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곱 대천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곱 대천사는 성경, 외경, 기독교, 그리고 다양한 종교 및 오컬트 전통에서 언급되는 천사들의 집단이다. 성경에서는 미카엘을 대천사로 지칭하며, 요한 계시록과 토비트기 등에서 일곱 천사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다. 기독교, 특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는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을 대천사로 인정하며, 우리엘, 셀라피엘, 예후디엘, 바라키엘 등을 포함한 일곱 내지 여덟 대천사를 숭배한다. 또한, 다양한 오컬트 체계에서는 일곱 대천사를 고전 행성과 연관시키기도 하며, 루돌프 슈타이너는 네 명의 대천사가 계절을 다스린다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사 - 야자타
    야자타는 조로아스터교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는 존재들을 지칭하는 아베스타어 단어로, 아후라 마즈다 외에도 신성한 불꽃 등 다양한 존재들에게 적용되며, 우주론적, 종말론적 역할을 수행한다.
  • 천사 - 아스타로트
    아스타로트는 본래 풍요와 성애의 여신 아스타르테에서 기원했지만, 기독교 전파 후 악마로 격하되어 오컬트 문헌과 악마학에서 고위 악마이자 솔로몬 왕에게 봉인당한 72기둥의 마신 중 하나로 묘사되며 대중문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존재이다.
  • 대천사 - 라파엘
    라파엘은 여러 아브라함 계열 종교에서 치유와 보호의 천사로 여겨지는 대천사로, 토빗기에서 토비야를 돕고 악마를 물리치는 활약을 보이며 유대교 전통에서 중요한 대천사 중 하나이고, 기독교에서는 여행자나 시각장애인의 수호천사로 숭배받으며, 이슬람교에서는 이스라필과 연관되기도 한다.
  • 대천사 - 우리엘
    우리엘은 유대교, 기독교, 헤르메스주의 등에서 언급되는 대천사로, 유대교 천사학에서 중요한 천사로 여겨지며, 에스라에게 계시를 전달하고 세상의 발광체를 다스리는 역할을 하며, 기독교 전통과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명수 7 - 세계 7대 불가사의
    세계 7대 불가사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선정한 지중해와 근동 지역의 놀라운 건축물 목록으로, 그리스 중심적 세계관을 반영하며 대부분 멸실되었으나 현대에도 다양한 불가사의 목록 선정이 이어지고 있다.
  • 명수 7 - 오기칠도
    오기칠도는 나라 시대 일본의 수도 주변 5개 국(오기)과 전국을 포괄하는 7개의 도(칠도)를 합쳐 이르는 행정 구역 구분으로, 현대 일본의 지방 명칭 및 지리적 구분에 영향을 미쳤다.
일곱 대천사

2. 성경

"대천사"라는 용어는 히브리 성경이나 기독교 구약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그리스어 신약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4장과 유다서에만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미카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 칠십인역에서는 이를 "큰 천사"로 번역했다.[3] 스가랴 4장은 "온 세상에 두루 다니는 주의 눈"인 "일곱 기쁨"에 대해 이야기한다.[5] 요한 계시록 8장은 "하나님 앞에 서서 일곱 나팔을 받은" 일곱 천사를 언급한다.[6] 요한 계시록 16장은 "내가 성전에서 큰 음성을 들으니 일곱 천사에게 이르되 가서 하나님의 진노의 일곱 대접을 땅에 쏟으라 하더라"라고 명시한다.[7] 요한 계시록 4장과 요한 계시록 5장은 "일곱 영"을 언급하는데, 그 정체는 잘 명시되지 않으며, "보좌 앞에 타오르는 일곱 등불"이다.[5]

2. 1. 구약성경

히브리 성경이나 기독교 구약에서 '대천사'라는 용어는 직접 나타나지 않지만, 칠십인역에서는 다니엘 10장()의 '가장 높은 방백 중 하나'이자 '큰 방백'으로 불리는 미카엘을 "큰 천사"로 번역했다.[3]

일곱 대천사에 대한 개념은 외경/성경 외경인 토비트기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토비트기에서 라파엘은 자신을 "주님의 영광스러운 현존 안에 서서 그를 섬기기 위해 대기하는 일곱 천사 중 하나"라고 밝힌다. () 가톨릭과 개신교 성경에 이름이 언급된 다른 두 천사는 대천사 미카엘과 천사 가브리엘이다. 우리엘은 에스드라 2서(4:1 및 5:20)에, 예라흐미엘은 에스드라 2서 4:36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 책은 에티오피아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 및 러시아 정교회에서 정경으로 간주되며,[4] 루터교와 성공회에서 사용하는 개신교 성경의 외경 부분에 속한다.

스가랴 4장()은 "온 세상에 두루 다니는 주의 눈"인 "일곱 기쁨"에 대해 이야기한다.[5]

2. 2. 신약성경

"대천사"라는 용어는 히브리 성경이나 기독교 구약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그리스어 신약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4장과 유다서에만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미카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 칠십인역에서는 이를 "큰 천사"로 번역했다.[3] 스가랴 4장은 "온 세상에 두루 다니는 주의 눈"인 "일곱 기쁨"에 대해 이야기한다.[5] 요한 계시록 8장은 "하나님 앞에 서서 일곱 나팔을 받은" 일곱 천사를 언급한다.[6] 요한 계시록 16장은 "내가 성전에서 큰 음성을 들으니 일곱 천사에게 이르되 가서 하나님의 진노의 일곱 대접을 땅에 쏟으라 하더라"라고 명시한다.[7] 요한 계시록 4장과 요한 계시록 5장은 "일곱 영"을 언급하는데, 그 정체는 잘 명시되지 않으며, "보좌 앞에 타오르는 일곱 등불"이다.[5]

2. 3. 외경/성경 외경

고대 성경 외경인 기원전 3세기의 파수꾼의 서는 일곱 대천사에 관한 한 가지 전통을 제공하며,[8] 1 에녹서 또는 《에녹서》로 알려져 있으며, 결국 에녹 오경에 통합되었다.[9][10] 이 이야기는 또한 위대한 대천사를 언급하는 《거인의 서》와 관련이 있으며,[11][12]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성경 정경의 일부가 되었다.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 사도 전승, 그리고 초기 교부들에게 널리 퍼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에녹서》는 점차 학문적, 종교적 지위에서 멀어졌고, 7세기에는 다른 모든 기독교 종파의 정경에서 거부되었다.

대천사의 이름은 바빌론 유수 (기원전 605년) 동안 유대교 전통에 들어왔다. 바빌로니아 민속과 우주론,[13] 그리고 초기 메소포타미아 신앙은 조로아스터교의 이원론적 영향 아래, 인간화 및 동물화된 별, 행성, 그리고 별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여기에는 날개 달린 태양을 운반하는 하늘 아버지의 네 아들과 지혜의 왕좌가 포함되었다. 먼저 예언자 다니엘, 그리고 에스겔과 같은 저자들은 이 신화를 히브리어화하여 바빌론 별자리를 "신의 아들"로 여겨지는 추상적인 형태, 이스라엘 주님의 천사, 그리고 하늘의 동물인 케루빔과 동일시했다. 기원전 2세기의 비유의 서 (40장)는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를 동반하여 영의 주님 앞에 서 있는 네 천사의 이름을 언급하며, "영광의 주님을 찬양하는 사방의 목소리"를 말한다: 미카엘, 라파엘, 가브리엘, 그리고 파누엘.

토비트기에서는 라파엘이 자신을 "주님의 영광스러운 현존 안에 서서 그를 섬기기 위해 대기하는 일곱 천사 중 하나"라고 밝힌다.(토비트 12:15) 에스드라 2서에서는 우리엘(4:1, 5:20)과 예라흐미엘(4:36)이 언급된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에서 정경으로 간주)

파수꾼의 서(9장)는 대홍수 이전 시대에 "파수꾼"이라고 불리는 사악한 영에 대항하여 인류를 위해 중재한 천사들인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그리고 우리엘의 목록을 제시한다.

3. 기독교 전통

가장 초기의 구체적인 기독교 언급은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나타난다. 위(僞) 디오니시오스는 그들을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우리엘, 카마엘, 요피엘, 자드키엘로 언급한다.[14] 서방 기독교 전통에서,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은 대천사로 불린다.[15] 그러나 비잔틴 전통을 통해, 가톨릭 교회는 총 7명의 대천사를 인정하며, 때로는 위에 언급된 세 명 외에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기도 한다.

세인트 마이클 교회, 브라이튼의 스테인드 글라스 창에 묘사된 일곱 대천사. 왼쪽부터: 미카엘, 가브리엘, 우리엘, 카무엘 (카마엘), 라파엘, 요피엘, 자드키엘.


8세기 또는 9세기에 부적에 일곱 대천사가 언급되었는데, 이는 스페인 북서부의 "신의 종" 아우리올루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는 "모든 족장 미카엘, 가브리엘, 세시티엘, 우리엘, 라파엘, 아나니엘, 마르모니엘"에게 기도를 올렸다.[16]

3. 1. 가톨릭 교회

가톨릭 교회에서는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세 대천사의 이름이 성경 정경에 언급되어 있다.[17] 라파엘은 제2경전인 토비트기에서 "주님의 영광 앞에 서서, 영들의 주님 앞에 나아가는 일곱 천사 중 하나"로 묘사된다.[17] 19세기 초, 교황 레오 12세[18], 교황 비오 8세[19], 교황 그레고리오 16세[19]는 일곱 대천사의 '추정되는 이름'에 대한 공경을 승인하지 않았다. 「경건 실천 지침서」와 전례서(2001) 217항에서는 가브리엘, 라파엘, 미카엘 외에 다른 천사에게 이름을 부여하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고 명시한다.[20]

3. 2. 동방 정교회

정교 슬라브 성경(오스트로그 성경, 엘리자베스 성경, 러시아 시노달 성경 등)에서는 우리엘과 예레미엘을 언급하는 에스드라 2서를 권위 있는 문서로 인정한다.[1]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일곱 내지 여덟 대천사를 공경한다.[1]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우리엘, 셀라피엘(살라티엘), 예후디엘(유디엘), 바라키엘을 칭하며, 여덟 번째 대천사로 예레미엘(제레미엘)을 추가하기도 한다.[21]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에녹서를 정경으로 간주하며,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우리엘 외에 라구엘, 사라카엘, 레미엘을 언급한다.[22] 오리엔트 정교회 교파 내에서,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일곱 대천사로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우리엘, 라구엘, 파누엘, 그리고 레미엘을 칭한다.[24] 콥트 정교회에서는 일곱 대천사를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수리엘, 자드키엘, 사라디엘, 아나니엘로 부르며,[25][26][27] 때로는 사키엘을 포함하여 여덟 대천사로 부르기도 한다.[1]

3. 3.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루터교와 성공회 전통에서는 9월 29일, 성 미카엘과 모든 천사들의 축일(미카엘 축일)에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세 대천사를 기념한다.[15][28] 우리엘은 성공회 교리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거나 언급되지는 않지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그를 포함하며, 성 우리엘 성공회 교회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9][30][31][32][33]

영국 성공회 전통의 네 대천사. 왼쪽부터 가브리엘, 미카엘, 우리엘, 라파엘. 헐 민스터의 스테인드글라스 창.

4. 기타 전통

위경에서 파생된 다른 이름으로는 셀라피엘, 예후디엘, 그리고 라구엘이 있다.

이스마일파에는 일곱 명의 케루빔이 있는데, 이들은 카다르 앞에 굴복하라는 명령을 받은 일곱 대천사와 유사하며, 이블리스는 이를 거부한다.[34]

야지디교에는 일곱 명의 대천사가 있는데, 그 이름은 자브라'일, 미카'일, 라파'일(이스라필), 다드라'일, 아즈라일, 샴킬(셈나'일), 그리고 아자질이며, 이들은 창조를 돌보는 임무를 부여받은 신으로부터의 화현이다.[35]

다양한 오컬트 체계에서는 각 대천사를 전통적인 "일곱 개의 광채"(고전 행성) 중 하나, 즉 태양, ,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과 연관시킨다.[36] 그러나 어떤 대천사가 어떤 천체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루돌프 슈타이너에 따르면, 네 명의 대천사가 계절을 다스린다. 봄은 라파엘, 여름우리엘, 가을미카엘, 겨울가브리엘이다.[37]

오컬티스트 헬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츠키에 따르면, 일곱 대천사는 여러 종교 간의 혼합주의 형태였으며, 이는 칼데아의 위대한 신들, 일곱 사비 신들, 일곱 힌두교의 마누스와 일곱 라시, 그리고 카발라의 일곱 보좌(왕좌)와 덕목이었다.[38]

초기 영지주의 문서인 ''세계의 기원''에서 아이온인 소피아는 일곱 대천사를 보내 아르콘인 사바오스를 구출하여 여덟 번째 하늘로 데려간다.[39]

4. 1. 이스마일파

이스마일파에는 일곱 명의 케루빔이 있는데, 이들은 카다르 앞에 굴복하라는 명령을 받은 일곱 대천사와 유사하며, 이블리스는 이를 거부한다.[34]

4. 2. 야지디교

야지디교에는 일곱 명의 대천사가 있는데, 그 이름은 자브라'일, 미카'일, 라파'일(이스라필), 다드라'일, 아즈라일, 샴킬(셈나'일), 그리고 아자질이며, 이들은 창조를 돌보는 임무를 부여받은 신으로부터의 화현이다.[35]

4. 3. 오컬트 체계

다양한 오컬트 체계에서는 각 대천사를 전통적인 "일곱 개의 광채"(고전 행성) 중 하나, 즉 태양, ,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과 연관시킨다.[36] 그러나 어떤 대천사가 어떤 천체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4. 4. 기타

위경에서 파생된 다른 이름으로는 셀라피엘, 예후디엘, 라구엘이 있다.[34]

이스마일파에는 일곱 명의 케루빔이 있는데, 이들은 카다르 앞에 굴복하라는 명령을 받은 일곱 대천사와 유사하며, 이블리스는 이를 거부한다.[34]

야지디교에는 일곱 명의 대천사가 있는데, 그 이름은 자브라'일, 미카'일, 라파'일(이스라필), 다드라'일, 아즈라일, 샴킬(셈나'일), 그리고 아자질이며, 이들은 창조를 돌보는 임무를 부여받은 신으로부터의 화현이다.[35]

다양한 오컬트 체계에서는 각 대천사를 전통적인 "일곱 개의 광채"(고전 행성) 중 하나, 즉 태양, ,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과 연관시킨다.[36] 그러나 어떤 대천사가 어떤 천체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루돌프 슈타이너에 따르면, 네 명의 대천사가 계절을 다스린다. 봄은 라파엘, 여름우리엘, 가을미카엘, 겨울가브리엘이다.[37]

오컬티스트 헬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츠키에 따르면, 일곱 대천사는 여러 종교 간의 혼합주의 형태였으며, 이는 칼데아의 위대한 신들, 일곱 사비 신들, 일곱 힌두교의 마누스와 일곱 라시, 그리고 카발라의 일곱 보좌(왕좌)와 덕목이었다.[38]

초기 영지주의 문서인 ''세계의 기원''에서 아이온인 소피아는 일곱 대천사를 보내 아르콘인 사바오스를 구출하여 여덟 번째 하늘로 데려간다.[39]

참조

[1]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John Wiley & Sons 2000-11-08
[2] 서적 Macedonian Review Kulturen Zhivot 1994
[3] 서적 An Extraordinary Gathering of Demons Publications Limited 2004
[4] 웹사이트 4 Ezra: A Biblical Book You've Probably Never Read https://blogs.ancien[...] 2018-09-26
[5] 서적 I Sette Arcangeli nel Cattolicesimo https://www.academia[...]
[6] 웹사이트 Revelation 8 NKJV (Greek–English Interlinear Bible) https://biblehub.com[...]
[7] 웹사이트 Revelation 16 (Greek–English Interlinear Bible) https://biblehub.com[...]
[8] 서적 1 Enoch 1: A Commentary on the Book of 1 Enoch https://sbl-site.org[...] Fortress 2001
[9] 서적 Enoch: A Man for All Generations https://uscpress.com[...]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08
[10] 문서 "Chapter 1: The Book of Enoch," in ''The Older Testament: The Survival of Themes from the Ancient Royal Cult in Sectarian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SPCK; Sheffield Phoenix Press 2005
[11] 서적 The Lost Prophet: The Book of Enoch and Its Influence on Christianity SPCK; Sheffield Phoenix Press 2005
[12] 서적 Enoch the Prophet https://publications[...] Deseret Book 1986
[13] 웹사이트 ANGELOLOGY – Angelology systematized https://jewishencycl[...]
[14] 서적 A Dictionary of Angels, Including the Fallen Angels Free Press Publishing 1980
[15] 웹사이트 St. Michael and All Angels https://pacifichills[...] Pacific Hills Lutheran Church 2019-09-21
[16] 문서 Europe After Rome: A New Cultural History 500–1000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7] 성경 Tobit 12:15
[18] Youtube La prima causa del 1826 innanzi a Leone XII per l'approvazione del culto dei Sette Arcangeli https://www.youtube.[...]
[19] Youtube La quarta causa del 1831 innanzi a Gregorio XVI per l'approvazione del culto dei Sette Arcangeli https://www.youtube.[...]
[20] 웹사이트 The Directory on Popular Piety and the Liturgy – Principles and Guidelines https://www.vatican.[...] 2002
[21] 웹사이트 Synaxis of the Archangel Michael and the Other Bodiless Powers https://www.oca.org/[...] 2024-11-15
[22] 웹사이트 First Enoch – Chapter XX / Chapter 20 – Book of 1 Enoch, Parallel 1912 Charles & 1883 Laurence, Pseudepigrapha Online Parallel Bible Study http://qbible.com/en[...] 2023-06-05
[2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Raphael the Archangel https://www.newadven[...] 2023-11-08
[24] 웹사이트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s://ethiopianort[...] 2024-11-15
[25] 웹사이트 2. Intercessors: The Heavenly Orders Doxology: ذوكصولوجية للسمائيين https://tasbeha.org/[...] 2024-11-15
[26] 웹사이트 رؤساء الملائكة الآخرين – كتاب الملائكة – St-Takla.org https://st-takla.org[...] 2018-03-18
[27] 웹사이트 الملائكة.. ما هم، وما هو عدد وأسماء رؤساء الملائكه؟ – St-Takla.org https://st-takla.org[...] 2018-03-18
[28] 웹사이트 Exciting Holiness: 29 September https://excitingholi[...] 2024-11-15
[29] 웹사이트 Truss Carvings: Heroes of the Faith https://www.historic[...] Trinity Lutheran Church 2023-05-20
[30] 웹사이트 Saint Uriel Church website patron Saint web page http://www.urielsg.o[...] 2008-09-15
[31] 문서 Lesser Feasts and Fasts
[32] 웹사이트 Michael and All Angels http://justus.anglic[...] 2023-11-08
[33] 웹사이트 St. George's Lennoxville website, What Are Anglicans, Anyway? page http://www.stgeorges[...] 2008-09-15
[34] 서적 Allah Transcendent: Studies in the Structure and Semiotics of Islamic Philosophy, Theology and Cosmology Psychology Press 1994
[35] 서적 The Abu Dhabi Bar Mitzvah: Fear and Love in the Modern Middle East W. W. Norton & Company 2017
[36] 서적 "Morals and Dogma (of the Ancient and Accepted Scottish Rite of Freemasonry)" L. H. Jenkins 1871
[37]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gel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4
[38] 서적 Worship of Planetary Spirits is idolatrous Astrolatry: Divine Astrology is for Initiates; superstitious Astrolatry for the masses. https://books.google[...] Philaletheians UK 2021-05-10
[39]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gnosis.org/na[...] Shambhala Publications 2022-02-06
[40] 서적 The Book of Enoch http://www.sacred-te[...] 1917
[41] 문서 여기서 말하는 세상은 지상세계를 말하고, 타르타로스는 지하세계, 즉 사후세계를 말한다.
[42] 문서 발광체의 세계(the world of the luminaries)라고 할 때, 발광체(luminaries)는 우리 태양계에 속하면서 육안으로 보이는 천체들을 말한다. 발광체의 세계는 이들 천체들에 존재하는 세상을 말한다. 즉, [[고대의 일곱 행성]]의 세계를 말한다. 고대의 일곱 행성은 지구를 제외한 태양 '''·'''&32; '''·'''&32;수성 '''·'''&32;금성 '''·'''&32;화성 '''·'''&32;목성 '''·'''&32;토성이다.
[43] 문서 '인류 가운데 가장 발전된 자들'의 영어 원문은 'the best part of mankind'인데 직역하면 '인류 가운데 최상의 부분'으로 '인류의 엘리트'를 말한다. 여기서 엘리트는 영적인 측면에서의 엘리트를 뜻하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인류 가운데 가장 발전된 자들'이라고 번역하였다.
[44] 문서 '영 안에서 죄를 지은'의 영어 원문은 'who sin in the spirit'이다. 이것은 '영적으로 죄를 지은'으로 의역할 수도 있지만, 〈요한계시록〉 1장을 보면 요한이 '안식일에 영 안에(in the spirit) 있었다'는 표현이 있고, 또한 〈요한복음〉에 '하느님은 영 안에서(in the spirit) 예배되어야 한다'는 표현이 있다. 'in the spirit'은 이러한 다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역을 사용하였다.
[45] 문서 '부활한 자들'의 영어 원문은 'those who rise'이다. rise는 반드시 육체적 부활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영적 부활, 즉 '영적으로 잠든 상태로부터 깨어난 것'을 뜻하기도 한다.
[46] 서적 천사 도서출판 들녘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