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외국민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외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법령상 정의는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과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에 따라 구분된다. 재외국민은 재외국민등록을 해야 하며, 과거에는 참정권이 제한되었으나 2012년부터 재외선거를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대학 입시에서 재외국민 특별전형이 운영된다. 재외국민은 개인적, 조직적, 맥락적 요인에 따라 성공적인 해외 생활을 할 수 있으며, 문학과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대한민국 법률인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약칭 재외동포법)은 "재외국민"을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한 자 또는 영주할 목적으로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자"로 정의한다.[78]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약칭: 영사조력법)에서는 “재외국민”이란 외국에 거주, 체류 또는 방문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말한다.[79]
'재외국민'(Expatriat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ex|~에서 벗어나la와 patria|모국, 조국la에서 유래했다.[47]
19세기에는 증기선이나 기차를 통해 여행이 더 쉬워졌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몇 년 동안 외국에서 살거나 고용주에 의해 외국으로 보내지는 것을 더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2. 대한민국
재외국민등록법에 따라 외국의 일정한 지역에 90일을 초과하여 거주하거나 체류할 의사를 가지고 체류하는 대한민국 국민은 재외국민 등록을 해야 한다.[80]
1967년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와 1971년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 등 4차례에 걸쳐 재외공관원 등에게 우편투표 방식의 참정권이 주어졌으나, 1972년 재외국민 참정권이 폐지되었다.[81] 이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따라 2010년 관련 법이 개정되어 2012년 4월 국회의원 선거부터 투표권이 부여되었다.[81]
공직선거법에 따라 재외국민은 재외선거인 등록신청을 하거나, 국외부재자 신고를 함으로써 재외선거를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82][83] 2018년 4월 기준으로 재외국민은 대통령 선거, 임기만료에 따른 국회의원 선거에 투표할 수 있다.
대학의 경우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통해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국가는 재외국민이 거류국의 법령에 의해 누릴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도록 외교적 보호를 행할 의무가 있다.[87]
2. 1. 법령상 정의
대한민국 법률인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약칭 재외동포법) 제2조는 "재외국민"을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외국의 영주권(永住權)을 취득한 자 또는 영주할 목적으로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이 법은 "재외국민"과 "외국국적동포"를 합하여 "재외동포"라고 정의했다.[78]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 약칭: 영사조력법 ) 제2조 1항에 의거 “재외국민”이란 외국에 거주, 체류 또는 방문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말한다.[79]
재외동포법과 영사조력법의 차이는 각 법의 1조에 따라 재외동포법은 대한민국 내에서의 법적 지위를 정의한 법이나, 영사조력법은 해외에서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을 정의하고 있어 재외동포법보다 폭넓은 정의를 취하고 있다.
2. 2. 재외국민 등록
재외국민등록법 제2조는 "외국의 일정한 지역에 계속하여 90일을 초과하여 거주하거나 체류할 의사를 가지고 그 지역에 체류하는 대한민국 국민은 이 법에 따라 등록하여야 한다"고 규정했다. 같은 법 제3조에 따라 재외국민은 "주소나 거소(居所)를 관할하는 대한민국 대사관·총영사관·영사관·분관(分館) 또는 출장소(이하 "등록외국 공관"이라 한다)에" 재외국민 등록하여야 한다.[80]
2. 3. 재외국민의 선거권
1967년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와 1971년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 등 4차례에 걸쳐 재외공관원, 월남 파병 군인, 지·상사 직원, 독일 광부와 간호사 등에게 우편투표 방식의 참정권이 주어졌다. 그러나 해외 영주권자에게 국가에 대한 의무 이행 없이 권리만 주어지는 것에 대한 형평성 문제와 선거 관리의 어려움 등이 제기되었다. 1972년 선거법 부칙에 "부재자 가운데 외국 거주 유권자는 제외한다"는 조항이 추가되면서 재외국민 참정권이 폐지되었다.[81] 이로 인해 대한민국은 OECD 가입국 중 재외국민의 참정권을 허용하지 않는 유일한 국가였으나, 이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따라 2010년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재외국민 참정권법)"이 개정 통과되어 2012년 4월 국회의원 선거부터 투표권이 부여되었다.[81]
공직선거법 제14장의2 재외선거에 관한 특례 규정에 따라 재외국민은 재외선거인 등록신청을 하거나, 국외부재자 신고를 함으로써 재외선거를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82][83] 재외선거인은 (1)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고, (2) 19세 이상이고, (3) 주민등록이 되어있지 않거나 주민등록이 말소된 경우로서, 가족관계등록부에는 등재되어 있는 경우로서, 외국에서 투표하려는 사람이다. 국외부재자는 (1)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고, (2) 19세 이상이고, (3) 주민등록이 되어있고, (4) 사전투표기간 개시일 전에 출국하여 선거일 후에 귀국이 예정된 사람, 또는 외국에 머물거나 거주하여 선거일까지 귀국하지 아니할 사람으로서, 외국에서 투표하려는 사람이다.
2018년 4월 기준으로 공직선거법상 재외국민은 재외선거인으로 등록하거나, 국외부재자 신고를 함으로써, 대통령 선거, 임기만료에 따른 국회의원 선거에 투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4월 15일로 예정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해서는 재외선거인 등록은 2017년 5월 10일부터 2020년 2월 15일이고,[84] 국외부재자 신고는 2019년 11월 17일부터 2020년 2월 15일 사이에 하면 된다.[85] 2018년 6월 13일 지방선거에서 재외선거인 등록이나 국외부재자 신고를 통해서는 선거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야 하는데, 그 시한이 지났기 때문에 재외국민은 외국에서 투표하지 못하게 되었다.[86]
2. 4. 기타 재외국민에 관한 제도
대학의 경우 재외국민 특별전형을 일반전형에서 특별히 실시하여,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2. 5. 판례
국가는 재외국민이 조약 및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와 거류국의 법령에 의해 누릴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도록 거류국과의 관계에서 외교적 보호를 행할 의무가 있다.[87] 정부수립 이후 이주동포에게만 광범한 혜택을 부여하는 입법을 하고, 정부수립 이전 이주동포를 그 적용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배된다.[88]
3. 어원
4. 역사
4. 1. 유형별 재외국민 커뮤니티
19세기에는 증기선이나 기차를 통해 여행이 더 쉬워졌다. 사람들은 몇 년 동안 외국에서 살거나 고용주에 의해 그곳으로 보내지는 것을 더 쉽게 선택할 수 있었다. 다음 표는 그 이후에 개발된 주요 재외 국민 커뮤니티의 예를 보여준다.
그룹 | 기간 | 출신 국가 | 목적지 | 체류 국가 | 비고 |
---|---|---|---|---|---|
호주인 및 뉴질랜드인 (런던) | 1960년대-현재 | 호주/뉴질랜드 | 런던 | 영국 | |
비트 세대 | 1950년대 | 미국 | 탕헤르 | 모로코 | |
비트 세대 | 1960년대 | 미국 | 파리 | 프랑스 | 비트 호텔 참조. |
영국 퇴직자 | 1970년대–현재 | 영국 | 코스타 델 솔 | 스페인 | 영구적인 경우 이민자라고 주장할 수 있다. |
영국 퇴직자 | 현재 | 영국 | 도르도뉴 | 프랑스 | 영구적인 경우 이민자라고 주장할 수 있다. |
영국령 인도 제국 | 1721–1949 | 영국 | 인도 | "앵글로-인디언"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 |
유명인 및 예술가 | 1800년대–현재 | 다양 | 제네바 호수 | 스위스 | |
디지털 노마드 | 1990년대–현재 | 다양 | 발리 | 인도네시아 | |
영화 제작자 | 1910년대–현재 | 유럽 | 로스앤젤레스 | 미국 | "할리우드" |
제트족 | 1950년대–1970년대 | 다양 | 다양 | ||
잃어버린 세대 | 1920년대–30년대 | 미국 | 파리 | 프랑스 | 해마다 축제 참조. |
모더니스트 예술가 & 작가 | 1870년대–1930년대 | 다양 | 프랑스 리비에라 | 프랑스 | |
재벌 | 1990년대–현재 | 러시아 | 런던 | 영국 | |
샐러리맨 | 현재 | 일본 | 다양 | 일본인 디아스포라 참조. | |
상하이 프랑스 조계 | 1849–1943 | 프랑스 | 상하이 | 중국 | |
상하이 국제 조계 | 1863–1945 | 영국 | 상하이 | 중국 | 영국 조계에 의해 선행됨 |
상하이 국제 조계 | 1863–1945 | 미국 | 상하이 | 중국 | 미국 조계에 의해 선행됨 |
조세 도피자 | 1860년대(?)–현재 | 다양 | 몬테카를로 | 모나코 | |
제3 문화 아이들 | 현재 | 다양 | 다양 | 군인 자녀와 외교관 자녀 포함. |
5. 전 세계 재외국민 현황
전 세계의 재외국민 수는 정부의 인구 조사 부재로 인해 파악하기 어렵다.[27] 시장 조사 회사인 피나코드는 2017년에 그 수를 6,620만 명으로 추정했다.[28]
2013년, 국제 연합은 세계 인구의 3.2%인 2억 3,200만 명이 자국 밖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2019년에는 세계 인구의 3.5%인 약 2억 7,200만 명이 국제 이주자로 추정된다.[29]
6. 비즈니스 재외국민 (주재원)
플렉스패이트(flexpatriate)는 종종 사업을 위해 국제적으로 여행하는 직원을 의미한다.[15]
사람들이 해외로 이주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41] 모국의 특정 사회, 경제적 또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해 '밀려나'거나, 더 나은 직업 기회나 조건 때문에 목적 국가로 '끌려갈' 수 있다. 이러한 '끌어당김'은 기후, 더 나은 삶의 질, 또는 가족이나 친구가 그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과 같은 개인적인 선호도도 포함할 수 있다.[42][43]
어떤 사람들에게는 해외 이주가 의식적이고 철저하게 계획된 결정인 반면, 다른 사람들에게는 '충동적인', 즉흥적인 결정일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개인의 지리적, 사회 경제적 및 정치적 환경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상황의 영향을 받는다. 해외로 이주하려는 (또는 머물려는) 동기는 그 사람이 겪는 다양한 삶의 변화 (예: 결혼, 출산 등)에 따라 조정되기도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성격 (또는 성격 유형)은 주재국 문화에 적응하는 어려움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이러한 반응은 계속해서 해외에서 살아가려는 (또는 그렇지 않으려는)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44][45][46]
국제 경쟁 시대에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역시 사람들이 일하기 위해 다른 국가로 이주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6. 1. 주재원의 역할 및 중요성
일부 다국적 기업은 지사나 자회사에서 근무하도록 직원을 해외로 파견한다. 주재원 직원은 모회사가 해외 자회사를 보다 면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글로벌 조정을 개선할 수 있다.[30]2007년 연구에 따르면 주재원이 국제적인 경력을 추구하는 주요 요인은 책임의 폭, 국제 환경의 특성(위험 및 도전), 국제 직위의 높은 수준의 자율성, 문화적 차이(낡은 방식을 재고)였다.[31]
그러나 주재 전문직 종사자와 독립적인 주재 고용은 현지 직원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경우가 많다. 주재원 급여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생활비 또는 해외 근무와 관련된 어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수당이 추가된다. 의료, 주택 또는 국제 학교의 수수료와 같은 다른 비용도 지불해야 할 수 있다. 가족과 그들의 소지품을 이사하는 비용도 발생한다. 또 다른 문제는 외국 정부의 규제일 수 있다.[32][33]
배우자는 문화 충격, 평소의 사회적 관계망 상실, 자신의 경력 중단, 자녀의 새로운 학교 적응 지원 등으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것들은 해외 파견이 조기에 종료되는 주요 이유이다.[34] 그러나 배우자는 주재 전문직 종사자의 지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35] 자녀가 있는 가족은 거주국과 모국의 언어 및 문화적 측면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배우자는 가족의 문화 통합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기업은 해외 파견 결정 시 배우자를 조기에 포함하기 시작했으며, 가족이 출발하기 전에 코칭이나 적응 훈련을 제공한다.[36] 연구에 따르면 출발 전 상호 문화 훈련과 특정 관련성을 맞춤화하는 것이 주재원의 적응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7] 2012년 글로벌 이주 트렌드 설문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배우자의 88%가 제안된 이주를 거부한다. 파견을 거부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가족 문제와 배우자의 경력이다.[49][38]
'주재 실패'는 직원이 조기에 모국으로 귀국하거나 사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약 7%의 주재원이 조기 귀국하지만, 이 수치에는 파견 근무 중 부진한 성과를 보이거나 회사에서 완전히 사임한 직원은 포함되지 않는다.[39] 조기 주재원 귀국의 비용을 묻는 설문 조사에서 57개의 다국적 기업은 평균 약 225000USD의 비용이 든다고 보고했다.[40]
6. 2. 주재원의 어려움
주재원은 모회사가 해외 자회사를 더 면밀하게 관리하고 글로벌 조정을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30] 그러나 주재원은 현지 직원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경우가 많다. 주재원 급여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생활비나 해외 근무와 관련된 어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수당이 추가된다. 의료, 주택 또는 국제 학교 수수료와 같은 다른 비용도 지불해야 할 수 있다. 가족과 그들의 소지품을 이사하는 비용도 발생하며, 외국 정부의 규제도 문제가 될 수 있다.[32][33]배우자는 문화 충격, 평소의 사회적 관계망 상실, 자신의 경력 중단, 자녀의 새로운 학교 적응 지원 등으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이것들은 해외 파견이 조기에 종료되는 주요 이유이다.[34] 2012년 글로벌 이주 트렌드 설문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배우자의 88%가 제안된 이주를 거부하며, 파견을 거부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가족 문제와 배우자의 경력이다.[49][38]
6. 3. 주재원 관련 최근 동향
일부 다국적 기업은 지사나 자회사에서 근무하도록 직원을 해외로 파견한다. 이러한 주재원 직원은 모회사가 해외 자회사를 더 면밀하게 관리하고, 글로벌 조정을 개선할 수 있게 돕는다.[30]2007년 연구에 따르면 주재원이 국제적인 경력을 추구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31]
그러나 주재 전문직 종사자와 독립적인 주재 고용은 현지 직원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경우가 많다. 주재원 급여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생활비 또는 해외 근무와 관련된 어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수당이 추가된다. 의료, 주택 또는 국제 학교의 수수료와 같은 다른 비용도 지불해야 할 수 있다. 가족과 그들의 소지품을 이사하는 비용도 발생한다. 또 다른 문제는 외국 정부의 규제일 수 있다.[32][33]
배우자는 문화 충격, 평소의 사회적 관계망 상실, 자신의 경력 중단, 자녀의 새로운 학교 적응 지원 등으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것들은 해외 파견이 조기에 종료되는 주요 이유이다.[34] 그러나 배우자는 주재 전문직 종사자의 지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35] 자녀가 있는 가족은 거주국과 모국의 언어 및 문화적 측면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배우자는 가족의 문화 통합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기업은 해외 파견 결정 시 배우자를 조기에 포함하기 시작했으며, 가족이 출발하기 전에 코칭이나 적응 훈련을 제공한다.[36] 연구에 따르면 출발 전 상호 문화 훈련과 특정 관련성을 맞춤화하는 것이 주재원의 적응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7] 2012년 글로벌 이주 트렌드 설문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배우자의 88%가 제안된 이주를 거부한다. 파견을 거부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가족 문제와 배우자의 경력이다.[49][38]
'주재 실패'는 직원이 조기에 모국으로 귀국하거나 사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약 7%의 주재원이 조기 귀국하지만, 이 수치에는 파견 근무 중 부진한 성과를 보이거나 회사에서 완전히 사임한 직원은 포함되지 않는다.[39] 조기 주재원 귀국의 비용을 묻는 설문 조사에서 57개의 다국적 기업은 평균 약 225000USD의 비용이 든다고 보고했다.[40]
7. 학술 연구
최근 몇 년간 이 분야에 대한 학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메랄드 그룹 출판사는 2013년 "The Journal of Global Mobility: The home of expatriate management research"를 창간했다.[63]
S.K. Canhilal과 R.G. Shemueli는 성공적인 해외 파견 근무는 개인적, 조직적, 맥락적 요인의 조합에 의해 좌우된다고 제안한다.[64] 이들은 상호 문화적 역량, 배우자 지원, 동기 부여 문제, 파견 기간, 정서적 역량, 이전의 국제 경험, 언어 구사 능력, 사회적 관계 기술, 문화적 차이, 조직의 채용 및 선발 과정 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65]
8. 문학과 스크린에서의 묘사
문학과 영화는 재외국민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해왔다.
헨리 제임스는 《어떤 여인의 초상》, 《대사들》 등에서 신세계와 구세계의 관계를 다루었고, 조지프 콘래드는 《암흑의 핵심》, 《로드 짐》 등에서 해상 경험을 바탕으로 식민지에서의 삶을 그렸다. W. 서머셋 모옴은 《달과 6펜스》에서 타히티로 도망친 영국 증권 중개인의 이야기를, 《면도날》에서는 삶의 의미를 찾아 프랑스와 인도로 떠난 미국인 조종사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E.M. 포스터의 《인도로 가는 길》은 인도 독립 운동을 배경으로 하며,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데뷔 소설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를 시작으로 해외에서 위기에 처한 미국인들의 모습을 그렸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밤은 부드러워》는 프랑스 남부에서 몰락하는 미국인 부부에 관한 이야기였다. 조지 오웰은 《버마의 나날》에서 식민지 경찰관으로서의 경험을 담았다.
맬컴 로리는 《화산 아래에서》에서 멕시코를 배경으로 알코올 중독에 걸린 영국 영사의 이야기를 들려주었고,[67] 제임스 볼드윈의 《조반니의 방》은 파리에서 이탈리아 바텐더와 연애하는 미국 남성에 대한 이야기였다.
존 르 카레는 《추운 곳에서 온 스파이》를 비롯한 여러 소설에서 영국 스파이를 다루었고, 크리스토퍼 코치는 《위험한 해》에서 1965년 인도네시아 쿠데타의 전조를 그렸다.
미셸 우엘벡의 《플랫폼》은 태국에서 유럽 성 관광객을 소재로 했으며, 아서 필립스의 《프라하》는 냉전 말기 헝가리에서 미국인과 캐나다인을 다루었다. 그레고리 데이비드 로버츠의 《샨타람》은 호주 범죄자가 인도로 도망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재니스 Y. K. 리는 《엑스패트》와 미니시리즈에서 홍콩에 거주하는 미국인들을 다루며, 톰 랙먼은 《결함주의자들》에서 로마에서 영문 신문사를 위해 일하는 언론인들에 대해 썼다.[68]
'''회고록'''
1300년경에 쓰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서 Rustichello da Pisa는 마르코 폴로가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으로 여행한 이야기를 기록했다.
조지 오웰은 1933년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에서 파리 레스토랑 주방에서 저임금 노동자로 일한 경험을, 사이드 쿠트브는 1949년 ''내가 본 미국''에서 미국 유학 후 미국을 비난하는 내용을 담았다. 제럴드 듀렐은 1956년 ''내 가족과 그 밖의 동물들''에서 1930년대 후반 그리스 코르푸 섬에서 자연 연구가로 성장하는 과정을 묘사했다.
에두아르트 리모노프는 1979년 ''나야, 에디''에서 1970년대 뉴욕에서 소련 출신 재외국민으로 살았던 경험을, 피터 메일은 1989년 ''프로방스에서의 1년''에서 남부 프랑스에서의 생활에 적응하는 영국인 가족의 이야기를 담았다.
스티븐 클라크는 2004년 ''메르드에서의 1년''에서 파리에서의 생활을, 엘리자베스 길버트는 2006년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서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을 이야기했다. J. G. 발라드는 2008년 ''생명의 기적''에서 1930년대와 1940년대 상하이에서의 유년 시절을 회고했다.
8. 1. 문학
몽테스키외가 1721년에 출판한 페르시아의 편지(프랑스어: Lettres persanes)는 루이 14세와 섭정 시대 프랑스에서 몇 년을 보낸 두 명의 가상 페르시아 귀족 우즈베크와 리카가 고국에 남아 있는 친구들과 서신을 주고받는 내용을 담고 있다.헨리 제임스는 젊은 시절 유럽으로 이주하여 《어떤 여인의 초상》(1881), 《대사들》(1903), 《비둘기의 날개》(1902) 등에서 신세계와 구세계 간의 관계를 다루었다. 폴란드 출신 조지프 콘래드는 《암흑의 핵심》(1899), 《로드 짐》(1900), 《노스트로모》(1904) 등에서 해상 경험을 바탕으로 머나먼 식민지에서의 삶을 그렸다.
독일계 미국인 작가 헤르만 조지 셰파우어는 1900년부터 1925년까지 활동했다. 전직 스파이였던 영국 작가 W. 서머셋 모옴은 《달과 6펜스》(1919)에서 타히티로 도망쳐 예술가가 되는 영국 증권 중개인의 이야기를, 《면도날》(1944)에서는 프랑스와 인도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미국인 조종사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포드 매독스 포드는 《좋은 병사》(1915)에서 유럽의 온천 도시를 배경으로 미국인 부부와 영국인 부부의 불륜을 다루었다.
E.M. 포스터의 《인도로 가는 길》(1924)은 인도 독립 운동을 배경으로 하며,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데뷔 소설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1926)를 시작으로 해외에서 위기에 처한 미국인들의 모습을 그렸다.
그레이엄 그린은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소설과 단편 소설에서 이국적인 외국에서 고군분투하는 영국인들을 다루었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밤은 부드러워》(1934)는 프랑스 남부에서 몰락하는 미국인 부부에 관한 이야기였다. 조지 오웰은 《버마의 나날》(1934)에서 식민지 경찰관으로서의 경험을 담았고, 이블린 워는 《특종》(1938)에서 외국 특파원들을 풍자했다.
194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까지 폴 볼스는 모로코를 배경으로 《보호의 하늘》(1949)을 포함한 많은 단편 소설과 소설을 썼다.[66] 맬컴 로리는 《화산 아래에서》(1947)에서 멕시코에서 죽은 자들의 날에 묘사된 알코올 중독에 걸린 영국 영사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67]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는 《재능 있는 리플리 씨》(1955)를 포함하여 많은 심리 스릴러의 배경을 해외로 설정했다. 제임스 볼드윈의 《조반니의 방》(1956)은 파리에서 이탈리아 바텐더와 연애하는 미국 남성에 대한 이야기였다. 앤서니 버지스는 말라야에서 교사로 일하며 《말라야 3부작》(1956-1959)을 썼다. 《알렉산드리아 4중주》(1957-1960)는 로렌스 더렐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었다.
영국 작가 폴 스콧은 《라지 4부작》(1965-1975)으로 인도에서 영국 제국의 마지막 해를 다루었다. 존 르 카레는 《추운 곳에서 온 스파이》(1963)와 그 이후의 영국 스파이에 대한 많은 소설의 배경으로 해외를 사용했다.
크리스토퍼 코치는 《위험한 해》(1978)에서 1965년 인도네시아 쿠데타의 전조를 그렸고, 로버트 드루의 《정글 바의 절규》(1979)는 동남아시아에서 UN을 위해 일하는 호주인을 묘사했다.
J.G. 발라드는 《코카인 나이트》(1996)와 《슈퍼-칸》(2000)에서 프랑스 남부의 고급 주택 단지에서 어두운 비밀을 밝혀내는 영국인들의 이야기를 썼다.
미셸 우엘벡의 《플랫폼》(2001)은 태국에서 유럽 성 관광객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아서 필립스의 《프라하》(2002)는 냉전 말기 헝가리에서 미국인과 캐나다인을 다루었다. 그레고리 데이비드 로버츠의 《샨타람》(2003)은 호주 범죄자가 인도로 도망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크리스 파본은 《망명자들》(2012) 이후 여러 스릴러의 배경을 해외로 설정했다. 재니스 Y. K. 리는 《엑스패트》(2016)와 미니시리즈에서 홍콩에 거주하는 미국인들을 다룬다. 톰 랙먼은 《결함주의자들》(2010)에서 로마에서 영문 신문사를 위해 일하는 언론인들에 대해 썼다.[68]
'''회고록'''
1300년경에 쓰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서 Rustichello da Pisa는 마르코 폴로가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으로 여행한 이야기를 기록했다.
조지 오웰은 1933년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에서 파리 레스토랑 주방에서 일하며 저임금으로 고생하는 삶을 묘사했다. 사이드 쿠트브는 1949년 ''내가 본 미국''에서 미국 유학 후 미국을 비난했다. 제럴드 듀렐은 1956년 ''내 가족과 그 밖의 동물들''과 그 속편에서 1930년대 후반 그리스 코르푸 섬에서 자연 연구가로 성장하는 과정을 묘사했다. 로리 리는 1969년 ''한 여름 아침에 길을 나섰네''에서 1930년대 스페인에서 거리의 악사로 활동했던 경험을 이야기했다.
에두아르트 리모노프는 1979년 ''나야, 에디''에서 1970년대 뉴욕에서 살았던 소련 출신 재외국민으로서의 삶을 다룬다. 마이클 무어코크는 1986년 ''할리우드에서 온 편지''에서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 작가로 사는 삶에 대해 썼다. 피터 메일은 1989년 ''프로방스에서의 1년''에서 남부 프랑스에서의 생활에 적응하는 영국인 가족의 이야기를 담았다. 빌 브라이슨은 1995년 ''작은 섬에서 보낸 편지''에서 영국을 떠나는 작별 여행을 묘사했다.
스티븐 클라크는 2004년 ''메르드에서의 1년''에서 파리에서 일하며 겪는 코믹한 일탈을 이야기했다. 엘리자베스 길버트는 2006년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서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에서 삶의 의미를 찾았다. J. G. 발라드는 2008년 ''생명의 기적''에서 1930년대와 1940년대 상하이에서 보낸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이야기했다.
8. 2. 영화
여행 문학의 한 형태로, 재외국민의 생활을 다룬 회고록 형식의 작품들이 있다. 다음은 출판 연도순으로 나열된 주목할 만한 예시들이다.시기 | 작품명 | 작가 | 내용 |
---|---|---|---|
중세 |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 Rustichello da Pisa | 마르코 폴로의 실크로드를 통한 중국 여행을 기록 |
1930년대-1960년대 |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 조지 오웰 | 파리 레스토랑 주방에서 저임금 노동자로 일한 경험 묘사 |
내가 본 미국 | 사이드 쿠트브 | 미국 유학 후 미국을 비난하는 내용 | |
내 가족과 그 밖의 동물들 | 제럴드 듀렐 | 1930년대 후반 그리스 코르푸 섬에서 자연 연구가로 성장하는 과정을 묘사 | |
한 여름 아침에 길을 나섰네 | 로리 리 | 1930년대 스페인에서 거리 악사로 활동했던 경험 | |
1970년대-1990년대 | 나야, 에디 | 에두아르트 리모노프 | 1970년대 뉴욕에서 소련 출신 재외국민으로 살면서 겪은 열악한 노동 환경, 정치적 환멸 등을 다룸 |
할리우드에서 온 편지 | 마이클 무어코크 |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 작가로 사는 삶에 대해 친구와 서신을 주고받은 내용 | |
프로방스에서의 1년 | 피터 메일 | 남부 프랑스에서 낡은 농가를 개조하며 생활에 적응하는 영국인 가족의 이야기 | |
작은 섬에서 보낸 편지 | 빌 브라이슨 | 영국을 떠나는 작별 여행을 묘사 | |
2000년대 | 메르드에서의 1년 | 스티븐 클라크 | 파리에서 일하며 겪는 코믹한 일탈을 이야기 |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 엘리자베스 길버트 |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 | |
생명의 기적 | J. G. 발라드 | 1930년대와 1940년대 상하이에서 보낸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 |
8. 3. 텔레비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텔레비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다. 따라서, '텔레비전'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참조
[1]
웹사이트
expatriate {{!}} Definition of expatriate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2018-02-04
[2]
서적
A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4-25
[3]
간행물
International Migration Law No. 34 - Glossary on Migration
https://publications[...]
2019-06-19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expatriate in Engli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expatriate
https://www.merriam-[...]
2017-02-10
[6]
웹사이트
Definition of migrant in Engli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migrant
https://www.merriam-[...]
2017-02-10
[8]
웹사이트
Definition of immigrant in Engli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0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immigrant
https://www.merriam-[...]
2017-02-10
[10]
웹사이트
Why are white people expats when the rest of us are immigrants?
https://www.theguard[...]
2015-04-17
[11]
웹사이트
In Hong Kong, Just Who Is an Expat, Anyway?
https://blogs.wsj.co[...]
News Corp
2017-02-10
[12]
간행물
Privileged Mobility in an Age of Globality
2012-03-05
[13]
문서
United States Revised Statutes
[14]
웹사이트
Special Feature: Tributes to Frederika Randall (1948–2020)
https://www.arkint.o[...]
2021-02-06
[15]
웹사이트
Definition of flexpatriate
https://web.archive.[...]
The Nikkei
2017-02-22
[16]
웹사이트
Inpatriates: On the Term and Academic Findings
http://blog.iese.edu[...]
University of Navarra
2017-02-21
[17]
웹사이트
Rex-patriate games: Film takes humorous look at moving – and staying – abroad
http://edition.cnn.c[...]
Time Warner
2017-02-21
[18]
뉴스
Hard lessons in expat paradise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7-02-22
[19]
웹사이트
Sexpat Journalists Are Ruining Asia Coverage
https://foreignpolic[...]
2018-05-18
[20]
웹사이트
The Old Sexpats Club members and their young Thai women
https://www.telegrap[...]
2022-09-07
[21]
웹사이트
eggcorn
https://wordsmith.or[...]
2013-02-21
[22]
웹사이트
Rich, Russian and Living in London review: uber-richskis in diamond-encrusted cars
https://www.theguard[...]
2017-02-24
[23]
서적
The Einstein Dossiers: Science and Politics - Einstein's Berlin Period with an Appendix on Einstein's FBI File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4]
웹사이트
Oskar Maria Graf timeline: expatriated 1934
http://www.kritikatu[...]
2013-05-01
[25]
간행물
The overseas student: expatriate, sojourner or settler?
https://pubmed.ncbi.[...]
1988-07-17
[26]
웹사이트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for Whom? Expatriate Students, Choice-making and International (Im)mobility in the Northern United Arab Emirates
https://files.eric.e[...]
[27]
간행물
Counting Immigrants and Expatriates in OECD Countries
2005-11-02
[28]
웹사이트
Finaccord - Global Expatriates: Size, Segmentation and Forecast for the Worldwide Market
https://www.finaccor[...]
[29]
웹사이트
International Migration 2020 Highl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30]
서적
Research and Practic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31]
간행물
The career capital of managers with global careers
2007-09-25
[32]
서적
Managing Human Resources
Pearson
[33]
간행물
Themes in Expatriate and Repatriate Research over Four Decades: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Still Need to Learn?
2016
[34]
간행물
DOES CULTURE REALLY MAKE A DIFFERENCE IN EXPAT ASSIGNMENTS?
https://web.archive.[...]
2013-09
[35]
문서
Lauring, J., & Selmer, J. 2010. The supportive expatriate spouse: An ethnographic study of spouse involvement in expatriate career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9(1): 59-69.
[36]
서적
International Assignee Selection and Cross-Cultural Training and Development -in Handbook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Second Edition
https://www.elgaronl[...]
Edward Elgar Publishing
[37]
논문
The theory of met expectations applied to expatriate adjustment: the role of crosscultural training
https://www.tandfonl[...]
2001-01-01
[38]
서적
Essentials of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SAGE
[39]
논문
Global Relocation Trends 2010
2010
[40]
논문
Expatriate practices in German, Japanese, U.K., and U.S. multinational companies: a comparative survey of changes.
2009
[41]
논문
What makes them move abroad? Reviewing and exploring differences between self-initiated and assigned expatriation
https://doi.org/10.1[...]
2015-04-12
[42]
논문
A theory of migration
1966-03-01
[43]
논문
Contemporary Immigra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on its Determinants and Modes of Incorporation1
https://journals.sag[...]
2018-06-20
[44]
논문
International relocation mobility readiness and its antecedents
https://www.emerald.[...]
2015-04-13
[45]
논문
Motivations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Self-Initiated Expatriates, Assigned Expatriates, and Immigrant Workers: The Case of Portuguese Migrant Workers in the United Kingdom
http://journals.sage[...]
2017-08
[46]
논문
Person-environment fit and emotional control: Assigned expatriates vs. self-initiated expatriates
http://www.sciencedi[...]
2018-10-01
[47]
웹사이트
Is the Traditional Expat Model Declining? 3 Ways Organisations Are Replacing It
https://blog.executi[...]
[48]
논문
Changing patterns of global staffing in the multinational enterprise: Challenges to the conventional expatriate assignment and emerging alternatives
https://aran.library[...]
[49]
서적
Essentials of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SAGE
[50]
웹사이트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expat?
https://www.eca-inte[...]
[51]
논문
Expatriate assignment versus overseas experience: Contrasting models of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52]
웹사이트
Self-initiated expatriates (SIEs)
https://feloresearch[...]
FELOresearch
2013-10-09
[53]
문서
Andresen, M., Bergdolt, F., & Margenfeld, J. 2012. What distinguishes self-initiated expatriates from assigned expatriates and migrants? A literature-based definition and differentiation of terms. In M. Andresen, A. A. Ariss, M. Walther, & K. Wolff (Eds.), Self-initiated expatriation: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54]
문서
Inkson, K., & Myers, B. A. 2003. "The big OE": self-directed travel and career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8(4): 170-181.
[55]
문서
Selmer, J., & Lauring, J. 2010. Self-initiated academic expatriates: Inherent demographics and reasons to expatriate. [[European Management Review]], 7(3): 169-179.
[56]
문서
Tharenou, P. 2013. Self-initiated expatriates: An alternative to company-assigned expatriates? Journal of Global Mobility, 1(3): 336-356.
[57]
논문
Foreign executives in local organisations: An exploration of differences to other types of expatriates
https://www.research[...]
2013
[58]
논문
Emerging giants, aspiring multinationals and foreign executives: Leapfrogging, capability building, and competing with developed country multinationals
https://www.research[...]
2014
[59]
웹사이트
Foreign Executives in Local Organisations
https://FELOresearch[...]
FELOresearch
2012-07-13
[60]
논문
Typologies: What types of foreign executives are appointed by local organisations and what types of organisations appoint them?
https://www.research[...]
2013
[61]
웹사이트
The Path to Diversity: Women on Assignment
https://mobilityexch[...]
2019-09-10
[62]
웹사이트
Expat Insider 2022
https://www.internat[...]
2022-09-07
[63]
웹사이트
Journal of Global Mobility: The Home of Expatriate Management Research
https://www.emeraldi[...]
[64]
웹사이트
Antecedent factors for success in international assignments: the case of expatriates in Peru
https://www.research[...]
2022-03-04
[65]
웹사이트
Expatriation: Challenges and Success Factors of an International Career
https://llufb.llu.lv[...]
2023-10-05
[66]
간행물
Without Stopping: An Autobiography
[67]
뉴스
Under the Volcano: a modernist masterpiece
https://www.theguard[...]
2019-08-30
[68]
웹사이트
The Imperfectionists by Tom Rachman
https://www.theguard[...]
2019-09-14
[69]
웹사이트
expatriate {{!}} Definition of expatriate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8-02-04
[70]
서적
A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4-25
[71]
웹사이트
Definition of expatriate in English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0
[72]
웹사이트
Definition of expatriate in English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0
[73]
웹사이트
Definition of expatriat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2-10
[7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igrant in English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0
[75]
웹사이트
Definition of migrant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2-10
[76]
웹사이트
Definition of immigrant in English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0
[77]
웹사이트
Definition of immigrant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2-10
[78]
법률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제2조
http://www.law.go.kr[...]
2018-04-24
[79]
법률
재외국민보호를위한영사조력법
https://www.law.go.k[...]
2022-05-08
[80]
법률
재외국민등록법 제3조
http://www.law.go.kr[...]
2022-05-22
[81]
웹인용
재외국민 참정권 회복과 2012년 선거
https://web.archive.[...]
창비주간논평
2010-07-28
[82]
법률
공직선거법
http://www.law.go.kr[...]
[83]
웹사이트
재외선거
https://ova.nec.go.k[...]
2018-04-26
[84]
웹사이트
재외선거인 등록신청
https://ova.nec.go.k[...]
2018-04-26
[85]
웹사이트
국외부재자 신고
https://ova.nec.go.k[...]
2018-04-26
[86]
뉴스
재외국민은 지방선거 투표 못해…공직선거법 개정작업 이뤄져야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8-04-24
[87]
판례
89헌마189
[88]
판례
99헌마4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