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반도 군사 분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반도 군사 분계선은 1953년 한국 전쟁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남북 간의 경계선이다. 38선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나, 실제로는 38선과 일치하지 않으며, 서쪽은 남쪽으로, 동쪽은 북쪽으로 이동했다. 군사분계선은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출입통제구역(CCZ)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2018년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완충 구역 및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었다. 그러나 2024년 북한의 도발로 인해 9.19 군사합의가 파기되고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벽 -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는 1963년 종교 간 폭력 사태로 설정된 "녹색 선"을 기반으로 1974년 튀르키예의 침공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키프로스 섬을 남북으로 분단하여 설립되었으며, 유엔 키프로스군이 관리하고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다.
  • 장벽 - 통제선
    통제선은 1972년 심라 협정으로 인도와 파키스탄이 합의한 잠무와 카슈미르 지역의 휴전선이자 사실상 국경으로, 무력 행사가 금지된 경계선이며 카슈미르 분쟁의 핵심 요소이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도라전망대
    도라전망대는 서부전선 최북단에 위치하여 비무장 지대를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개성특별시, 송악산 등을 볼 수 있으며,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건립되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자유의 마을
    자유의 마을은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에 위치하며 유엔군사령부의 관할 아래에 있는 대한민국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에 속하는 마을로, 정전협정 이후 남북이 각각 비무장지대 안에 거주를 허용한 유일한 마을 중 하나이다.
  •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 자유의 집 (판문점)
    자유의 집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남북 연락 및 회담에 활용되는 건물로, 남북 연락사무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남북 관계의 역사와 미래를 담고 있는 상징적인 장소이다.
  •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한반도 군사 분계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군사분계선 / 휴전선
한글군사분계선 / 휴전선
한자軍事分界線 / 休戰線
로마자 표기Gunsabungyeseon / Hyujeonseon
매큔-라이샤워 표기법Kunsabungyesŏn / Hyujŏnsŏn
영어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다른 명칭38선
위치한반도
역사
형성한국 전쟁 휴전 협정 (1953년)
이전 경계북위 38도선 (1945년 ~ 1953년)
특징
성격정전협정에 따른 군사 경계선
길이약 248km
비무장지대 (DMZ) 설정 (남북 각각 2km)
주요 시설공동경비구역 (JSA)
기타서해 북방한계선(NLL)과 연결
판문점
좌표
위치북위 38도 0분 0초 동경 126도 47분 13.20초
이미지
한국 전쟁 1950-1953
한반도 군사 분계선과 주변 지역

2. 38선과 한반도 분단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소련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였으며, 이는 한반도 분단의 시초가 되었다. 한국어로는 "휴전선"이라고 불리며,[5] "군사분계선"이라고도 불리지만, 구어체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만들어진 "삼팔선"이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2. 1. 38선 설정 배경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패망하자, 미국은 한반도 북부에 진입한 소련군의 남진에 대응해 미소 양측의 군사적 충돌 없이 수도 서울인천을 포함한 한반도 남반부를 점령하기 위하여 소련북위 38도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하는 안을 제안하였다. 소련이 별 이의 없이 북위 38도선 분할 점령안을 받아들임으로써 1945년 9월 2일 한반도는 남북으로 분단되었다.[35]

1945년 8월 9일부터 8월 11일까지 미국 국무·육군·해군 조정위원회에서 “북위 38도선에서 잠정 분할한다”는 안이 확정되었고,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을 받았다. 이 안은 소련 측에 제시되었고, 8월 16일에 소련은 이에 동의했다. 8월 17일에는 일반명령 제1호에 따라 38도선 이북의 일본군은 소련군(적군)에, 이남은 미국군에 항복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 명령은 포츠담 선언을 수락한 대일본제국에 전달되었고, 9월 2일 항복 문서 조인 후 대본영에 의해 이 방침이 지시되었다.

38도선이 경계가 된 이유에는 여러 설이 있다. 하나는 미국군이 군사적인 편의성 측면에서 잠정적인 경계선으로 제시했다는 것이다. 8월 10일부터 11일의 회의 도중, 펜타곤에서 육군 차관보 John J. McCloy|존 J. 매클로이영어는 미국군의 명백한 진주 경계선의 설정을 딘 러스크와 찰스 H. 본스틸 3세 대령에게 명령했다. 두 사람은 손에 있던 작은 벽걸이 지도를 참고하여 경계선을 북위 38도로 결정했다. 두 사람은 조선의 수도를 미국군의 점령 지역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고, 38도선은 조선반도를 절반으로 나누는 데다가, 서울이 남쪽에 포함된다는 이상적인 것이었다. 이 작업에 걸린 시간은 불과 30분이었다.

다른 설로는 일본군이 관동군대본영의 관할을 38도선 부근에서 나누었고, 관할별로 소련과 미국에 항복했기 때문에 양국의 점령 지역이 38도선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35] 그러나 8월 9일 대륙명령 제1389호로 제주도를 포함한 남조선 주둔 제17방면군의 지휘권은 8월 10일 오전 6시부터 관동군으로 이관되었으며,[36] 사실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2. 2. 분단 지역

1945년 9월 2일 일본 제국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하면서 미국소련이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여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분단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38선 이남38선 이북
서울, 경기도(연천군 대부분, 개풍군·장단군·포천군의 각 북반부 제외),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춘천-강릉 이남), 황해도 옹진·연백,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제주도 포함),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평양,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도(옹진·연백 제외), 강원특별자치도 북부(화천군-양양군 이북), 경기도 연천군 대부분, 개풍군·장단군·포천군의 각 북반부



6.25 전쟁 이후 남한과 북한은 기존 38선을 기준으로 일부 지역의 영토를 잃거나, 추가로 점령하게 되었다.

3. 한국전쟁과 군사분계선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3년 1개월 만인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으로 휴전 상태에 들어갔다. 정전협정에 따라 당시 전투가 벌어지던 전선을 기준으로 군사분계선이 설정되었다. 이 선은 한반도 전역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1,292개의 동일한 표지판으로 표시되어 있다.[7]

한국 전쟁의 결과, 38선을 기준으로 남쪽에 있었던 개성은 북한에, 북쪽에 있었던 속초시강원도 일부 지역은 남한에 속하게 되었다.

3. 1. 군사분계선의 특징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3년 1개월 만인 1953년 7월 27일 정전이 이루어졌다. 휴전협정에 따라 설정된 '''군사분계선'''은 위도상 북위 38도 부근에 위치하고 있지만, 38선과 비교해 서쪽 경계가 남하하였고 동쪽 경계가 북상하였다.[4]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북 각 2km 폭의 비무장지대(DMZ)가 설정되었다.

1956년 공동경비구역의 MDL 표지판.


다리 위의 MDL 표지판.


문맥상의 다리 MDL 표지판.


공동경비구역 회담 건물 사이의 콘크리트 판으로 표시된 남북한 사이의 MDL.


군사분계선은 한반도 전역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1,292개의 동일한 표지판으로 표시되어 있다. 표지판의 북쪽 면에는 한국어와 중국어로,[6] 남쪽 면에는 한국어와 영어로 쓰여 있다. 이 표지판들은 현재 노후화되고 녹슬고 있다.[7]

1953년 휴전협정 체결 당시 최전선이 휴전선으로 정해졌고, 휴전선으로부터 남북 각 2km씩을 비무장지대(DMZ)로 설정하여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무인지대가 되었다.

현재 '''38선'''이라고 하면 이 휴전선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휴전선은 38선 "부근"이며, 실제로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굽은 선이다. 따라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남쪽이었던 황해도 연안이나 경기도 개성은 한국 전쟁 휴전 후에는 북쪽이 되었고, 반대로 강원도 일부( 속초시 등)는 북쪽에서 남쪽이 되었다.

3. 2.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수복지구'''(收復地區)는 북위 38도 이북 중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에 따라 대한민국에 편입된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을 말한다. 38선 동북쪽의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김화군 일부(1963년 철원군에 편입)·화천군·양구군·인제군·양양군·고성군, 속초시경기도 연천군, 포천시가 이에 해당한다. 휴전 이듬해인 1954년 수복지구의 행정권이 UN군에서 대한민국 정부로 이양되어 이들 군을 정식으로 재설치하였다.

'''신해방지구'''(新解放地區)는 북위 38도 이남 중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편입된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말한다. 서해 5도를 제외한 38선 이남의 황해도 옹진군·연백군경기도 개성시·개풍군장단군의 거의 대부분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3. 3. 해상 경계선

정전협정 당시 육상의 군사분계선은 합의되었으나,[44] 해상 경계선에 관하여는 연안 수역의 범위를 둘러싸고 3해리를 주장한 유엔군 사령부와 12해리를 주장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입장 차이 때문에[45] 명확한 합의 없이 "연해의 섬 및 해면에 관한 통제권은 1950년 6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하되, 서해 5도(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는 UN군 사령관 관할 아래 둔다."는 단서규정만을 두었다. 이러한 모호한 합의는 오늘날까지 분쟁의 씨앗으로 남아 남북 간 해상에서 갈등과 분쟁을 초래하고 있다.

350px

  • 유엔군사령부가 1953년에 설정한 북방한계선[9]
  • 북한이 1999년에 선포한 “남북한 군사분계선”[10]


각 해상 경계선의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특정 섬의 위치가 반영되어 있다.

# 연평도

# 백령도

# 대청도

한국 정전 협정은 육상의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의 위치를 명시하고 있지만, 인접한 해역에 대한 선이나 구역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11] 정전협정 체결 직후, 유엔군사령부(UNC)가 일방적으로 해상 선을 설정했다.[12] 이 북방한계선(NLL)은 남한이 선박의 항해를 허용하는 지역의 북쪽 한계를 나타내는 선이며, 남북한이 합의한 군사분계선이 아니다.[13] 한국 정전 협정(KAA)의 군사분계선(MDL)과 비무장지대(DMZ)에 관한 조항은 황해 또는 동해에 적용되지 않는다.

1999년, 북한은 서해(황해)의 "북한 군사분계선"[15] 이라고도 불리는 자체적인 "서해(황해) 남북한 군사분계선"을 일방적으로 주장했다.[16]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헐적인 침입과 충돌에도 불구하고, 유엔군사령부가 설정한 선은 1953년 군사분계선의 사실상(de facto) 또는 "실질적인" 연장선으로 기능한다.[17]

4. 비무장지대(DMZ)

검은 선이 군사분계선(MDL)이고, 붉은 색으로 표시된 지역이 비무장지대(DMZ)이다.


'''비무장지대(DMZ)'''는 군사분계선(MDL)을 중심으로 남북 각 2km 폭으로 설정되어 무력 충돌 방지를 위한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북쪽으로 2km 떨어진 비무장지대의 경계선을 "북방한계선"(NLL)이라 하고, 남쪽으로 2km 떨어진 비무장지대의 경계선을 "남방한계선"(SLL)이라고 한다. 북방한계선과 남방한계선에는 철책이 쳐져 있으며, 남북의 군대가 대치하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북위 38°선 근처를 따라 약 248km에 걸쳐 있다.[4] 대한민국 측에서는 미국대한민국 군인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인들이 이 선을 따라 순찰한다.

이 선은 한국어로 "휴전선"이라고 불린다.[5] 때때로 "군사분계선"이라고도 불리지만, 구어체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는 "삼팔선"이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이 선 자체는 한반도 전역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1,292개의 동일한 표지판으로 표시되어 있다. 표지판의 북쪽 면에는 한국어와 중국어로,[6] 남쪽 면에는 한국어와 영어로 쓰여 있다. 이 표지판들은 현재 노후화되고 녹슬고 있다.[7]

4. 1. 비무장지대의 무장화

1963년부터 북한이 요새와 진지, 철책을 구축하면서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는 이름과 달리 남북 양측의 무장 군인들이 상시 주둔하는 전방 감시 초소(GP)가 곳곳에 설치되었고, 일부 GP와 GP 사이에는 '추진철책'이라는 이름의 철책이 설치되었다.[40] 북측은 '민경대'(民警隊), 남측은 '민정경찰'(DMZ Police)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양쪽 모두 무장한 군인들이다.

4. 2. 비무장지대 내 민간인 거주 마을

비무장 지대 내의 민간인 거주 마을로는 남측의 대성동[41][42][43], 북측의 기정동이 있다.

5. 민간인출입통제구역(CCZ)

'''민간인출입통제구역'''(民間人出入統制區域, Civilian Control Zone|시빌리언 컨트롤 존영어, '''CCZ''')은 군사분계선 인근의 군사 작전 및 군사시설 보호와 보안 유지를 목적으로 민간인의 출입을 일부 제한하는 구역이다.[46] 이 지역의 경계선은 '''민통선'''(민간인 출입통제선, Civilian Control Line|시빌리언 컨트롤 라인영어)이라고 부른다.

5. 1. 민통선 설정 배경

민통선은 1954년 2월 미8군이 군사 시설 보안 등을 목적으로 민간인의 경작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설정한 귀농선(歸農線)에서 시작되었다.[46]

5. 2. 민간인 통제 내용

비무장지대(DMZ)의 남방한계선 남쪽 5km~10km[46]에 걸쳐 있는 민간인의 출입이 일부 제한된 지역으로, 이 지역의 경계선은 '''민통선'''(민간인 출입통제선, Civilian Control Line|시빌리언 컨트롤 라인영어)이라고 부른다.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내에서는 군사 작전 및 보안 유지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민간인의 영농을 위한 토지 이용이 허용되지만, 경작권을 제외한 토지소유권 행사, 지역 내 출입 및 행동 등 국민의 자유와 기본권이 국가 안보 상의 필요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

6. 2018년 이후 남북 관계 변화

2018년 10월 16일, 남한과 북한 정부는 공동경비구역에서 인원이 철수되면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군사분계선을 통행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18][19][20] 이는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북한으로 발을 들여놓았던 짧은 순간과 유사한 형태가 될 것이었다.[18][19] 그러나 2018년 10월 25일 공동경비구역에서 무장 군인이 철수된 후, 군사분계선 통행 관광은 연기되었다.[21]

6. 1. 완충구역 및 비행금지구역 설정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체결된 종합군사합의서[24]에 따라, 남북한 군은 군사분계선(MDL)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비무장지대(DMZ) 전역에 걸쳐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23] 완충구역은 남북한이 육지, 공중, 해상에서 적대 행위를 금지하도록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23] 완충구역은 서해에서는 덕적도 북쪽에서 초도 남쪽까지, 동해(황해)에서는 속초시 북쪽에서 통천군 남쪽까지 이어진다.[22] 남북한 모두 군사분계선으로부터 5km 이내에서 실탄 사격 훈련과 연대급 이상의 야외 기동 훈련을 실시하는 것을 금지한다.[23][24][22]

군사분계선을 따라 비행금지구역 또한 설정되어, 드론, 헬리콥터 및 기타 항공기의 운항이 금지된다.[23][24]

  • 무인항공기(UAV)의 경우, 동해에서는 군사분계선으로부터 15km, 서해에서는 10km 떨어진 곳이 비행금지구역이다.[24]
  • 열기구의 경우 군사분계선으로부터 25km 이내가 비행금지구역이다.[24]
  • 고정익 항공기의 경우, 동해(군사분계선 표지 0646번과 1292번 사이)에서는 군사분계선으로부터 40km 이내, 서해(군사분계선 표지 0001번과 0646번 사이)에서는 20km 이내가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된다.[24]
  • 회전익 항공기의 경우, 군사분계선으로부터 10km 이내가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된다.[24]


남북한은 또한 군사분계선과 인접한 황해 지역에 "평화지대"를 설정했다.[23][24]

6. 2. 도로 및 철도 연결

2018년 11월 22일, 남한과 북한은 비무장지대(DMZ)를 따라 3km 도로 연결 공사를 완료했다.[25][26] 이 도로는 군사분계선(MDL)을 횡단하며, 남한 구간은 1.7km, 북한 구간은 1.3km이다.[26] 이 도로는 철마산에서 지뢰 제거 및 한국 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14년 만에 처음으로 비무장지대(DMZ)에서 재개통되었다.[27][28][29]

2018년 11월 30일, "최전방" 초소와 화살머리 언덕 지뢰 제거 이후, 남한 열차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북한으로 진입하면서 2008년 11월에 중단되었던 남북 간 철도 운송이 재개되었다.[30] 2018년 12월 8일에는 남한 버스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북한으로 진입했다.[31]

6. 3. 군사분계선 상호 방문

2018년 10월 16일, 남한과 북한 정부는 공동경비구역에서 인원이 철수되면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통행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18][19][20] 이는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북한으로 발을 들여놓았던 짧은 순간과 유사한 형태가 될 것이었다.[18][19] 그러나 2018년 10월 25일 공동경비구역에서 무장 군인이 철수된 후, 군사분계선 통행 관광은 연기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21]

7. 2024년 남북 관계 악화

2018년 12월 12일, 남과 북 양측 군인들이 최초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상대측 영토로 진입하여 "최전방" 감시 초소 철거를 확인했다.[32][33]

2024년 6월 5일, 대한민국 군은 9.19 군사합의 중단에 따라 군사분계선(MDL)에서 모든 군사 활동을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4]

참조

[1] 웹아카이브 NLL http://www1.korea-np[...] 2012-03-11
[2] 웹아카이브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Islands http://www.dtic.mil/[...] U.S. Army War College 2013-02-21
[2] 웹아카이브 After Exchange of Fire, N. Korea Threatens More Strikes on South http://www.time.com/[...] Time 2010-11-26
[3] 서적 The Law of the Sea and Northeast Asia: a Challenge for Cooperation Google Books
[4] 웹사이트 Korean War History http://www.lifeinkor[...] 2006-01-12
[5] 웹아카이브 Dictionary – Definition of armistice http://www.websters-[...] 2011-06-28
[6] 이미지 MDL sign seen from the North https://i.pinimg.com[...] i.pinimg.com
[7] Youtube North Korean troops cross the border for guard post inspections https://www.youtube.[...] 2018-12-13
[8] 웹아카이브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Islands http://www.dtic.mil/[...] U.S. Army War College 2013-02-21
[8] 웹아카이브 http://www.dtic.mil/[...] 2011-11-12
[9] 뉴스 Factbox: What is the Korean Northern Limit Line? https://www.reuters.[...] Reuters 2010-11-23
[10] 웹아카이브 The North/South Korea Boundary Dispute in the Yellow (West) Sea http://www.law.hawai[...] 2012-03-09
[10] 뉴스 NLL—Controversial Sea Border Between S.Korea, DPRK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2-11-21
[11] 뉴스 Sea border a trigger for Korean peninsula tensio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1-01-06
[12] 웹아카이브 A Maritime Demarcation Dispute on the Yellow Sea: Republic of Korea https://www.judicial[...]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2011-07-13
[13] 뉴스 Modern meaning of Korea's maritime line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07-10-15
[15] 서적 Law of the Sea in East Asia: Issues and Prospects Google Books
[15] 서적 North Korea: a Strange Socialist Fortress Google Books
[15] 뉴스 South Korea is a criminal without principle http://www.srilankag[...] Sri Lanka Guardian 2010-11-25
[16] 뉴스 NLL—Controversial Sea Border Between S.Korea, DPRK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2-11-21
[17] 뉴스 Military Strike in the Water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11-23
[18] 뉴스 Selfies in the Korean DMZ – and other unusual border travel experience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8-10-19
[19] 뉴스 Tourists May Soon Get to Walk Across the DMZ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ttps://www.bloomber[...] Bloomberg.com
[20] 웹사이트 Tourists will soon be allowed to walk across the world's tensest border https://www.travelle[...] 2018-10-18
[21] 뉴스 South Korea disarms Joint Security Area in North-South border https://www.upi.com/[...]
[22] 웹사이트 Two Koreas end military drills, begin operation of no-fly zone near MDL: MND https://www.nknews.o[...] 2018-11-01
[23] 웹사이트 Yonhap News Agency http://english.yonha[...]
[24]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istoric Panmunjom Declaration in the Military Domain https://www.ncnk.org[...]
[25] 웹사이트 (2nd LD) Koreas connect road inside heavily fortified DMZ https://en.yna.co.kr[...] 2018-11-22
[26] 웹사이트 South, North Korea connect border road through DMZ https://www.aa.com.t[...]
[27] 웹사이트 After 14 years, a road to unite the Koreas and recover the remains of the fallen http://www.asianews.[...]
[28]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join roads after 14 years https://www.yahoo.co[...] Reuters 2018-11-23
[28] 웹아카이브 https://www.yahoo.co[...] 2024-02-26
[29] 뉴스 North and South Korea join roads after 14 years https://www.cairnspo[...] The Cairns Post
[30] 뉴스 First train in a decade departs South Korea for North Korea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8-11-30
[31] 웹사이트 Joint Inspection of N. Korea's Eastern Rail Line Begins http://world.kbs.co.[...]
[32] 웹사이트 Troops cross North-South Korea Demilitarized Zone in peace for 1st time ever https://www.cbsnews.[...] 2018-12-12
[33] 뉴스 North and South Korean soldiers enter each other's territory – North invades the South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2018-12-12
[33] 웹아카이브 https://economictime[...] 2018-12-16
[34] 뉴스 South Korea to resume all military activities along demarcation line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6-04
[35] 간행물 분단의 책임-미소 냉전은 무엇을 가져왔는가- 세계 1984-08
[36] 웹사이트 「ソ」連は対日宣戦を布告し9日零時以降日「ソ」及満「ソ」国境方面諸所に於て戦闘行動を開始せるも未だ其規模大ならずの件 大陸命第1374号 昭和20年8月9日 https://www.jacar.go[...] 1945-08-09
[37] 웹사이트 米、中国に約束「有事で休戦ライン越えても必ず韓国に戻る」 http://www.chosunonl[...] 2017-12-14
[38] 웹사이트 朝鮮半島有事で協議 核確保手段など詳細に https://mainichi.jp/[...] 2017-12-13
[39] 뉴스 휴전선 155마일, 맞나요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5-05-05
[40] 뉴스 GOP와 GP는 뭐가 다르죠? 지뢰폭발사고 용어풀이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5-08-10
[41] 웹인용 경기도의 생활 https://memory.libra[...] 2024-06-12
[42] 웹인용 통일부 영상< 통일부소식< 통일부 https://www.unikorea[...] 2024-06-12
[43] 웹인용 [정전 70년·대성동 이야기] ① 유엔군 감시받는 DMZ 유일 마을 https://www.yna.co.k[...] 2024-06-12
[44] 저널 ‘북방한계선’은 합법적 군사분계선인가?-1999년 6월 15일의 서해상 남북 해군 충돌 배경의 종합적 연구 1999-07
[45] 뉴스 ‘NLL’안에 평화체제가 있다. https://news.v.daum.[...] 경향신문 2012-10-29
[46] 뉴스 국방부, 민통선 '북상'·군사보호구역 축소 검토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4-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