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의 나흐어파에 속하며, 체첸어와 바츠어와 함께 분류된다. 러시아의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되며, 약 35만~40만 명이 사용한다. 잉구시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8개의 격과 20진법 수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동사-두 번째 어순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언어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요르단의 언어 - 체첸어
체첸어는 러시아 체첸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북동캅카스어족의 바이나흐 제어에 속하며, 복잡한 자음, 풍부한 모음 체계, 차용어 유입 등의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인구시 공화국 - 인구시인
인구시인은 북캅카스 지역의 나흐족 계열 민족으로, 스스로는 '갈가이'라 부르며 러시아 제국에 저항하고 강제 이주를 겪었으나 인구시 공화국을 수립했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있다. - 인구시 공화국 - 인구셰티야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구성주로 카프카스 산맥에 위치하며 북오세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고, 인구시인이 대다수이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러시아 연방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마르슈트카가 주요 교통수단인 온대성 기후 지역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인구시어 | |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Ghalghai mott |
IPA | /ʁəlʁɑj mot/ |
화자 수 | 353,000명 (2020년)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잉구시 공화국 체첸 공화국 |
민족 | 잉구시인 |
언어 계통 | 북동캅카스어족 나흐어파 베이나흐어군 체첸-잉구시어군 |
문자 | 키릴 문자 (현재) |
역사적 문자 | 조지아 문자 아랍 문자 라틴 문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러시아 잉구시 공화국 |
ISO 639-1 | 없음 |
ISO 639-2 | inh |
ISO 639-3 | inh |
Glottolog | ingu1240 |
Glottolog 설명 | 잉구시어 |
위협 정도 | 취약 |
지도 정보 | |
![]() | |
언어 상태 | |
위협 정도 | 취약 |
추가 정보 | |
소수 언어 | 러시아 소수 언어 프로젝트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언어학 연구소) |
2. 분류
체첸어와 바츠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의 나흐어파를 구성한다. 인구시어와 체첸어 사이에는 광범위한 수동적 이중언어 사용이 만연해 있다.[1]
잉구시어는 2020년 기준으로 약 35만~4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주로 러시아 북카프카스 지역의 인구셰티야, 북오세티야-알라니야, 체첸에서 사용된다.[2]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기에, 노르웨이, 튀르키예, 요르단 등에도 잉구시어 사용자 공동체가 존재한다.[2]
3. 지리적 분포
3. 1. 공용어 지위
잉구시어는 러시아어와 함께 러시아의 연방 구성체인 잉구셰티야의 공식 언어이다.
4. 문자 체계
8세기에서 12세기 사이, 인구셰티야에 트카바-예르디와 같은 사찰들이 등장했던 시기에 조지아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 체계가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트카바-예르디의 아치에서 조지아어가 아닌 '에놀라'라는 이름이 발견되었다는 사실로 입증된다.[1] 또한, 인구셰티야의 고고학적 유물에서 해독되지 않은 조지아어 텍스트가 발견되었다.[2]
잉구시어는 20세기 초 아랍 문자 기반의 문자 체계를 가진 문자가 되었다. 10월 혁명 이후에는 처음에 라틴 문자를 사용했고, 나중에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잉구시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А а | Аь аь | Б б | В в | Г г | Гӏ гӏ | Д д | Е е |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х кх | Къ къ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Х х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Яь яь | Ӏ ӏ |
5. 음운론
북동카프카스어족의 나흐어파에 속하는 체첸어, 바츠어와 함께, 인구시어는 체첸어와 광범위한 수동적 이중언어 사용이 만연하다.[1]
5. 1. 모음
잉구시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4]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и/i | у/u | |
중모음 | | о/o | ||
저모음 | аь/ea | а/a |
이중모음에는 иэ /ie/, уо /uo/, оа /oɑ/, ий /ij/, эи /ei/, ои /oi/, уи /ui/, ов /ow/, ув /uw/가 있다.
5. 2. 자음
6. 방언
잉구시어는 갈란초즈(Галанчожский диалект, 갈라이-초즈/갈라인-차즈) 방언을 제외하고는 방언으로 나뉘지 않는다.[2] 갈란초즈 방언은 체첸어와 잉구시어의 중간 단계로 간주된다.
7. 문법
잉구시어는 주격-대격 언어처럼 보이지만, 형태론적으로는 능격을 가진다.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같은 격(절대격)으로 표시되고, 타동사의 주어는 다른 격(능격)으로 표시된다.
동사-두 번째 어순이 가장 일반적이다. 동사, 또는 복합 동사나 분석적 시제 형태의 유한 동사 부분(가벼운 동사 또는 조동사)은 절의 첫 번째 단어나 구 뒤에 온다.[1] 예시는 다음과 같다. Muusaa '''vy''' hwuona telefon '''jettazh'''|무사가 전화를 받았을 때, 무사가 전화를 걸었다.inh
7. 1. 격
가장 최근이자 심도 있는 인구시어 분석에 따르면, 8가지의 문법 관계격이 존재한다: 절대격, 능격, 소유격, 여격, 향격, 도구격, 탈격, 비교격.[1]문법 관계격 | 단수 | 복수 |
---|---|---|
절대격 | -⌀ | -azh / -ii, -i |
능격 | -uo / -z, -aa | –azh |
소유격 | -a, -n | -ii, -i |
여격 | -aa, -na | -azh-ta |
향격 | -ga | -azh-ka |
도구격 | -ca | -azh-ca |
탈격 | -gh | -egh |
비교격 | -l | -el |
7. 2. 시제
인구시어의 시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
7. 3. 수사
잉구시어는 20진법을 사용하는데, 20 미만의 수는 10진법과 같이 세지만, 20 이상의 수는 20을 기본 단위로 하여 수를 센다.[1]표기 | 발음 | 값 | 구성 |
---|---|---|---|
cwa | [t͡sʕʌ] | 1 | |
shi | [ʃɪ] | 2 | |
qo | [qo] | 3 | |
d.i'1 | [dɪʔ] | 4 | |
pxi | [pxɪ] | 5 | |
jaalx | [jalx] | 6 | |
vorh | [vʷor̥] | 7 | |
baarh | [bar̥] | 8 | |
iis | [is] | 9 | |
itt | [itː] | 10 | |
cwaitt | [t͡sʕɛtː] | 11 | 1+10 |
shiitt | [ʃitː] | 12 | 2+10 |
qoitt | [qoitː] | 13 | 3+10 |
d.iitt1 | [ditː] | 14 | 4+10 |
pxiitt | [pxitː] | 15 | 5+10 |
jalxett | [jʌlxɛtː] | 16 | 6+10 |
vuriit | [vʷʊritː] | 17 | 7+10 |
bareitt | [bʌreitː] | 18 | 8+10 |
tq'iesta | [tqʼiːestə̆] | 19 | |
tq'o | [tqʼo] | 20 | |
tq'ea itt | [tqʼɛ̯æjitː] | 30 | 20+10 |
shouztq'a | [ʃouztqʼə̆] | 40 | 2×20 |
shouztq'aj itt | [ʃouztqʼetː] | 50 | 2×20+10 |
bwea | [bʕɛ̯æ] | 100 | |
shi bwea | [ʃɪ bʕɛ̯æ] | 200 | 2×100 |
ezar | [ɛzər] | 1000 | 페르시아어 차용어 |
1'4'와 그 파생어는 명사 품사 표지로 시작한다. ''d-''는 단순히 기본값이다.[1]
7. 4. 대명사
rowspan="3"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exclusive|배타적영어 | inclusive|포괄적영어 | ||||||
주격 | so|소inh | txo|트호inh | vai|바이inh | hwo|흐오inh | sho/shu|쇼/슈inh | yz|이즈inh | yzh|이즈흐inh |
소유격 | sy|시inh | txy|트히inh | vai|바이inh | hwa|흐와inh | shyn|신inh | cyn/cun|신/춘inh | caar|차르inh |
여격 | suona|수오나inh | txuona|트후오나inh | vaina|바이나inh | hwuona|흐우오나inh | shoana|쇼아나inh | cynna|친나inh | caana|차아나inh |
작용격 | aaz|아즈inh | oaxa|오악사inh | vai|바이inh | wa|와inh | oasha|오아샤inh | cuo|추오inh | caar|차르inh |
향방격 | suoga|수오가inh | txuoga|트후오가inh | vaiga|바이가inh | hwuoga|흐우오가inh | shuoga|슈오가inh | cynga|친가inh | caarga|차르가inh |
탈격 | suogara|수오가라inh | txuogara|트후오가라inh | vaigara|바이가라inh | hwuogara|흐우오가라inh | shuogara|슈오가라inh | cyngara|친가라inh | caargara|차르가라inh |
도구격 | suoca(a)|수오차(아)inh | txuoca(a)|트후오차(아)inh | vaica(a)|바이차(아)inh | hwuoca|흐우오차inh | shuoca(a)|슈오차(아)inh | cynca|친차inh | caarca(a)|차르차(아)inh |
위치격 | sogh|소그흐inh | txogh|트호그흐inh | vaigh|바이그흐inh | hwogh|흐오그흐inh | shogh|쇼그흐inh | cogh|초그흐inh | caaregh|차레그흐inh |
비교격 | sol|솔inh | txol|트롤inh | vail|바일inh | hwol|흐올inh | shol|숄inh | cul/cyl|출/칠inh | caarel|차렐inh |
7. 5. 어순
동사-두 번째 어순이 가장 일반적이다. 동사, 또는 복합 동사나 분석적 시제 형태의 유한 동사 부분(즉, 가벼운 동사 또는 조동사)은 절의 첫 번째 단어나 구 뒤에 온다.[1]예시: Muusaa '''vy''' hwuona telefon '''jettazh'''|무사가 전화를 받았을 때, 무사가 전화를 걸었다.inh
참조
[1]
웹사이트
Ingush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6-22
[2]
웹사이트
Ингушский язык
https://minlang.ilin[...]
Minority languages of Russia: A project of the Institute of Linguistic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2024-08-04
[3]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Ingush
http://www.ethnologu[...]
[4]
서적
Ingush grammar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