단은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대테러 특수임무 부대로, 1981년 창설되어 대테러 및 인질 구출, 유사시 비밀 작전 수행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백호'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5·16 군사정변 관련 부대 -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보병사단은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서 공을 세워 '천하무적 사단'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현재는 경기도 연천군 일대 GOP 경계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이다.
육군특수전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휘장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휘장
명칭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로마자 표기Republic of Korea Army Special Warfare Command
약칭ROK-SWC, ROK-SF, 특전사
별칭검은 베레, 사자부대
창설일1958년 4월 1일
병과특전보병
종류작전사령부
역할비정규전
암살, 교란, 후방 침투
게릴라전
직접행동
특수 정찰
정보전
항폭 유도
대테러활동
인질구출
시위진압
규모~5,000명
명령 체계[[파일:Flag of the Army of the Republic of Korea.svg|20px|link=]] 육군 본부
본부경기도 이천시
표어안 되면 되게 하라!
귀신처럼 접근하여, 번개처럼 타격하고, 연기처럼 사라져라
웹사이트특수전사령부 공식 웹사이트
지휘관
현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박성제 (학사 17기)(직무대리)
주요 지휘관제3대 정병주 소장
제4대 정호용 중장
제18대 백군기 중장
제25대 전인범 중장
제28대 남영신 중장
제31대 손식 중장
작전 및 전투
주요 참전베트남 전쟁
Operation Paul Bunyan
광주 민주화 운동
1999년 동티모르 위기
Operation Enduring Freedom
이라크 전쟁
기념일
기념일1958년 4월 1일 특전인의 날

2. 역사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의 역사는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 작전참모부 예하 UNPK의 KLO·8240부대를 기원으로 한다. 8240부대는 1953년 8월 8250부대로 개편되었고, 1954년 3월 해체되었다.

1958년 4월 1일, 전 8250부대(KLO부대) 장교 20명과 병사들을 소집하여 2개 대대 규모의 제1전투단이 창설되었다.[10][11] 이 부대는 같은 해 4월 15일부터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는 미 육군 특수전 부대(그린베레) 제1특전단 교육대에서 공수 교육과 특수전 교육을 받았다. 1958년 10월, 제1공수특전단으로 개칭되었다.[12][13]

제1공수특전단은 대한민국 국군의 공수 교육과 특수전 교육의 본거지였을 뿐만 아니라, 1963년부터 한국군 최초의 스키 훈련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훈련 분야에서 "한국군 최초"라는 칭호를 가질 정도로 특수전 분야에서 선진적·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14][15][16] 그리고 다른 여러 특수부대에도 특전교육단 위탁 교육을 통해 다양한 훈련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기술을 전파하는 역할도 해왔다. 주로 산악/육상 특수전 분야와 공중 침투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 온 육군 특전사는 해상/해중 침투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 온 해군 UDT/SEAL과 함께 대한민국 군 특수전 교육 훈련의 양대 메카이자 학교라고도 불린다.

1960년대부터 흑산도 대간첩 작전, 울진/삼척 지역 대간첩 작전, 괴산 염풍리 대간첩 작전, 북평 덕구리 대간첩 작전, 서귀포 대간첩 작전 등 다양한 대북한 간첩·게릴라 작전에 투입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공수특전단 대원들이 수도기계화보병사단(맹호부대)와 제9보병사단(백마부대)에 분할 공수특전대원으로 배속되어 참전하여 장거리 정찰 임무 등의 특수 임무를 수행했다.[17]

1969년 8월 18일, 서울시 용산동에서 기존의 제1공수특전단과 동해안 경비사령부 예하에 신설된 제1, 제2유격여단을 통합하여 육군 특수작전 부대의 통합 지휘 부대인 '''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었다. "특수전사령부"의 약자인 '''특전사령부'''라는 약칭 부대 명칭도 이때 생겨났다.

1976년에는 북한의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에 대한 보복 작전에 투입되었다.[18]

5·16 군사정변 이후 공수특전단은 여러 차례 군사 정변에 가담하였고, 사령부 설립 이후에는 예하 여단이 정권 장악을 위해 일으킨 12·12 군사 반란(1979년) 이후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80년) 등에 투입되어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는 불명예스러운 시기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1986년 아시안 게임서울 올림픽 경호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홍수와 붕괴 사고 등 각종 재난에도 우선적으로 투입되어 수색, 인명 구조, 부상자 치료 및 복구 사업에 활약하였으며, 그 외 한강 수중 정화 활동 등 다양한 봉사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국민들에게 특전부대의 위상을 점차 회복하였다.[19]

1990년대 초부터는 평화 유지 등 다양한 임무를 띤 해외 파병의 선두에 서서 참여하고 있다. 특히 2010년에는 기존의 제5공수특전여단 흑룡부대를 PKO 전문 부대로 개편하여 재편성하였다.[20]


  • 1963년 - 한국군 최초의 스키 훈련 실시.
  • 1969년 8월 18일 - 특수전사령부 설립.
  • 1979년 12월 12일 - 12·12 군사 반란. 당시 서울 수도권에 주둔하고 있던 4개 공수특전여단 중 제1, 제3, 제5 여단의 여단장이 쿠데타 세력의 중심이었던 하나회의 멤버였으며, 쿠데타 세력으로 참여했다. 이때 반쿠데타 세력이었던 특전사령관 정병주 소장이 쿠데타 세력인 제3공수특전여단장 준장에게 구금되었고, 준장이 여단장을 맡은 제1공수특전여단이 쿠데타 세력의 주력으로 서울에 진입하여 육군본부 및 국방부를 점령했다.
  • 1980년 5월 - 5·18 민주화운동에서 민주화 운동 세력 진압에 투입.
  • 1986년 12월 3일 - 서영은 군조 추풍령 무장탈영 인질사건에 투입.
  • 1996년 9월 -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투입.

2. 1. 사령부 창설 이전

한국 전쟁 당시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예하 제8240 유격첩보부대 (켈로부대와 각종 유격대를 통합한 부대)에서 활약했던 장병들을 소집하고 백문오 대령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1958년 4월 1일 제1전투단이 창설되었다.[29][30] 부대원들은 같은 해 4월 15일부터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미 육군 그린베레제1특전단 교육대에서 공수교육과 특수전 교육을 받았다.[31] 같은 해인 1958년 10월에 제1'''공수특전단'''으로 부대명을 개칭했다.

1959년 4월에는 "제1조: 특수전을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육군에 육군특수전부대(이하 특전부대라 한다)를 둔다."라고 시작하는 '육군특수전부대령'이 공식 제정되었다.[32] 이 법령은 이후 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된 다음 해인 1970년에 제정된 '육군특수전사령부령'으로 대체되었다.[33]

1공수특전단은 대한민국 국군의 공수교육과 특수전교육의 본거지였을 뿐만 아니라, 1960년대 초부터 한국군 최초로 설상 군작전용 전술스키 훈련을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훈련 분야에서 '한국군 중 최초'라는 칭호를 가질 정도로 특수전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34][35] 그리고 여러 타 특수부대들에게도 특전교육단 위탁교육을 통해 각종 훈련을 꾸준히 교육시켜주고 전파시켜주는 역할도 해왔다. 그래서 주로 산악/육상 특수전 분야와 공중침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온 육군 특전사는, 해상/해중 침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온 해군 UDT/SEAL과 함께, 한국군 특수전 교육훈련의 양대 메카이자 학교라고도 불린다.

1960년대부터 흑산도 대간첩작전과 울진/삼척지구 대간첩작전, 괴산 연풍리 대간첩작전, 북평지구 대간첩작전, 서귀포 대간첩작전 등 각종 대간첩 작전에 투입되어 무장공비들을 사살하는 수훈을 세웠다.

1960년대 1 공수특전단 시절 맹호부대백마부대에 배속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고, 맹호와 백마의 사단 공수특전대원으로 활약하며 장거리 정찰임무 등의 특수임무를 수행하였다.[36]

2. 2. 사령부 창설 이후

UAE에 파병된 아크부대 특전사 저격수


사령부 창설 이후 독자성이 강화되자 특전사 대원들만으로 구성된 공수지구대가 파월 맹호부대와 파월 백마부대에 별도 편성되었고, 1970년 3월 7일부터 1971년 3월 30일까지는 이 맹호/백마의 공수지구대 소속으로 베트남 전쟁에 파병되었다.

1970년대에는 부대 규모의 증편이 이루어졌다. 기존엔 3개 여단이었으나, 1970년대 들어서 다수의 여단들을 추가로 창설하여, 1977년에 마지막으로 제11, 13공수특전여단이 창설됨으로써 총 7개 여단으로 늘어났다.

1976년엔 북측의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에 대한 보복작전에 투입되기도 하였다.[37]

특전사 예하 여단들이 신군부가 정권 장악을 위해 일으킨 12·12 군사 반란(1979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80년)에 투입되어 국민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을 지나, 86 아시안 게임88 서울 올림픽 행사의 경호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또한 수해와 붕괴사고를 비롯한 각종 재난, 재해에 우선적으로 투입되어 수색, 인명구조, 부상자 치료 및 복구사업에 활약을 하였으며, 그 외에도 한강 수중정화 활동 등 각종 봉사활동에도 적극 참여하며[38] 국민의 부대로서의 특전부대의 위상을 점차 회복하였다.

1996년엔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투입되어 공비들을 사살하는 수훈을 세웠다.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까지 소말리아, 앙골라, 동티모르,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레바논, 아랍에미리트 등으로 평화유지 등 각종 임무를 띤 해외파병에 앞장서서 참여하고 있다. 특히 2010년엔 기존의 제5공수특전여단 흑룡부대를 해외파병 전문부대인 국제 평화 지원단으로 개편하였다.[39]

2016년 7월에 사령부를 서울특별시 송파구에서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하였다.[40] 이천시는 중요한 군부대들이 밀집된 지역으로 특전사령부 이외에도 육군정보학교. 제7기동군단, 국군교도소 등이 이 곳에 있다.

3. 임무와 특징

육군특수전사령부는 유사시 육지, 공중, 바다의 다양한 루트로 적진에 깊숙이 침투하여 다음과 같은 특수작전을 수행한다.


  • 게릴라전
  • 교란 작전
  • 정찰, 정보 수집
  • 직접 타격
  • 요인 암살 및 납치
  • 인질 구출
  • 주요 시설 파괴
  • 항폭 유도
  • 민사심리전
  • 비정규전


구호는 "안되면 되게하라!", "사나이 태어나서 한번 죽지 두번 죽나"이다.

유사시에는 게릴라전을 위해 현지 주민을 징병하여 휘하 병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직은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기존 보직변경 보직
팀장중대장
부팀장부중대장
선임 담당관행정보급관
정 담당관소대장
부 담당관부소대장



전시에는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와 병합되어 '''연합 특수전 사령부'''(Combined Unconventional Warfare Task Force|컴바인드 언컨벤셔널 워페어 태스크 포스영어)로서 작전을 수행한다. 이때 대한민국 특수전사령관은 연합특수전사령부의 사령관으로 지정된다.[1]

4. 조직

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군단급 부대로, 사령관은 군단장으로 분류된다. 현재 예하 부대로 6개의 공수 특전 여단과 1개의 국제평화지원단이 있으며, 각 여단장은 준장이 맡는다.[42] 각 여단은 4개의 대대와 시설대, 통신대, 본부대의 3개 직할대로 구성된다. 각 대대는 소령이 지휘하는 3개의 지역대로, 지역대는 약 12명으로 구성된 5개의 중대(팀)로 나뉜다.[42]

각 여단 직할 시설대는 부대 건물 관리 및 경비를 담당하며, 천리행군 등 영외 임무 수행 시 주둔지 관리를 맡는다. 시설대는 공수 훈련에는 참가하지만 천리행군에는 불참하며, 대대급 부대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계급은 낮다. 시설대장은 공병 병과 소위, 주임원사가 작전과장을 겸하며,[42] 2개 중대와 6개 소대로 구성된다. 중대장은 상사, 소대장은 중사 보직이다.[42]

특전사의 주요 임무는 게릴라전, 특수정찰, 비정규전, 직접행동, 적 지역 정보 수집 및 특수 임무 수행이다.[1] 여단 대원들은 무기 취급 및 낙하산 강하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는다.[1] 각 여단은 4개 대대에 약 600명의 인원이 배치되며, 각 대대는 3개 중대를, 각 중대는 10명으로 구성된 5개 팀을 가진다.[1]

잠입 훈련 중인 대한민국 특전사 장병


1980년, C-130에서 강하 준비를 하는 대한민국 공수부대원


특전사령부의 부대 목록은 다음과 같다.

부대 명칭별칭창설일비고
제1특수전여단 (공수)독수리1958년 4월 1일
제3특수전여단 (공수)비행 호랑이1969년 1월 1일
국제 평화 지원 대기 부대전세계1969년 2월 19일
(제5특수전여단 (공수)로 창설)
2000년 6월 1일 재편성
제7특수전여단 (공수)페가수스1974년 10월 1일
제9특수전여단 (공수)유령1974년 10월 1일
제11특수전여단 (공수)황금박쥐1977년 7월 1일
제13특임여단흑표범1977년 7월 1일
2017년부터 참수부대로 재편[3]
제707특수임무단백호1981년 4월 17일
특수전학교
특수작전항공단

[4][5][6]

2017년,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참수 작전'을 임무로 하는 특수부대 여단이 재편성되었다.[7] 미 육군 제75 레인저 연대를 모델로 한 이 여단은 약 1,000명의 병력으로 구성,[3] 2017년 12월 1일 제13특수임무여단으로 창설되었다.[3] 이 부대는 수중 및 지상 전투 작전이 가능한 특수 무기, 유탄 발사기용 특수 소총, 특수작전 수송기 등을 갖추고, 미 해군 특수전 사령부 DEVGRU와 영국 육군 SAS의 지원을 받는다.[3]

4. 1. 지휘부

style="width:1em;" |성명계급임기출신전직후직비고
1조문환소장1969년 8월 18일 - 1972년 6월 12일육사 7기
2조천성소장1972년 6월 12일 - 1974년 12월 10일육사 8기
3정병주소장1974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3일육사 9기대통령경호실 차장예비역 편입사군쿠데타로 해임
4정호용중장1979년 12월 1일 - 1981년 3월 4일육사 11기제50보병사단장제3군 사령관하나회
5중장1981년 3월 4일 - 1982년 11월 10일육사 12기제26보병사단장제1군단장하나회
6최웅중장1982년 11월 10일 - 1984년 7월 4일육사 12기합동참모본부장
7육완식중장1984년 7월 4일 - 1987년 1월 15일육사 13기공항관리공단 이사장
8민병돈중장1987년 1월 15일 - 1988년 6월 30일육사 15기육사 교장하나회
9이문석중장1988년 6월 30일 - 1989년 12월 28일육사 17기제1군 사령관
10서완수중장1989년 12월 28일〜1991년 12월 31일육사 19기국군기무사령관
11김형선중장1991년 12월 31일〜1993년 4월 2일육사 20기육군참모차장
12장창규[21]중장1993년 4월 2일〜1995년 4월 17일육사 21기육사 교장
13정영무중장1995년 4월 17일 - 1997년 4월 24일육사 22기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14오남영[22]중장1997년 4월 24일〜1998년 11월 2일육사 24기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육사 교장
15김희중[23]중장1998년 11월 2일 - 2000년 4월 27일육사 25기항공작전사령관
16류해근[24]중장2000년 4월 27일 - 2002년 4월 8일육사 26기
17김윤석중장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 29일육사 27기제1군 부사령관
18중장2004년 5월 29일〜2005년 11월 3일육사 29기육군대학교 총장육군본부 감찰관
19김진훈[25]중장2005년 11월 3일〜2007년 10월 31일육사 30기육군보병학교장
20중장2007년 11월 1일〜2009년 4월 22일육사 32기육군본부 전력기획참모부국방부 정책실장
21최영림중장2009년 4월 22일〜2011년 11월 16일육사 33기육군 제5군단장육군참모차장
22중장2011년 5월 16일 ~ 2011년 11월 16일육사 35기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부장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3최익봉중장2011년 11월 16일 - 2012년 3월 10일예비역 편입스캔들로 인해 해임[26]
대리윤광섭소장2012년 3월 10일 - 2012년 4월 30일부사령관대리
24중장2012년 4월 30일 - 2013년 10월 30일육사 36기육군정보작전참모부장제1군 부사령관
25중장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4일육사 37기한미연합사령부 부참모장제1군 부사령관
26장경석중장2015년 4월 14일 - 2016년 10월 29일육사 39기국방부 정책기획관[27]
27중장2016년 10월 30일 - 2017년 9월육사 44기
28남영신중장2017년 9월 26일 - 2018년 8월학사 23기제3보병사단 사단장국군기무사령관


4. 2. 부대

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군단급 부대로, 사령관은 군단장으로 분류된다. 현재 예하 부대로 6개의 공수 특전 여단과 1개의 국제평화지원단이 있으며, 각 여단장은 준장이 맡는다.[42] 각 여단은 4개의 대대와 시설대, 통신대, 본부대의 3개 직할대로 구성된다. 각 대대는 소령이 지휘하는 3개의 지역대로, 지역대는 약 12명으로 구성된 5개의 중대(팀)로 나뉜다.[42]

각 여단 직할 시설대는 부대 건물 관리 및 경비를 담당하며, 천리행군 등 영외 임무 수행 시 주둔지 관리를 맡는다. 시설대는 공수 훈련에는 참가하지만 천리행군에는 불참하며, 대대급 부대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계급은 낮다. 시설대장은 공병 병과 소위, 주임원사가 작전과장을 겸하며,[42] 2개 중대와 6개 소대로 구성된다. 중대장은 상사, 소대장은 중사 보직이다.[42]

특전사의 주요 임무는 게릴라전, 특수정찰, 비정규전, 직접행동, 적 지역 정보 수집 및 특수 임무 수행이다.[1] 여단 대원들은 무기 취급 및 낙하산 강하에 대한 전문 훈련을 받는다.[1] 각 여단은 4개 대대에 약 600명의 인원이 배치되며, 각 대대는 3개 중대를, 각 중대는 10명으로 구성된 5개 팀을 가진다.[1]

특전사령부의 부대 목록은 다음과 같다.

부대 명칭별칭창설일비고
제1특수전여단 (공수)독수리1958년 4월 1일
제3특수전여단 (공수)비행 호랑이1969년 1월 1일
국제 평화 지원 대기 부대전세계1969년 2월 19일
(제5특수전여단 (공수)로 창설)
2000년 6월 1일 재편성
제7특수전여단 (공수)페가수스1974년 10월 1일
제9특수전여단 (공수)유령1974년 10월 1일
제11특수전여단 (공수)황금박쥐1977년 7월 1일
제13특임여단흑표범1977년 7월 1일
2017년부터 참수부대로 재편[3]
제707특수임무단백호1981년 4월 17일
특수전학교
특수작전항공단

[4][5][6]

2017년,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참수 작전'을 임무로 하는 특수부대 여단이 재편성되었다.[7] 미 육군 제75 레인저 연대를 모델로 한 이 여단은 약 1,000명의 병력으로 구성,[3] 2017년 12월 1일 제13특수임무여단으로 창설되었다.[3] 이 부대는 수중 및 지상 전투 작전이 가능한 특수 무기, 유탄 발사기용 특수 소총, 특수작전 수송기 등을 갖추고, 미 해군 특수전 사령부 DEVGRU와 영국 육군 SAS의 지원을 받는다.[3]

4. 3. 부대 구조

특수전사령부는 6개의 특수전 여단과 1개의 해외 파병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1] 이 부대들은 1958년부터 창설되어 1969년에 설립된 특수전사령부의 지휘를 받는다.[2] 각 여단은 준장이 지휘하며, 4개의 대대와 3개의 직할대(시설대, 통신대, 본부대)로 구성된다. 각 대대는 소령이 지휘하는 3개의 지역대로, 각 지역대는 약 12명으로 구성된 5개의 중대로 나뉜다. 특전사에서는 중대를 '''팀'''이라고도 부른다.

각 여단에는 여단 직할 대대급 부대인 시설대가 있는데, 이들은 부대 건물 관리 및 경비를 담당한다. 시설대는 공수훈련에는 참가하지만, 천리행군에는 불참한다. 시설대장은 공병 병과 소위이며,[42] 주임원사가 작전과장을 겸한다. 시설대에는 2개 중대와 6개 소대가 있으며, 중대장은 상사, 소대장은 중사가 맡는다.

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명칭별칭창설일비고
제1특수전여단 (공수)독수리1958년 4월 1일
제3특수전여단 (공수)비행 호랑이1969년 1월 1일
국제 평화 지원 대기 부대전세계1969년 2월 19일제5특수전여단(공수)로 창설, 2000년 6월 1일 재편성
제7특수전여단 (공수)페가수스1974년 10월 1일
제9특수전여단 (공수)유령1974년 10월 1일
제11특수전여단 (공수)황금박쥐1977년 7월 1일
제13특임여단흑표범1977년 7월 1일2017년부터 참수부대로 재편[3]
대한민국 육군 제707특수임무단백호1981년 4월 17일
특수전학교
특수작전항공단



각 특수전여단은 4개의 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여단 명칭대대 구성
제1특수전여단 (공수)제1, 2, 3, 5대대
제3특수전여단 (공수)제11, 12, 13, 15대대
국제 평화 지원 대기 부대제21, 22, 23, 25대대
제7특수전여단 (공수)제31, 32, 33, 35대대
제9특수전여단 (공수)제51, 52, 53, 55대대
제11특수전여단 (공수)제61, 62, 63, 65대대
제13특임여단제71, 72, 73, 75대대


5. 선발 및 교육 훈련

특전사 대원이 되기 위한 선발 과정과 훈련 내용은 매우 혹독하다. 일반 병사의 복무 기간(1년 6개월)에 비해 특전사 대원의 복무 기간은 4년 3개월로 훨씬 길다. 이 기간에는 모든 신병이 특정 여단에 배속되기 전 3개월 간의 훈련이 포함된다. 희망하는 대원은 정해진 복무 기간보다 더 오래 복무할 수도 있다.

훈련 첫 달에는 신체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강도 높은 체력 테스트가 실시된다. 여기에는 제한 시간 안에 30kg의 장비를 착용한 채 산악 지형 25km를 달리는 것과 매일 체력 훈련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체적으로 부적합한 인원을 걸러낸다.[8]

3개월 훈련 과정에는 화기 및 무기 취급 훈련, 공중 침투(고고도 저개방(HALO) 훈련 등), 해상 침투(스쿠버(SCUBA) 훈련 등), 등산, 생존(최대 일주일 동안 통신과 제한된 보급 없이), 심문 저항 훈련 등이 포함된다. 심문 저항 훈련 중에는 사망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8]

겨울에는 혹독한 영하 훈련이 실시된다. 신병들은 얼음물에 잠기거나 상의를 벗은 채 눈 속에서 체력 훈련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훈련은 대원들이 어려운 한국 지형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눈 속에서 훈련하는 특전사 대원들


스키를 이용하여 눈 속에서 훈련하는 특전사 대원들


특공무술과 크라브 마가(Krav Maga)로 구성된 근접전투는 특전사에서 강조되며, 대원들이 특정 여단에 배속된 후 3개월 훈련이 끝난 후에 가르친다.

5. 1. 선발

특전병은 자원하거나 육군 훈련소 등 신병교육대에서 차출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선발된다. 특전부사관은 모병으로 선발하며, 민간 자원자 중 적합한 인원을 선발하여 특전부사관 과정을 밟게 한다. 이 과정에서 부상이나 심의 결과에 따라 특전교육단에서 퇴교되거나 육군 일반부사관으로 신분이 변경될 수 있다. 훈련은 총 17주 동안 군사기본, 공수기본, 신분화 과정을 거쳐야 임관한다.[41] 특전장교는 장교 양성 기관을 통해 임관한 육군 장교들이 자원하거나 체력 우수자를 차출하여 특전사에서 근무하며, 일부는 복무 중 특전부사관에서 장교로 지원하기도 한다.

소위보병 병과 후보생 중 특전사 지원자를 우선 선발하고, 부족하면 중립 인원을 차출한다. 정보 (병과) 소위~중위 중에서도 차출되는 경우가 있다. 대위소위중위 시절부터 특전사에서 복무했거나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출신으로 1, 2차 중대장 완료 후 3차 중대장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향토사단, 동원사단, 특전사 중 하나를 선택한다. 소령 이후에는 야전 출신이 많고, 지휘보직이 없을 때 많이 복무하는데, 이는 특전부사관 의무복무기간 동안 특전사에서 복무해야 대장 진급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41]

특전부사관 고공강하 훈련


일반 병사의 복무 기간은 1년 6개월이지만, 특수전 대원의 복무 기간은 4년 3개월이다. 여기에는 모든 신병이 특정 여단에 배속되기 전 3개월의 훈련 기간이 포함된다. 희망자는 정해진 복무 기간보다 더 오래 복무할 수 있다.

훈련 첫 달에는 신체 능력 확인을 위해 힘든 체력 테스트를 한다. 제한 시간 내 30kg 장비 착용 후 산악 지형 25km 달리기, 매일 체력 훈련 등이 포함된다. 화기 및 무기 취급 훈련은 3개월 훈련 기간에 통합된다. 대원들은 공중(고고도 저개방(HALO) 훈련) 및 해상(스쿠버(SCUBA) 훈련) 침투를 배운다. 지상에서는 등산, 최대 일주일간 통신과 제한된 보급 없이 생존 훈련, 심문 저항 훈련을 받는다.[8] 겨울에는 영하 훈련(얼음물 잠수, 상의 탈의 후 눈 속 체력 훈련)을 한다.

특공무술과 크라브 마가(Krav Maga)로 구성된 근접전투는 3개월 훈련 기간 후 특정 여단 배속 후 가르친다.

5. 2. 교육 훈련

특전병은 자원하거나 육군 훈련소 등의 신병교육대에서 차출되는 방식으로 선발된다. 특전부사관은 모병으로 선발하며, 민간 지원자 중 자격에 적합한 인원을 선발하여 특전부사관 과정을 거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부상이나 자격 미달로 퇴교되거나 육군 일반부사관으로 신분이 변경될 수 있다. 훈련 과정은 총 17주 동안 군사기본, 공수기본, 신분화 과정을 거쳐야 임관할 수 있다.[41] 특전장교는 장교 양성 기관을 통해 임관한 육군 장교들이 자원하거나 체력 우수자 등으로 차출되어 특전사에서 근무하며, 일부는 복무 중 특전부사관에서 장교로 지원하기도 한다.

소위보병 병과 후보생 중 특전사 지원자를 우선 선발하고, 부족하면 중립 지원자를 차출한다. 정보 (병과) 소위~중위 중에서도 차출되는 경우가 있다. 대위소위중위 시절부터 특전사에서 복무했거나,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출신으로 1, 2차 중대장을 마치고 3차 중대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향토사단, 동원사단, 특전사 중 하나를 선택한다. 소령 이후에는 야전 출신이 많고, 지휘보직이 없을 때 특전사에서 복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전부사관 의무복무기간 동안 특전사에서 복무해야 대장 진급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훈련 첫 달에는 신체 능력 평가를 위해 힘든 체력 테스트를 거친다. 여기에는 30kg 장비를 착용하고 제한 시간 내 산악 지형 25km 달리기, 매일 체력 훈련 등이 포함된다.[8] 화기 훈련 및 무기 취급 훈련도 3개월 훈련 기간 동안 이루어진다. 대원들은 북한 침투의 주요 방법인 공중 침투(고고도 저개방(HALO) 훈련 등)와 해상 침투(스쿠버(SCUBA) 훈련 등)를 배운다.[8] 지상에서는 등산 훈련과 최대 일주일 동안 통신과 제한된 보급 없이 생존하는 훈련을 받는다. 심문 저항 훈련도 실시되는데, 이로 인해 사망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8] 겨울에는 영하 훈련이 실시되어, 얼음물에 잠기거나 상의 없이 눈 속에서 체력 훈련을 한다.

특공무술과 크라브 마가(Krav Maga)로 구성된 근접전투는 대한민국 특전사에서 강조되지만, 대원들이 특정 여단에 배속된 후 3개월 훈련 기간이 끝난 후에 가르친다.

6. 장비

구분품명
권총
기관단총
자동소총
저격소총
기관총


7. 해외 파병

1993년 여름, 대한민국 군은 최초로 유엔 주도 평화유지 활동에 참여하여 소말리아에 상록수부대를 파병했다.[1] 상록수부대는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를 포함하여 육군, 공병, 의무병과 등 다양한 병과 출신의 자원자로 구성된 대대 규모 부대였다.[1] 1993년 6월 30일, 소말리아 PKO( 유엔소말리아주둔작전 II) 파병을 위해 최초로 활동을 개시했다.[1] 504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상록수부대는 도로 수리 및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1994년 9월 임무 종료 시까지 약 2,700명의 병력과 1,300대의 장비를 투입하여 발라드(Balad)와 조하르(Zohar)를 잇는 도로를 재건하고, 발라드(Balad)에서 아프고아(Afgoa)까지 이어지는 또 다른 도로 건설에 미국군과 효과적으로 협력했다.[1]

1999년 8월 30일, 동티모르에서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유권자의 78.5%가 독립을 선택했다.[1]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 독립에 반대하는 민병대를 조장하여 엄청난 폭력 사태를 야기했다.[1] 이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동티모르에 국제군(INTERFET)을 파병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고, 유엔 사무총장과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국 정부에 참여를 요청했다.[1]

인도네시아는 다국적군 파병에 동의하고 아시아 국가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요청했다.[1] 치안 유지와 질서 회복을 위한 국제적 요청에 따라 한국 정부는 두 번째 상록수부대를 파병하기로 결정했다.[1] 특전사 201명을 포함하여 419명으로 구성된 대대급 부대인 상록수부대는 1999년 10월 1일 동티모르 라우템에 도착했다.[1] 도착 당시 그 지역은 선거 후 폭력 사태로 여전히 혼란스러웠고, 시장, 학교, 주택 등 섬의 건설된 기반 시설의 40%가 폭도들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광범위한 폭력으로 인해 5만 명이던 인구는 2만 명으로 줄었다.[1] 그 후 상록수부대는 1999년 10월 22일 동티모르 로스팔로스에서 공식적으로 작전을 개시했다.[1] 특수전사령부 제5특전여단에서 파견된 419명의 안보 요원들로 구성된 상록수부대의 작전 지역은 동티모르 면적의 12%에 불과했다.[1]

2000년 4월 28일 6개월간의 파병이 끝나자 한국 대대원 419명은 2주간의 현지 후임 교대 및 교육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1] 2002년 2월, 이 대대는 평화유지 작전을 계속하기 위해 오에쿠시-암베노 지역에 재배치되었다.[1] 2003년 4월에는 ROK 제8대대에서 추가로 250명의 병력이 오에쿠시-암베노에서 6개월간의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병되었다.[1] 이 부대는 안보 작전 외에도 유권자 등록을 포함한 홍보 및 선거 관련 활동과 인도적 지원 활동을 벌였다.[1]

8. 미 특수전 부대와의 관계

주한미군 특수전 사령부 방문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대원들은 대한민국 방위를 위해 미국 특수작전부대 대원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훈련하고 임무를 수행한다. 한국 주둔 미군 특수작전부대는 주한미군 특수전사령부(SOCKOR)의 지휘 및 통제를 받으며, 이 사령부는 미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의 전구사령부(COCOM) 산하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 지정되고, 더 나아가 주한미군 사령관의 작전 지휘를 받는다.[9]

9. 참수부대 (제13특수임무여단)

북한의 위협이 급증함에 따라, 대한민국은 2017년 말까지 전쟁 발생 시 북한 최고 지도부의 고위급 인사 암살이라는 단일 목표를 가진 특수부대 여단을 재편성한다고 발표했다.[7] "참수 작전"을 임무로 하는 이 새로운 여단은 미 육군 제75 레인저 연대를 모델로 하여 약 1,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2017년 말까지 창설되어 한반도 전쟁 발생 시 평양에 직접 투입될 예정이었다. 이는 대한민국의 선제타격 작전 능력의 지속적인 발전의 일환으로 여겨졌다.[3]

원래 2019년으로 예정되었던 이 임무를 위해 제13여단이 재편성 및 재무장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능력 발전이 예상보다 빨라짐에 따라, 2017년 12월 1일 계획대로 신설되었다. 새로운 제13특수임무여단은 창설식을 거행했으며, 수중 및 지상 전투 작전이 가능한 특수 무기, 유탄 발사기용 특수 소총, 그리고 특수작전 수송기 등 공중, 해상, 수중 침투에 적합한 다양한 수단을 갖추게 될 예정이었다. 미 해군 특수전 사령부 소속 DEVGRU(SEAL Team Six)와 영국 육군의 특수부대 SAS가 이 여단의 암살 작전 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훈련과 자문 역할을 제공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참조

[1] 서적 Illustrated Directory of Special Forces https://books.google[...] MBI Publishing Company
[2]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Special Warfare Command https://web.archive.[...] Sfaxiii.org 2017-06-16
[3] 뉴스 김정은 참수부대 창설 한국일보 2017-12-01
[4] 웹사이트 최정예 1000명 규모…육군, '김정은 참수부대' 출범 http://news.naver.co[...]
[5] 웹사이트 2년 앞당겨… 1000명 '김정은 참수부대' 출범 http://news.naver.co[...]
[6] 웹사이트 [단독] 빈 라덴 제거한 美 네이비 실 6팀, 북 지도부 '참수작전부대' 훈련 http://news.naver.co[...]
[7] 뉴스 Seoul training special forces unit to infiltrate North Korea and assassinate Kim Jong-un if war breaks out https://www.telegrap[...] 2017-09-17
[8] 뉴스 Two South Korean soldiers die in training drill https://www.bbc.co.u[...] 2017-02-01
[9] 웹사이트 SOCOM 2013 Fact Book https://web.archive.[...] 2017-06-16
[10] 뉴스 이창건 前켈로부대기획참모 인터뷰 http://bemil.chosun.[...] 2015-07-20
[11] 뉴스 '밥퍼' 최일도 목사, 부친 훈장 특전사에 기증 http://news.naver.co[...] 2015-07-20
[12] 뉴스 6·25전쟁 숨은 영웅 켈로부대원 한국군 특전사 창설에도 큰 공헌 http://media.daum.ne[...] 2015-07-20
[13] 뉴스 육군특전사 독수리부대 http://kookbang.bemi[...] 2015-07-22
[14] 뉴스 육군특전사 독수리부대 (건군 63주년 영광의 대통령 표창 부대) http://kookbang.dema[...] 2015-07-20
[15] 뉴스 육군특전사 독수리부대 http://kookbang.bemi[...] 2013-08-08
[16] 뉴스 육군특전사 독수리부대 http://kookbang.bemi[...] 2013-08-08
[17] 뉴스 베트남전쟁시 한국군의 해·공군 및 특수작전 http://kookbang.dema[...] 2012-03-16
[18] 뉴스 북한의 판문점 ‘도끼 살해’ 만행 … 박정희 “미친 개엔 몽둥이” 분노 http://nk.joins.com/[...] 중앙일보 2012-03-16
[19] 뉴스 한강환경청, 팔당대교~잠실 수중 정화활동 http://www.ctnews.co[...] 2012-03-16
[20] 뉴스 파병전담부대(국제평화지원단) 창설 http://news.naver.co[...] 2012-03-16
[21] 뉴스 국방연구원장에 장창규 예비역 중장 임명 http://news.donga.co[...] 2015-08-10
[22] 뉴스 교육.지원부서 將星 대거승진 - 국방부 人事 http://article.joins[...] 2015-08-10
[23] 뉴스 軍将星22人の人事/趙榮鎬氏など4人中将進級 - 首防司令官に金昌鎬中将(軍장성 22명 인사 조영호씨등 4명 중장 진급) http://news.donga.co[...] 2016-03-04
[24] 뉴스 陸海空軍の将星人事断行 - 首防司令官に金昌鎬中将(육해공군 장성인사 단행-수방사령관에 김창호중장) http://www.domin.co.[...] 2015-12-02
[25] 뉴스 교육.지원부서 將星 대거승진 - 국방부 人事 http://article.wn.co[...] 2015-08-10
[26] 블로그 特戰司令官 崔翼鳳 中將 補執 解任 http://blog.daum.net[...]
[27] 뉴스 TK가 군대도 장악?...'사단장 진출자 절반이 TK' http://amn.kr/sub_re[...] 2016-05-07
[28] 웹사이트 육군특전사 창설 60주년 새 비전·전략 공개 https://bemil.chosun[...]
[29] 웹인용 이창건 前켈로부대기획참모 인터뷰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1-03-19
[30] 뉴스 '밥퍼' 최일도 목사, 부친 훈장 특전사에 기증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4-04-03
[31] 뉴스 6·25전쟁 숨은 영웅 켈로부대원 한국군 특전사 창설에도 큰 공헌 https://news.v.daum.[...] 세계일보 2014-03-05
[32] 웹사이트 육군특수전부대령 http://www.law.go.kr[...]
[33] 웹사이트 육군특수전사령부령 http://www.law.go.kr[...]
[34] 뉴스 육군특전사 독수리부대 (건군 63주년 영광의 대통령 표창 부대)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11-08
[35] 뉴스 육군특전사 독수리부대 http://kookbang.bemi[...] 국방일보 2013-08-08
[36] 뉴스 베트남전쟁시 한국군의 해·공군 및 특수작전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03-08
[37] 뉴스 북한의 판문점 ‘도끼 살해’ 만행 … 박정희 “미친 개엔 몽둥이” 분노 http://nk.joins.com/[...] 중앙일보 2009-08-24
[38] 뉴스 한강환경청, 팔당대교~잠실 수중 정화활동 http://www.ctnews.co[...] 시티뉴스 2011-09-26
[39] 뉴스 파병전담부대(국제평화지원단) 창설 https://news.naver.c[...] 공감코리아 2010-07-02
[40] 뉴스 육군 특전사 '이천시대' 개막…부대이전 기념행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8-02
[41] 일반
[42] 일반
[43]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