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의회는 인천광역시의 입법 및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은 1명, 부의장 2명, 상임위원회 6개, 특별위원회 2개로 구성되며, 사무처를 산하에 둔다. 역대 의장단과 의원 선거 결과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으며,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5명 이상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현재는 국민의힘 26석, 더불어민주당 14석으로 총 40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정치 - 인천시 을
인천시 을은 1950년 신설되어 1968년 구제 실시로 남구와 북구가 설치됨에 따라 1971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로, 곽상훈과 김은하가 이 곳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 인천광역시의 정치 - 인천시 갑
인천시 갑은 1950년 신설되어 류승원, 김정렬 등이 당선되었으나 1968년 중구와 동구가 설치되며 폐지된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인천 남동구 소재의 관공서 -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인천광역시의 교육과 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으로, 과거 인천시교육위원회에서 인천직할시교육청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교육감 산하에 여러 국과 직속기관, 교육지원청을 두고 지역 교육을 지원한다. - 인천 남동구 소재의 관공서 - 인천광역시경찰청
인천광역시경찰청은 인천광역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87년 개국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2021년 자치경찰제 도입과 함께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산하에 10개의 경찰서와 직할대를 두고 인천광역시 전역의 치안을 유지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인천광역시의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인천광역시의회 |
로마자 표기 | Incheon Gwang-yeoksi Uihoe |
한자 표기 | 仁川廣域市議會 |
의회 체제 | 단원제 |
개회일 | 1991년 7월 8일 |
의회 임기 | 인천광역시의회 |
의원 정수 | 40석 |
의원 임기 | 4년 |
![]() | |
![]() | |
의장단 | |
의장 | 허식 |
의장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제1 부의장 | 이봉락 |
제1 부의장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제2 부의장 | 박종혁 |
제2 부의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 구성 | |
정당별 의석수 | 국민의힘 (26석) 더불어민주당 (14석) |
선거 정보 | |
선거 제도 | 보통선거 평등선거 직접 선거 비밀 선거 |
선거구 | 소선거구제 (36석) 비례대표제 (4석) |
최근 선거 | 2022년 6월 1일 |
기타 정보 | |
의사당 위치 |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구월동) |
공식 웹사이트 | 인천광역시의회 (한국어) 인천광역시의회 (영어) |
2. 조직
인천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 부의장 2명 외에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2]
2. 1. 의장단
인천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의장단을 구성한다. 역대 의장단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2. 1. 1. 역대 의장단
2. 2. 위원회
인천광역시의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2]-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문화복지위원회
- 산업경제위원회
- 건설교통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사무처한국어[4]3. 역대 인천광역시의회의원 선거 결과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7명의 제1대 인천직할시의원이 선출된 이후,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총 9번의 선거를 통해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각 선거별 정당별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선거 | 정당 | 의석 수 |
---|---|---|
제1대 | 민주자유당 | 20석 |
민주당 | 3석 | |
신민주연합당 | 1석 | |
무소속 | 3석 | |
제2대 | 민주당 | 19석 |
민주자유당 | 15석 | |
무소속 | 1석 | |
공석 | 1석[6] | |
제3대 | 새정치국민회의 | 21석 |
한나라당 | 5석 | |
자유민주연합 | 2석 | |
무소속 | 1석 | |
제4대 | 한나라당 | 25석 |
새천년민주당 | 3석 | |
무소속 | 1석 | |
제5대 | 한나라당 | 32석 |
열린우리당 | 1석 | |
제6대 | 민주당 | 23석 |
한나라당 | 6석 | |
민주노동당 | 1석 | |
국민참여당 | 1석 | |
무소속 | 2석 | |
교육의원 | 6석 | |
제7대 | 새누리당 | 23석 |
새정치민주연합 | 12석 | |
제8대 | 더불어민주당 | 33석 |
자유한국당 | 2석 | |
정의당 | 1석 | |
제9대 | 국민의힘 | 26석 |
더불어민주당 | 14석 |
각 선거별 상세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제1대 인천직할시의회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제1대 인천직할시의원 27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합계 |
---|---|
민주자유당 | 20석 |
민주당 | 3석 |
신민주연합당 | 1석 |
무소속 | 3석 |
3. 2. 제2대 인천광역시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2대 인천광역시의원 35명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2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6]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민주당 | 18 | 1 | 19 |
민주자유당 | 13 | 2 | 15 |
무소속 | 1 | - | 1 |
공석 | - | 1 | 1 |
민주당에 비례대표 2명이 배분되었지만 등록된 후보자가 1명뿐이어서 민주당 몫 1석이 공석이 되었다. 이로 인해 제2대 인천광역시의회는 정수보다 1명이 줄어든 35명을 선출하게 되었다.[6]
3. 3. 제3대 인천광역시의회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9명의 제3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8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3]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당선자 수 |
---|---|---|---|
한나라당 | 162,432 | 24.0 | 1 |
새정치국민회의 | 306,801 | 45.3 | 1 |
자유민주연합 | 152,954 | 22.6 | 1 |
국민신당 | 45,290 | 6.7 | 0 |
무소속 | 9,578 | 1.4 | - |
3. 4. 제4대 인천광역시의회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9명의 제4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23 | 2 | 25 |
새천년민주당 | 2 | 1 | 3 |
무소속 | 1 | -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한나라당 | 377,969 | 54.42% | 2 |
새천년민주당 | 206,895 | 29.79% | 1 |
민주노동당 | 43,610 | 6.28% | 0 |
자유민주연합 | 24,700 | 3.55% | 0 |
녹색평화당 | 18,037 | 2.59% | 0 |
한국미래연합 | 13,746 | 1.97% | 0 |
사회당 | 9,461 | 1.36% | 0 |
3. 5. 제5대 인천광역시의회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3명의 제5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0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한나라당 | 30 | 2 | 32 |
열린우리당 | 0 | 1 | 1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한나라당 | 490,415 | 57.85% | 2 |
열린우리당 | 175,031 | 20.64% | 1 |
민주노동당 | 116,147 | 13.70% | 0 |
민주당 | 58,864 | 6.94% | 0 |
희망사회당 | 7,256 | 0.85% | 0 |
3. 6. 제6대 인천광역시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9명의 제6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0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 교육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민주당 | 441,035 | 2 | |
한나라당 | 429,816 | 1 | |
민주노동당 | 59,585 | 0 | |
국민참여당 | 44,737 | 0 | |
진보신당 | 34,763 | 0 | |
자유선진당 | 29,458 | 0 | |
평화민주당 | 7,285 | 0 | |
사회당 | 2,130 | 0 | |
3. 7. 제7대 인천광역시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5명의 제7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1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3]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새누리당 | 21 | 2 | 23 | |
새정치민주연합 | 10 | 2 | 12 |
3. 8. 제8대 인천광역시의회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7명의 제8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33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3]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더불어민주당 | 733,691 | 2 | ||
자유한국당 | 350,909 | 1 | ||
정의당 | 122,539 | 1 | ||
바른미래당 | 88,093 | 0 | ||
민주평화당 | 8,909 | 0 | ||
녹색당 | 7,900 | 0 | ||
민중당 | 5,645 | 0 | ||
노동당 | 4,979 | 0 | ||
대한애국당 | 4,566 | 0 |
3. 9. 제9대 인천광역시의회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0명의 제9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로 지역구 의원 36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3]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국민의힘 | 622,054 | 51.10% | 2 | |
더불어민주당 | 533,371 | 43.81% | 2 | |
정의당 | 52,315 | 4.29% | 0 | |
진보당 | 5,477 | 0.44% | 0 | |
기본소득당 | 4,058 | 0.33% | 0 |
4. 정당별 의석 수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9대 인천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총 40명(지역구 의원 36명,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으며, 정당별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국민의힘 | 622,054 | 51.10% | 2 | |
더불어민주당 | 533,371 | 43.81% | 2 | |
정의당 | 52,315 | 4.29% | 0 | |
진보당 | 5,477 | 0.44% | 0 | |
기본소득당 | 4,058 | 0.33% | 0 |
4. 1. 교섭단체
인천광역시의회는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5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7]참조
[1]
웹사이트
민주당 92% 인천시의회 개원… '견제 역할' 최대 이슈
http://www.ohmynews.[...]
2018-08-18
[2]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English)
http://www.icouncil.[...]
[3]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4]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5]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6]
뉴스
비례대표 민자 49 민주 38석
https://n.news.naver[...]
[7]
웹인용
인천광역시의회 교섭단체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https://www.law.go.k[...]
대한민국 법제처
2022-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