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구시인은 북동 코카서스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주로 이슬람교를 믿으며 체첸인과 언어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17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으며, 19세기에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고대에는 코반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르주크족 등과 연합하여 부족 연합을 이루기도 했다. 20세기에는 소련에 강제 이주를 당하는 등 고난을 겪었으며, 1990년대에는 북오세티야와의 분쟁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인구시어는 체첸어와 같은 나흐어파에 속하며, 전통적인 씨족 사회 구조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인구시인의 역사는 기원전 4~3천년기 북 코카서스 지역의 마이콥 문화와 쿠라-아락스 문화에서 시작된다.[1] 인구셰티야 지역은 이 두 문화의 교차 지점에 위치하며, 초기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 융합적인 모습이 나타난다(예: 루고보예 유적).[1] 이후 북 코카서스 문화 역사 공동체를 기반으로 코반 문화가 발전했는데, 기원전 12세기~기원전 4세기에 인구시 민족의 조상들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3] 이들은 조지아 자료에서 "코카서스인"과 "주르주크족"으로, 고대 자료에서는 "말흘리"로 알려졌다.[1]
2. 역사
기원전 1천년기 후반, 코반 부족들은 주르주크족이라는 부족 연합을 건설했고, 다리알 협곡을 통제하며 고대 조지아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5] 레온티 므로벨리에 따르면, 조지아의 초대 왕 파르나바즈는 주르주크족 여성과 결혼하여 사우르마그를 낳았다.[6][7] 기원전 2세기 초 셀레우코스 왕 안티오쿠스 3세의 침략으로 코반 부족 연합은 붕괴되었고, 이후 코반의 후손들은 개별 부족 집단의 이름으로 알려졌다.[10]
가르가레아인과 겔라에는 기원후 1세기 스트라보의 ''지리학''에 언급된 민족으로, 여러 학자들은 이들을 인구시와 연결짓고 있다.[11][12][13][14][15]
7세기 ''아슈카르하츠우츠''에서는 인구시를 ''쿠스트''(키스트)로 언급했고,[21] 조지아 자료에서는 미리안 1세(1세기) 통치 기간 동안 글리그비로, 11세기 카케티 통치자 크비리케 3세 통치 기간 동안에도 언급된다.[22][23]
9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까지 인구시족은 알라니아 왕국의 일부였으며,[3] 마가스는 현재의 마가스(Magas), 나즈란(Nazran) 도시와 얀다레(Yandare), 가지-유르트(Gazi-Yurt), 에카제보(Ekazhevo), 알리-유르트(Ali-Yurt), 수르카히(Surkhakhi) 마을 일대에 있었다. 1238년에서 1240년 사이, 몽골-타타르의 침략으로 조치 울루스에 포함되었고, 1395년 티무르의 침략으로 알란 연합은 붕괴, 인구시족은 산악 지역으로 이동했다.
16세기 말까지 인구시족의 주요 영토 사회(샤하르)가 형성되었고, 16세기-17세기 러시아 자료에 언급되었다.샤하르 위치 제라흐(Dzherakh) 서쪽, 다리아르 협곡(Darial Gorge) 키스틴, 피야핀 또는 메츠칼린 훌크호이 캄킨(Khamkhins) 초린(Tsorins) 아킨 오르스트호이(Orstkhoy) 메르조이, 체초이, 갈라이 남쪽 말킨 초린의 남동쪽
16세기-17세기, 인구시족은 평원으로 돌아오기 시작했고, 티무르(Timur)가 북 코카서스(North Caucasus)를 떠난 직후 군사-정치적 행동을 하였다.[4] 인구시족의 가장 오래된 정착지인 아흐키-유르트(Akhki-Yurt)와 앙구시트(Angusht)는 순자와 캄빌레예프카 상류 지역에 생겨났다.
1770년, 인구시족 장로 24명은 안구시트 산기슭 마을 근처에서 러시아 제국에 충성 서약을 했다.[7] 그러나 양측 모두 이 서약을 연합 조약으로 간주했다.[8] 1784년, 블라디카프카스 요새가 건설되었고,[5][6] 인구시족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 인구시족은 카프카스 전쟁 동안 러시아 제국의 확장에 격렬히 저항했다.[11] 1830년과 1832년, 러시아군은 산악 인구셰티야에 대한 응징 원정을 감행하여 많은 마을을 파괴했다.[15] 인구시족은 체첸의 많은 봉기에 참여했고,[16] 1840년 체첸 봉기에도 참여하여 카프카스 이맘국에 합류했다.[17] 1840년대 후반~1850년대 후반, 여러 인구시 사회가 카프카스 이맘국에 합류했다.[19] 1840년대 후반~1850년대 후반, 인구셰티야 평지에 코사크 마을 건설이 시작되었고, 인구시족은 산악 지대와 구릉 지대로 추방되었다.[20]
1923년, 자우르벡 말사고프(Zaurbek Malsagov)가 개발한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인구시어 알파벳이 도입되었고, 세르달로(Serdalo) 신문이 발행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독일군이 북카프카스에 진입했지만, 말고베크와 블라디카프카스에서 저지당했다.[10] 1944년, 인구쉬인들은 나치와 협력했다는 누명을 쓰고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당했다. (렌틸 작전)[11] 이 과정에서 인구의 최대 30%가 사망했고,[12][13][14] 2004년 유럽 의회에 의해 집단 학살로 분류되었다.[16]
1957년, 인구쉬인들의 귀환이 허용되었고, 체첸-인구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복원되었다. 인구쉬인들은 귀환 후 빼앗긴 영토의 반환과 국가 건설을 옹호했다. 1973년, 그로즈니에서 집회를 열었다.
1991년, “정치적 탄압 피해자의 재활”에 관한 법이 채택되어 인구쉬인들의 권리가 공식적으로 회복되었다.[23] 1992년,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인구시 공화국 수립에 관한" 법률이 채택되었고(잉구셰티야 참조), 오세티야-잉구시 분쟁이 무력 충돌로 확대되었다. 1995년, 잉구셰티야의 새로운 수도인 마가스가 건설되었다.
2. 1. 고대
기원전 4~3천년기에 북 코카서스에는 초기 청동기 시대의 마이콥 문화와 쿠라-아락스 문화가 확산되었다. 인구셰티야 지역은 이들의 교차 지대에 위치하며, 여기서 발견된 초기 청동기 시대 유적의 일부는 융합적인 모습을 보인다(예: 루고보예 유적).[1] 이후 중기 청동기 시대에 이 문화들과 유전적으로 관련된 여러 문화들이 형성되었다.[2][1] 북 코카서스 문화 역사 공동체의 문화를 기반으로 북 코카서스 토착 민족들의 고대 문화인 코반 문화가 발전했는데, 그 연대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2세기~기원전 4세기로 여겨진다.[3] 코반 문화의 부족들과 원시 인구시 민족의 형성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시대의 사건을 묘사한 조지아 자료에서는 인구시의 조상들(코반 문화의 부족들)이 "코카서스인"과 "주르주크족"이라는 민족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자료에서는 "말흘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1]
기원전 1천년기 후반, 코반 부족들은 고대 자료에 말크(말흘리, 마헬로니아)라는 이름으로, 조지아 자료에는 ''주르주케티''로 알려진 부족 정치 연합을 건설했다.[4] 주르주크족은 주요 코카서스 통로인 다리알 협곡을 통제했고 고대 조지아 국가와 긴밀한 정치적 유대를 맺었다.[5] 레온티 므로벨리에 따르면, 조지아의 초대 왕 파르나바즈는 "코카서스의 후손인 주르주크족 부족 출신" 여성과 결혼하여 사우르마그(Сармак|Sarmakinh "용")라는 아들을 낳았다. 그는 아버지 파르나바즈 1세 사후 조지아 왕위에 올랐고, 조지아의 ''에리스타비''들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자 어머니와 함께 외삼촌들이 있는 주르주케티로 피신했다.[6][7] 고대 작가 루키아누스에 따르면, 고대 코반의 정치 연합 통치자 중 한 명의 이름은 아디르막인데, 아브카지야 연구가 굼바 G. D.는 인구시어를 사용하여 이 이름을 "태양의 힘의 소유자"로 풀이했다.[8] 기원전 2세기 초 셀레우코스 왕 안티오쿠스 3세의 북 코카서스 군사 침략으로 코반 부족의 정치 연합은 패배했다.[9] 그 붕괴 결과, 코반의 공통적인 이름들은 자료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에 코반의 후손들은 자료에서 개별 부족 집단의 이름으로 알려졌다.[10]
"가르가레아인"이라는 민족명은 코반 문화의 부족들과 관련이 있으며, 기원후 1세기에 고대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가 ''지리학''에서 북 코카서스에 사는 아마존족 옆에 사는 민족으로 언급했다.[11] 여러 학자들은 이들을 인구시와 연결짓고 있다.[12][13][14][15] 스트라보는 또한 가르가레아인과 마찬가지로 인구시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결된 겔라에를 언급했다.[16][17][18][19][20]
7세기 연대기 ''아슈카르하츠우츠''에서 인구시는 ''쿠스트''(키스트)라는 민족명으로 언급되었다.[21]
조지아 자료에서는 인구시(갈가이)가 미리안 1세(1세기) 통치 기간 동안 글리그비의 형태로, 그리고 11세기에 카케티 통치자 크비리케 3세 통치 기간 동안에도 언급된다.[22][23]
2. 2. 중세
9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까지 인구시족은 알라니아 왕국의 일부였다.[3] 마가스는 인구셰티야 영토 내에 있었으며, 현재의 마가스(Magas), 나즈란(Nazran) 도시와 얀다레(Yandare), 가지-유르트(Gazi-Yurt), 에카제보(Ekazhevo), 알리-유르트(Ali-Yurt), 수르카히(Surkhakhi) 마을 일대에 있었다.
1238년에서 1240년 사이, 몽골-타타르의 침략으로 조치 울루스에 포함되었다. 1395년 티무르의 침략으로 알란 연합은 붕괴되었고, 인구시족은 산악 지역으로 이동했다.
16세기 말까지 인구시족의 주요 영토 사회(샤하르)가 형성되었다. 16세기-17세기 러시아 자료에는 인구시족의 여러 영토 사회가 언급되어 있다. 15세기 인구셰티야에는 여러 마을을 통합한 샤하르 사회가 있었다.
샤하르 | 위치 |
---|---|
제라흐(Dzherakh) | 서쪽, 다리아르 협곡(Darial Gorge) |
키스틴, 피야핀 또는 메츠칼린 | |
훌크호이 | |
캄킨(Khamkhins) | |
초린(Tsorins) | |
아킨 | |
오르스트호이(Orstkhoy) | |
메르조이, 체초이, 갈라이 | 남쪽 |
말킨 | 초린의 남동쪽 |
16세기-17세기, 인구시족은 평원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티무르(Timur)가 북 코카서스(North Caucasus)를 떠난 직후, 인구시족은 평원의 땅에서 군사-정치적 행동을 하였다.[4] 산악 인구셰티야(Ingushetia)의 갈가이 사회 대표들은 국가 통합을 위해 모여 모두 "갈가이"라는 단일 이름으로 불리고, 분쟁을 멈추고 이동하기 시작했다. 인구시족의 가장 오래된 정착지인 아흐키-유르트(Akhki-Yurt)와 앙구시트(Angusht)는 순자와 캄빌레예프카 상류 지역에 생겨났다. 18세기 30년대 경 순자와 캄빌레예프카에서 카바르디안이 떠난 후 북쪽으로 더 진출했다.
2. 3.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
1770년 3월, 인구시족 장로 24명이 안구시트 산기슭 마을 근처 "바르타-보스"(“합의의 경사”)라는 곳에서 러시아 제국에 충성 서약을 했다. 이 행사는 독일 학자 요한 안톤 굴덴슈테트(J. A. 굴덴슈테트)가 그의 저서 "러시아와 코카서스 산맥 여행"에서 기술했다.[7] 그러나 이 서약 이후에도 러시아-인구시 관계는 이전과 같았으며, 양측 모두 이 서약을 연합 조약으로 간주했다.[8]조지아로 가는 길목인 테레크강과 순자강 합류 지점은 러시아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17세기 말~18세기 초, 인구시족은 이 지역을 개척했다. 굴덴슈테트에 따르면, 순자강과 캄빌레예프카 강변에는 많은 인구시 마을이 있었고, 안구시트는 "대 인구시"의 중심지였다. "대 인구시" 출신 정착민들은 쇼크히 마을을 중심으로 "소 인구시"를 형성했고, 이후 나즈란 계곡으로 진출했다.[9]
1781년, 나즈란카 강과 순자강 합류 지점에 나즈란(냐사레) 마을이 건설되었고, 러시아군 수송 담당관 L. L. 슈테더는 이 지역에 인구시족 전초기지를 주목했다.[10] 1784년 5월, 조지아와의 안정적인 통신로 확보를 위해 인구시 마을 자우르(조브르-코브) 근처에 블라디카프카스 요새가 건설되었다.[5][6] 블라디카프카스는 인구시족의 경제, 정치, 문화 중심지이자 북 코카서스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19세기, 인구시족은 카프카스 전쟁 동안 러시아 제국의 확장에 격렬히 저항했다.[11] 1830년, 러시아군은 산악 인구셰티야에 대한 응징 원정을 감행했다. 러시아군은 다리알과 아사 협곡을 통과했고, 에반 주민들은 용감하게 저항했다.[12] 1836년, 로젠 남작은 1830년 제라흐, 키스트, 갈가이 사회의 고지대 주민들이 잠시 진압되었음을 보고했다.[13] 이 원정으로 지방 법원이 설립되고 민정 시스템이 도입되었다.[14]
1832년, 오세티아 및 조지아 부대로 구성된 러시아군이 산악 인구셰티야에 또 다른 응징 원정을 감행했다. 이 원정으로 많은 인구시 마을이 파괴되고, 경작지가 훼손되고, 많은 가축이 도난당했다.[15]
인구시족은 체첸의 많은 봉기에 참여했고,[16] 1840년 체첸 봉기에도 참여하여 갈라시아인과 카라불락 두 인구시 사회가 카프카스 이맘국에 합류했다.[17] 1840년대 후반~1850년대 후반, 카프카스 이맘국의 전성기에 여러 인구시 사회(빌라예트 칼라이[18] 및 일부 조린과 갈가이 아울)가 합류했다.[19]
1840년대 후반~1850년대 후반, 인구셰티야 평지에 코사크 마을 건설이 시작되었다. 인구시족은 저지대 마을에서 산악 지대와 구릉 지대로 추방되었고, 그 지역에는 코사크 마을이 건설되었다.[20]
1860년, 인구셰티야 지역은 테레크 주의 일부로 인구시야 ''오크루그''를 형성했다.[21] 1870년, 인구시야 ''오크루그''는 오세티야 ''오크루그''와 합쳐져 블라디카프카스 ''오크루그''가 되었다. 1888년, 블라디카프카스 ''오크루그''가 해체되고, 인구시야 ''오크루그'' 지역에 인구시야-코사크 순젠스키 ''오델''이 형성되었다. 1909년, 순젠스키 ''오델''은 순젠스키와 나즈라노프스키의 두 ''오크루그''로 나뉘었다.
2. 4. 소련 시대
1923년, 자우르벡 말사고프(Zaurbek Malsagov)가 개발한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인구시어 알파벳이 도입되었다. 같은 해 5월 1일, 인구시어로 된 첫 신문인 세르달로(Serdalo)가 발행되었다. 가무르지예보(Gamurzievo), 바조르키노(Bazorkino), 얀다레(Yandare) 마을에 새로운 학교들이 생겨났지만, 이슬람 학교인 마드라사(madrasahs)들은 여전히 운영되었다.[7]192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소련에는 74,097명의 인구시인이 거주했고,[8] 1939년 인구 조사에서는 92,120명으로 증가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독일군이 북카프카스에 진입했다. 독일군은 3주 만에 북카프카스의 절반 이상을 점령했지만, 체첸-인구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원주민들의 저항으로 말고베크와 오르조니키제(블라디카프카스)에서 저지당했다.[10]
1944년 2월 23일, 인구쉬인들은 나치와 협력했다는 누명을 쓰고 요셉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당했다. (렌틸 작전)[11] 이 과정에서 대다수의 남성들은 전선에서 싸우고 있었다. 체첸-인구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해체되었고, 인구쉬티아의 영토는 그로즈니주와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사이에 분할되었다. 강제 이주는 미국이 공급한 스터디베이커 트럭으로 진행되었는데, 이 트럭은 탈출을 막기 위해 특별히 개조되었다.[11] 미국 역사가 노먼 나이마크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군대는 마을 주민들을 모아 트럭에 태웠다. 많은 강제 이주자들은 그 트럭이 이란 국경을 넘어 온 새 물건인 렌드리스 물품인 스터디베이커였다는 것을 기억했다. 그들은 미리 지정된 철도역으로 이송되었다. … 이동할 수 없는 사람들은 총살당했다. …몇몇 전투원을 제외하고, 체첸과 인구쉬 국민 전체, 496,460명이 고향에서 강제 이주당했다.[11]
강제 이주자들은 기차역에 모여 가축 수송용 화차로 옮겨졌다. 인구의 최대 30%가 여정 중이나 유배 첫해에 사망했다.[12][13][14] 프라하 워치독은 "유배 초기 몇 년 동안 체첸인과 인구쉬인의 약 절반이 기아, 추위,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한다.[15] 이 강제 이주는 2004년 유럽 의회에 의해 집단 학살로 분류되었다.[16] 강제 이주 후에도 소련에 대한 인구쉬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강제 이주를 피한 사람들, 산에 있던 목동들이 반군을 결성하여 러시아군을 공격했다. 주요 반군 그룹은 아흐메드 후치바로프, 치츠키예 형제, 인구쉬 여성 저격수 라이삿 바이사로바가 이끌었다. 마지막 남성 인구쉬 반군은 1977년 KGB 요원에 의해 사살되었고, 바이사로바는 체포되지 않았다.[17] 체첸과 인구쉬 언어학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 교수 요하나 니콜스는 강제 이주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18]
1957년, 인구쉬인들의 귀환이 허용되었고, 체첸-인구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복원되었다. 1959년 전연방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쉬인의 수는 105,980명이었다.[20]
인구쉬인들은 귀환 후 찢긴 영토의 반환과 국가 건설을 옹호했다. 1973년, 프리고로드니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는 인구쉬인들이 그로즈니에서 집회를 열었다. 1979년 소련의 인구쉬인 총수는 186,198명,[21] 1989년에는 237,438명으로 증가했다.[22]
1988년 이후 인구쉬티아에는 비공식 단체와 운동("Nijsxo", "Däqaste", "인민 의회")이 등장하여 강제 이주 기간 동안 빼앗긴 영토를 반환받아 인구쉬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1991년 4월 26일, RSFSR 최고 소비에트 제1차 회의에서 “정치적 탄압 피해자의 재활”에 관한 법이 채택되어 인구쉬인들의 권리가 공식적으로 회복되었다.[23] 이 법은 전 소련 시민들에게 역사적, 사회적 정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2. 5. 현대
1992년,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인구시 공화국 수립에 관한" 법률이 채택되었다(잉구셰티야 참조). 같은 해 10월~11월, 북오세티야 프리고로드니 지역을 둘러싼 오세티야-잉구시 분쟁이 무력 충돌로 확대되었다. 러시아 검찰청에 따르면, 이 분쟁으로 583명이 사망(잉구시인 350명, 오세티야인 192명), 939명이 부상(잉구시인 457명, 오세티야인 379명)을 입었고, 261명이 실종(잉구시인 208명, 오세티야인 37명)되었다.[24] 3만 명에서 6만 명에 달하는 잉구시인들이 블라디카프카스와 프리고로드니 지역에서 잉구셰티야로 강제 이주당했다.[25]1995년, 잉구셰티야의 새로운 수도인 마가스가 건설되었다.
3. 민족명
잉구시족의 자칭명칭은 ''갈가이''(ГIалгIай)이며, 이는 대부분 "탑"이나 "요새"를 의미하는 "ghāla"(''гIала'')와 사람의 복수형 접미사 "gha"(''гIа'')가 결합된 것으로, "탑의 사람들/주민들"로 해석된다.[4] 일부 학자들은 '갈가이'를 고대 갈가레아인[5][6][7][8] 및 1세기에 고대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스트라보의 저서에 언급된 겔라에[9][10][11]와 관련짓기도 한다.
'잉구시'라는 명칭은 17세기 말 타르스코예 계곡(Tarskoye Valley)에 위치한 큰 마을이었던 앙구슈트(Angusht)에서 유래했다.[1] "앙구슈트(Angusht)"는 "an"(하늘 또는 지평선), "gush"(보이는), 그리고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tĕ"(위치 또는 장소 표시) 세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 그대로 "지평선이 보이는 곳"으로 번역된다.[3]
조지아 자료에서는 글리그비 형태로 미리안 1세[12] 통치 기간 동안 존재했던 민족명으로 언급되며, 카헤티의 통치자 크비리케 3세[13][14] 때에도 언급된다. 러시아 자료에서는 "Ghalghaï"가 16세기 후반에 "칼칸/콜칸", "칼칸 사람들"의 형태로 처음 알려진다.[15][16][17]
4.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체첸어와 함께 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며, 서로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51] 잉구시어는 매우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다합성어는 아니지만 다양한 유형의 분류가 존재한다.[51] 잉구시족은 저지대 표준 체첸어를 수동적으로 부분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잉구시어와 체첸어는 어느 정도 단일 언어 공동체로 기능한다.[51]
5. 사회 구조
잉구시족은 전통적으로 씨족 제도와 불문율에 기반한 계급 없는 사회였다. 각 마을은 장로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통치되었으며, 이웃 마을과 완전히 독립적이었다.[60]
차흐 아흐리예프(Chakh Akhriev)는 잉구시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60]
6. 문화
잉구시족은 다양한 전통, 전설, 서사시, 노래, 속담 등을 가지고 있다.[1] 음악, 노래, 춤은 특히 높이 평가받는다.[1] 전통 악기로는 다치크-판데르(발랄라이카의 일종), 케카트 폰데르(아코디언, 일반적으로 여자아이들이 연주), 미르즈 폰데르(3현 바이올린), 주르나(오보에의 일종), 탬버린, 드럼 등이 있다.[1]
7. 종교
잉구시족은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이맘 무함마드 아쉬샤피이의 샤피이 학파를 따른다.[62] 카디리야와 낙시반디야라는 두 가지 수피 타리카(종단)가 존재한다.[63] 이슬람교 이전에는 고유한 이교 신앙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한때 기독교도 널리 퍼졌었다.
8세기 초, 아랍의 군사 원정으로 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시작했다.[64] 이 시기 산악 인구시의 키스틴 협곡에 있는 에르지 탑 마을에서 발견된 청동 독수리 상("술레이만의 독수리")은 이슬람 미술품 중 가장 오래된 연대가 확인된 청동 제품이다.[65] 18세기 초, 바후슈티 바그라티오니에 따르면 앙구시트 사회의 일부가 수니파 무슬림이었다.[66] 19세기 전반, 샴밀 이맘의 활동은 잉구시인들 사이에서 이슬람이 뿌리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8. 인류학적 특징
잉구시인들은 코카서스 유형이 잘 보존된 민족으로 여겨진다.[49] 피부색은 검고, 키가 크고 체격이 가늘다는 특징이 있다.[49] 인류학자 이반 판티우호프(Ivan Pantyukhov)는 잉구시인들이 인류학적으로 코카서스의 다른 인구 집단뿐만 아니라, 잉구시인들이 사용하는 수동적 이중 언어 사용으로 인해 단일 언어 공동체를 형성하는 이웃 체첸인들과도 다르다고 하였다. 소련-러시아 인류학자이자 과학자들인 N.Y. 마르(Marr), V.V. 부낙(Bounak), R.M. 문차예프(Munchaev), I.M. 디야코노프(Dyakonov), E.I. 크룹노프(Krupnov), G.A. 멜리카슈빌리(Melikashvilli)는 “잉구시인들 사이에서는 코카서스 유형이 다른 북 코카서스 민족들보다 더 잘 보존되어 있다”라고 썼다.[50] G.F. 데베츠(Debets) 교수는 잉구시인의 코카서스 인류학적 유형이 코카서스인 중에서 가장 코카서스적이라고 인정했다.[50]
9. 저항의 역사
1800년대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인구시인들은 러시아 제국의 침략에 맞서 격렬하게 저항했다.[10] 특히 18세기 후반 블라디카프카스 건설 이후 러시아의 압력이 거세졌지만, 인구시인들은 굴하지 않고 저항을 이어갔다. 러시아는 저항하는 체첸인들과 구분하여, 블라디카프카스 인근 지역의 사람들을 인구시인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 1800년대~1860년대: 러시아 정복에 대한 반란
- 1860년대~1890년대: 인구시 아브렉(abreks)들의 조지아 군사 고속도로와 모즈독 습격
- 1890년대~1917년: 젤림한과 술룸벡 지휘하의 인구시 저항군 반란, 인구시 저항군 전투원 부주르타노프(Buzurtanov)에 의한 인구시 러시아 총독 미트닉(Mitnik) 대령 처형
- 1917년~1920년대: 러시아 백군, 코사크, 오세티아인, 데니킨(Denikin) 장군 연합군에 대한 인구시 저항군 반란
- 1920년대~1930년대: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인구시인들의 반란, 인구시 반군 우자호프(Uzhakhov)에 의한 인구시 공산당 지도자 체르노글라즈(Chernoglaz) 처형, 인구시 반군에 의한 인구시 공산당 지도자 이바노프(Ivanov) 처형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독일군이 북카프카스에 진입했을 때, 인구시인들은 말고베크와 블라디카프카스에서 용감하게 저항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했다.[10]
그러나 1944년, 인구시인들은 나치 협력 혐의로 요셉 스탈린에 의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당했다. 렌틸 작전으로 불린 이 강제 이주 과정에서 체첸-인구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해체되었고, 많은 인구시인들이 가혹한 환경 속에서 목숨을 잃었다.[12][13][14] 2004년 유럽 의회는 이 강제 이주를 집단 학살로 분류했다.[16]
강제 이주 후에도 인구시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강제 이주를 피한 사람들과 산악 지대에 있던 목동들은 반군을 조직하여 러시아군을 공격했다. 아흐메드 후치바로프, 치츠키예 형제, 라이삿 바이사로바 등이 주요 반군 지도자였다.[17]
- 1944년~1977년: 인구시 민족 강제 이주에 대한 인구시 반군의 복수. 수많은 러시아 군 부대와 NKVD, KGB 요원 사망.

1957년 흐루쇼프의 해빙으로 귀환한 이후에도 인구시인들은 빼앗긴 영토 반환과 자치권 회복을 위해 투쟁했다. 1973년 그로즈니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고, 1980년대 후반에는 여러 비공식 단체를 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1991년 “정치적 탄압 피해자의 재활” 법이 채택되면서 인구시인들은 권리 회복의 계기를 마련했다.[23]
1990년대 이후에도 인구시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 1992년: 오세티야-인구시 분쟁. 인구시 반군은 전투 작전에서 장갑차를 획득하여 나중에 체첸인들에게 이전하거나 분쟁이 끝난 후 러시아군에 반환했다.
- 1994년: 나즈란. 인구시 민간인들이 러시아군을 저지하고, 장갑차를 뒤집고, 러시아-체첸 전쟁에서 체첸으로 진격 중이던 군용 트럭을 불태웠다. 인구시 반군에 의한 최초의 러시아 사상자가 보고되었다.
- 1994년~1996년: 인구시 반군이 그로즈니를 방어하고 체첸 편에서 전투 작전에 참여했다.
- 1999년~2006년: 인구시 반군이 체첸 반군에 합류, 독립 전쟁이 지하드로 변했다.
- 2001년 7월 13일: 러시아군이 인구시 역사적인 기독교 교회 트하바-예르디를 공중화장실로 만들자 인구시인들이 "훼손과 파괴"에 항의했다.[26]
- 2003년 9월 15일: 인구시 반군이 폭탄 트럭을 이용하여 마가스의 FSB 본부를 공격했다.[27]
- 2004년 4월 6일: 인구시 반군이 러시아가 임명한 인구시 대통령 무라트 자지코프를 공격했다.
- 2004년 6월 22일: 체첸과 인구시 반군이 인구시 러시아군에 대한 습격을 감행했다.
- 2008년 8월 31일: 인구시 반체제 인사 마고메드 예블로예프가 처형되었다.[28]
- 2008년 9월 30일: 자살 폭탄 테러범이 인구시 최고 경찰 책임자 루슬란 메이리예프(Ruslan Meiriyev)의 차량 행렬을 공격했다.
- 2009년 6월 10일: 아자 가즈기레예바가 살해되었다.[30]
- 2009년 6월 13일: 바시르 아우셰프에게 자동 무기로 총격이 가해졌다.[31]
- 2009년 6월 22일: 유누스-벡 예브쿠로프가 중상을 입었다.[32]
- 2009년 8월 12일: 루슬란 아메르하노프가 살해되었다.[33]
- 2009년 8월 17일: 나즈란 MVD 경찰 기지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 2009년 10월 25일: 막샤립 아우셰프가 처형되었다.[34]
- 2010년 4월 5일: 카라불락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 2011년 1월 24일: 마고메드 예블로예프(살해된 인구시 반대파 언론인 마고메드 예블로예프와 이름이 같음)가 러시아 모스크바 도모데도보 공항에서 37명을 살해했다.
- 2012년: 인구시 반군이 아사드, 이란인, 그리고 러시아인 고문과 함께 시리아에서 전쟁에 참여했다.[36][37]
- 2013년 6월 6일: 인구시 반군 지도자 알리 "마가스" 타지예프가 기소되었다.
- 2013년 8월 27일: 인구시 반군에 의해 인구시 안보 책임자 아흐메트 코티예프(Akhmet Kotiev)와 그의 경호원이 처형되었다.
- 2013년 12월 10일: 마고메드 카즈비예프의 부모가 러시아에서 위협과 괴롭힘을 받았다.[38]
- 2014년 2월 2일: 러시아 FSB는 2013년 12월 중순 북 코카서스 교관 4명이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하며 러시아 이익에 반대하는 거리 전투를 위해 우크라이나인들을 훈련시켰다고 공식 확인했다.[39]
- 2014년 4월 20일: 이브르김 랴노프는 인구시가 우크라이나에서 크림반도 분리 독립을 예시로 러시아로부터 분리되어 독립 국가가 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40]
- 2014년 5월 24일: 아서 게타가제프가 사망했다.[41]
- 2014년 7월 2일: 인구시 반군이 우크라이나에서 친러시아 세력에 맞서 싸우고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42]
- 2014년 7월 2일: 인구시 반군이 러시아 장갑 군 차량 행렬을 공격했다.[43]
- 2014년 7월 6일: 러시아 특수부대가 나즈란 병원 영안실 근처에 매복했다.[44]
- 2019년 3월 26일: 인구시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인접한 체첸과의 논란이 되는 국경 협정에 항의했다.
- 2019년 6월 25일: 유누스-벡 예브쿠로프(Yunus-Bek Yevkurov)가 사임을 발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of 2021
https://view.officea[...]
[2]
서적
Chechen-English and English-Chechen Dictionary
RoutledgeCurzon
[3]
논문
Что касается ингушей и чеченцев — их далекие предки тоже жили на территории алан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4]
간행물
Князь
[5]
간행물
Сегодня мы празднуемъ 50-летіе города Владикавказа. Раньше, на томъ мѣстѣ, гдѣ нынѣ расположенъ г. Владикавказъ, существовалъ '''ингушскій аулъ Зауръ''', но въ 1784 г., по распоряженію князя Потемкина, на мѣстѣ, гдѣ существовалъ этотъ аулъ, для охраненія Военно-Грузинской дороги, служившей единственнымъ удобнымъ путемъ для соединенія съ Закавказьемъ, была устроена крѣпость Владикавказъ, а въ 1785 г. по указу Императрицы Екатерины II, отъ 9 мая, въ крѣпости была выстроена перв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Какъ только была устроена эта крѣпость, часть осетинской народности спустилась съ горъ и поселилась у стѣнъ этой крѣпости, подъ защитою мѣстныхъ войскъ. Образовавшійся осетинскій аулъ сталъ называться «Капкай», что въ переводѣ на русскій языкъ означаетъ «Горные ворота».
[6]
간행물
...на том месте, где стояло селение Зауръ, была воздвигнута русскими сильная Владикавказская крепость... В некоторых печатных источниках говорится, что Владикавказская крепость была построена на месте осетинского селения Капъ-Кой. Это не так. Правый берег Терека принадлежал, какъ это мы видили ингушамъ и кистамъ; не могли осетины на чужой земле враждебных имъ племен иметь свой аулъ; наконец своим наименованіем Владикавказа Дзауджи-Кау, осетины подтверждаютъ это мненіе, т. к. Дзауагъ — есть имя собственное Зауръ, а Кау — значитъ селеніе; иначе — селеніе Заура.
[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8]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26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9]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3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ам СССР
http://demoscope.ru/[...]
[10]
웹사이트
Через 63 года в отношении защитников Малгобека восстановлена историческая справедливость
https://rg.ru/2007/1[...]
2007-11-27
[11]
서적
Fires of Hatred: Ethnic Cleansing in Twentieth-Century Europe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Explore Chechnya's Turbulent Past ~ 1944: Deportation
https://www.pbs.org/[...]
Pbs.org
2002-07-25
[13]
서적
Managing Conflict in the Former Soviet Union
MIT Press
[14]
서적
Russia Confronts Chechny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Prague Watchdog – Crisis in Chechnya – The deportation of 1944 – how it really was
http://www.watchdog.[...]
Watchdog.cz
[16]
웹사이트
The 60th Anniversary of the 1944 Chechen and Ingush Deportation: History, Legacies, Current Crisis
http://www.ushmm.org[...]
[17]
웹사이트
Chechen Journal Dosh
http://ingushetiyaru[...]
[18]
웹사이트
The Ingush (with notes on the Chechen): Background information
http://linguistics.b[...]
[19]
서적
Управление этнополитикой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20]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СССР 1959
http://www.demoscope[...]
[21]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СССР 1979
http://www.demoscope[...]
[22]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СССР 1989
http://www.demoscope[...]
[23]
서적
История Ингушетии
"Тетраграф"
[24]
웹사이트
Осетино‑ингушский конфликт: хроника событий
http://www.warandpea[...]
[25]
웹사이트
Правозащитный центр "Мемориал"
http://www.memo.ru/h[...]
[26]
웹사이트
Ingushetia accuses Russian military desecrating monuments
http://www.newsru.co[...]
Russian newsru.com
2001-07-15
[27]
웹사이트
FSB building in Magas bombed
http://english.pravd[...]
English pravda.ru
2003-09-15
[28]
웹사이트
Magomed Yevloyev, critic of the Kremlin, killed by police
http://www.asianews.[...]
Asianews.it
[29]
뉴스
77 Names Added to Slain Journalists Memorial in Washington D.C
https://www.foxnews.[...]
2009-03-30
[30]
웹사이트
Senior judge killed in Ingushetia
http://www.aljazeera[...]
Al Jazeera
[31]
뉴스
Another Killing in Region Bordering Chechnya
https://www.nytimes.[...]
2009-06-14
[32]
뉴스
Ingushetia president survives assassination attempt
2009-06-22
[33]
웹사이트
Ingush minister shot dead at work
http://news.bbc.co.u[...]
BBC
2009-08-12
[34]
웹사이트
Secretary Clinton Honors Two Champions of Human Rights Day
http://geneva.usmiss[...]
Geneva.usmission.gov
[35]
뉴스
Ingushetia hit by suicide attack
http://news.bbc.co.u[...]
2010-04-05
[36]
뉴스
Syria crisis: Border town shows conflict's patchwork forces
https://www.bbc.co.u[...]
2013-03-04
[37]
웹사이트
В Сирии воюют ингуши, и возглавляют одни из самых дерзких боевых групп повстанцев - HABAR.ORG
http://www.habar.org[...]
[38]
웹사이트
Магомед Хазбиев: Если хотите меня остановить – убейте
https://web.archive.[...]
Ingushetiyaru.org
[39]
웹사이트
На Украину выехали 4 инструктора боевиков с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http://lifenews.ru/n[...]
Lifenews.ru
2014-02-02
[40]
웹사이트
В Ингушетии заговорили о выходе из РФ по крымскому сценарию
http://censor.net.ua[...]
censor.net.ua
2014-04-20
[41]
웹사이트
Российские официальные структуры сообщают об убийстве руководителя ингушских партизан – Артура Гетагажева
http://www.habar.org[...]
[42]
웹사이트
Ingush are fighting in Ukraine on both sides
http://www.newsru.co[...]
2014-07-02
[43]
웹사이트
Побочные эффекты
http://www.ekhokavka[...]
2014-06-08
[44]
웹사이트
Война в Ингушетии продолжается
http://www.ekhokavka[...]
2014-06-09
[45]
웹사이트
Нападение боевиков на морг в Ингушетии сняла камера
http://lifenews.ru/n[...]
[46]
서적
Ингушетия: Очерки
Издательство «Федерация»
[47]
서적
Our Game
https://books.google[...]
Hodder & Stoughton
[48]
서적
Tagebuch einer Reise die im Jahr 1781 von der Granzfestung Mosdok nach dem innern Caucasus unternommen worden
http://elib.shpl.ru/[...]
Johann Zacharias Logan
[49]
간행물
Anthropological investigations in the Alps and the Caucasus
https://www.caucasus[...]
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50]
웹사이트
G.F.Debets
http://www.ingush.ru[...]
[51]
서적
Ingush Grammar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서적
The history of the Georgian Kings
[53]
웹사이트
Caucasian Knot | An Essay On the History of the Vainakh People. On the origin of the Vainakhs
https://web.archive.[...]
Eng.kavkaz-uzel.ru
[54]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4C04B861-0826-0853BD.doc
http://www.circassia[...]
[55]
간행물
Peering Into the Past, With Words
http://www.sciencema[...]
[56]
간행물
Evolution of Genes and Languages in the Caucasus Region
http://mbe.oxfordjou[...]
[57]
웹사이트
Ingush DNA Project - Y-DNA Classic Chart
https://www.familytr[...]
Family Tree DNA
[58]
간행물
Alu insertion polymorphisms and the genetic structure of human populations from the Caucasus
[59]
간행물
Alu insertion polymorphisms and the genetic structure of human populations from the Caucasus
http://www.nature.co[...]
2001-04
[60]
간행물
Этнографическiй очеркъ Ингушскаго народа
[61]
뉴스
В Ингушетии на месте средневекового храма найдены следы еще более древнего памятника / Православие.Ru
http://www.pravoslav[...]
[62]
웹사이트
Храм Тхаба-Ерды в Ингушетии
http://russights.ru/[...]
[63]
웹사이트
Арабские страны Ближнего Востока в средневековье (Египет, Сирия, Ирак)
https://www.hermitag[...]
[64]
서적
Ингушетия на пороге нового тысячелетия. Тезисы докладов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ой конференции 29 апреля 2000 года
n.a.
[65]
서적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Чечено-Ингушетии
n.a.
[66]
뉴스
В горах Ингушетии восстановят древнюю мечеть
https://rg.ru/2021/0[...]
2021-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