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운재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했다. 청주 출신으로 경희대학교를 졸업하고, 1996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입단하여 2012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K리그 통산 4회 우승, 2002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8년에는 골키퍼 최초로 K리그 MVP를 수상했다. 국가대표팀에서는 1994년부터 2010년까지 활약하며 월드컵 4회 출전,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변신하여 U-23 대표팀 코치, 수원 삼성 블루윙즈 골키퍼 코치, 중국 U-23 대표팀 골키퍼 코치, 전북 현대 골키퍼 코치 등을 역임했다. 2007년 아시안컵 음주 파문으로 징계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 현대 모터스의 골키퍼 코치 - 최은성
최은성은 1971년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골키퍼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대전 시티즌 창단 멤버로서 FA컵 우승과 리그컵 준우승을 이끌고 K리그 통산 532경기에 출전했으며, 2002년 월드컵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 전북 현대 모터스의 골키퍼 코치 - 이광석 (축구인)
이광석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재 축구 지도자로, 1998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여러 팀에서 선수로 활약 후 전남 드래곤즈에서 골키퍼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해 대한축구협회 전임지도자를 거쳐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남 FC의 골키퍼 코치를 역임했다.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골키퍼 코치 - 차상광
차상광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골키퍼 선수이자 지도자로, K리그 우승, 리그컵 우승 등의 경력을 가지고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골키퍼 코치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골키퍼 코치 - 신의손
신의손은 러시아 출신으로 한국으로 귀화하여 K리그 3연패와 우승에 기여한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외국인 골키퍼 기용 제한을 초래했으며 구리 신씨의 시조가 되었다. - 청남초등학교 (충북) 동문 - 김주성 (2000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주성(2000년)은 FC 서울 유스팀을 거쳐 FC 서울 입단 후 K리그1 데뷔, 김천 상무 FC 군 복무 후 복귀, 2019년 FIFA U-20 월드컵 준우승, 2022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등의 경력이 있다. - 청남초등학교 (충북) 동문 - 마낙길 (배구인)
마낙길은 '코트의 야생마'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던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출신으로, 현대자동차서비스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슈퍼리그 베스트 식스를 6회 연속 수상했고, 은퇴 후 해설위원과 경기감독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운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운재 |
출생일 | 1973년 4월 26일 |
출생지 | 충청북도 청주시 |
신장 | 182cm |
포지션 | 골키퍼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1986–1988: 청주대성중학교 1989–1991: 청주대성고등학교 |
대학교 클럽 | 1992–1995: 경희대학교 |
프로 클럽 | 1996–2010: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0–2001: → 상무 FC (병역) 2011–2012: 전남 드래곤즈 |
출전 및 득점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67경기 (0골) 상무 FC: 63경기 (0골) 전남 드래곤즈: 63경기 (0골) 총합: 330경기 (0골) |
국가대표 경력 | |
청소년 국가대표 | 1994–2002: 대한민국 U-23 |
성인 B팀 국가대표 | 1993: 대한민국 B |
성인 국가대표 | 1994–2010: 대한민국 |
국가대표 출전 및 득점 | 대한민국 U-23: 32경기 (0골) 대한민국: 133경기 (0골) |
수상 경력 | |
하계 유니버시아드 | 1993 버펄로 은메달 (팀) |
AFC 아시안컵 | 2000 레바논 3위 (팀) 2007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3위 (팀) |
아시안 게임 | 2002 부산 동메달 (팀) |
EAFF 챔피언십 | 2003 일본 금메달 (팀) 2010 일본 은메달 (팀) |
동아시아 경기 대회 | 1993 상하이 금메달 (팀) |
지도자 경력 | |
지도자 | 2013-2016: 대한민국 U-23 (GK 코치) 2017-2018: 수원 삼성 블루윙즈 (GK 코치) 2019: 중국 U-23 (GK 코치) 2020: 내몽골 후허호터 중유 (GK 코치) 2021-2023: 전북 현대 모터스 (GK 코치) 2024-: 베트남 (GK 코치) |
2. 약력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태어나 청남초등학교, 대성중학교, 청주상업고등학교, 경희대학교를 졸업했다. '거미손'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2002년 아시아 골키퍼 최초로 IFFHS(국제축구역사통계재단)에서 선정한 세계 골키퍼 순위 13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세계 축구 역사상 아시아 골키퍼로는 가장 높은 순위이다.[46] 2013년 IFFHS 선정 21세기 최고의 골키퍼 순위에서도 43위에 올랐다.
2008 K-리그 대상에서 골키퍼 최초로 MVP 대상을 받았고, 한국 골키퍼 최초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였다.
월드컵에 통산 4회(1994, 2002, 2006, 2010년) 출전했다. 2002년 월드컵에서는 독일의 올리버 칸과 야신상을 놓고 경쟁하기도 했다.
PK에 강한 골키퍼로, 2002년 한일 월드컵 8강 스페인전에서 호아킨의 킥을 막아 4강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2. 1. 클럽 경력
경희대학교를 졸업하고 1996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창단 멤버로 입단하여, 2000년과 2001년 군 복무로 상무에서 뛴 것을 제외하고, 2011년 1월 초까지 몸담았다.[47] 팀의 통산 K리그 4회 우승 (1998년, 1999년, 2004년, 2008년)과 2002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에 큰 공헌을 하였다. 특히, 2008년에는 골키퍼 사상 최초로 K리그 MVP를 차지하였다.[47]2008년 11월 1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K리그 25라운드 경기에서 프로 통산 300경기 출장 기록을 세웠다. 경기를 3:0으로 이끌면서 해당 시점까지 총 300실점으로 평균 실점 1.0점이라는 기록도 같이 달성했다.[48] 하지만 2008년 9월 27일 열린 삼성하우젠 K리그 20라운드 경기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에게 2 – 5로 패해 한 경기 최다 실점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49]
2008년 1월 이운재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3년 재계약에 합의했다.[50]
2010년 K리그 시즌이 끝나고 이운재는 선수 생활을 더 이어 가고 싶었으나, 수원에서는 은퇴 후 골키퍼 코치직을 제안하였다. 이로 인해 서로 이견을 보이다가 결국 2011년 1월 5일 자신을 원한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하였다.[51]
2012년 시즌 종료 후 현역 은퇴를 선언하였다.[52]
1999년에는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등 활약하며, 국가대표 주전 골키퍼 자리를 꿰찼다. PK에 강한 골키퍼로도 유명하다. 2004년 K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포항 스틸러스를 상대로 대표팀 주전 경쟁을 벌였던 김병지의 킥을 막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에는 골키퍼 최초로 K리그 연간 MVP를 수상했다. 2012년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42]。
클럽 | 시즌 | 리그 | FA컵 | 리그컵 | 대륙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996 | K리그 | 12 | 0 | ? | ? | 1 | 0 | — | — | 13 | 0 | ||
1997 | K리그 | 7 | 0 | ? | ? | 10 | 0 | — | — | 17 | 0 | |||
1998 | K리그 | 18 | 0 | ? | ? | 16 | 0 | — | — | 34 | 0 | |||
1999 | K리그 | 27 | 0 | 0 | 0 | 12 | 0 | — | 1 | 0 | 40 | 0 | ||
2002 | K리그 | 19 | 0 | 4 | 0 | 0 | 0 | ? | ? | — | 23 | 0 | ||
2003 | K리그 | 41 | 0 | 1 | 0 | — | — | — | 42 | 0 | ||||
2004 | K리그 | 23 | 0 | 0 | 0 | 3 | 0 | — | — | 26 | 0 | |||
2005 | K리그 | 17 | 0 | 3 | 0 | 9 | 0 | 6 | 0 | 2 | 0 | 37 | 0 | |
2006 | K리그 | 13 | 0 | 1 | 0 | 1 | 0 | — | — | 15 | 0 | |||
2007 | K리그 | 25 | 0 | 1 | 0 | 10 | 0 | — | — | 36 | 0 | |||
2008 | K리그 | 28 | 0 | 0 | 0 | 11 | 0 | — | — | 39 | 0 | |||
2009 | K리그 | 25 | 0 | 5 | 0 | 1 | 0 | 5 | 0 | 1 | 0 | 37 | 0 | |
2010 | K리그 | 12 | 0 | 2 | 0 | 2 | 0 | 7 | 0 | — | 23 | 0 | ||
합계 | 267 | 0 | 17 | 0 | 76 | 0 | 18 | 0 | 4 | 0 | 382 | 0 | ||
상무 (군 복무) | 2000 | 실업 리그 | ? | ? | ? | ? | — | — | ? | ? | ? | ? | ||
2001 | 실업 리그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전남 드래곤즈 | 2011 | K리그 | 30 | 0 | 2 | 0 | 4 | 0 | — | — | 36 | 0 | ||
2012 | K리그 | 33 | 0 | ? | ? | — | — | 33 | 0 | |||||
합계 | 63 | 0 | 2 | 0 | 4 | 0 | — | — | 69 | 0 | ||||
통산 | 330 | 0 | 19 | 0 | 80 | 0 | 18 | 0 | 4 | 0 | 451 | 0 |
2. 2. 국가대표팀 경력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국가대표팀 상비군으로 발탁되어 국제 무대에 데뷔했고, 1994년 6월 11일 온두라스와의 친선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46] 1994년 미국 월드컵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였던 독일전에서 교체 출전하여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는데, 당시 골키퍼 최인영이 전반전에만 3실점을 하자 후반전에 교체 투입되어 무실점으로 막았다.[46]1996년 간염으로 인해 국가대표팀에서 잠시 멀어졌고,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서 탈락했다.[46]
프랑스 월드컵 이후 국가대표팀에 복귀, 2001년부터 김병지를 밀어내고 국가대표팀 주전 골키퍼로 자리잡았다.[46]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였으며, 특히 8강전 스페인과의 경기 승부차기에서 호아킨 산체스의 슛을 막아 내어 4강 진출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46]
2006 월드컵 스위스전에서 A매치 100경기 출장 기록을 달성해 대한민국에서 골키퍼로는 최초이자, 대한민국 선수 통산 6번째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했다.[46]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8강 이란과의 경기 승부차기에서 2번의 선방을 기록하였고, 일본과의 3,4위전에서도 승부차기 선방을 하여 팀의 3위 등극에 앞장섰다.[46] 하지만 아시안컵 시즌 중 이동국, 김상식, 우성용 등과 함께 음주 파동에 연루되어, 1년 간 국가대표 자격정지 및 대한축구협회 주관 대회 3년간 출전 정지와 사회봉사 80시간의 중징계를 받았다.[54]
2008년에 징계 기간이 만료되자 국가대표팀에 복귀, 박지성이 없을 때에는 대표팀의 임시 주장을 맡기도 했다.[46]
2010년 월드컵 대회에도 국가 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정성룡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벤치를 지켰다.[46] 2010년 8월 11일 나이지리아전을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56]
그의 국가대표 골키퍼 출장 기록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모하메드 알데아예아와 스웨덴의 토마스 라벨리에 이어 3위에 올라 있다.[46]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대한민국 | 1994 | 3 | 0 |
1995 | 1 | 0 | |
1999 | 2 | 0 | |
2000 | 8 | 0 | |
2001 | 12 | 0 | |
2002 | 15 | 0 | |
2003 | 14 | 0 | |
2004 | 15 | 0 | |
2005 | 15 | 0 | |
2006 | 16 | 0 | |
2007 | 8 | 0 | |
2008 | 2 | 0 | |
2009 | 13 | 0 | |
2010 | 9 | 0 | |
통산 | 133 | 0 |
2. 3. 지도자 경력
2013년에 FC 바르셀로나로 지도자 연수를 다녀왔다.[46] 이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골키퍼 코치로 선임되었다.2016년 3월 8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골키퍼 코치로 선임되었으나, 리우 올림픽 종료 후 합류 예정이었고, 차상광 협회 전임지도자가 한시적으로 대표팀 골키퍼 코치를 맡기로 했다.[57] 그러나 올림픽 이전에 축구협회 기술위원회로부터 A대표팀 합류가 어렵다는 통보를 받아 무산되었다.[58]
2017년 1월 2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골키퍼 코치로 부임하여 6년 만에 친정팀으로 복귀했다.[59][60]
2018년 11월 22일, 거스 히딩크 감독이 이끄는 중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골키퍼 코치로 부임하였다.
2021 시즌을 앞두고 전북 현대 골키퍼 코치로 부임하였다.[61]
3. 플레이 스타일
수비적인 안정감을 중시하는 스타일의 골키퍼였다. 페널티킥 선방에 강점을 보였다.[8] 변칙적인 슈팅은 잘 막아냈지만, 골키퍼 치고는 작은 키 때문에 빠른 측면 슈팅에 약점을 보이기도 했다.[8] 세르히오 로메로와는 막는 방식이 정반대인 골키퍼이다.
K리그 선수 시절 승부차기에서 92%(12번 중 11번)에서 승리했고, 45%(58번 중 26번)의 슛을 막아냈다.[9] 2002 한일 월드컵 8강전 스페인과의 승부차기에서 호아킨의 슛을 막아 한국의 4강 진출에 공헌했으며, K리그에 승부차기제가 시행되던 시절에는 승부차기 방어율 1위였다. 2004년 K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는 포항 스틸러스를 상대로 김병지의 킥을 막아 리그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
2007년 7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AFC 아시안컵 2007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았던 이운재는 이동국 등 동료 선수 3명과 함께 술자리를 가진 것이 발각되었다. 대한축구협회는 이 사건으로 이운재 등에게 1년간 국가대표팀 자격 박탈 및 대한축구협회 주최 공식 대회 2~3년 출전 금지 징계를 내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4. 1. 2007년 AFC 아시안컵 음주 파문
2007년 7월에 개최된 AFC 아시안컵 2007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았던 이운재는 팀 동료인 이동국 등 3명의 선수와 함께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술자리를 가진 것이 발각되었다.[42] 대한축구협회는 규율 위반을 이유로 이운재 등에게 2008년 12월까지 1년간 국가대표팀 소집 자격 박탈 및 대한축구협회 주최 공식 대회 2~3년간 출전 금지 징계를 내렸다.[42] 이로 인해 이운재는 2008년에 예정된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42]5. 수상 내역
준우승 1회
2010 (준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