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언 해밀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언 해밀턴은 영국의 군인으로, 제2차 보어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869년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서퍽 연대에 임관 후 인도에서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제1차 보어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포로로 잡혔으나, 이후 빅토리아 여왕을 알현하는 등 전쟁 영웅으로 대우받았다. 1915년에는 지중해 원정군 사령관으로 갈리폴리 전투를 지휘했으나, 작전 실패로 런던으로 소환되었다. 은퇴 후에는 영국 레지온에서 활동하며, 저술 활동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1947년 사망했으며, 훈장과 그의 이름을 딴 학교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르키라섬 출신 - 에든버러 공작 필립
    1921년 그리스에서 태어난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으로, 해군 복무 후 왕실 배우자로서 70년 이상 공무를 수행하며 왕실 현대화에 기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다.
  • 케르키라섬 출신 - 펠리체 베아토
    펠리체 베아토는 19세기 주요 역사적 사건과 에도 시대 일본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한 영국 국적의 사진작가로서, 그의 사진들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적수리 훈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적수리 훈장 수훈자 -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바그라티온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수보로프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이름은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사용될 정도로 기려지고 있다.
이언 해밀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0년경의 이언 해밀턴 경
이언 해밀턴 경 (1910년경)
이름이언 해밀턴
출생일1853년 1월 16일
출생지코르푸, 이오니아 제도 연합주
사망일1947년 10월 12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군사 정보
소속영국 육군
복무 기간1869년–1915년
최종 계급대장
지휘지중해 원정군
남부 사령부
제3여단
제1 고든 고지대 연대
참전 전투제2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제1차 보어 전쟁
마흐디 전쟁
북서 변경
제2차 보어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갈리폴리 전투
훈장바스 훈장 대십자 기사
세인트마이클앤세인트조지 훈장 대십자 기사
공로 훈장
영토 훈장
감사장
적수리 훈장 (프로이센)
왕관 훈장 (프로이센)
메리트 훈장 (스페인)
욱일장 (일본)
이후 활동
런던탑 부지휘관1918년–1920년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1932년–1935년

2. 초기 생애

이언 해밀턴의 아버지는 제92 고지랜드 연대의 전 지휘관이었던 크리스천 몬테이스 해밀턴 대령이었다. 그의 어머니 코리나는 존 프렌더개스트 베리커 3세 남작의 딸이었다. 어머니는 그의 남동생 베리커 몬테이스 해밀턴을 낳다가 사망했는데, 그는 유명한 화가가 되었다. 해밀턴은 웰링턴 칼리지에서 초기 정규 교육을 받았다. 그 후 그의 아버지는 그를 프로이센과 싸웠던 하노버 출신의 드래머스 장군에게 보냈다.

3. 군 경력

해밀턴은 1871년 보병 장교로서 서퍽 연대에 임관되었지만, 얼마 후 영국령 인도에서 고든 하이랜더스 제2대대로 전속되었다. 인도에서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여했다.

제1차 보어 전쟁의 마주바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보어인에게 포로로 잡혔으나, 회복을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와 전쟁 영웅으로 대접받으며 빅토리아 여왕을 알현했다. 1882년 대위, 1884년에서 1885년 나일 원정에 참여하여 소령으로 진급했다. 1886년에서 1887년 버마에서는 중령으로 진급했다. 1890년부터 1893년까지 벵골에서 대령 계급을 지냈고, 1891년에는 근무 훈장을 받았다. 치트랄 원정에는 인도군 사령관 조지 화이트 경의 군사 참모로 참여했다. 1895년부터 1898년까지 인도에서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1897년에서 1898년에는 티라 전투에서 제3여단을 지휘했는데, 포탄에 왼팔이 부상을 입었다.

1898년 4월 잉글랜드로 돌아와 하이쓰의 소총 사격 학교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03년부터 1904년까지 군대의 쿼터마스터 장군이었다.[12] 1904년부터 1905년까지 러일 전쟁만주에서 일본군과 함께 복무한 영국 인도군의 무관이었다.[13] 1905년부터 1909년까지 남부 사령부 사령관을 역임했고, 1909년부터 1910년까지 군 참모총장을 역임했다.[14]

1911년 해외 주둔군 사찰관으로 임명되었고, 1913년에는 지브롤터, 몰타, 이집트의 소장들과 영국-이집트 수단과 키프로스의 군대가 그에게 보고하는 지중해 사령부 총사령관을 겸임했다. 1914년 7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영국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3. 1. 주요 참전 전투

이언 해밀턴은 제1차 보어 전쟁의 (Battle of Majuba)에서 부상을 입고 포로로 잡혔다가 회복을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와 (Queen Victoria)을 알현하며 전쟁 영웅으로 대접받았다.[1] 제2차 보어 전쟁에서는 엘란드슬라흐테 전투(Battle of Elandslaagte)에서 보병을 지휘했고, 레이디스미스 전투(Battle of Ladysmith)에서는 여단 규모 부대를 지휘했다.[1] 왜건 힐 전투(Battle of Wagon Hill)에서는 수비대에 대한 유일한 대규모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훈장 수여가 여러 차례 언급되었다.[1]

레이디스미스 구출 후, 이언 해밀턴은 기병 보병 여단과 사단을 지휘하며 소장으로 승진했고, 작위 기사 작위(Knight Commander of the Order of the Bath)](KCB)로 기사 작위를 받았다.[1] 블룸폰테인에서 프리토리아까지 400마일을 여행하면서 루이왈 전투(battle of Rooiwal)를 포함한 10차례의 주요 전투와 14차례의 소규모 전투를 치렀으며, 두 차례 빅토리아 십자훈장(Victoria Cross) 수여가 추천되었으나 그의 계급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여겨졌다.[1]

3. 2. 제2차 보어 전쟁

1899년 9월, 남아프리카에서 영국과 보어 공화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자, 백(White) 중장이 네이탈(Natal) 지역의 사령관으로 파견되었고, 해밀턴은 참모장(Assistant Adjutant General)으로 그와 동행하였다. 그들이 도착한 직후 제2차 보어 전쟁이 발발하였고, 해밀턴은 엘란드슬라흐테 전투에서 보병을 지휘하였다. 레이디스미스 전투에서도 해밀턴은 여단 규모의 부대를 계속 지휘했지만,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전투에서 패배한 백의 네이탈 야전군은 11월 초부터 레이디스미스에 포위되었다. 해밀턴은 도시 방어의 남쪽 구역을 지휘하게 되었고, 1월 왜건 힐 전투에서 수비대에 대한 유일한 대규모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하였다. 포위 공격에서의 그의 공로로 여러 차례 훈장 수여가 언급되었다.[1]

2월 레이디스미스가 구출된 후, 해밀턴은 기병 보병 여단을 지휘하였고, 4월부터는 기병 보병 사단을 지휘하였다. 그는 소장으로 승진하였고, KCB로 기사 작위를 받았다. 전쟁 특파원 윈스턴 처칠은 그의 저서 ''이언 해밀턴의 행군''(런던, 1900, ''보어 전쟁(The Boer War)''의 후반부로 재출판)에서 블룸폰테인에서 프리토리아까지의 그의 원정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그는 1897년 같은 배를 타고 항해하면서 처음으로 해밀턴을 만났다. 해밀턴은 블룸폰테인에서 프리토리아까지 400마일을 여행하면서 보어군과 10차례의 주요 전투(루이왈 전투 포함)와 14차례의 소규모 전투를 치렀으며, 두 차례 빅토리아 십자훈장 수여가 추천되었으나(그의 계급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여겨졌다).

1901년 5월 해밀턴은 전쟁청(War Office)의 군사 참모관으로 임명되었으나,[2] 그해 11월 다시 남아프리카로 돌아와 사령관 키치너 경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1901년 11월 말에 남아프리카에 도착하여 현지 계급으로 중장 계급을 받았다.[4] 1902년 4월 그는 서부 트란스발에서 작전하는 군 부대를 지휘하였다.[5] 1902년 6월 적대 행위가 종식된 후, 그는 키치너 경과 함께 ''SS Orotava''호를 타고 영국으로 돌아왔고,[6] 7월 12일 사우샘프턴에 도착하였다. 그들은 런던에 도착하여 열렬한 환영을 받았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그들의 행렬을 보기 위해 거리에 줄을 서 있었다.[7]

키치너 경은 1902년 6월 23일자 전문에서 남아프리카에서의 해밀턴의 업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해밀턴은 1902년 8월 22일 현장에서의 뛰어난 공로로 중장으로 승진하였다.[9] 그는 1902년 9월 전쟁청의 군사 참모관직으로 복귀하였고,[10] 같은 달 최고 사령관 로버츠 경과 전쟁부 장관 세인트 존 브로드릭과 함께 독일군 기동 훈련에 참석하기 위해 독일을 방문하여 빌헬름 황제의 손님이 되었다.[11]

3. 3. 러일 전쟁 참전과 군사 사상

해밀턴은 1904년부터 1905년까지 러일 전쟁만주에서 일본군과 함께 복무한 영국 인도군의 무관이었다.[13] 여러 서구 국가의 무관들 중 그는 전쟁이 시작된 후 일본에 처음으로 도착한 사람이었다.[13] 그는 이 전쟁 동안의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러일 전쟁 중 참모의 스크랩북(A Staff Officer's Scrap-Book during the Russo–Japanese War)''을 출판했다.

1904년 사하 전투 이후 일본군과 함께한 서구 군사 참관단과 종군 기자들


일본군의 사하 전투(1904년) 승리 후 이언 해밀턴 경(정면)과 일본군 쿠로키 타메모토 장군


유럽 군대와 아시아 군대 간의 이 군사적 충돌은 보병을 위한 참호 진지 전술이 기관총과 포병으로 방어된 최초의 사례였다. 이것은 전쟁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진 20세기 최초의 전쟁이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전쟁의 발전을 지배하게 되었다. 해밀턴은 기병이 그러한 전쟁에서는 쓸모없다고 적었으며, 그들의 역할은 기병보병이 더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야간 공격과 항공기 사용과 같은 비전통적인 전술을 지지하게 되었다. 반대로, 성공적인 일본 보병 공격은 그에게 우월한 사기가 공격자가 준비된 방어 진지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확신시켰다.

3. 4. 갈리폴리 전투

1915년 3월, 키치너 경은 62세의 해밀턴을 연합군 지중해 원정군(Mediterranean Expeditionary Force)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고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고위급이자 존경받는 장교였지만, 대부분의 장교보다 다른 전투에서 더 많은 경험을 쌓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밀턴은 너무 비전통적이고, 지나치게 지적이며, 정치인들과 지나치게 친밀하여 서부 전선에서 지휘권을 받지 못했다.[15] 해밀턴은 작전 계획에 참여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오스만 제국의 군사 방어 능력에 대한 정보 보고서는 부실했고 그들의 힘을 과소평가했다. 오스만 제국의 군사력에 대해 훨씬 더 자세한 지식을 가지고 있던 그리스 육군의 고위 지휘부가 키치너에게 지중해 동부 전역에 진입하는 영국 원정군이 갈리폴리를 점령하려면 15만 명의 병력이 필요하다고 경고했지만, 키치너는 7만 명의 병력으로도 그곳의 방어 병력을 제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5]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고 전쟁에 새로운 전선을 여는 계획은 1914년 이후 여러 형태로 고려되어 왔다. 그 해 11월, 영국 해군(Royal Navy) 소속 함선들이 해협 외곽 요새를 포격하여 세디르바히르 성의 탄약고가 폭발했다. 1914년 12월, 영국 해군 잠수함이 해협으로 진입하여 메수디예호를 차나칼레(Çanakkale)에서 침몰시켰다. 이러한 초기 경험으로 키치너의 마음속에 더 야심찬 작전에 대한 손쉬운 승리의 전망이 떠올랐지만, 그 결과 터키는 연합군 함선의 재진입을 막기 위해 해협에 기뢰를 설치하고 접근로를 지키는 요새를 강화했다. 1915년 1월 3일, 영국 제1해군장관(First Sea Lord), 피셔 제독은 영국 정부에 7만 5천 명의 병력을 사용하는 합동 해군 및 육군 공격 계획을 제시했지만, 단지 약간의 지연으로 발사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1915년 1월 21일까지 피셔는 젤리코 제독에게 개인적으로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20만 명의 병력이 없으면 승인할 수 없다고 썼다. 해군성 제1차관(First Lord of the Admiralty)인 처칠(Winston Churchill)은 1914년 9월에 처음으로 이 작전에는 영국 육군 사단 2개 이상의 병력인 5만 명의 병력만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키스 경 제독, 드 로벡(John de Robeck) 부제독, 해밀턴 장군, 해밀턴의 참모장인 브레이스웨이트(Walter Braithwaite) 소장 (왼쪽부터)이 HMS 트라이어드 함상에 있다.


1915년 2월 19일부터 영국과 프랑스 군함은 해군력만으로 해협을 점령하려고 시도했지만, 기뢰에 부딪혀 실패한 무산된 공격 후 실패했다. 키치너 경은 그 후 해밀턴이 이끄는 육상 작전으로 해군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갈리폴리 반도에 대한 침공이 필요하다고 결정했고, 해밀턴은 그곳 상륙 작전을 조직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다. 해밀턴은 전문 상륙정이 없었고, 그에게 주어진 다양한 병력은 해상 작전 훈련을 받지 못했으며, 육군 보급품은 상륙하기 어렵게 포장되어 있었다. 해밀턴은 영국 해군이 그의 작전 중에 추가 공격을 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해군 고위 지휘부는 그 손실 가능성을 깨닫고 작전에서 함선의 전술적 손실이 감수해야 할 대가라는 생각에 근본적으로 반대하여 다른 공격을 감행하지 않기로 했다.

갈리폴리 전투(Gallipoli Campaign)가 교착 상태에 빠지자 해밀턴은 1915년 10월 16일 런던으로 소환되어 그의 군 생활은 사실상 끝났다.

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삶

해밀턴은 전역군인 단체인 영국 레지온에서 주요 인물로 활동하며 스코틀랜드 회장직을 역임했다.[14] 그는 1928년 영국과 독일 간의 화해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한 영국-독일 협회의 창립 멤버이자 부회장이었다. 그는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 이후에도 협회와 관계를 유지했으며, 자신을 "위대한 아돌프 히틀러의 숭배자"라고 묘사하고, 『나의 투쟁』(Mein Kampf)을 "젊은 시절의 과잉 행동"이라고 일축했다.[14] 그러나 역사가 이언 커쇼는 해밀턴이 초기 나치 독일의 주장 대부분에 대해 명백한 지지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영국 제국 권력 기득권의 중추 인물이었지 나치 지지자는 아니었다고 평가했다.[14] 1934년, 81세의 나이에 해밀턴은 ''잊혀진 사람들''(Forgotten Men)이라는 전쟁 다큐멘터리 영화의 일부로 촬영되었다.[16]

1914년 10월, 제1차 세계 대전 중 고든 고지대 연대 2대대가 벨기에 오스텐드에 상륙하여 전선으로 이동했다. 파이프는 가지고 갔지만, 수송 마차가 "과적"되었다는 이유로 부피가 큰 북들은 오스텐드에 남아 경찰의 관리를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벨기에 점령 이후, 이 북들은 전리품으로 베를린의 무기고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20년 후인 1934년, 해밀턴 연대장은 독일 대통령 힌덴부르크 원수에게 일곱 개의 북 반환을 요청했고, 힌덴부르크는 "즉시" 동의했다. 해밀턴은 독일 수도를 직접 방문하여 "워털루 전투"의 "옛 동맹국들" 사이에 "더 이상 전쟁이 없기를" 바란다는 소망을 이야기한 의식에서 고든 북들을 받았다.[17][18]

5. 죽음

해밀턴은 1947년 10월 12일 94세의 나이로 런던의 하이드 파크 가든즈 자택에서 사망했다.[19] 그의 시신은 스코틀랜드 스터링셔 다운에 있는 킬마독 묘지에 매장되었다. 2013년 그의 묘지가 방치된 상태에 놓여있는 것이 발견되었고, 스터링 시의회에 의해 보수되었다.[20]

6. 저술 활동

해밀턴은 군인이자 작가로서 다양한 방면에서 글을 썼다. 그는 여러 권의 시집과 소설을 출판했는데, 당시 그의 소설은 선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미래의 전투'', ''이카루스'', ''쓰레기선에서의 한때'', ''하지의 발라드'', ''참모의 스크랩북'' 등이 있다.[21] 특히, ''갈리폴리 일기'' 서문에서 그는 "전쟁에 대해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다만 한쪽이 이기지 못할 것이라는 것뿐이다."라고 썼다.

1904년부터 1905년까지 해밀턴은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만주에서 일본군과 함께 복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러일 전쟁 중 참모의 스크랩북(A Staff Officer's Scrap-Book during the Russo–Japanese War)''을 출판했다.[13] 이 책에서 그는 기관총과 포병으로 방어되는 참호전의 중요성과 기병의 무용론, 야간 공격과 항공기 사용과 같은 비전통적인 전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은퇴 후에는 전역군인 단체인 영국 레지온의 스코틀랜드 회장으로 활동했으며, 영국-독일 협회의 창립 멤버이자 부회장으로서 양국 간의 화해를 위해 노력했다.[16]

해밀턴은 독일어, 프랑스어, 힌디어에 능통했으며, 다작 작가로서 6개 언어로 된 568개 출판물에 184편의 작품을 남겼고, 그의 작품들은 4,455개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3]

다음은 해밀턴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 ''하지의 발라드 및 기타 시집 (The Ballad of Hádji, and Other Poems)'' (1887)
  • ''러일전쟁 중 참모의 스크랩북 (A Staff officer's Scrap-book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제1권 (1905)
  • ''러일전쟁 중 참모의 스크랩북 (A Staff officer's Scrap-book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제2권 (1907)
  • ''징병; 경험에 비추어 본 문제 연구 (Compulsory Service; a Study of the Question in the Light of Experience)'' (1910)
  • ''국가 생활과 국가 훈련 (National life and national training)'' (1913)
  • ''갈리폴리에서 온 이언 해밀턴 경의 급파 및 기타 (Sir Ian Hamilton's Despatches from the Dardanelles, etc.)'' (1915)
  • ''밀레니엄 (The Millennium)'' (1919)
  • ''갈리폴리 일기 (Gallipoli Diary)'' (1920)
  • ''군대의 영혼과 몸 (The Soul and Body of an Army)'' (1921)
  • ''영국의 친구들; 영국 레기온 회원들을 위한 강연 (The Friends of England; Lectures to Members of the British Legion)'' (1923)
  • ''그때와 지금 (Now and Then)'' (1926)
  • ''내가 소년이었을 때 (When I was a Boy)'' (1939)
  • ''북소리 듣기 (Listening for the Drums)'' (1944)
  • ''사령관 (The Commander)'' (1957)

7. 평가

이언 해밀턴(Ian Hamilton)은 군인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2차 보어 전쟁러일 전쟁에서의 경험은 그의 명성을 높였다. 윈스턴 처칠은 저서 ''이언 해밀턴의 행군(Ian Hamilton's March)''에서 해밀턴의 군사적 업적을 상세히 기록했다.[1] 허버트 키치너는 해밀턴의 군사적 자질과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자신의 참모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8]

러일 전쟁에서 해밀턴은 기관총과 포병으로 방어되는 참호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병의 역할 변화, 야간 공격, 항공기 사용과 같은 비전통적인 전술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러한 관찰과 제안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전개 양상에 대한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전투에서의 실패는 그의 경력에 오점을 남겼다. H. H. 애스퀴스 총리는 해밀턴의 판단력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찰스 빈과 같은 전쟁 특파원들은 해밀턴의 넓은 마음과 통찰력을 높이 평가했다.[16]

8. 기타

해밀턴의 아버지는 제92 고지랜드 연대의 전 지휘관이었던 크리스천 몬테이스 해밀턴 대령이었다. 그의 어머니 코리나는 존 프렌더개스트 베리커 3세 남작의 딸이었다. 어머니는 그의 남동생 베리커 몬테이스 해밀턴을 낳다가 사망했는데, 그는 유명한 화가가 되었다. 해밀턴은 웰링턴 칼리지에서 초기 정규 교육을 받았다. 그 후 그의 아버지는 그를 프로이센과 싸웠던 하노버 출신의 드래머스 장군에게 보냈다.[24]

1901년 6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당시 중장이었던 해밀턴의 동상은 첼트넘의 보어 전쟁 기념비에 세워져 있다.

훈장
욱성훈장
* DSO : 1891년
대영제국 훈장
세인트 마이클과 세인트 조지 훈장
외국 훈장



레이디스미스의 해밀턴 예비학교는 해밀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6]

그의 훈장들은 현재 스코틀랜드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소형 훈장들은 고든 하이랜더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7]

참조

[1] 간행물 London Gazette 1901-04-19
[2] 간행물 London Gazette 1901-05-07
[3] 뉴스 The War – Lord Kitchener's staff 1901-11-08
[4] 간행물 London Gazette 1901-11-12
[5] 뉴스 Latest intelligence – The War – The Transvaal 1902-04-11
[6] 뉴스 The Army in South Africa – Troops returning home 1902-06-26
[7] 뉴스 Lord Kitchener's return 1902-07-14
[8] 간행물 London Gazette 1902-07-29
[9] 간행물 London Gazette 1902-10-31
[10] 간행물 London Gazette 1902-10-10
[11] 뉴스 The German Manoeuvres 1902-09-05
[12] 학술지 General Sir Ian Hamilton, G.C.B http://www.greatward[...]
[13] 학술지 On the Periphery of the Russo-Japanese War, Part I (Note 42) http://sticerd.lse.a[...]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LSE) 2004-04
[14] 웹사이트 Hamilton, Gen. Sir Ian Standish Monteith (1853–1947) http://www.kingscoll[...] King's College London
[15] 웹사이트 Gallipoli Campaign http://spartacus-edu[...]
[16] 영화 Forgotten Men (1934)
[17] 뉴스 British War Drums Returned by Germans; Hindenburg and Hamilton, Both Octogenarians, Swap Tales of Many Campaigns https://www.nytimes.[...] 1934-02-01
[18] 서적 Scattered Under the Rising Sun: The Gordon Highlanders in the Far East 1941-1945 Pen and Sword Military 2013
[19] 뉴스 Sir Ian Hamilton Dies in His Sleep http://nla.gov.au/nl[...] 1947-10-13
[20] 웹사이트 General Sir Ian Hamilton Grave https://www.greatwar[...] 2013-07
[21] 전기 Hamilton, Sir Ian Standish Monteith
[22] 서적 Ancestral Voices Faber and Faber
[23] 웹사이트 Hamilton, Ian, Sir 1853–1947 http://www.worldcat.[...]
[24] 뉴스 Glasgow University Jubilee https://www.newspape[...] 1901-06-14
[25] 뉴스 Latest Intelligence – The German Army Maneuvres 1902-10-16
[26]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hamiltonp[...]
[27] 웹사이트 National Museums of Scotland – Orders and medals, awarded to General Sir Ian Hamilton http://nms.scra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