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일관은 조선 숙종 때의 무관으로, 1676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사헌부 감찰 등을 역임했다. 1680년 보사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세자 책봉 관련 업무와 훈련도감, 훈련원 등에서 활동했다. 1703년 창성부사에 임명되었으나 1705년 재직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직자 - 함병춘
    함병춘은 법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서 연세대학교 법학과 교수, 박정희 정부의 외교안보담당 특별보좌관 및 주미 한국 대사, 전두환 정부의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며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했으나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순직했다.
  • 순직자 - 김재익 (1938년)
    김재익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와 미국 대학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한 경제학자이자 관료로, 한국 경제의 시장 중심 개혁에 기여했으나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사망했다.
  • 1705년 사망 - 이토 진사이
    이토 진사이는 1627년에 태어나 1705년에 사망한 에도 시대의 유학자로, 주자학의 경전 해석 방식을 비판하고 고의학을 제창하며 『논어고의』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705년 사망 - 마쓰다이라 미쓰나가 (1643년)
    마쓰다이라 미쓰나가는 에도 시대 오가키 번의 2대 번주로, 선대 번주 마쓰다이라 미쓰시게의 장남으로 태어나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동생들에게 영지를 분할해 준 후 사망, 인의를 갖춘 통치자로 묘사된다.
  • 기병 - 에퀴테스
    에퀴테스는 고대 로마의 기병 계급으로, 왕정 시대에 창설되어 공화정 시대를 거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경제 활동에도 참여했으나, 제정 시대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개혁 이후 군인 기사 계급의 부상으로 쇠퇴하고 소멸하였다.
  • 기병 - 중기병
    중기병은 고대부터 근세까지 전 세계에서 활약한 중장갑 기병으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창, 검, 활 등의 무기를 사용했으나, 화기의 발달로 쇠퇴하여 현대에는 기갑부대가 그 역할을 계승하고 일부 의장대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일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생애1640년? / 1650년? ~ 1705년 6월 22일
태어난 곳조선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죽은 곳조선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병역
복무조선 육군, 조선 수군
복무 기간1676년 - 1705년
최종 계급알 수 없음
부대조선 육군
지휘알 수 없음
주요 참전 전투/전쟁알 수 없음
훈공
서훈 내역1680년(숙종 6) 보사원종공신 2등(保社原從功臣二等)
기타 이력
기타 이력알 수 없음

2. 생애

이일관의 생애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출신으로, 정확한 출생년도와 사망년도는 알 수 없다. 5대조 이감이 문과에 급제하면서 그의 가계는 무관 가계에서 문반 가계로 전환되었다. 초기 활동, 용모, 성격, 사승관계(師承關係) 등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하여 별시위, 선전관 등을 거쳤으며, 같은 해 사헌부 감찰, 1679년 훈련원주부 무겸에 임명되었다.[1] 1680년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고,[2] 사헌부 감찰이 되었다.

1690년 통훈대부 행사헌부 감찰, 4월 1일 의금부도사를 거쳐 8월 22일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에 임명되었다.[3] 10월 22일 세자 균(후일의 경종)의 세자 책봉을 준비하는 책례도감에 장원서별제로 책례도감 거안자(擧案者)를 겸직하였다.[4] 1691년 8월 23일 평안도 점마별감에 임명되고, 이후 의금부도사, 오위도총부도사 등을 지냈다.

1694년 1월 8일 훈련도감 좌부중사파총(左部中司把摠)에 임명되었다.[6] 1699년 10월 20일 모화관에서 열리는 무과 전시 참시관(參試官)의 한 사람으로 선발되었고, 10월 21일 단종 복위를 기념하여 특별히 시행된 별시 과거에서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린 무과 증광시(增廣試) 참고관(參考官)으로 시험을 감독하였다.[7]

1700년 7월 13일 훈련부정(訓鍊副正)을 거쳐 9월 25일 훈련원정(訓鍊院正)이 되었다. 1701년 1월 25일 충주영장, 1703년 1월 27일 우림위장을 거쳐 같은 날 우림위장 겸사복장(兼司僕將)이 되었다. 1703년 7월 18일 창성부사에 임명되었다.

1705년 창성부사 재직 중 임지에서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과 묘소는 미상이다.[8]

2. 1. 가계와 초기 활동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출신으로 정확한 생년월일은 미상이다. 이지방의 7대손이다. 그의 가계는 본래 무관 가계였으나 5대조 이감이 문과에 합격하면서 문반 가계로 전환되었다. 5대조 이감의 동생 이전이용은 모두 수군절도사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이전의 후손들 중 일부는 조선 말기까지도 무반 가계를 이어갔다. 넷째 숙부 이서우는 문인이자 서예가, 시인이었으며 남인 중진 문신이었다.

그의 초기 활동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용모, 성격, 사승관계(師承關係)를 알 수 있는 기록조차 사라져 알 수 없다.

2. 2. 관료 생활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하여 별시위, 선전관 등을 거쳤다. 1676년 사헌부 감찰, 1679년 훈련원주부 무겸에 임명되었다.[1]

1680년 무겸선전관으로 재직 중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고,[2] 사헌부 감찰이 되었다.

1690년 통훈대부 행사헌부 감찰, 4월 1일 의금부도사, 8월 17일 금부도사로 복평군 이연을 나래(拿來)하였다. 8월 22일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에 임명되었다가[3] 다시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8월 25일 이조의 구전정사 때 장원서별제로 임명되었다. 10월 22일 세자 균(후일의 경종)의 세자 책봉을 준비하는 책례도감에 장원서별제로 책례도감 거안자(擧案者)를 겸직하였다.[4] 이때 그는 금부도사로 장원서별제직을 겸직했다 한다.[5] 10월 24일 사헌부감찰, 1691년 8월 23일 평안도 점마별감에 임명되고, 이후 의금부도사, 오위도총부도사 등을 지냈다.

1694년 1월 8일 훈련도감 좌부중사파총(左部中司把摠)에 임명되었다.[6]

1699년 10월 20일 모화관에서 열리는 무과 전시 참시관(參試官)의 한 사람으로 선발되었다. 10월 21일에는 단종 복위를 기념하여 특별히 별시 과거가 시행되자, 부사과(副司果)로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린 무과 증광시(增廣試) 참고관(參考官)의 한 사람으로 시험을 감독하였다.[7]

1700년 7월 13일 훈련부정(訓鍊副正)이 되었다가 9월 25일 훈련원정(訓鍊院正)이 되었다. 1701년 1월 25일 충주영장, 1703년 1월 27일 우림위장이 되었다가 같은 날 우림위장 겸사복장(兼司僕將)이 되었다. 1703년 7월 18일 창성부사에 임명되어, 8월 16일 하직인사를 하고 부임하였다.

2. 3. 사망

1705년 창성부사 재직 중 임지에서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과 묘소는 미상이다.[8] 그의 후임자였던 조세성도 1707년 임지에서 사망했다는 기록이 승정원일기에 남아있다. 아들 이상과 며느리 최씨의 묘소는 철곡(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철곡부락)에 있다고만 전해지며, 자세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및 생몰년비고
할아버지이경항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
할머니전주이씨 (1600년 11월 3일 - 1667년)효령대군의 7대손, 수군절도사 증 완원군 이경유의 딸
숙부이가우 (1621년 11월 12일 ~ 1646년 3월 14일)
숙부이희우 (? ~ 1705년 7월 15일)
숙부이서우 (호는 송곡,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
고모우계이씨
고모부윤득열 (1597년 - 1656년, 감사, 본관 파평)윤사로의 손자, 윤수강의 5대손
고모요절
고모우계이씨
고모부이서규 (1630년 ~ ?, 교관, 별검)성종 왕자 익양군 후손[9]
고모요절
아버지이덕우 (1617년 12월 27일 ~ 1687년 9월 9일)
어머니인천채씨 (1618년 4월 9일 ~ ?년 11월 29일)충의위 채극계의 딸
누이우계이씨
매부윤시경 (1642년 ~ 1685년, 통덕랑, 파평윤씨)윤인함의 증손, 윤희제 8대손
부인청주한씨청하현감 겸 경주진관 한공억의 딸, 한치량의 후손
우계이씨
사위심일주 (1673년 ~ 1704년 10월 22일, 통덕랑, 청송심씨)
우계이씨
사위심필태본관 미상
우계이씨 (1680년 ~ 1717년 1월 21일)
사위심이관 (1679년 ~ 1744년 7월 12일, 청송심씨)
아들이상 (1681년 3월 21일 ~ ?년 8월 26일)
며느리최씨 (본관 미상, ?년 3월 6일 ~ ?년 7월 8일)
부인해주최씨최주우의 딸
우계이씨[10]
사위신만제 (1673년 ~ 1737년, 통덕랑, 고령신씨)신형의 7대손, 신광한 종6대손
외손자신규[11]
외손자신후
외손자신우
외손녀사위박휴징 (밀양인)
우계이씨
사위정형우 (하동정씨)
장인한공억 (1614년 ~ 1683년 8월 26일, 청주한씨)한치형 종7대손
장모용인이씨도사 이용의 딸, 장양공 이일 증손녀
처조부한섭
처증대고모청주한씨한곤의 딸, 그의 재종증조부 충장공 이복남의 처
장인최주우 (해주최씨)


참조

[1] 서적 승정원일기 270책 (탈초본 14책) 숙종 5년 5월 27일 경신 13/18 기사 康熙(淸/聖祖) 18년 1679
[2] 서적 보사원종공신 개수녹권(保社原從功臣改修錄券)
[3] 간행물 정록(政錄) v1 승정원 편
[4] 서적 冊禮都監廳儀軌 1690
[5] 간행물 정록(政錄) 승정원 1864~1895
[6] 서적 훈국등록 (訓局謄錄) 숙종 20년(1694, 갑술) 1월 8일자 1694-01-08
[7] 서적 기묘증광별시문무과방목(己卯增廣別試文武科榜目)
[8] 문서 그는 원종공신이었으므로 법전에 의하면 그는 1계급 특진 대상자였다.
[9] 문서 익양군 회-용천군 이수한(龍川君 李壽朋+鳥)-기성군 이현(箕城君 李俔)-평림군 이지윤(平林君 李祉胤)-이후석(李後奭)-이서규
[10] 논문 權知承文院副正字中直大夫申公墓誌銘 이헌경, 艮翁先生文集卷之十五 / 誌
[11] 논문 權知承文院副正字中直大夫申公墓誌銘 이헌경, 艮翁先生文集卷之十五 / 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