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 (문정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수(李洙, 1396년 ~ 1430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벽진이다. 1396년 생원시에 1위로 합격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예문관제학, 이조참판,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30년 사망 - 비타우타스
비타우타스는 1377년부터 1430년까지 살았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자로서, 권력 투쟁과 동맹을 거쳐 섭정이 되었고, 동방 정책과 개혁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국가 발전을 이끌었으며, 사망 후 리투아니아는 폴란드에 통합되었다. - 1430년 사망 - 변계량
변계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색과 정몽주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조선 건국 후 집현전 대제학을 지내며 외교 문서 작성과 《국조보감》 편찬에 기여했고, 뛰어난 문장으로 조선의 유교적 이념 확립과 명과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조선 초기의 학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74년 출생 - 스테판 라자레비치
스테판 라자레비치는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의 아들이자 세르비아의 통치자로,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 참전 후 세르비아 전제공이 되어 독립을 확고히 하고 예술과 문화,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1374년 출생 -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는 티무르 제국의 왕족이자 티무르의 손자로, 티무르의 인도 침공에 참여해 무르탄을 점령했으나, 티무르 사후 할릴 술탄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 후 암살당했다.
이수 (문정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이수(李隨)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태조 때 생원시에 합격하고 태종 때 여러 왕자의 교육을 맡았다. 세종 즉위 후 예문관 대제학, 이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27년 모친상으로 사직하였다가, 1429년에 복직하였으나 1430년에 술에 취해 말에서 떨어져 사망하였다. 사후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2. 1. 관직 임명과 활동
1396년(태조 5년) 생원시에 1위로 합격하였으며, 1410년(태종 10년) 왕이 경명행수(經明行修: 경서에 밝고 행실이 바름)한 사람을 구할 때, 대사성 유백순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였다. 이듬해 왕명을 받고 상경하여 여러 왕자의 교육을 맡아보았다.1412년 종묘서주부(宗廟署主簿)를 지내고, 1414년 태종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취사(取士)를 볼 때, 4위로 급제하여 전사주부(典祀主簿)·공조정랑·예조정랑을 역임하고, 1417년에는 전사소윤(典祀少尹)을 지냈다.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사재감정(司宰監正)·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지냈다. 1422년(세종 4년) 황해도 관찰사를 거쳐, 고부부사(告訃副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23년 예문관제학·이조참판에 제수되었고, 1425년 중군도총제(中軍都摠制)·참찬의정부사를 역임하였다.
1427년 모친상으로 사직하였다.
2. 2. 복직과 사망
1429년(세종 11년) 예문관 대제학, 이조판서에 다시 등용되었고, 이듬해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술에 취해 말에서 떨어져 사망하였다. 후일 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인데,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함이 문(文)이요, 몸을 공손히 가지고 말이 적음이 정(靖)]이라는 뜻이다.3. 자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