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자식물은 씨앗으로 번식하는 식물로,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크게 나뉜다. 겉씨식물은 씨앗이 덮이지 않은 나자(裸子) 씨앗을 가지며, 소철류, 은행나무, 구과식물, 마황속 등이 있다. 속씨식물은 열매 안에 씨앗을 가지며, 종자식물 중 가장 크고 다양한 그룹이다. 종자식물은 육상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화석 기록을 통해 초기 종자식물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 - 상록식물
상록식물은 1년 내내 잎이 푸르게 유지되는 식물로, 침엽수와 일부 활엽수, 겉씨식물이 속하며, 조경, 방풍,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진다. - 식물 - 들꽃
들꽃은 수레국화, 안개꽃 등 다양한 종류와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꽃들을 통칭하며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생태계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종자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분류 | |
학명 | Spermatophytes/Plantae |
속하는 계 | 식물계 |
생물 분류 | 육상식물 (유배식물) |
생물 분류 | 관다발식물 |
생물 분류 | 대엽식물 |
생물 분류 | 종자식물 |
영문명 | seed plants |
어원 | σπέρματος(spermatos) (씨앗) + phyton(phyton) (식물) |
동의어 | Phanerogamae, Phaenogamae |
하위 분류 | |
현존하는 분류군 | 겉씨식물 소철강 은행나무강 구과식물강 마황강 속씨식물 |
기타 | |
정보 | |
![]() | |
![]() |
2. 진화
종자식물의 조상은 양치식물이다. 양치식물은 육상 생활에 적응했지만, 전엽체 위에서 수정할 때 물이 필요했다.
종자는 전엽체를 보호하고 그 안에서 수정을 진행하여 외부 물에 의존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식물은 육상 생활에 획기적으로 적응하여 극지 등을 제외한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다양한 종으로 진화했다. 종자는 많은 영양을 축적하여 동물의 중요한 먹이가 되었고, 이는 동물과의 공진화를 촉진했다. 종자 산포와 꽃가루 매개 과정에서 식물은 동물을 이용하기도 한다.
고생대 후반에 출현한 종자식물은 이후 주력 지위가 겉씨식물에서 속씨식물로 옮겨졌지만, 현재까지 전 세계 지표면을 덮고 있다.
2. 1. 초기 종자식물
종자식물의 조상에서 발생한 전체 유전자 중복 사건은 약 3억 1900만 년 전에 일어났다.[2] 이로 인해 일련의 진화적 변화가 일어나 현대 종자식물이 기원하게 되었다.
벨기에에서 발견된 종자식물의 중간 데본기 (3억 8천 5백만 년 전) 전이 화석은 가장 초기의 종자식물보다 약 2천만 년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룬카리아''는 작고 방사형 대칭이며, 컵 모양 구조로 둘러싸인 피막이 있는 거대포자낭이다. 거대포자낭은 다엽형 피막 위로 돌출된 열리지 않은 원위부 연장을 가지고 있다. 이 연장은 풍매(風媒) 수분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룬카리아''는 씨앗으로 이어지는 특성 획득의 순서에 새로운 빛을 비춘다. ''룬카리아''는 단단한 종피와 꽃가루를 씨앗으로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종자식물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다.[3]
''룬카리아'' 뒤를 이어 ''스페르마포라이트''와 ''모레스네티아''와 같이 컵 모양 구조가 더 응축된 식물들이 나타났다. 씨앗을 맺는 식물들은 파메니안 시대, 즉 데본기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크게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엘킨시아'', ''크세노테카'', ''고생종자'', "''히드라스페르마''", ''아글로스페르마'', ''바르슈타이니아'' 등이 있다. 이 데본기 씨앗 중 일부는 현재 라이기노프테리다레스 목으로 분류된다.[4]
종자식물의 조상은 양치식물이다. 양치식물은 신체 구조가 육상 생활에 충분히 적응했지만, 전엽체 위에서의 수정 시 물이 필요하다.
종자는 전엽체를 보호하고, 그 안에서 수정을 진행함으로써, 외부의 물에 의존하지 않고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으로 식물의 육상 생활에 대한 적응은 획기적으로 진보했다. 그 때문에 극지 등을 제외한 세계의 육상으로 진출하여 엄청난 다양성을 얻게 되었다.
또한, 종자가 많은 영양을 축적하는 구조가 되면서 동물에게 중요한 영양원이 되었고, 그것을 둘러싸고 동물과의 공진화가 진행된 것도 중요하다.
종자 산포에 관해서는 식물 쪽에서 동물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비슷한 현상은 꽃가루 매개를 둘러싸고서도 나타난다.
3. 계통 분류
종자식물은 관다발식물 내의 분지군이다.[5]
{| class="wikitable"
|-
! 녹색식물아계
|-
|
녹조식물문 |
---|
|-
! 스트렙토조식물
|-
|
{| class="wikitable"
|-
! 육상식물 (유배식물)
|-
|
{| class="wikitable"
|-
! 관다발식물
|-
|
- 석송식물
{| class="wikitable"
|-
! 진정엽식물
|-
|
- 양치식물 (양치식물문)
종자식물 |
---|
|}
|}
|}
|}
3. 1. 계통 분류 논쟁
다음은 유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14][15][16][17][18][19][20]{| class="wikitable"
|-
! 유배식물
|-
|
{| class="wikitable"
|-
! 선태식물
|-
|
{| class="wikitable"
|-
| 뿔이끼문
|-
|
|}
|-
! 다포자낭식물
|-
|
{| class="wikitable"
|-
| ?† Taeniocradales
|-
| † 호르네오피톤강
|-
|
{| class="wikitable"
|-
| † ''Aglaophyton''
|-
! 관다발식물
|-
|
{| class="wikitable"
|-
| ?† Yarraviales
|-
| † Rhyniopsida
|-
! Eutracheophytes
|-
|
{| class="wikitable"
|-
| ?† Cooksoniales
|-
| ?† Renaliaceae
|-
| 석송문
|-
! 진엽식물
|-
|
{| class="wikitable"
|-
| † Eophyllophyton
|-
|
{| class="wikitable"
|-
| † Trimerophytopsida
|-
|
{| class="wikitable"
|-
! Moniliformopses
|-
| 양치류
|-
! Radiatopses
|-
|
{| class="wikitable"
|-
| † ''Pertica''
|-
! 목질식물
|-
|
{| class="wikitable"
|-
| ?† Cecropsidales
|-
| ?† Noeggerathiopsida
|-
| † Aneurophytopsida
|-
! Metalignophytes
|-
|
{| class="wikitable"
|-
| † 고양치류
|-
|
† Protopityales |
종자식물 |
|}
|}
|}
|}
|}
|}
|}
|}
|}
|}
다음은 2007년 앤더슨(Anderson)[21] 등과 2015년 노비코프(Novíkov) 등의 연구에 기초한 종자식물 계통 분류이다.[22]
{| class="wikitable"
|-
! 겉씨식물
|-
|
{| class="wikitable"
|-
! 종자식물
|-
|
{| class="wikitable"
|-
| † 양치종자식물
|-
|
말단겉씨식물 |
속씨식물 |
|}
|}
|}
{| class="wikitable"
|-
! 양치종자식물
! 말단겉씨식물
|-
|
{| class="wikitable"
|-
! 종자식물
|-
|
{| class="wikitable"
|-
| †Moresnetiopsida
|-
|
{| class="wikitable"
|-
| †Lyginopteridopsida
|-
|
{| class="wikitable"
|-
| †Pachytestopsida
|-
|
{| class="wikitable"
|-
| †Callistophytales
|-
|
{| class="wikitable"
|-
| †Peltaspermopsida
|-
|
{| class="wikitable"
|-
| †Umkomasiales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소철류
|-
|
|}
|-
|
{| class="wikitable"
|-
| †Phasmatocycadopsida
|-
|
{| class="wikitable"
|-
|
†Pentoxylopsida |
†Dictyopteridiopsida |
|-
|
{| class="wikitable"
|-
| †Cycadeoideopsida
|-
|
†Caytoniopsida |
속씨식물 |
|}
|}
|}
|}
|}
|}
|}
|}
|}
|}
|}
종자식물은 전통적으로 속씨식물(꽃식물)과 겉씨식물로 나뉘며, 겉씨식물에는 네토식물, 소철,[5] 은행나무, 그리고 구과식물이 포함된다. 이전의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네토식물과 속씨식물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믿었으며,[6] 특히 도관 요소를 기반으로 하였다. 그러나 분자 연구 (그리고 일부 최근의 형태학적[7][8] 및 화석[9] 논문)는 일반적으로 네토식물이 구과식물 내 또는 근처에 있는 분지군의 겉씨식물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제안된 관계의 한 세트는 ''gne-pine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다음과 같다:[10][11][12]
{| class="wikitable"
|-
! '''종자식물'''
|-
|
{| class="wikitable"
|-
! 속씨식물
|
|-
! 겉씨식물
|-
|
{| class="wikitable"
|-
| 소철
|-
| ''은행나무''
|-
|
{| class="wikitable"
|-
|
소나무과 (소나무과) ![]() |
네토식물 ![]() |
|-
| 다른 구과식물
|}
|}
|}
|}
그러나 이러한 그룹 간의 관계는 확정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6][13]
4. 하위 분류
종자식물은 크게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뉜다. 겉씨식물은 밑씨가 겉으로 드러나 있으며, 속씨식물은 밑씨가 씨방 안에 들어있다.[1]
- 겉씨식물 (Gymnospermae)
- † 양치종자식물문 (Pteridospermatophyta)
- 말단겉씨식물/말단나자식물 (Acrogymnospermae)
- 소철문 (Cycadophyta)
- 은행나무문 (Ginkgophyta)
- 구과식물문 (Pinophyta)
- 마황문 (Gnetophyta)
-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약 3억 1900만 년 전 종자식물의 조상에서 발생한 전체 유전자 중복 사건은[2] 일련의 진화적 변화를 일으켜 현대 종자식물을 탄생시켰다.
벨기에에서 발견된 전이 화석 ''룬카리아''는[3] 데본기 중기(3억 8천 5백만 년 전)에 살았던 식물로, 초기 종자식물보다 약 2천만 년 앞선다. ''룬카리아''는 작고 방사형 대칭이며 컵 모양 구조로 둘러싸인 거대포자낭을 가지고 있다. 거대포자낭은 다엽형 피막 위로 돌출된 열리지 않은 원위부 연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풍매 수분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룬카리아''는 단단한 종피와 꽃가루를 씨앗으로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종자식물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다.[3]
''룬카리아'' 이후 ''스페르마포라이트'', ''모레스네티아''와 같이 컵 모양 구조가 더 응축된 식물들이 나타났다. 데본기 말기인 파메니안 시대에는 씨앗을 맺는 식물들이 매우 다양해졌는데, ''엘킨시아'', ''크세노테카'', ''고생종자'', "''히드라스페르마''", ''아글로스페르마'', ''바르슈타이니아''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 데본기 씨앗 중 일부는 현재 라이기노프테리다레스 목으로 분류된다.[4]
멸종된 종자식물 목(할당되지 않은 목 포함)은 다음과 같다.
- †Cordaitales
- †Calamopityales
- †Callistophytales
- †Caytoniales
- †Gigantopteridales
- †Glossopteridales
- †Lyginopteridales
- †Medullosales
- †Peltaspermales
- †Umkomasiales (corystosperms)
- †Czekanowskiales
- †Bennettitales
- †Erdtmanithecales
- †Pentoxylales
- †Petriellales
- †Avatiaceae
- †Axelrodiopsida
- †Alexiales
- †Hamshawviales
- †Hexapterospermales
- †Hlatimbiales
- †Matatiellales
- †Arberiopsida
- †Iraniales
- †Vojnovskyales
- †Hermanophytales
- †Dirhopalostachyaceae
일부는 "씨앗 고사리"로 분류된다.
4. 1. 현존하는 종자식물
현존하는 종자식물은 5개의 문(門)으로 구성되며, 처음 4개는 겉씨식물로 분류된다. 겉씨식물은 덮이지 않은 "나자(裸子) 씨앗"을 가지고 있다.[1]- 소철문(Cycadophyta): 소철류로 아열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 은행나무문(Ginkgophyta): 단일 종의 나무인 은행나무를 포함한다.
- 구과식물문(Pinophyta): 구과를 맺는 나무와 관목인 구과 식물을 포함한다.
- 마황문(Gnetophyta): 마황, ''Gnetum'', 그리고 ''Welwitschia''속의 다양한 목본 식물을 포함한다.
다섯 번째 현존하는 문은 속씨식물(Magnoliophyta)로, 피자식물 또는 목련식물이라고도 하며, 종자식물 중 가장 크고 다양한 그룹이다. 속씨식물은 겉씨식물과 달리 열매 안에 씨앗을 가지고 있다.
더 현대적인 분류는 이러한 그룹을 별도의 문으로 분류한다.
- '''소철문''' (Cycadophyta): 소철
- '''은행나무문''' (Ginkgophyta): 은행나무
- '''구과식물문''' (Pinophyta): 구과식물
- '''Gnetophyta''': 마황
- '''Magnoliophyta''': 속씨식물
고생대 후반에 출현하여 곧 지상의 우점적인 나무 지위를 양치식물로부터 빼앗았으며, 이후 주력 지위는 겉씨식물에서 속씨식물로 옮겨졌지만,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지표를 덮고 있다.
4. 2. 멸종된 종자식물
종자식물의 조상에서 발생한 전체 유전자 중복 사건은 약 3억 1900만 년 전에 일어났다.[2] 이로 인해 일련의 진화적 변화가 일어나 현대 종자식물이 기원하게 되었다.
벨기에에서 발견된 종자식물의 중간 데본기 (3억 8천 5백만 년 전) 전이 화석은 가장 초기의 종자식물보다 약 2천만 년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룬카리아''는 작고 방사형 대칭이며, 컵 모양 구조로 둘러싸인 피막이 있는 거대포자낭이다. 거대포자낭은 다엽형 피막 위로 돌출된 열리지 않은 원위부 연장을 가지고 있다. 이 연장은 풍매(風媒) 수분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룬카리아''는 씨앗으로 이어지는 특성 획득의 순서에 새로운 빛을 비춘다. ''룬카리아''는 단단한 종피와 꽃가루를 씨앗으로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종자식물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다.[3]
''룬카리아'' 뒤를 이어 ''스페르마포라이트''와 ''모레스네티아''와 같이 컵 모양 구조가 더 응축된 식물들이 나타났다. 씨앗을 맺는 식물들은 파메니안 시대, 즉 데본기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크게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엘킨시아'', ''크세노테카'', ''고생종자'', "''히드라스페르마''", ''아글로스페르마'', ''바르슈타이니아'' 등이 있다. 이 데본기 씨앗 중 일부는 현재 라이기노프테리다레스 목으로 분류된다.[4]
할당되지 않은 멸종된 종자 식물 목은 다음과 같다. 일부는 "씨앗 고사리"로 분류된다.
- †Cordaitales
- †Calamopityales
- †Callistophytales
- †Caytoniales
- †Gigantopteridales
- †Glossopteridales
- †Lyginopteridales
- †Medullosales
- †Peltaspermales
- †Umkomasiales (corystosperms)
- †Czekanowskiales
- †Bennettitales
- †Erdtmanithecales
- †Pentoxylales
- †Petriellales
- †Avatiaceae
- †Axelrodiopsida
- †Alexiales
- †Hamshawviales
- †Hexapterospermales
- †Hlatimbiales
- †Matatiellales
- †Arberiopsida
- †Iraniales
- †Vojnovskyales
- †Hermanophytales
- †Dirhopalostachyaceae
5. 특징
종자식물의 조상은 양치식물이다. 양치식물은 신체 구조가 육상 생활에 충분히 적응했지만, 전엽체 위에서의 수정 시 물이 필요하다.
종자는 전엽체를 보호하고, 그 안에서 수정을 진행함으로써, 외부의 물에 의존하지 않고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으로 식물의 육상 생활에 대한 적응은 획기적으로 진보했다. 그 때문에 극지 등을 제외한 세계의 육상으로 진출하여 엄청난 다양성을 얻게 되었다.
또한, 종자가 많은 영양을 축적하는 구조가 되면서 동물에게 중요한 영양원이 되었고, 그것을 둘러싸고 동물과의 공진화가 진행된 것도 중요하다.
종자 산포에 관해서는 식물 쪽에서 동물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비슷한 현상은 꽃가루 매개를 둘러싸고서도 나타난다. 현존하는 종에 관해서는, 종자식물은 생식 기관으로서 "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화식물'''이라고도 불리지만, 나자식물에서는 포자엽과 구별하기 어려운 것도 있기 때문에, 피자식물의 꽃만을 꽃이라고 부르는 생각도 있다.
화석 식물인 씨고사리류에는, 보통 잎에 씨앗이 붙어 있는 것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씨앗은 전엽체를 보호하는 구조에서 유래하며, 꽃은 그 전 단계인 포자를 산포하는 구조에서 유래한 것이다. 따라서 양자는 기원을 달리하며, 먼저 씨앗을 형성하는 것이 생겨나고, 그 후에 웅성 포자를 산포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구조로서 꽃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참조
[1]
서적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Sinauer Associates
2002
[2]
저널
Ancestral polyploidy in seed plants and angiosperms
[3]
저널
Runcaria, A Middle Devonian Seed Plant Precursor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1-03-22
[4]
저널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http://opus.sanbi.or[...]
2007
[5]
저널
Chloroplast Genome (cpDNA) of Cycas taitungensis and 56 cp Protein-Coding Genes of Gnetum parvifolium: Insights into cpDNA Evolution and Phylogeny of Extant Seed Plants
[6]
저널
The plant tree of life: an overview and some points of view
[7]
저널
Seed ferns and the origin of angiosperms
2006-01-01
[8]
저널
Experimental signal dissection and method sensitivity analyses reaffirm the potential of fossils and morphology in the resolution of the relationship of angiosperms and Gnetales
[9]
저널
A New Permian Gnetalean Cone as Fossil Evidence for Supporting Current Molecular Phylogeny
[10]
저널
Seed plant phylogeny inferred from all three plant genomes: Monophyly of extant gymnosperms and origin of Gnetales from conifers
[11]
저널
Phylogeny of seed plants based on all three genomic compartments: Extant gymnosperms are monophyletic and Gnetales' closest relatives are conifers
[12]
저널
Phylogeny of seed plants based on evidence from eight genes
[13]
저널
Dating Dispersal and Radiation in the Gymnosperm Gnetum (Gnetales)—Clock Calibration When Outgroup Relationships Are Uncertain
2006-08-01
[14]
저널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15]
저널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SANBI
[16]
저널
Empire biota: taxonomy and evolution 2nd ed
Lulu.com
[17]
서적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18]
저널
The Interrelationships of Land Plants and the Nature of the Ancestral Embryophyte
http://linkinghub.el[...]
2018
[19]
저널
Chloroplast Phylogeny Indicates that Bryophytes Are Monophyletic
https://academic.oup[...]
2004-10-01
[20]
저널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https://doi.org/10.1[...]
2018
[21]
서적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SANBI
[22]
서적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