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공강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강우는 구름에 인위적으로 물질을 살포하여 강수량을 늘리는 기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인공강우 실험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기상청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공강우는 드라이아이스, 요오드화 은 등을 사용하여 구름 속의 강수 과정을 촉진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하지만 인공강우의 효과는 구름의 종류,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환경 및 윤리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 (날씨)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비 (날씨) - 소나기
    소나기는 여름철 대류 현상으로 적운이나 적란운에서 급작스럽게 내리는 짧고 강렬한 비로, 우박이나 뇌우를 동반하기도 하며, 가뭄 해소에 도움을 주지만 집중호우 피해를 유발하기도 하고, 한국 문화에서는 첫사랑에 비유되기도 한다.
  • 기상학 - 수증기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거나 승화하여 생성되는 기체 상태의 물질로, 온도 변화에 따라 물로 응축되기도 하며, 대기 중 습도 조절, 온실 효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상학 - 번개
    번개는 뇌운 속 전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 방전 현상으로, 빛과 천둥을 동반하며 지구 외 행성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현상에서도 발생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인공강우

2. 역사

인공강우 실험은 1946년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소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 당시 연구원이었던 쉐퍼는 항공기를 이용해 구름 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뿌리는 실험을 진행했다. 1947년에는 버나드 보네거트가 아이오딘화 은(AgI)이 얼음 결정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공강우용 구름씨 물질로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AgI 연소기를 개발하여 항공 실험에 성공했다.[147]

이를 계기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세계 곳곳에서 인공강우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1950년에는 기상조절학회가 창설되었다. 미국에서는 1978년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에 기상조절프로그램(AMP) 부서가 설립되어 각 주 정부의 기상조절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활동 및 장비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147]

1970년대에는 기상조절에 대한 반대 여론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과학적 기초 연구 부족, 과장된 선전, 사회적·정치적 문제, 종교적·환경론적 주장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했다. 1974년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인공강우 반대 시민연합이 조직되어 반대 집회를 주도하기도 했다.[147]

1980년대에는 연구비 지원이 감소했지만, 기술 발달로 새로운 측정 기기들이 개발되고 컴퓨터 분석이 용이해지면서 기상조절 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최근에는 엘니뇨나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이 심해지면서, 가뭄 해소와 수자원 확보를 위해 인공강우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인공강우를 실용화하여 가뭄 해소와 수자원 확보에 활용하고 있다.[147] 특히 중국은 대규모 인공강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건조한 날씨를 만들기 위해 인공강우를 사용하기도 했다.[46]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인공강우 실험이 시작되었으나, 2000년대 이전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2. 1. 한국의 인공강우 역사

한반도는 중위도 편서풍대에 위치하여 평균 주 1회 정도 기압골이 통과하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구름 발달에 필요한 수증기 공급이 원활하여 인공강우 실험에 비교적 적합한 기상 조건을 갖추고 있다.[147]

1964년 도쿄 대가뭄 당시 수원지 부근에서 인공강우가 실시되었다. 1995년에는 극심한 가뭄으로 제한급수가 시행되면서 인공강우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00년대 이후 기상청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인공강우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9년에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인공강우 실험이 실시되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134] 문재인 정부는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인공강우 협력을 추진하기도 했다.

3. 인공강우의 원리

인공강우는 구름 속에 인위적으로 강수를 유도하는 물질을 살포하여 비를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발달한 적운이나 층적운의 상부에서는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도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며 눈 결정이 형성되지 않아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인공적으로 눈 결정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을 살포하면 비가 내릴 가능성이 생긴다. 이러한 방법을 '''클라우드 시딩'''(cloud seeding, '''구름 씨 뿌리기''')이라고 한다.

클라우드 시딩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드라이아이스, 요오드화은 등이 있다. 드라이아이스는 구름의 온도를 낮추어 얼음 결정을 발생시키고, 요오드화은은 결정 격자가 얼음 결정과 유사하여 눈 결정 성장을 돕는다. 액체 이산화 탄소를 사용하는 방법도 연구되었다.

살포 방법으로는 비행기를 이용하거나, 로켓이나 대공포를 이용한 발사, 지상 연막로를 통해 연기 형태로 구름에 도달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21년 1월, 인공 강우용 드론 "간린-I"을 처음 비행시키기도 했다("간린"은 "은혜의 비"를 의미한다).[115]

실내에서 작물 재배 실험이나 영화 촬영 등을 위해 살수하여 비를 재현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기상 제어 이외의 방법이다.

3. 1. 강우 원리

구름 방울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해야 강수 현상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구름 방울은 평균 지름이 0.02mm로 매우 작아 빗방울의 1/100 크기밖에 되지 않는다. 이 작은 구름 방울들은 약한 상승 기류에도 공중에 떠 있을 수 있으며, 설령 떨어진다 해도 구름 아래의 건조한 공기층에서 증발해 버린다. 또한, 응결핵이라는 작은 입자에서 시작되는 응결 과정만으로는 구름 방울이 성장하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148]

하지만 어떤 구름들은 발달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아 강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 복잡한 과정을 설명하는 두 가지 중요한 이론이 있는데, 바로 충돌-병합 과정(coalescence theory)과 빙정 과정(ice crystal theory)이다.[148]

  • 충돌-병합설 (병합설): 열대 지방이나 여름철 중위도 지방에서 형성되는 따뜻한 구름(구름 최상부 온도 0°C 이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구름은 빙정 없이 물방울로만 구성되어 있다. 따뜻한 구름 속에서는 구름 방울들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져(병합) 점점 커져서 빗방울이 된다. 이 과정을 통해 형성된 비를 따뜻한 비(warm rain)라고 하며, 보웬(Bowen)과 랭뮤어(Langmuir)가 이 이론을 제안했다.[148]

  • 빙정설: 중위도와 고위도 지방의 강수를 설명하기 위해 1933년 스웨덴의 T. 베르예론이 제시하고, 1938년 독일의 W. 핀다이센이 발전시킨 이론이다. 차가운 구름(구름 밑면 온도는 0°C보다 높거나 낮지만, 최상부 온도는 0°C보다 낮은 구름)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0°C 이하의 구름 속에 수적(물방울)과 빙정(얼음 결정)이 반드시 함께 존재해야 한다. 차가운 구름의 상부에는 빙정, 하부에는 수적, 중앙에는 빙정과 수적이 섞여 있다.


차가운 구름에서 빙정 주위의 수증기는 침적되어 빙정을 성장시킨다. 이 빙정은 다른 빙정이나 과냉각 수적(0°C 이하에서도 얼지 않은 물방울)과 충돌하여 빠르게 성장하는데, 이를 부착이라고 한다. 과냉각 수적과 빙정이 공존할 때, 과냉각 물은 얼음보다 포화 수증기압이 높다. 즉, 같은 온도에서 과냉각 수적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물 분자의 수가 얼음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물 분자의 수보다 많다. 이러한 포화 수증기압 차이로 인해 과냉각 수적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빙정에 승화되어 빙정이 성장한다. 이 과정을 통해 빙정은 커지고 수적은 작아지며, 무거워진 빙정은 중력에 의해 떨어진다. 떨어지면서 다른 빙정과 충돌, 병합하여 눈송이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눈은 지상의 기온과 습도가 낮으면 눈으로 내리지만, 높으면 녹아서 비가 된다. 이것이 빙정 과정으로 인한 찬 비의 형성 과정이며, 고위도와 중위도 지방의 강수 발달 과정을 설명한다.[148]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을 제외하면, 비는 영하 15 이하의 저온 구름 속에서 발생한 얼음 결정이 승화 핵이 되어 주변 수증기를 흡수하며 성장한다. 이 눈 결정은 구름 속을 낙하하며 온난기에는 도중에 녹아 빗방울이 되고, 한랭기에도 기온이 높으면 녹아서 비가 된다. 따라서 비가 내리려면 구름 속에 얼음 알갱이가 필요한데, 이 얼음 결정을 만드는 것은 주로 바다의 파말로 인해 날아 올라간 염핵이나 육지의 먼지 등 공기 중의 미세한 입자들이다. 이러한 입자들 주위에 구름 속 수증기가 승화와 저온의 영향으로 얼음이 되어 붙어 성장하여 눈 결정이 된다.

4. 인공강우의 방법

인공강우는 구름 속에서 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이다. 구름은 수많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이 충분히 커져야 비나 눈이 되어 내린다. 하지만 구름 속 온도가 0℃ 이하인데도 얼음 결정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아 비가 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인공적으로 얼음 결정을 만들거나, 물방울이 더 잘 뭉치도록 돕는 물질을 뿌려 강수를 유도하는 것이 인공강우이다.

인공강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 구름 씨 뿌리기 (Cloud Seeding): 구름 속에 인공적인 응결핵이나 빙정핵을 살포하여 강수 과정을 촉진한다.
  • 물질 살포: 드라이아이스, 요오드화 은, 액체 이산화 탄소 등을 구름에 살포한다.
  • 드라이아이스: 구름 속 온도를 낮춰 얼음 결정을 생성한다.
  • 요오드화 은: 얼음 결정과 비슷한 구조를 가져 얼음 결정 성장을 돕는다.
  • 액체 이산화 탄소: 드라이아이스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주로 비행기를 이용하여 구름 속에 직접 살포하거나, 로켓이나 대공포를 사용하여 구름 속으로 쏘아 올린다. 지상에서는 연소기를 통해 요오드화은 연기를 발생시켜 구름으로 올려보내는 방법도 사용된다.[2]

4. 1. 시딩 물질

인공강우에 사용되는 시딩 물질은 다음과 같다.

  • '''드라이아이스''': 온도를 영하 40°C 이하로 낮춰 빙정을 생성한다.[2]
  • '''요오드화 은''': 빙정과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빙정핵 역할을 한다.[2]
  • '''액체 프로판''': 기체로 팽창하면서 주변 온도를 낮춰 빙정을 생성하며, 요오드화 은보다 높은 온도에서 얼음 결정을 생성할 수 있다.[3]
  • '''염분''': 흡습성이 높아 구름방울의 성장을 촉진한다.[3]


지상 기반 요오드화 은 발생기 – 콜로라도, 미국


이러한 물질들은 비행기, 기구, 로켓, 대공포 등을 통해 구름 속으로 살포된다. 지상에서는 연막로를 통해 연기 형태로 구름에 도달시키는 방법도 사용된다.

4. 2. 살포 방법

인공강우 물질은 항공기를 이용하거나 지상에서 살포하는 방식으로 구름에 전달된다. 지상에서는 대공포나 로켓을 쏘아 올려 구름에 물질을 전달하거나, 발생기를 통해 미세 입자를 공기 중에 날려 보낸다.[45] 항공기를 이용할 때는 요오드화 은 플레어를 점화하여 구름 속으로 살포한다.

시안 MA60 중국 기상청의 인공 강우 항공기


5. 인공강우의 효과 및 한계

인공강우는 적절한 조건에서 강수량을 5~20% 증가시킬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있지만,[146] 구름의 유형,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효과가 달라져서 인공강우의 효과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146] 일부 적운에서는 구름 씨 뿌리기로 인해 '폭발적인' 강수 증가를 보이기도 한다.[146] 하지만 지나친 구름 씨 뿌리기는 오히려 빙정을 너무 많이 만들어 강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146]

구름 씨앗 살포에는 요오드화 은,[2] 요오드화 칼륨, 드라이 아이스(고체 이산화 탄소) 등이 사용된다.[3] 흡습성 물질인 식염도 사용된다.[3]

구름 씨앗 파종이 강수량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지는 학계에서 논쟁 중이며,[10] 연구 결과도 엇갈리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다르다.[10]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연구에서는 구름 씨앗 파종의 효과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11]

2003년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NRC)는 "어떤 씨앗 파종 기술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 과학적으로 확신할 수 없다"고 보고했다.[12] 2010년 텔아비브 대학교 연구에서는 요오드화 은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름 씨앗 파종이 강수량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3]

반면, 2016년 사막 연구소의 제프 틸리는 새로운 기술과 연구로 구름 씨앗 파종이 신뢰할 수 있는 물 공급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5] 1998년 미국 기상 학회는 과냉각된 지형성 구름의 강수량이 계절별로 약 10% 증가했다고 밝혔다.[16]

인공강우는 구름이 없는 곳에서 비를 만들 수는 없으며, 강수량 조절도 어렵다. 어느 정도 발달한 비구름이 있어야 효과를 볼 수 있고, 강수량도 원래 강수량의 10% 정도만 증가시킬 수 있다. 슈퍼셀처럼 강한 상승 기류나 복잡한 기류를 동반하는 구름은 강수 제어가 어렵다.

타국의 인공강우에 대해 자국에 내려야 할 비를 줄인다는 비판과 항의가 일어나기도 한다. 중국의 대규모 기상 제어 계획에 인도 언론이 크게 반발했고, 이란 군사 조직 간부는 이스라엘이 "비구름을 훔치고 있다"고 2018년에 비난했다.[115]

6. 인공강우의 윤리적, 환경적 문제

인공강우는 잠재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환경, 윤리, 사회적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인공강우 기술은 아직 완벽하지 않으며, 예측 불가능성과 부작용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인공강우는 어느 정도 발달한 비구름이 있을 경우에만 효과가 있으며, 구름이 없는 곳에 비구름을 만들어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 강수량도 원래 강수량을 10% 정도 증가시키는 수준이며, 구름 전체의 수량 및 강수량을 크게 늘리거나 강수량을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슈퍼셀과 같이 매우 강한 상승 기류나 복잡한 기류를 동반하는 구름의 경우에는 강수 제어가 어렵다. 또한, 물 부족 해소 등 강수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면 애초에 인공 강우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기류 등의 영향으로 특정 장소에 강우를 유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극히 좁은 지역에 정확하게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공강우는 지구 온난화, 인구, 군사 무기 실험, 공중 보건, 홍수 등 다양한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정부가 날씨를 조작한다는 음모론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음모론은 팝아이 작전과 같은 실제 정부 개입 사례와 2016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공공사업부의 기밀 광고 등으로 인해 더욱 확산되기도 했다.[110][111][112]

6. 1. 환경 영향

NFPA 704 건강 위험 등급이 2인 요오드화은은 강렬하거나 만성적인 노출 시 일시적인 무능력 또는 잔여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19] 그러나 여러 상세한 생태 연구에서는 환경 및 건강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0][21] 일부 연구에서는 은과 은 화합물(요오드화은에서 유래)의 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름 씨앗 파종으로 생성되는 은의 미미한 양 때문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산업 배출량의 약 1%에 해당하거나 치과 충전재에서 개별적으로 노출되는 양이다.[22]

토양, 식생 및 지표수 유출에서의 축적은 자연 배경 이상으로 측정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았다.[23] 1995년 캘리포니아 시에라 네바다의 환경 평가[24]와 2004년 호주의 독립적인 전문가 패널은 이러한 이전 결과를 확인했다.[25] 1978년, 추정 3,000 톤의 은이 미국 환경으로 방출되었다. 이로 인해 미국 보건 서비스 및 EPA는 은과 관련된 환경 및 인체 건강 위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기관 및 기타 주 기관은 1977년 및 1987년의 청정 수질법을 적용하여 이러한 유형의 오염에 대한 규정을 제정했다.[26]

코지우스코 국립공원 생물권 보전 지역에 대한 구름 씨앗 파종은 시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러 환경 법규가 급격하게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환경 운동가들은 고도로 민감한 환경에서 원소 은의 흡수가 피그미 주머니쥐를 포함한 다른 종뿐만 아니라 한때 깨끗했던 빙하 호수에서 최근의 고농도 조류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50년 전의 연구와 이전 스노위 마운틴 당국의 분석으로 1950년대에 구름 씨앗 파종 프로그램이 중단되었지만, 결과는 확정적이지 않았다. 이전에 호주에서는 피그미 주머니쥐에 대한 우려로 인해 환경적 이유로 구름 씨앗 파종이 거부되었다.[27] 부정적인 환경 영향에 대한 주장은 국제 기상 조절 협회에서 요약한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에 의해 반박된다.[28]

6. 2. 윤리적 문제

인공강우는 주변국과의 물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 1948년 스탠퍼드 로 리뷰의 한 기사에서는 구름의 독특한 특성, 즉 끊임없이 변하는 형태와 위치, 생성, 소멸 및 갱신 때문에 "구름에 대한 법적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라고 언급했다.[107] 구름은 공유 재산으로 간주해야 하며,[107][103] 국제법이 구름의 특성과 새로운 기술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는 관할권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03]

인공적인 강우 기술을 통해 구름의 수분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면 빗물을 점유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연 강수의 경우, 먼저 점유하는 자가 기존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그 권리를 얻게 된다. 캘리포니아 법률은 파종을 통해 생성된 물을 기존의 지표수 권리 및 지하수 규정에 묶어, 생산된 물을 "자연 공급"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법원은 유도된 비를 "추가 강수"로 지정하여 구름 씨앗 살포 주체가 생성된 물의 일부를 주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구름 씨앗 살포로 확보된 추가 수분의 양을 결정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109]

타국의 인공 강우에 대해, 자국에 내려야 할 비를 줄인다고 비판·항의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중국의 대규모 기상 제어 계획에 인도 언론에서 큰 반발이 보도되었고, 이란 군사 조직 간부가 이스라엘을 "비구름을 훔치고 있다"고 2018년에 비난했다.[115]

기상 조작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며, 인공 강우를 포함한 기후 공학 기술은 국제 기구 등에 의해 감독되어야 한다는 "옥스퍼드 원칙"이 제창되고 있다.[115]

7. 인공강우 관련 국제 협약 및 분쟁

환경 개량 기술의 군사적 또는 기타 적대적 이용의 금지에 관한 협약(ENMOD)은 기상 및 기후 변형 기술 규제와 관련된 유일한 국제적 틀이다.[107] 이 협약은 베트남 전쟁냉전 기간 동안의 구름 씨 뿌리기 작전 이후에 개발되었으며, 기상 변형 기술의 군사적 또는 기타 적대적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107] 그러나 평화적 목적의 기상 변형 프로그램 사용은 금지하지 않는다. ENMOD는 모호하고 애매한 개념으로 인해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는 등 많은 약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107]

인공강우 프로그램이 확대되면서, ENMOD가 제공하는 법적 틀은 "소유권"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해 논쟁의 여지가 있다.[107] 구름은 끊임없이 형태와 위치가 변하고, 생성, 소멸, 갱신되기 때문에 구름에 대한 법적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07] 구름의 소유권은 통제가 누군가의 토지 위에 있는 짧은 순간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터무니없다"고 여겨진다.[108] 구름은 점유의 범위를 벗어나며, 공기, 흐르는 물, 바다 및 야생 동물과 유사하므로 공유 재산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107][103]

국제법상 물은 일반적으로 ''무주물''로 간주되지만, 이를 ''res communis''로 인정하려는 강력한 압력이 있으며, 현재 구름의 수분은 명확하게 정의된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103] 따라서 국제법이 구름의 특성과 새로운 기술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는 관할권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이 있다.[103]

인공적인 강우 기술을 통해 구름의 수분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면 빗물을 점유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연 강수의 경우, 먼저 점유하는 자(일반적으로 토지 소유자)가 기존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그 권리를 얻게 된다. 이러한 자연 권리는 토지 소유자가 인공적으로 유도된 비를 주장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있다.[107] 캘리포니아 법률은 인공강우로 생성된 물을 기존의 지표수 권리 및 지하수 규정에 묶어, 생산된 물을 "자연 공급"으로 간주한다.[109] 그러나 법원은 유도된 비를 "추가 강수"로 지정하여 구름 씨앗 살포 주체가 생성된 물의 일부를 주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109]

인공 강우는 어느 정도 발달한 비구름이 있을 경우에 유효하며 성공할 수 있지만, 구름이 없는 곳에 비구름을 만들어 비를 내리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 그 강수량도 원래의 강수량을 10% 정도 증가시키는 정도이며, 구름 전체의 수량 및 강수량을 크게 늘릴 수 없고, 강수량 조절도 불가능하다.

타국의 인공 강우에 대해, 자국에 내려야 할 비를 줄인다고 비판·항의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인도 언론은 중국의 대규모 기상 제어 계획에 대해 큰 반발을 보도했고, 이란 군사 조직 간부는 2018년에 이스라엘을 "비구름을 훔치고 있다"고 비난했다.[115]

인공 강우를 포함한 기후 공학 기술은 국제 기구 등에 의해 감독되어야 한다는 "옥스퍼드 원칙"이 제창되고 있다.[115]

8. 인공강우 기술의 미래

인공강우 기술은 기후변화, 물 부족, 대기오염 등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막화에 따른 물 부족 대책으로 기상국이 요오드화은을 탑재한 소형 이동식 로켓을 발사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 강우를 실시하고 있다.[115]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에서는 맑은 날씨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 강우가 실시되기도 했다.[135][136][137]

하지만 인공강우 기술은 아직 한계가 있다. 현재 기술로는 구름이 없는 곳에 비구름을 만들거나, 강수량을 크게 늘리거나, 특정 지점에 정확하게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다른 나라에서 실시하는 인공강우에 대해 자국에 내려야 할 비를 줄인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1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강우를 포함한 기후 공학 기술은 국제 기구 등에 의해 감독되어야 한다는 "옥스퍼드 원칙"이 제창되는 등[115] 기술 발전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8. 1. 한국의 인공강우 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한국은 가뭄, 미세먼지 등 기상재해에 대응하고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강우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2019년 1월 25일에는 미세 입자로 인한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비행기에서 요오드화은을 살포하여 인공강우를 시도했으나, 이 실험은 실패로 끝났다.[134]

과거 1951년 도쿄 전력도쿄 대학 지구물리학 교실의 쇼노 시게카타 교수에게 의뢰하여 후쿠시마현 상공에서 라디오존데를 이용해 드라이아이스와 요오드화은을 살포하는 실험을 계획했다.[120] 그러나 당시 기상 조건이 좋지 않아 아이즈와카마쓰시 시내에서 요오드화은을 태우는 초보적인 실험에 그쳤다.[121][122]

1964년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에서 발생한 기록적인 물 부족 사태 당시, 수원지 부근에서 인공강우가 실시되었다.[116][117]

2005년 서일본 지역의 물 부족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총리대신은 각료 간담회에서 인공강우 기술의 필요성을 언급했다.[119] 국제 연합 등의 2025년 세계적인 물 부족 경고에 따라, 문부과학성은 2006년부터 "갈수 대책을 위한 인공 강우·강설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123]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문부과학성의 해당 연구는 기상청 기상연구소 (현 국립기상과학원)의 무라카미 마사타카 연구 대표 주도로 인공강우 및 인공강설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했다.[123]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방법
통계 분석
다파장 도플러 편파 레이더, 2파장 라이다, 다파장 마이크로파방사계 등의 지상 원격 탐사
위성 원격 탐사
연구용 항공기에 의한 구름·강수의 직접 관측
항공기 및 지상에서의 시딩 기술
고정밀·고분해능 수치 기상 모델
적설 융설 유출 모델
구름 생성 챔버


참조

[1] 웹인용 Naomi E Tesla; Source for image http://www.fletcherb[...] 2016-03-03
[2] 웹사이트 Silver Iodide https://pubchem.ncbi[...] 2022-01-26
[3] 간행물 Nonlinear climate response to regional brightening of tropical marine stratocumulus
[4] 뉴스 Cloud seeding, no longer magical thinking, is poised for use this winter http://www.sacbee.co[...] 2013-11-11
[5] 간행물 Ice Nucleation by Coprecipitated Silver Iodide and Silver Bromide 1971-11-26
[6] 웹사이트 UAE to test cloud-busting drones to boost rainfall https://www.bbc.com/[...] 2021-03-17
[7] 뉴스 Dubai Creates Fake Rain Using Drones to Battle 122 Degree Heat https://www.newsweek[...] 2021-07-21
[8] 웹사이트 Al Ain Historical Weather https://www.worldwea[...] 2021-07-25
[9] 간행물 Laser creates clouds over Germany https://www.newscien[...] 2010-05-02
[10] 뉴스 Does cloud seeding work? https://www.scientif[...] 2009-02-19
[11] 간행물 Does cloud seeding really work? http://cen.acs.org/a[...] 2016-05-30
[12] 서적 Critical Issues in Weather Modification Research https://www.nap.edu/[...] Committee on the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in U.S Weather Modification Research and Operations; Board on Atmospheric Sciences and Climate; Division on Earth and Life Studies;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3
[13] 뉴스 Cloud seeding' not effective at producing rain as once thought, new research shows https://www.scienced[...] 2010-11-01
[14] 웹인용 Big Hole Filled in Cloud Research https://www.scienced[...] 2018-07-30
[15] 웹인용 Cloud seeding, no longer magical thinking, is poised for use this winter http://www.sacbee.co[...] 2016-09-21
[16] 웹사이트 Planned and Inadvertent Weather Modification http://www.ametsoc.o[...] 2010-06-12
[17] 뉴스 The rocket that stops the rain http://news.bbc.co.u[...] 2008-08-12
[18] 뉴스 Scientist's aim: Alter weather http://www.denverpos[...] 2016-05-07
[19] 간행물 Project Skywater, A program of Research in Precipitation Management Bureau of Reclamation 1977
[20] 간행물 Sierra Cooperative Pilot Project –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Finding of No Significant Impact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Reclamation 1981
[21] 간행물 Environmental Impacts of Precipitation Management: Results and Inferences from Project Skywater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977
[22] 간행물 Ecological Impacts of Snowpack Augmentation in the San Juan Mountains, Colorado Bureau of Reclamation 1976
[23] 서적 Environmental Impacts of Artificial Ice Nucleating Agents Dowden, Hutchinson & Ross, Inc. 1978
[24] 간행물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the 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 and the US Forest Service, Stanislaus National Forest Parsons Engineering Science, Inc. 1995
[25] 웹인용 executive summary of the research http://www.snowyhydr[...] 2008-07-22
[26] 웹인용 "AGI_toxicity.pdf"
[27] 웹사이트 Jagungal http://www.colongwil[...] 2009-09-12
[28] 웹사이트 Weather Modification Association (WMA) Position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using Silver Iodide as a Cloud Seeding Agent http://www.weathermo[...] 2010-04-01
[29] 간행물 Future Clouds: Diatoms, Speculation and Weather Modification https://revistes.ub.[...] 2023
[30] 간행물 Let's Do Something About the Weather https://archive.org/[...] 1961-02
[31] 웹사이트 Storms Above the Desert – Chap. 3: Tampering with the Weather http://www.nmt.edu/a[...]
[32] 간행물 Ice Nucleation by Coprecipitated Silver Iodide and Silver Bromide.
[33] 문서 Freezing Nucleant Bernard Vonnegut, Henry Chessin, and Richard E. Passarelli, Jr. 1975-04-15
[34] 서적 Acts of God: The Unnatural History of Natural Disaster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5] 웹사이트 Welcome to the Air Combat Information Group http://www.acig.org/[...]
[36] 웹사이트 www.willthomas.net/Chemtrails/Articles/Weather_Warfare http://www.willthoma[...] 2007-02-23
[37] 간행물 Project STORMFURY: A Scientific Chronicle 1962–1983 1985-05-01
[38]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Precipitation Enhancement Project (PEP) between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the Government of Spain and other Member States of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ATS 14 of 1979 http://www3.austlii.[...] 2017-04-15
[39] 간행물 The Precipitation Enhancement Project of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Program and Progress https://journalofwea[...] 2020-04-30
[40] 웹사이트 Home --> WDMP http://www.naiwmc.or[...] 2006-08-11
[41] 뉴스 The Weather Damage Modification Program http://ams.confex.co[...] Steven M. Hunter 2009-11-27
[42] 웹사이트 Critical Issues in Weather Modification Research https://www.nap.edu/[...] 2016-10-23
[43] 웹사이트 Hagelabwehr in Niederösterreich http://www.hagelabwe[...] Zentralanstalt für Meteorologie und Geodynamik 2009-03-27
[44] 웹사이트 Die Hagelflieger stellen sich vor http://www.hagelabwe[...] 2016-10-23
[45] 뉴스 Melinda Liu: Can China Control Olympics Weather? https://www.newsweek[...] 2020-02-29
[46] 뉴스 China rolls out the big guns, aiming for a dry Olympics http://usatoday30.us[...] USA Today 2006-06-29
[47] 뉴스 China Lets it Snow to End Drought http://news.bbc.co.u[...] BBC 2009-02-19
[48] 뉴스 Nature gets a helping hand as snow blankets Beijing https://www.theguard[...] Guardian 2009-11-26
[49] 웹사이트 CASWMT http://www.ceawmt.in[...]
[50] 웹사이트 Cloud Seeding http://dst.gov.in/ad[...] 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9-11-26
[51] 웹사이트 Cloud Seeding http://www.srishtiav[...] Srishti Aviation 2024-02-17
[52] 웹사이트 Pakistan uses artificial rain for the first time to fight pollution https://www.aljazeer[...] 2024-12-11
[53] 웹사이트 Punjab conducts cloud seeding to combat smog with locally developed technology https://tribune.com.[...] 2024-12-12
[54] 웹사이트 bppt-to-use-cloud-seeding-to-minimize-flood-risk-in-jakarta http://jakartaglobe.[...]
[55] 웹사이트 سابقه بارورسازی ابرها در ایران/ بین سال‌های ١٣۵٣ تا ١٣۵٧ ابرها در یک منطقه بارور می‌شدند https://www.khabaron[...] 2024-04-19
[56] 웹사이트 بارورسازی ابرها روش جدید مقابله با خشکسالی https://donya-e-eqte[...] 2024-04-19
[57] 웹사이트 Stopping rain Enhancement project, in Hebrew https://www.calcalis[...] 2021-03-25
[58] 간행물 Cloud microphysical background for the Israel-4 cloud seeding experiment.
[59] 뉴스 cloud-seeding-kuwait-soon Translated from Arabic and reported originally by Al-Qabas Newspaper, Kuwait. http://news.kuwaitti[...] Kuwait Times 2016-04-16
[60] 뉴스 Singapore haze hits record highs from Indonesia fires https://www.bbc.co.u[...] 2013-06-21
[61] 뉴스 "Hail" reported in the Western end of Singapore http://www.straitsti[...] 2013-09-24
[62] 웹사이트 Malaysia is using Cloud Seeding to Beat the Haze ... But How Much does it Cost? https://cilisos.my/m[...] 2019-09-17
[63] 웹사이트 Cloud seeding done daily http://news.asiaone.[...] 2015-10-07
[64] 웹사이트 Cloud seeding to aid Sungai Layang and Sungai Lebam dams commences https://www.nst.com.[...] New Straits Times 2024-03-02
[65] 웹사이트 The Rainmaking Story http://164.115.100.1[...] Bureau of Royal Rainmaking and Agricultural Aviation
[66] 웹사이트 Modern Monarchy http://www.thaiembas[...] Royal Thai Embassy Stockholm 2012-11-15
[67] 웹사이트 Weather modification by royal rainmaking technology https://patents.goog[...] 2016-10-23
[68] 서적 Thailand's Budget in Brief Fiscal Year 2019 http://www.bb.go.th/[...] Bureau of the Budget 2019-10-09
[69] 서적 Pourquoi Dien Bien Phu? Flammarion 1968
[70] 뉴스 SLAF Embarks on Cloud Seeding Project with Ministry of Power, Energy and Business Development https://www.airforce[...] Sri Lanka Air Force 2019-01-23
[71] 뉴스 Cloud seeding bears no rain in Sri Lanka https://news.mongaba[...] Mongabay 2019-04-12
[72] 뉴스 Cloud seeding project brings rain News First 2019-03-22
[73] 뉴스 Alexandria Daily Town Talk 1948-06-29
[74] 웹사이트 North American Weather Modification Council http://www.nawmc.org[...] 2013-01-31
[75] 웹사이트 Wyoming cloud seeding experiment begins this month http://www.eurekaler[...] 2009-11-27
[76] 서적 Mountain Geography; Physical and Human dimensions
[77]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Military or Any Other Hostile Use of Environmental Modification Techniques – A/RES/31/72 Annex – UN Documents: Gathering a body of global agreements http://www.un-docume[...] 2011-05-13
[78] 웹사이트 A plane was 'cloud seeding' in the Sierra this week to make it rain. Does that actually work? https://www.sfchroni[...] 2022-09-18
[79] 웹사이트 Alberta's cloud-seeding pilots see 2nd busiest year in 20 years http://www.cbc.ca/ne[...] CBC News 2014-08-23
[80] 뉴스 Masters of hailstorms http://bnr.bg/en/pos[...] 2018-04-24
[81] 웹사이트 Mitigation of Hail Damages by Cloud Seeding in France and Spain http://www.essl.org/[...] 5th European Conference on Severe Storms 2010-11-21
[82] 서적 ref book osprey encyc of russian aircraft
[83] 웹사이트 Russia spends millions on 'cloud seeding' technology to ensure it doesn't rain on May Day public holiday https://www.independ[...] 2016-02-05
[84] 웹사이트 Russia seeds clouds in Siberia to douse raging wildfires https://www.reuters.[...]
[85] 웹사이트 Crimean Canal Key to its Liberation https://iwpr.net/glo[...] 2024-07-13
[86] 웹사이트 O Rabotach OV Martynova https://www.research[...] 2015-01-01
[87] 웹사이트 Homepage of the Society for cloud seeding Rosenheim (in German) http://www.hagelabwe[...] 2013-04-16
[88] 웹사이트 The cloud seeders are ready for takeoff (in German) https://www.stuttgar[...] 2018-09-12
[89] 웹사이트 Cloud seeding aircraft is ready for service (article in German) http://www.suedkurie[...] 2010-05-03
[90] 웹사이트 Flugzeuge https://www.hagelabw[...] 2023-06-22
[91]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aircraft hail defense https://www.lcm.si/o[...] 2022-08-08
[92] 서적 Slow Devon and Exmoor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0
[93] 웹사이트 Weather Weapons to Attack Mankind http://www.britishpa[...] British Pathé 2016-08-14
[94] 뉴스 RAF rainmakers 'caused 1952 flood'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01-08-30
[95] 웹사이트 "The day they made it rain" Lynmouth Flood man-made? http://www.weatheron[...] 2018-01-22
[96] 논문 On the Analysis of a Cloud Seeding Dataset over Tasmania
[97] 웹사이트 Cloud seeding http://www.nrc.nsw.g[...]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2010-11-21
[98] 뉴스 Cloud Seeding http://media01.couri[...] 2009-11-27
[99] 뉴스 Artificial Clouds Could Save Vulnerable Coral Reef from Climate Change https://www.euronews[...] 2020-04-26
[100] 웹사이트 West African Monsoon And Rainfall Enhancement Studies –Mali http://www.rap.ucar.[...] 2010-09-09
[101] 웹사이트 Cloud seeding: taking off in West Africa http://www.irc.nl/pa[...] 2009-10-19
[102] 논문 Effect of cloud-seeding on water-stress of maize in Zimbabwe https://www.journalo[...] 1982
[103] 논문 À qui appartiennent les nuages ? Essai de définition d'un statut des nuages en droit international public https://www.persee.f[...] 2021-06-02
[104] 서적 Fixing the sky : the checkered history of weather and climate control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105] 논문 Governing water augmentation under the Watercourse Convention https://doi.org/10.1[...] 2021-06-02
[106]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Military or Any Other Hostile Use of Environmental Modification Techniques (ENMOD) – UNODA https://www.un.org/d[...] 2021-06-02
[107] 학술지 Rainmaking part one: Who owns the clouds 1948
[108] 학술지 The legal aspects of rainmaking https://scholarship.[...] 2022-02-06
[109] 학술지 Present and Future Regulation of Cloud Seeding Activities in California 2011
[110] 뉴스 'Chemtrails' and other aviation conspiracy theories https://www.telegrap[...] 2013-12-13
[111] 뉴스 Chemtrails: Real conspiracy, or wild theory? Each perspective has fervent believers https://web.archive.[...] 2013-12-13
[112] 웹사이트 HAARPing On; The government didn't quietly admit to modifying weather in California; cloud seeding is a well-documented effort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drought (and isn't related to chemtrails) http://www.snopes.co[...] Snopes.com 2016-09-02
[113] 문서 英語版各項目を参照
[114] 웹사이트 JST科学技術用語日英対訳辞書より http://ejje.weblio.j[...]
[115] 뉴스 「気象制御」に新興国動く 中国、国土の6割で■エチオピア、農業活用/干ばつ・山火事…人工で降雨国際ルール追いつか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7-27
[116] 뉴스 「人工降雨装置」出番は?都が所有 効果限定的「量、場所調整できれば減災も」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9-13
[117] 뉴스 「人工降雨装置:12年ぶり出番か」 毎日新聞
[118] 뉴스 家庭は一割節電 週二回ネオンも消える 朝日新聞 1951-01-27
[119] 뉴스 【科学とみらい】気候を変える 気象を操る(中)雨乞いをこえて 人工降雨、研究は続く:早明浦ダムで"種まき"実験/砂漠の国で 五輪で 注目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9-16
[120] 뉴스 気球を揚げて実験 人工降雨 22日から福島で 朝日新聞 1951-10-19
[121] 뉴스 快晴でダメ きょう人工雨実験 朝日新聞 1951-10-26
[122] 서적 気象と天災 偕成社 1954
[123] 웹사이트 渇水対策のための人工降雨・降雪に関する総合的研究・プロジェクト概要 http://jcsepa.mri-jm[...]
[124] 웹사이트 北米州間気象制御会議 http://www.naiwmc.or[...]
[125] 웹사이트 Wyoming cloud seeding experiment begins this month http://www.eurekaler[...] 2009-11-27
[126] 웹사이트 Weather Modification Inc. http://www.weathermo[...]
[127] 웹사이트 Cloud Seeding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9-11-26
[128] 웹사이트 City News
[129]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http://www.csiro.au/
[130] 웹사이트 On the Analysis of a Cloud Seeding Dataset over Tasmania http://journals.amet[...]
[131] 문서 Snowy Hydro Limited http://www.snowyhydr[...]
[132] 웹사이트 Cloud seeding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2010-11-21
[133] 뉴스 Cloud Seeding http://media01.couri[...] 2009-11-27
[134] 웹사이트 韓国の「対中」大気汚染改善実験、初回は失敗 人工雨ほぼ降らず https://www.afpbb.co[...] AFP 2019-01-28
[135] 웹사이트 北京五輪開会式:晴天確保に「人工消雨」ロケット弾、千発打ち上げ http://www.epochtime[...]
[136] 뉴스 China Lets it Snow to End Drought http://news.bbc.co.u[...] BBC 2009-02-19
[137] 뉴스 Nature gets a helping hand as snow blankets Beijing http://www.guardian.[...] Guardian 2009-11-02
[138] 뉴스 How we made the Chernobyl rain http://www.telegraph[...] 2009-11-27
[139] 뉴스 Bush's greeting for his pal Blair http://news.bbc.co.u[...] 2010-04-30
[140] 뉴스 Sometimes it rains cement http://www.reuters.c[...] 2009-11-27
[141] 웹사이트 Moscow Testing Cloud Seeding; Promises Winter Without Snow http://www.meteorolo[...] 2009-10-19
[142] 웹사이트 Mali and Niger using cloud seeding http://www.rap.ucar.[...]
[143] 웹사이트 Mali & Niger using cloud seeding http://www.irc.nl/pa[...]
[144] 웹사이트 Association Nationale d’Etude et de Lutte contre les Fléaux Atmosphériques http://www.anelfa.as[...]
[145] 웹사이트 MITIGATION OF HAIL DAMAGES BY CLOUD SEEDING IN FRANCE AND SPAIN http://www.essl.org/[...] 5th European Conference on Severe Storms 2010-11-21
[146] 서적 대기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2006
[147] 논문 인공강우 국립방재연구소 2001-09
[148] 서적 대기과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