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더니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더니즘은 19세기 산업 혁명과 부르주아 가치에 대한 낭만주의의 반발로 시작된 예술 사조이다. 20세기 초에 문학, 미술, 건축,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19세기 예술의 전통적인 틀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모더니즘은 기존의 전통과의 단절을 시도하며,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과 내면세계를 탐구했다. 1930년대와 40년대를 거치며 정치적, 사회적 변화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고,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학 이론 - 객관주의
    객관주의는 아인 랜드가 제시한 철학으로, 객관적 현실에 기반한 지식과 가치를 인간의 이성을 통해 발견하고, 합리적 이기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며, 예술을 현실 재창조로 정의한다.
  • 미학 이론 - 교훈주의
    교훈주의는 가르침을 목적으로 예술, 문학, 디자인 등에서 나타나는 경향으로, 즐거움과 도덕적 가르침을 추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건축 양식 - 비잔틴 건축
    비잔틴 건축은 4세기부터 15세기까지 동로마 제국에서 발전한 건축 양식으로, 십자형 평면, 돔, 모자이크, 펜던티브, 스킨치 등을 활용하며, 성 소피아 대성당과 같은 대표 건축물들을 통해 서유럽, 이슬람, 동방 정교회 문화권에 영향을 미쳤다.
  • 건축 양식 - 브루탈리즘
    브루탈리즘은 1950년대에 시작된 건축 양식으로, 노출 콘크리트와 기능성을 강조하며,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아 대학 캠퍼스 건축 등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 쇠퇴 후 재평가되기도 하였다.
  • 미학 - 패러다임
    패러다임은 특정 학문 분야나 시대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개념, 사고방식, 문제 해결 방식의 체계로, 과학 분야에서는 특정 시기에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이론, 법칙, 실험 방법 등을 포괄하며, 쿤은 과학 발전이 기존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되는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 미학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모더니즘
개요
다양한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콜라주
다양한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콜라주
시기19세기 후반 ~ 20세기 중반
이전 시대낭만주의
다음 시대포스트모더니즘
특징
특징급격한 변화와 발전의 시대에 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반응
주요 특징전통적인 형태의 예술, 건축, 문학, 종교, 사회 조직 및 일상 생활의 기능에 대한 의도적인 파괴
기술의 힘에 대한 믿음
주제인간 경험의 주관성, 추상화, 무의식
역사적 배경
주요 영향산업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정신분석학 (프로이트)
마르크스주의
니체 철학
분야별 주요 경향
미술인상주의
표현주의
입체파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
문학의식의 흐름 기법
실험적인 형식
전통적인 서사 구조의 거부
건축기능주의
바우하우스
국제주의 양식
음악무조음악
12음 기법
새로운 리듬과 음색의 탐구
주요 인물
미술파블로 피카소
마르셀 뒤샹
살바도르 달리
에드바르 뭉크
클림트
문학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
T.S. 엘리엇
프란츠 카프카
마르셀 프루스트
건축르 코르뷔지에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어 로에
음악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놀트 쇤베르크
알반 베르크
안톤 베베른
한국 모더니즘
특징1930년대에 서구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시작
식민지 시대의 암울한 현실과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을 동시에 표현
주요 작가이상
김기림
박태원
정지용
참고 자료
관련 개념모더니티
아방가르드
포스트모더니즘

2. 역사

모더니즘은 일반적으로 20세기 이후에 나타난 예술 및 문화 운동을 가리킨다. 이는 19세기까지 이어져 온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 규범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더니즘은 현대적인 가치를 중시하며, 20세기 초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전개된 실험적인 시도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현대 예술'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좁은 의미로는 19세기 말 로마 가톨릭교회 내부에서 현대 사회에 부응하는 신앙을 모색하려 했던 신학적 움직임을 지칭하기도 했으나, 이는 당시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스페인포르투갈 지역의 모더니즘 운동은 별도로 모데르니스모라고 불린다.

2. 1. 19세기: 기원과 초기 발전

외젠 드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 1830년, 낭만주의 미술 작품


모더니즘은 산업 혁명과 부르주아 가치의 확산에 대한 낭만주의의 반발 속에서 발전했다. 문학 학자 제럴드 그래프는 "모더니즘의 근본적인 동기는 19세기 부르주아 사회 질서와 그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었으며, 모더니스트는 낭만주의의 횃불을 들었다"고 분석한다.[30][31]

프란츠 폰 렌바흐, ''오토 폰 비스마르크 공작'', 1895년. 은퇴한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사실주의 초상화. 모더니스트 예술가들은 사실주의를 대체로 거부했다.


19세기 주요 풍경 화가 중 한 명인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1775–1851)는 낭만주의 운동에 속했지만, 빛, 색, 분위기에 대한 선구적인 탐구는 프랑스 인상주의자들을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터너는 자신의 작품이 항상 중요한 역사적, 신화적, 문학적 주제를 표현해야 한다고 믿었다는 점에서, 표현의 전통적인 공식을 깨뜨리려 했던 후대 모더니스트들과는 차이가 있었다.[32] 모더니스트들은 예술이 현실의 본질을 보여주는 창이라는 낭만주의자들의 믿음을 비판했다. 그들은 각 관람자가 주관적인 관점에서 예술을 해석하므로, 낭만주의자들이 추구했던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진실 전달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모더니스트들은 예술을 세상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여기는 생각 자체를 완전히 버리지는 않았다. 다만 예술을 더 높은 현실에 직접 접근하는 통로라기보다는, 관람자의 관점에 도전하고 기존의 인식을 흔드는 도구로 간주했다.[33]

모더니즘은 종종 자연주의적 표현 안에서 의미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 19세기 사실주의를 거부했다. 대신 일부 모더니스트들은 더 '진정한' 사실주의, 즉 단일한 중심 시점이 없는 사실주의를 추구했다. 예를 들어, 피카소의 1907년 원시 입체주의 회화 ''아비뇽의 처녀들''은 대상을 단일 관점에서 보여주지 않고 평평한 2차원적 그림 평면을 제시한다. 1911년작 ''시인'' 역시 여러 관점에서 본 인체를 하나의 복합적인 이미지로 합성하여 중심 없는 시점을 보여준다.[34]

"만물이 무너진다"는 시대적 감각 속에서 모더니즘은 때때로 낭만주의의 아포테오시스(신격화)로 여겨지기도 한다. 초기 독일 낭만주의자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이 묘사했듯, 낭만주의가 인물, 자연, 더 높은 힘, 세상의 의미에 대한 형이상학적 진실을 탐구했다면, 모더니즘은 그러한 형이상학적 중심을 갈망하면서도 결국 그 붕괴만을 발견하게 된다.[35]

수정궁 (1854). 수정궁은 당시 건축물 중 가장 넓은 면적의 유리를 사용했다.


산업 혁명(~1760–1840) 시기의 중요한 혁신으로는 1830년대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 동력 산업화와 그에 따른 물리학, 공학, 건축의 발전이 있었다. 19세기 주요 공학적 성과 중 하나는 런던 1851년 만국 박람회를 위해 지어진 거대한 주철 및 판유리 건축물인 수정궁이었다. 유리와 철은 킹스크로스역(1852)과 패딩턴 역(1854) 등 도시 곳곳의 주요 기차역 건설에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해외로 퍼져나가 브루클린 다리(1883)와 에펠탑(1889) 같은 구조물로 이어졌고, 에펠탑은 인공 구조물의 높이에 대한 기존의 모든 한계를 넘어섰다. 이러한 공학적 성취는 19세기 도시 환경과 일상생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1837년 전신의 발명과 1845년부터 영국 철도 회사들이 표준 시간을 채택하면서 시간 자체에 대한 인간의 경험도 바뀌기 시작했고, 이 개념은 이후 50년 동안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역사와 문명이 본질적으로 진보하며 그 발전이 항상 긍정적이라는 생각은 19세기에 점차 도전을 받았다. 예술가의 가치와 사회의 가치가 다를 뿐 아니라 종종 대립하며, 사회의 현재 가치가 오히려 진보를 가로막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세기 초 철학자 쇼펜하우어(1788–1860)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1819/20)에서 이전 시대의 낙관주의에 의문을 제기했고, 그의 사상은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를 포함한 후대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쇠렌 키르케고르(1813–1855)와 니체는 현실을 순전히 객관적인 시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을 거부했으며, 이는 실존주의허무주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에두아르 마네, ''올랭피아'', 1863–65, 캔버스에 유채, 오르세 미술관. 올랭피아의 도발적인 시선과 그녀가 매춘부임을 암시하는 여러 세부 사항(당시 파리에서 '올랭피아'는 매춘부와 연관된 이름이었다)은 1865년 파리 살롱 전시 당시 큰 논란을 일으켰고, 보수주의자들은 이 작품을 "부도덕하고 저속하다"고 비난했다.


1850년경 영국에서는 라파엘 전파 형제단(시인, 화가, 비평가 그룹)이 산업화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지배적인 예술 경향, 특히 "영감 없는 기교주의"에 반대하며 도전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미술 평론가 존 러스킨(1819–1900)의 글에 영향을 받았는데, 러스킨은 급성장하는 산업 도시 노동자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예술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술 평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라파엘 전파를 초기 모더니스트로 보았다. 그는 "초기 모더니스트는 라파엘 전파였고... 그들은 당시 회화에 대한 불만을 행동으로 옮겼으며, 기존 사실주의가 충분히 진실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평가하며, 이들이 모더니즘 회화의 시작점으로 여겨지는 에두아르 마네(1832–1883)를 예고했다고 보았다.

19세기 중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두 명은 종의 기원(1859)을 쓴 찰스 다윈(1809–1882)과 자본론(1867)을 쓴 카를 마르크스(1818–1883)였다.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했지만, 그들의 이론은 모두 기존 질서를 뒤흔들었다. 다윈의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론은 진리에 대한 종교적 관점과 인간 중심주의 사상을 약화시켰다. 특히 인간이 "하등 동물"과 같은 본능에 의해 움직인다는 생각은 인간의 고귀한 영성이라는 개념과 조화되기 어려웠다. 한편,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체제 내의 근본적인 모순과 노동자들의 노동권 부재를 지적하며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토대를 마련했다.

오딜롱 르동, ''물의 수호령'', 1878, 종이에 숯, 시카고 미술관. 르동은 자신의 작품에 대해 "나의 그림은 ''영감을 주고'', 정의될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음악과 마찬가지로, 우리를 미정의 모호한 영역에 위치시킵니다."라고 설명했다.


예술 사학자들은 모더니즘의 시작 시점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역사가 윌리엄 에버델은 모더니즘이 1870년대에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데, 이때 리하르트 데데킨트(1831–1916)의 데데킨트 절단루트비히 볼츠만(1844–1906)의 통계 열역학으로 인해 연속성에 대한 기존 관념이 이산적인 것으로 바뀌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본다.[13] 에버델은 또한 회화에서의 모더니즘은 후기 인상주의 화가 조르주 쇠라점묘법을 개발하여 ''라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를 그린 1885–1886년에 시작되었다고 본다. 반면, 미술 평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1724–1804)를 "최초의 진정한 모더니스트"라고 불렀지만,[48] 동시에 "안전하게 모더니즘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은 지난 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문학의 샤를 보들레르(1821–1867), 회화의 마네, 그리고 아마도 소설의 귀스타브 플로베르(1821–1880)와 함께 나타났다"고 썼다.[44]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과 플로베르의 소설 ''보바리 부인''은 모두 1857년에 출판되었다. 보들레르의 에세이 "현대 생활의 화가"(1863)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전통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시대를 묘사하는 새로운 방식을 찾도록 영감을 주었다.

1860년대부터 프랑스에서는 예술과 문학에서 두 가지 주요 흐름이 나타났다. 첫째는 인상주의로, 처음에는 스튜디오 밖 야외(''야외 작업'')에서 작업하며 빛 자체의 인상을 포착하려 했던 회화 유파였다. 인상주의는 내부 분열에도 불구하고 점차 영향력을 확대했다. 정부 주최의 파리 살롱에서 초기에는 거부당했지만, 인상주의자들은 1870년대와 1880년대에 독자적인 그룹 전시회를 열었다. 1863년 황제 나폴레옹 3세가 마련한 낙선 살롱은 살롱에서 거부된 작품들을 전시했는데, 이때 마네의 작품이 큰 주목을 받으며 인상주의 운동에 문을 열어주었다. 둘째는 상징주의로, 문학에서는 샤를 보들레르에서 시작하여 아르튀르 랭보(1854–1891), 폴 베를렌(1844–1896), 스테판 말라르메(1842–1898), 폴 발레리(1871–1945) 등으로 이어졌다. 상징주의자들은 직접적인 묘사보다는 암시와 환기를 선호했으며, 특히 "언어의 음악적 특성"에 주목했다.[49]

카바레 역시 모더니즘 예술의 산실 중 하나였다. 1881년 파리 몽마르뜨에 문을 연 검은 고양이는 아이러니한 독백과 부조리 예술 협회의 시작을 알렸으며, 영화의 직접적인 전조를 포함한 다양한 예술 형식을 탄생시켰다.[50]

앙리 마티스, ''삶의 기쁨'', 1905–1906, 바르네스 재단, 미리언, PA. 초기 야수파 작품.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와 크라프트-에빙 등 성과학자들의 이론도 초기 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트의 첫 주요 저작인 ''히스테리 연구''(요제프 브로이어와 공저, 1895)는 "정신 생활에서 무의식의 우위"라는 개념을 핵심으로 제시했다. 프로이트는 모든 주관적 현실이 기본적인 충동과 본능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며, 이를 통해 외부 세계가 인식된다고 보았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주관적 상태는 원초적 충동으로 가득 찬 무의식과 사회적 가치에서 비롯된 자기 제약 사이의 갈등을 포함한다.[43]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 역시 모더니즘의 주요 선구자 중 한 명이다.[52] 그의 철학에서는 심리적 충동, 특히 "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가 핵심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니체는 종종 삶 자체를 성장과 지속에 대한 본능인 '힘에의 의지'와 동일시했다.[53][54] 한편, 앙리 베르그손(1859–1941)은 과학적, 시계적 시간과 인간이 직접적이고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시간 사이의 차이를 강조했다.[42] 시간과 의식에 대한 그의 연구는 특히 도로시 리처드슨, 제임스 조이스, 버지니아 울프(1882–1941)와 같이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20세기 소설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55] 베르그손 철학의 또 다른 중요 개념은 생명력, 즉 ''엘랑 비탈''(''élan vital'')로, 이는 "모든 것의 창조적 진화를 이끄는 힘"으로 설명된다.[42] 그의 철학은 지성의 중요성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직관에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42]

문학 분야에서는 소설 ''죄와 벌''(1866)과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1880)을 쓴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1821–1881),[56] 시집 ''풀잎''(1855–1891)을 출간한 월트 휘트먼(1819–1892), 그리고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1849–1912)의 후기 희곡들(삼부작 ''다마스쿠스로'' 1898–1901, ''꿈의 연극'' 1902, ''유령 소나타'' 1907 등)이 모더니즘의 중요한 선구자로 꼽힌다. 헨리 제임스 역시 초기작 ''어느 여인의 초상''(1881) 등을 통해 모더니즘의 중요한 전조를 보여준 작가로 평가받는다.[57]

2. 2. 20세기 초: 모더니즘의 등장과 확산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은 1959년에 완공되었으며,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설계했다.


모더니즘은 단순히 예술 사조를 넘어, 더 넓은 ''시대정신''에 영향을 미친 문화 운동이었다. 이는 다양한 예술 및 학문 분야의 아방가르드 내에서 널리 퍼진 자기 의식 또는 자기 지시를 특징으로 하는 사고 및 행동 체계로 묘사된다.[13] 특히 서구에서는 진보주의 운동으로서, 인간이 실용적인 실험, 과학적 지식, 기술의 도움을 받아 환경을 만들고 개선하며 재구성할 수 있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운동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더니즘은 존재의 모든 측면을 재검토하도록 이끌었으며, 진보를 방해한다고 여겨지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대체하고자 했다.

역사학자 로저 그리핀은 모더니즘을 "새로운 시대성"이라는 에토스에 의해 유지되는 광범위한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활동으로 정의한다. 그는 모더니즘이 현대성의 분열적이고 세속적인 영향 아래 약화된 것으로 인식되는 '노모스'(사회적 규범과 질서) 또는 '성스러운 덮개'를 회복하려는 열망을 지닌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표현주의, 미래주의, 생기론, 신지학, 정신분석, 나체주의, 우생학, 유토피아적 도시 계획, 현대 무용, 볼셰비키, 유기적 민족주의, 심지어 제1차 세계 대전의 자기 희생 숭배까지도 (인식된) 퇴폐에 맞서 싸운다는 공통의 기반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이들은 모두 개인이 현실에 대한 초개인적인 경험에 접근하여 역사의 창조자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구현하려는 시도였다.[15]

문학적 모더니즘은 종종 W. B. 예이츠의 시 '재림'에 나오는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다. 중심은 잡히지 않는다."라는 구절로 요약된다.[16] 모더니스트들은 형이상학적 '중심'을 찾으려 하지만 결국 그 붕괴를 경험한다.[17] 철학적으로 이러한 형이상학의 붕괴는 데이비드 흄에게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우리가 사건들의 '상수 연접'만을 경험할 뿐 형이상학적 '원인'이나 대상으로서의 '자아'를 직접 인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9] 따라서 모더니즘은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한 갈망과 그것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 나타난다.

모더니즘은 종종 19세기 사실주의를 거부하는데, 이는 사실주의가 자연주의적 표현 내에서 의미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모더니스트들은 오히려 중심이 없는, 더 '진정한' 사실주의를 추구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파블로 피카소의 1907년 작품 아비뇽의 처녀들은 단일 시점이 아닌 여러 시점에서 대상을 제시하며 평면적인 화면을 구성한다. 이는 대상을 여러 관점에서 파악하여 단일 이미지로 종합하려는 시도였다.[21]

파블로 피카소, ''시인'', 1911, 캔버스 유화, 페기 구겐하임 컬렉션. 원시 입체주의는 대상을 다양한 시점에서 제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모더니즘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역사가 윌리엄 에버델은 리하르트 데데킨트데데킨트 절단루트비히 볼츠만의 통계 열역학으로 인해 연속성이 개별적인 것으로 바뀌기 시작한 1870년대를 모더니즘의 시작으로 보았다.[13] 회화에서는 조르주 쇠라점묘법을 개발하여 ''라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를 그린 1885–1886년을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반면, 미술 평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이마누엘 칸트를 "최초의 진정한 모더니스트"로 칭하면서도,[48] 문학에서는 샤를 보들레르, 회화에서는 마네, 소설에서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함께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모더니즘이 나타났다고 보았다.[44]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과 플로베르의 소설 ''보바리 부인''은 모두 1857년에 출판되었으며, 보들레르의 에세이 "현대 생활의 화가"(1863)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전통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들의 시대를 묘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1860년대 프랑스에서는 인상주의와 상징주의라는 두 가지 주요 흐름이 나타났다. 인상주의는 야외에서 빛 자체를 포착하려 했으며, 파리 살롱에서 처음에는 거부당했지만 낙선 살롱 등을 통해 점차 인정받았다. 상징주의는 보들레르에서 시작하여 아르튀르 랭보, 폴 베를렌, 스테판 말라르메, 폴 발레리 등으로 이어졌으며, 직접적인 묘사보다는 암시와 환기, 언어의 음악성을 중시했다.[49] 또한, 1881년 파리 몽마르뜨에 문을 연 카바레 검은 고양이는 아이러니한 독백과 부조리 예술 등 모더니즘 예술의 여러 형식이 탄생하는 배경이 되었다.[50]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역시 초기 모더니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 활동에서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모든 주관적 현실이 기본적인 충동과 본능, 그리고 사회적 가치에서 비롯된 자기 제한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반한다고 보았다.[43]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 특히 "힘에의 의지" 개념,[53][54] 그리고 앙리 베르그손의 시간과 의식에 대한 탐구(특히 의식의 흐름 기법에 영향을 준 '지속'의 개념과 '엘랑 비탈' 즉 생명력)[42][55] 역시 모더니즘의 중요한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문학에서는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월트 휘트먼,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헨리 제임스 등이 중요한 선구자로 꼽힌다.[56][57]

스톡클레 궁전(1905–1911) by 모더니스트 건축가 요제프 호프만


파블로 피카소, ''다니엘-앙리 칸바일러''의 초상, 1910, 시카고 미술 연구소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폴링워터, 밀 런, 펜실베이니아 (1937). 라이트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주택 중 하나이다.


20세기 초반, 기존 예술 경향의 연장선상에서 출발했지만 대중의 예술에 대한 기존 이해를 깨뜨리는 모더니즘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주요 "모더니스트" 성과로는 아놀드 쇤베르크의 현악 사중주 2번(1908)에서 나타난 무조성, 바실리 칸딘스키의 초기 추상화와 청기사 그룹 결성(1911), 그리고 앙리 마티스, 파블로 피카소, 조르주 브라크 등을 중심으로 한 야수파입체주의의 등장을 들 수 있다.

모더니즘은 전통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기술(재현, 통합, 재작성, 요약, 수정, 패러디 등)을 활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T. S. 엘리엇은 시인의 가장 독창적인 부분이 오히려 과거 시인들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지만,[60] 모더니즘과 전통의 관계는 복잡하여, 혁명적이면서도 반동적이고, 새로움에 대한 두려움과 낡은 것의 소멸에 대한 기쁨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다.[61]

피에트 몬드리안, ''해변과 부두가 있는 둔덕에서 본 풍경, 돔부르크,'' 1909, 뉴욕 현대 미술관의 유화 및 연필


음악에서 아놀드 쇤베르크는 전통적인 조화 체계를 거부하고 12음렬 기법을 창안했지만, 이는 프란츠 리스트, 리하르트 바그너, 구스타프 말러 등 이전 작곡가들의 작업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62][63][64] 미술에서는 피카소와 마티스가 전통적인 원근법을 거부하여 논란을 일으켰으나,[65][66] 이는 이미 인상주의 화가 클로드 모네 등이 시도했던 혁신의 연장선상에 있었다.[67]

입체주의폴 세잔의 후기 작품에서 큰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68] 입체주의는 대상을 분석, 분해하고 여러 시점에서 본 모습을 추상적인 형태로 재조립하여 표현했다.[69] 1911년 파리 살롱 데 자르티스트 앙데팡당 전시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장 메칭거, 알베르 글레즈, 앙리 르 포코니에, 로베르 들로네 등이 참여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12년 메칭거와 글레즈는 입체주의 선언문인 ''듀 "큐비즘"''을 발표했고, 같은 해 황금 분할 전시회에서는 글레즈의 ''목욕하는 사람들''과 ''수확 탈곡'', 들로네의 ''La Ville de Paris'' 등 기념비적인 작품들이 선보였다.[71]

에곤 실레의 ''에두아르 코스마크의 초상'' (1910)


르 코르뷔지에, 푸아시의 사보아 저택 (1928–1931)


1905년 독일 드레스덴에서는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를 중심으로 브뤼케(다리) 그룹이 결성되었고, 1911년 뮌헨에서는 바실리 칸딘스키, 프란츠 마르크 등이 청기사 그룹을 결성하며 독일 표현주의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표현주의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인간 소외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했으며, 현실주의적 묘사를 거부하고 주관적인 감정과 내면 세계를 강렬하게 표현하고자 했다.[75][76] 연극 분야에서는 게오르크 카이저, 에른스트 톨러 등이 대표적인 표현주의 극작가로 활동했으며, 오스카 코코슈카의 ''여인의 희망, 살인자''(1909 초연)는 최초의 완전한 표현주의 연극으로 평가받는다.[77]

미래주의는 1909년 F. T. 마리네티가 ''르 피가로''에 발표한 선언문을 통해 시작되었다. 미래주의는 과거의 예술을 부정하고 기계 문명의 역동성, 속도, 기술을 찬양했으며, 자코모 발라, 움베르토 보치오니 등의 화가들이 참여했다.

추상 미술인상주의, 폴 세잔, 에드바르트 뭉크 등의 영향을 받아 색채와 형태 자체를 예술의 본질로 간주하며 발전했다.[81] 서양 미술의 전통적인 재현 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시각적 언어를 모색했으며, 바실리 칸딘스키, 피에트 몬드리안, 카지미르 말레비치 등이 대표적인 추상 미술가이다. 사진술의 발달로 인해 시각 예술의 재현 기능이 약화된 것도 추상 미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83]

건축 분야에서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르 코르뷔지에 등이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과거의 양식을 거부하고 기능성을 강조하는 모더니즘 건축을 선보였다. 르 코르뷔지에는 건물을 "살기 위한 기계"로 보았으며,[86] 장식을 배제하고 재료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기계 미학을 추구했다.[87] 세인트루이스의 웨인라이트 빌딩(1891)은 초기 마천루의 예시이며,[88]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뉴욕 시그램 빌딩(1956–1958)은 모더니즘 고층 건축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89]

1913년은 에드문트 후설의 ''관념'', 닐스 보어의 양자화된 원자 모델 발표, 에즈라 파운드이미지즘 운동 시작, 뉴욕 아모리 쇼 개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봄의 제전'' 초연 등 모더니즘의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난 해였다. 특히 ''봄의 제전''은 원시적인 리듬과 불협화음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며, 모더니즘이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혁명적인 예술로서의 성격을 드러냈다. 문학에서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첫 권이 출간되었고,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한 도로시 리처드슨의 ''순례'' 연작이 시작되었다.[91] 이후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1922), 이탈로 스베보의 ''라 코센차 디 제노''(1923) 등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걸작들이 등장했다.[93]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이어진 제1차 세계 대전과 1917년 러시아 혁명은 기존의 사회 질서와 가치관에 대한 깊은 회의를 불러일으켰다. 전쟁의 참혹함과 비극은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1929)와 같은 작품에 반영되었으며, 이전 시대의 낙관적인 진보에 대한 믿음을 무너뜨렸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전쟁 이전 소수의 전유물이었던 모더니즘적 시각이 1920년대에 들어 더욱 폭넓게 수용되는 배경이 되었다.

앙드레 마송, ''스튜디오의 받침대 테이블'' 1922, 초현실주의의 초기 예


모더니즘의 한 측면은 소비 문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에세이 ''아방가르드와 키치''에서 대중의 기호에 맞춰 생산되는 상업적 문화 상품을 "키치"라고 비판하며, 모더니즘이 이러한 키치에 저항하는 아방가르드 예술이라고 주장했다.[94] 일부 모더니스트들은 자신들을 정치 혁명을 포함한 혁명적 문화의 일부로 여겼다. 러시아 혁명 직후 러시아에서는 러시아 미래주의 등 아방가르드 예술이 잠시 활발하게 전개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모더니스트들은 정치보다는 예술 자체의 혁신이나 개인의 정치적 의식 변화를 더 중시하며 기존 정치 체제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거나, 아예 비정치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T. S. 엘리엇처럼 보수적인 입장에서 대중문화를 비판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일각에서는 모더니즘이 대중과 유리된 엘리트주의 문화를 형성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94]

1920년대 초 등장한 초현실주의는 모더니즘의 가장 급진적인 형태로 여겨진다.[95] 기욤 아폴리네르가 만든 용어인 초현실주의는 폴 엘뤼아르, 로베르 데스노,[96] 막스 에른스트, 한스 아르프, 안토냉 아르토, 레이몽 크노, 호안 미로, 마르셀 뒤샹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무의식과 꿈의 세계를 탐구하며 비합리적이고 기이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했다.[97]

1930년대에 이르러 모더니즘은 점차 주류 예술계와 학계에서 자리를 잡았지만, 동시에 내부적인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예술 사조의 등장을 예고하게 된다.

2. 3. 1930년대~1940년대: 모더니즘의 변화와 발전

1930년대에 들어서도 모더니즘은 정체되지 않고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했다. 이 시기 모더니즘은 기존의 예술적 실험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점차 주류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작곡가 아르놀트 쇤베르크는 1930년부터 1932년까지 12음 기법을 사용한 최초의 오페라 중 하나인 ''모세와 아론''을 작곡했고,[98] 화가 파블로 피카소는 1937년 스페인 내전게르니카 폭격의 참상을 고발하며 파시즘을 큐비즘 양식으로 비판한 대작 ''게르니카''를 그렸다. 소설가 제임스 조이스는 1939년 실험적인 언어로 쓰인 ''피네건의 경야''를 발표하며 현대 소설의 지평을 더욱 넓혔다.

모더니즘의 영향력은 예술계를 넘어 대중문화로 확산되었다. 미국의 잡지 ''뉴요커''는 도로시 파커,[99] 로버트 벤칠리, E. B. 화이트, S. J. 페렐먼, 제임스 서버 등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젊은 작가와 유머 작가들의 글을 실었다.[100] 특히 페렐먼의 유머 단편들은 미국 초현실주의 유머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는다.[101] 모더니즘 디자인 원칙은 상업 광고나 로고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는데, 에드워드 존스턴이 1916년에 디자인한 런던 지하철 로고는 이러한 경향의 초기 사례로 꼽힌다.[102]

에드워드 존스턴이 디자인한 런던 지하철 로고. 1916년 처음 사용된 디자인의 현대 버전이다.


이 시기 서구 사회는 전기, 전화, 라디오, 자동차 등 새로운 기술의 보급으로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과 도시화는 사회 구조와 가족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모더니즘 예술가들이 탐구하는 현대적 삶의 경험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한편, 1930년대는 대공황파시즘의 부상, 전쟁의 위협 등 정치적 격변기이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 상황은 모더니즘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크스주의는 많은 예술가와 지식인들에게 강력한 이념적 대안으로 떠올랐다.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 시인 W. H. 오든, 초현실주의 작가 앙드레 브르통루이 아라공, 철학자 안토니오 그람시발터 벤야민 등은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을 작품과 사상에 반영한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그러나 모든 모더니스트가 좌파적 입장을 취한 것은 아니었다. 살바도르 달리, 와이덤 루이스, T. S. 엘리엇, 에즈라 파운드, 네덜란드 작가 메노 테르 브라크 등 우파 성향의 모더니스트들도 존재했다.[103]

문학 분야에서는 마르셀 프루스트, 버지니아 울프, 로베르트 무질, 도로시 리처드슨 등이 계속해서 중요한 작품을 발표했다. 미국의 극작가 유진 오닐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그의 대표작들을 선보였으며, 베르톨트 브레히트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역시 이 시기를 대표하는 모더니스트 극작가였다. D. H. 로렌스의 ''채털리 부인의 사랑''(1928년 사적 출판)과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1929)는 현대 소설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1930년대에는 포크너의 다른 주요 작품들과 함께 사무엘 베케트의 첫 주요 소설 ''머피''(1938)가 출판되었다. 시 분야에서는 T. S. 엘리엇, E. E. 커밍스, 월러스 스티븐스 등이 꾸준히 활동했으며, 영국에서는 데이비드 존스, 휴 맥디아미드, 바실 번팅, W. H. 오든 등이, 유럽 대륙에서는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안나 아흐마토바, 콘스탄틴 카바피, 폴 발레리 등이 중요한 모더니스트 시인으로 활동했다.

음악계에서도 모더니즘의 실험은 계속되었다. 소련의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는 1930년 민요, 대중가요, 무조성 등 다양한 양식을 음악 몽타주 기법으로 결합한 오페라 ''코''를 초연했다.[105] 그러나 1932년부터 소련에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공식 예술 정책으로 채택되면서 모더니즘은 억압받기 시작했고,[106] 쇼스타코비치 역시 1936년 비판을 받고 교향곡 4번 발표를 철회해야 했다.[107] 알반 베르크는 또 다른 중요한 모더니스트 오페라 ''룰루''를 작곡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했으며(1937년 초연),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1935년에 초연되었다. 독일에서는 나치가 집권하면서 유대인이었던 아르놀트 쇤베르크는 1933년 미국으로 망명해야 했다.[108] 망명 이후 그는 바이올린 협주곡 Op. 36 (1934/36)과 피아노 협주곡 Op. 42 (1942) 등 주요 작품을 발표했다. 헝가리의 벨라 바르토크 역시 파시즘을 피해 1940년 미국으로 망명했으며,[108] 망명 전 ''현악기, 타악기 및 첼레스타를 위한 음악''(1936), 현악 사중주 5번(1934), 6번(1939) 등 대표작들을 남겼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제2차 세계 대전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시편 교향곡''(1930), ''C장조 교향곡''(1940) 등 신고전주의 양식의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프랑스의 올리비에 메시앙은 전쟁 중 독일군 포로수용소(Stalag VIII-A)에 수감되어 그곳에서 유명한 ''시간의 종말을 위한 사중주''를 작곡하여 1941년 초연했다.[109]

미술 분야에서 1930년대는 초현실주의, 후기 큐비즘, 바우하우스, 데 스테일, 다다, 독일 표현주의 등 다양한 모더니즘 사조가 공존하는 시기였다. 앙리 마티스피에르 보나르 같은 색채 화가들과 피에트 몬드리안, 바실리 칸딘스키 같은 추상 미술가들도 활발히 활동했다. 독일에서는 막스 베크만, 오토 딕스, 게오르그 그로츠 등이 임박한 전쟁의 분위기를 반영하며 정치성이 강한 작품들을 제작했다. 미국에서는 대공황의 영향 아래 미국 장면 회화와 사회적 사실주의, 지역주의가 미술계를 주도했다. 벤 샨, 토마스 하트 벤턴, 그랜트 우드, 조지 투커, 존 스튜어트 커리, 레지날드 마시 등이 이 시기 미국의 사회상을 반영한 작품들을 남겼다. 에드워드 호퍼의 ''나이트호크''(1942)는 현대 도시인의 고독과 소외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랜트 우드의 ''아메리칸 고딕''(1930)은 발표 초기에는 시골 생활에 대한 풍자로 해석되었으나, 대공황 시기에는 강인한 미국 개척 정신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111]

에드워드 호퍼의 ''나이트호크''(1942). 대공황과 전쟁 시기 미국의 도시적 고독감을 담아낸 미국 장면 회화의 대표작이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모더니즘 미술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우루과이의 호아킨 토레스-가르시아, 멕시코의 루피노 타마요 등이 활동했으며, 특히 멕시코에서는 디에고 리베라, 다비드 시케이로스,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등이 주도한 멕시코 벽화 운동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민족적 정체성과 사회적 메시지를 강조하는 대형 벽화를 제작했다. 프리다 칼로는 고통과 정체성에 대한 강렬한 상징주의적 자화상으로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리베라는 1933년 록펠러 센터 벽화에 블라디미르 레닌 등 공산주의 이미지를 포함시켰다는 이유로 후원자인 넬슨 록펠러에 의해 해고되고 작품이 파괴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110]

그러나 유럽에서는 나치즘의 확산으로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나치 정권은 모더니즘 예술을 "퇴폐 예술"로 규정하고 탄압했다. 이들은 모더니즘이 비독일적이고 유대-볼셰비즘적이며 정신적으로 타락했다고 비난했다.[113] 1937년 뮌헨에서는 퇴폐 예술 전시회가 열려 모더니즘 작품들이 정신질환자의 작품과 함께 조롱거리로 전시되었다. 많은 모더니스트 예술가들은 교수직에서 해고당하고, 작품 전시와 판매를 금지당했으며, 심지어 창작 활동 자체를 금지당하기도 했다. 이러한 탄압을 피해 막스 베크만, 아르놀트 쇤베르크, 벨라 바르토크 등 수많은 예술가들이 미국 등지로 망명길에 올랐다. 이러한 예술가들의 유입은 이후 미국, 특히 뉴욕이 새로운 세계 미술의 중심지로 부상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뉴욕에서는 아실 고르키, 빌렘 드 쿠닝 등 망명 예술가들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세대의 모더니스트들이 성장하고 있었다.

이처럼 1930년대와 1940년대는 모더니즘이 예술적 실험을 지속하면서도 사회, 정치적 격변과 깊이 상호작용하며 변화를 거듭한 시기였다. 표현의 자유, 실험, 급진주의, 원시주의를 강조하는 모더니즘의 특징은 종종 대담하고 충격적인 형식 실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예술적 관습과 사회적 통념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모더니즘은 파시즘, 나치즘, 스탈린주의와 같은 전체주의 정권의 주요 탄압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많은 모더니스트들에게 예술적 자유가 사회 전체의 자유와 직결된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2. 4. 1945년 이후: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국립 소피아 여왕 예술 센터(MNCARS)는 스페인의 20세기 미술 국립 박물관으로, 마드리드에 위치해 있다. 사진은 이안 리치 건축가가 외부에 현대적인 유리 타워를 추가한 구 건물과 현대 미술 타워의 클로즈업을 보여준다.


영국과 미국 문학에 관해, 《옥스퍼드 영국 문학 백과사전》은 모더니즘이 1939년경에 끝났다고 명시하고 있지만,[115] 모더니즘이 언제 끝나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논쟁은 빅토리아 시대에서 모더니즘으로의 전환 시점만큼이나 격렬하다.[116]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시각 예술과 공연 예술을 제외하고는 1930년대에 모더니즘이 끝났다고 보았다.[44] 그러나 음악 분야에서는 폴 그리피스가 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더니즘이 1920년대 후반에 힘을 잃은 것처럼 보였으나, 불레즈, 바라케, 배빗, 노노, 슈톡하우젠, 크세나키스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작곡가들이 모더니즘을 부활시켰다고 언급했다.[117] 실제로 많은 문학 모더니스트들이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 생존했지만, 더 이상 주요 작품을 생산하지는 않았다. "후기 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1930년 이후 출판된 모더니즘 작품에도 적용되기도 한다.[118][119] 1945년 이후에도 활동한 모더니스트(또는 후기 모더니스트)로는 월리스 스티븐스, 고트프리트 벤, T. S. 엘리엇, 안나 아흐마토바, 윌리엄 포크너, 도로시 리처드슨, 존 카우퍼 포위스, 에즈라 파운드 등이 있다. 1901년에 태어난 바실 번팅은 1965년에 그의 중요한 모더니즘 시 ''브리그플라츠''를 발표했다. 또한, 헤르만 브로흐의 ''베르길의 죽음''은 1945년에, 토마스 만의 ''파우스트 박사''는 1947년에 출판되었다. 1989년에 사망한 사무엘 베케트는 "후기 모더니스트"로 묘사되어 왔는데,[120] 그는 모더니즘의 표현주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몰로이''(1951), ''고도를 기다리며''(1953), ''행복한 날들''(1961), ''로커바이''(1981) 등 여러 작품을 썼다. 그의 후기 작품에는 "미니멀리스트"와 "포스트모더니스트"라는 용어도 적용되었다.[121] 시인 찰스 올슨 (1910–1970)과 J. H. 프린 (1936년 출생) 역시 20세기 후반의 후기 모더니스트로 묘사된 작가들이다.[122]

더 최근에는 "후기 모더니즘"이라는 용어가 1930년이 아닌 1945년 이후에 쓰여진 작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재정의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점은 모더니즘의 이념이 2차 세계 대전, 특히 홀로코스트와 원자 폭탄 투하 사건에 의해 크게 재형성되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123]

전후 시대는 유럽의 수도들을 혼란에 빠뜨렸고, 경제적, 물리적 재건과 정치적 재편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했다. 이전 유럽 문화의 중심지이자 예술계의 수도였던 파리의 예술 환경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많은 중요한 수집가, 딜러, 모더니스트 예술가, 작가, 시인들이 유럽을 떠나 뉴욕과 미국으로 피신했다. 유럽 전역의 초현실주의자들과 현대 예술가들은 나치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으며, 피난하지 못한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피에르 보나르 등 소수의 예술가만이 프랑스에 남아 생존했다.

1940년대 뉴욕시는 미국 추상 표현주의의 부상을 알렸다. 이는 앙리 마티스, 파블로 피카소, 초현실주의, 호안 미로, 입체주의, 야수주의, 그리고 한스 호프만과 존 D. 그레이엄과 같은 미국의 거장들로부터 얻은 교훈을 결합한 모더니즘 운동이었다. 미국 예술가들은 피트 몬드리안, 페르낭 레제, 막스 에른스트앙드레 브르통 그룹, 피에르 마티스 갤러리, 페기 구겐하임의 갤러리 ''이 시대의 예술'' 등 여러 요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한편, 파리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기계 예술의 번성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명성을 되찾았다. 두 선구적인 기계 예술 조각가인 장 팅겔리와 니콜라스 셰페르는 경력을 시작하기 위해 파리로 이주했다. 이러한 경향은 현대 생활의 기술 중심적 특성을 반영하며 지속될 가능성을 보였다.[124]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 아비뇽 페스티벌, 1978


"부조리극"이라는 용어는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소통의 단절을 표현한 유럽 작가들의 연극에 주로 적용된다. 이러한 연극에서는 논리적인 구성 대신 비합리적이고 비논리적인 대화가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침묵에 이르게 된다.[125] 알프레드 자리 (1873–1907)와 같은 선구자들이 있지만, 부조리극은 일반적으로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과 함께 1950년대에 시작된 것으로 간주된다.

비평가 마틴 에슬린은 1960년 에세이 "부조리극"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는 이 연극들을 알베르 카뮈가 1942년 에세이 ''시지프 신화''에서 사용한 '부조리'라는 개념과 연결지었다.[126] 이 연극들에서 부조리는 의미 없는 세상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나, 보이지 않는 외부 세력에 의해 조종당하는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부조리극은 다양한 작품을 포괄하지만,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광대극과 유사한 희극적 요소가 비극적이거나 끔찍한 이미지와 혼합되고, 등장인물들은 희망 없는 상황 속에서 반복적이거나 무의미한 행동을 강요받는다. 대화는 진부한 표현, 언어 유희, 넌센스로 가득 차 있으며, 줄거리는 순환적이거나 비논리적으로 전개되고, 사실주의나 잘 짜여진 연극의 관습을 패러디하거나 거부한다.

부조리극과 관련된 주요 극작가로는 사무엘 베케트 (1906–1989), 외젠 이오네스코 (1909–1994), 장 주네 (1910–1986), 해럴드 핀터 (1930–2008), 톰 스토파드 (1937년 출생), 알렉산드르 베덴스키 (1904–1941), 다니일 하름스 (1905–1942), 프리드리히 뒤렌마트 (1921–1990),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 (1929년 출생), 페르난도 아라발 (1932년 출생), 바츨라프 하벨 (1936–2011), 에드워드 올비 (1928–2016) 등이 있다.

1940년대 후반, 잭슨 폴록의 혁신적인 회화 방식은 이후의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폴록은 예술 작품을 만드는 과정 자체가 작품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20세기 초 파블로 피카소가 입체주의와 구축 조각으로 회화와 조각을 재창조한 것에 비견될 만한 혁신이었다. 폴록이 이젤 회화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난 것은 동시대 및 후대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자유를 부여하는 신호탄이었다. 예술가들은 폴록의 작업 방식, 즉 펼쳐진 생 캔버스를 바닥에 놓고 사방에서 작업하며, 산업용 재료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페인트를 떨어뜨리고 던지며, 그림을 그리고 얼룩을 지우고 붓질하는 방식, 그리고 구상과 비구상을 넘나드는 접근법이 예술 제작의 경계를 확장시켰다는 것을 인식했다. 추상 표현주의는 예술가들이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데 있어 정의와 가능성을 넓히고 발전시켰다.

다른 추상 표현주의 화가들도 폴록의 발견에 이어 자신들만의 새로운 혁신을 이루었다. 잭슨 폴록, 빌렘 데 쿠닝, 프란츠 클라인, 마크 로스코, 필립 거스턴, 한스 호프만, 클리포드 스틸, 바넷 뉴먼, 아드 라인하르트, 로버트 머더웰, 피터 불코스 등의 혁신은 후대 예술의 다양성과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린다 노클린,[127] 그리젤다 폴록[128] 및 캐서린 드 제거[129] 와 같은 미술사학자들은 추상 미술을 재해석하며,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혁신을 이룬 여성 예술가들이 기존의 역사 기록에서 간과되었음을 비판적으로 지적했다.

헨리 무어, ''누워 있는 형상'' (1957). 스위스 취리히 미술관 앞.


헨리 무어 (1898–1986)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을 대표하는 조각가로 부상했다. 그는 전 세계 공공장소에 설치된 반추상적인 기념비적 청동 조각으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 형태는 주로 인체를 추상화한 것으로, 여성의 몸을 연상시키는 모자상이나 누워 있는 형상이 많으며, 1950년대 가족 그룹을 조각한 시기를 제외하면 대체로 그러하다. 그의 형태는 종종 구멍이 뚫려 있거나 빈 공간을 포함하는 특징을 보인다.

1950년대에 무어는 점점 더 중요한 작품 의뢰를 받기 시작했는데, 1958년 파리 유네스코 본부를 위한 누워 있는 형상 제작이 대표적이다.[130] 그의 조각 작품 규모는 점차 커졌고, 공공 미술 작품 의뢰도 늘어났다. 무어의 마지막 30년 동안 전 세계에서 여러 주요 회고전이 열렸으며, 특히 1972년 여름 피렌체의 벨베데레 요새에서 열린 전시회가 주목할 만하다. 1970년대 말에는 연간 약 40개의 전시회가 그의 작품을 선보였다. 1967년 12월, 시카고 대학교 캠퍼스에서는 엔리코 페르미가 이끈 물리학자들이 최초의 제어 가능한 핵 연쇄 반응을 달성한 지 25주년이 되는 날, 무어의 ''핵 에너지'' 조각이 공개되었다.[131][132] 또한 시카고에서 무어는 우주 탐사 프로그램을 기념하기 위해 대형 청동 해시계인 ''만 에터스 더 코스모스'' (1980)를 제작하여 과학을 기렸다.[133]

프랜시스 베이컨 (1909–1992), 루시안 프로이드 (1922–2011), 프랭크 아우어바흐 (1931년 출생), 레온 코소프 (1926년 출생), 마이클 앤드루스 (1928–1995) 등을 포함하는 구상 화가 그룹인 "런던 스쿨"은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았다.[134]

프랜시스 베이컨은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구상 화가로, 대담하고 강렬하며 정서적으로 충격적인 이미지로 유명하다.[135] 그의 회화적이면서도 추상적인 인물들은 종종 평평하고 특징 없는 배경에 유리나 강철로 된 기하학적 구조물 안에 고립되어 나타난다. 베이컨은 20대 초반에 그림을 시작했지만 30대 중반까지는 간헐적으로 작업했다. 그의 획기적인 작품은 1944년 3폭 제단화 ''십자가 책형 기슭의 세 개의 습작''으로, 이를 통해 인간 조건에 대한 독특하고 암울한 기록자로서의 명성을 얻었다.[136] 그의 작품은 특정 모티프에 대한 연작 또는 변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1940년대에는 방 안에 고립된 남성 두상, 1950년대 초에는 비명을 지르는 교황, 1950년대 중후반에는 기하학적 구조에 매달린 동물과 외로운 인물들이 주요 소재였다. 이후 1960년대 초에는 3폭 제단화 형식으로 십자가 책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이 나타났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주로 친구들의 인상적인 초상화를 그렸다. 1971년 연인 조지 다이어가 자살한 후, 그의 예술은 더욱 개인적이고 내성적으로 변모했으며 죽음이라는 주제에 몰두하게 되었다. 베이컨은 생전에 비난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다.[137]

루시안 프로이드는 독일 출생의 영국 화가로, 주로 두껍게 임파스토 기법으로 그린 초상화와 인물화로 유명하며, 당대 최고의 영국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널리 여겨졌다.[138][139][140][141] 그의 작품은 심리적 통찰력과 예술가와 모델의 관계에 대한 종종 불편한 탐구로 유명하다.[142] ''뉴욕 타임스''의 윌리엄 그리엄스에 따르면, "루시안 프로이드와 그의 동시대인들은 20세기 인물화를 변모시켰다. ''하얀 개를 든 소녀'' (1951–1952)와 같은 그림에서 프로이드는 전통적인 유럽 회화의 언어를 사회적 가면을 벗겨내는 반낭만적이고 대립적인 초상화 스타일에 적용했다. 평범한 사람들, 그들 중 많은 이들이 그의 친구였는데, 캔버스에서 눈을 크게 뜨고 예술가의 가차 없는 시선에 취약하게 응시했다."[138]

1950년대와 1960년대 추상 회화에서는 하드 에지 페인팅과 기타 형태의 기하 추상과 같은 새로운 경향들이 추상 표현주의의 주관성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1964년 미국 전역의 주요 미술관을 순회하는 새로운 회화 전시회를 기획하며 포스트 페인터리 추상의 주요 지지자가 되었다. 색면 회화, 하드 에지 페인팅, 서정적 추상이 급진적인 새로운 방향으로 부상했다.[144]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는 포스트 미니멀리즘, 프로세스 아트 및 아르테 포베라도 서정적 추상과 포스트 미니멀리즘 운동을 통해 회화와 조각 모두를 포괄하는 혁신적인 개념과 운동으로 등장했으며, 초기 개념 미술에서도 나타났다.[145] 폴록에게 영감을 받은 프로세스 아트는 예술가들이 다양한 스타일, 내용, 재료, 배치, 시간 감각, 비정형성, 그리고 실제 공간을 실험하고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낸시 그레이브스, 로널드 데이비스, 하워드 호지킨, 래리 푼스, 야니스 쿠넬리스, 브라이스 마든, 콜린 매캐헌, 브루스 나우먼, 리처드 터틀, 앨런 사렛, 월터 다비 배너드, 린다 벵글리스, 댄 크리스텐슨, 래리 조크스, 로니 랜드필드, 에바 헤세, 키스 소니어, 리처드 세라, 팻 립스키, 샘 길리엄, 마리오 메르츠와 피터 레지나토는 1960년대 후반 예술의 전성기를 이끈 후기 모더니즘 시대에 등장한 젊은 예술가들 중 일부였다.[146]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조각품 ''엘 카프 데 바르셀로나''는 벤데이 점의 모습을 재현한다.


1962년, 시드니 재니스 갤러리는 뉴욕 시 업타운 미술관에서 첫 번째 주요 팝 아트 그룹 전시회인 ''새로운 현실주의자들''을 개최했다.[147] 이 전시회는 뉴욕 화파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미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보다 앞선 1958년 영국에서는 로렌스 앨로웨이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의 소비주의와 관련된 그림을 묘사하기 위해 "팝 아트"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48] 이 운동은 추상 표현주의와 그 해석학적이고 심리적인 내면에 대한 초점을 거부하고, 물질적인 소비 문화, 광고, 그리고 대량 생산 시대의 아이콘을 묘사하는 예술을 선호했다.[149] 데이비드 호크니의 초기 작품, 리처드 해밀턴에두아르도 파올로치 (획기적인 ''나는 부자의 장난감이었다'', 1947[150] 제작)의 작품은 이 운동의 중요한 예시로 여겨진다.[151] 한편, 뉴욕의 맨해튼 이스트 빌리지 10번가 갤러리 다운타운에서는 예술가들이 미국의 팝 아트 버전을 만들고 있었다. 클래스 올덴버그는 자신의 상점을 가지고 있었고, 57번가의 그린 갤러리는 톰 웨셀만과 제임스 로젠퀴스트의 작품을 전시하기 시작했다. 나중에 레오 카스텔리는 앤디 워홀로이 리히텐슈타인을 포함한 다른 미국 예술가들의 작품을 대부분의 경력 동안 전시했다.[152] 마르셀 뒤샹만 레이의 급진적인 작품, 유머 감각을 지닌 반항적인 다다 예술가, 그리고 벤데이 점의 모습을 재현하는 그림을 그린 클래스 올덴버그,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과 같은 팝 아티스트 사이에는 연결 고리가 있는데, 이는 상업적 복제에 사용된 기술이다.[153]

이브 클랭, ''IKB 191'', 1962


미니멀리즘은 예술과 디자인의 다양한 형태, 특히 시각 예술과 음악에서 예술가들이 불필요한 형태, 특징, 개념을 제거하여 대상의 본질을 드러내려는 운동을 설명한다. 미니멀리즘은 가장 단순하고 적은 요소를 사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창출하는 디자인이나 스타일이다.

예술의 특정 운동으로서,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양 예술의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미국의 시각 예술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운동과 관련된 주요 예술가로는 도널드 저드, 존 매크라켄, 아그네스 마틴, 댄 플래빈, 로버트 모리스, 로널드 블레이든, 앤 트루이트, 프랭크 스텔라 등이 있다.[154] 이는 모더니즘의 축소적인 측면에서 파생되었으며 종종 추상표현주의에 대한 반발이자 포스트 미니멀 예술 관행으로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960년대 초에 미니멀리즘은 카지미르 말레비치의 기하학적 추상,[155] 바우하우스와 피에트 몬드리안에 뿌리를 둔 예술의 추상적인 운동으로 등장하여, 관계적이고 주관적인 회화, 추상표현주의 표면의 복잡성, 그리고 액션 페인팅 영역에서 나타나는 감성적인 시대 정신과 논쟁을 거부했다. 미니멀리즘은 극도의 단순함이 예술에 필요한 모든 숭고한 표현을 포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니멀리즘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전조 또는 포스트모던 운동 자체로 다양하게 해석된다. 후자의 관점에서, 초기 미니멀리즘은 진보된 모더니즘 작품을 낳았지만, 로버트 모리스와 같은 일부 예술가들이 반형식 운동을 선호하여 방향을 바꾸면서 운동은 부분적으로 이 방향을 포기했다.

할 포스터는 에세이 ''미니멀리즘의 요점''에서[156] 도널드 저드와 로버트 모리스가 모두 미니멀리즘에 대한 출판된 정의에서 그린버그식 모더니즘을 인정하고 초과하는 정도를 검토한다.[156] 그는 미니멀리즘이 모더니즘의 "막다른 골목"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계속 정교해지고 있는 포스트모던적 관행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주장한다.[156]

음악에서의 반복과 순환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을 포괄하도록 용어가 확장되었으며, 여기에는 라 몬테 영, 테리 라일리,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존 애덤스의 작품이 포함된다. 미니멀리스트 작곡은 때때로 시스템 음악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미니멀 음악'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미국에서 발전한 음악 스타일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처음에는 작곡가들과 관련이 있었다.[157] 미니멀리즘 운동은 원래 일부 작곡가들을 포함했고, 폴린 올리베로스, 필 니블록, 리처드 맥스필드와 같은 덜 알려진 선구자들도 있었다. 유럽에서는 루이 안드리센, 카렐 고에이베르츠, 마이클 니먼, 하워드 스켐프턴, 엘리안 라디그, 개빈 브라이어스, 스티브 마트랜드, 헨리크 구레츠키, 아르보 패르트와 존 타베너의 음악이 있다.

스미소니언의 ''나선형 방파제''(Spiral Jetty) 2005년 4월 중순 미국 유타주 로젤 포인트 상공에서 촬영. 1970년에 제작되었으며, 호수 수위 변동으로 인해 종종 물에 잠기지만 여전히 존재한다. 약 65,00 톤의 현무암, 흙, 소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0년대 후반, 로버트 핀커스-위튼[145]은 미니멀리즘이 거부한 내용과 맥락적 뉘앙스를 가진, 미니멀리즘에서 파생된 예술을 묘사하기 위해 "포스트 미니멀리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핀커스-위튼에 의해 에바 헤세, 키스 소니에, 리처드 세라의 작품과 전직 미니멀리스트인 로버트 스미스슨, 로버트 모리스, 솔 르윗, 배리 르 바 등의 새로운 작품에 적용되었다. 도널드 저드, 댄 플래빈, 칼 안드레, 애그니스 마틴,

3. 각 분야의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일반적으로 20세기 초 다양한 예술 및 학문 분야에서 일어난 실험적인 운동을 가리키며, 19세기의 전통적인 형식과 가치관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추구했다. 이는 단순히 예술 사조에 머무르지 않고, 자기 의식과 진보주의적 태도를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한 문화 운동이자 시대정신으로 확장되었다.[13] 모더니스트들은 종종 인간이 과학 기술의 도움으로 환경을 개선하고 재구성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졌으며, 존재의 모든 측면을 재검토하고 진보를 가로막는다고 여겨지는 요소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대체하고자 했다. 역사학자 로저 그리핀은 모더니즘을 "새로운 시대성"이라는 에토스 아래 현대 세계에 질서와 목적 의식을 회복하려는 광범위한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움직임으로 정의하기도 했다.[15]

각 분야에서 모더니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스페인포르투갈의 모더니즘 운동은 모데르니스모를 참조할 수 있다.

3. 1. 문학

문학에서 모더니즘은 제임스 조이스, T. S. 엘리엇, 버지니아 울프 등 작가들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가리킨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문학의 모더니즘 운동은 모데르니스모 문학으로 별도로 알려져 있다. 버지니아 울프는 20세기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가로, 그녀의 소설 '등대로'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선구적으로 사용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211]

문학적 모더니즘의 분위기는 종종 W. B. 예이츠의 시 '재림'에 나오는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다. 중심은 잡히지 않는다."라는 구절로 요약된다.[16] 모더니스트들은 형이상학적 '중심'을 찾으려 했지만, 종종 그 붕괴를 경험했다.[17] 이러한 경향은 데이비드 흄과 같은 철학자의 영향에서도 찾을 수 있다. 흄은 우리가 사건들의 인과관계나 대상으로서의 자아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형이상학적 주장의 한계를 지적했다.[19] 따라서 모더니즘 문학은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한 갈망과 동시에 그것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콘래드의 '암흑의 핵심'에 등장하는 말로우나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 속 닉 캐러웨이 같은 인물들은 어떤 심오한 진리를 발견했다고 믿지만, 작품 전체는 이를 아이러니하게 다루며 더 평범한 설명을 제시하기도 한다.[20] 월러스 스티븐스의 시 역시 자연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시도와 그 실패를 반복적으로 다룬다.

모더니즘은 종종 19세기 사실주의를 거부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실주의가 자연주의적 묘사 안에서 의미를 구현하려 했다면, 모더니즘은 때때로 중심이 해체된, 보다 근본적인 리얼리티를 추구했다. 또한 모더니즘은 낭만주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는데, 특히 산업 혁명과 부르주아 사회의 가치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공유한다. 문학 학자 제럴드 그래프는 모더니즘이 19세기 부르주아 사회 질서와 세계관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했으며, 이러한 점에서 "낭만주의의 횃불을 들었다"고 평가한다.[29][30][31] 하지만 낭만주의가 인물, 자연, 신 등에서 형이상학적 진리를 찾으려 했다면, 모더니즘은 그러한 중심을 갈망하면서도 결국 그 붕괴를 확인하게 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22]

상징의 사용 방식에서도 낭만주의와 모더니즘은 차이를 보인다. 콜리지와 같은 낭만주의자들은 상징과 그것이 의미하는 본질 사이에 내재적 관계가 있다고 보았지만,[24] 모더니스트들은 상징이나 은유가 의미를 온전히 전달하지 못하거나 이해 불가능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T. S. 엘리엇이 저녁 하늘을 "테이블 위에 마취된 환자"에 비유한 것처럼[27], 모더니스트들의 은유는 종종 부자연스럽고 충격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어 기존의 관습적 연결을 해체하려 했다.

모더니즘 문학에 영향을 준 주요 선구자로는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56] 월트 휘트먼 ('풀잎'),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특히 후기 희곡들), 헨리 제임스 ('어느 여인의 초상')[57] 등이 꼽힌다.

모더니즘은 과거의 전통과 단절하기보다는 재현, 통합, 재작성, 패러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통과 관계를 맺었다.[58][59] T. S. 엘리엇은 "시인의 작품 중 최고이자 가장 개별적인 부분은 종종 죽은 시인들, 즉 그의 조상들이 그들의 불멸성을 가장 강력하게 주장하는 부분"이라고 말하며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0] 그러나 문학 학자 피터 차일즈가 지적하듯, 모더니즘과 전통의 관계는 혁명적이면서도 반동적이고, 새로움에 대한 열망과 과거에 대한 향수가 공존하는 복잡한 양상을 띤다.[61]

'의식의 흐름' 기법은 모더니즘 문학의 중요한 혁신 중 하나이다. 이 기법은 인물의 내면 의식, 즉 생각, 감각, 기억 등이 논리적 연결 없이 흘러가는 대로 서술하는 방식이다.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단편 "Leutnant Gustl" ("None but the Brave", 1900)이 이 기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한 초기 예시로 여겨지며,[91] 영어권에서는 도로시 리처드슨의 연작 소설 '순례'(1915–1967)가 선구적인 작품으로 꼽힌다.[92] 이후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1922),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1925)과 '등대로'(1927), 윌리엄 포크너의 '음향과 분노'(1929) 등에서 이 기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7) 역시 의식의 흐름과 연관되지만, 주로 과거의 기억을 의도적으로 회상하고 재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90]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참상은 기존의 사회 질서와 가치관에 대한 깊은 회의를 불러일으켰다. 전쟁의 비극적 경험은 인간 이성과 진보에 대한 낙관론을 무너뜨렸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려는 사실주의적 방식의 한계를 드러냈다.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1929)와 같은 작품은 전쟁의 무의미한 참상을 고발하며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쟁 이전 소수 아방가르드의 실험으로 여겨졌던 모더니즘은 1920년대에 이르러 보다 폭넓은 공감을 얻게 되었다.

일부 모더니스트들은 자신들의 작업을 소비 문화와 키치에 대한 저항으로 간주했다. 예술 평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하이 모더니즘이 대중의 기호에 영합하는 상업적 문화 상품(키치)과 달리, 기존 통념에 도전하고 관객의 성찰을 요구한다고 보았다.[94] 정치적으로도 모더니스트들의 입장은 다양했다. 일부는 러시아 혁명 이후의 러시아 아방가르드처럼 정치 혁명을 포함한 급진적 사회 변혁을 추구했지만, 다른 이들은 기존 정치 체제 자체를 거부하거나 예술을 통한 의식의 혁명을 더 중시했다. T. S. 엘리엇처럼 보수적인 입장에서 대중문화를 비판한 경우도 있었으며, 일각에서는 모더니즘이 대중과 유리된 엘리트주의 문화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94]

1920년대에 등장한 초현실주의는 모더니즘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95] 기욤 아폴리네르가 처음 사용한 이 용어는 앙드레 브르통을 중심으로 폴 엘뤼아르, 로베르 데스노,[96] 막스 에른스트, 한스 아르프, 안토냉 아르토, 레이몽 크노, 호안 미로, 마르셀 뒤샹 등의 작가와 예술가들이 참여한 운동으로 발전했다.[97] 초현실주의는 이성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무의식, 꿈, 비합리성의 세계를 탐구하며 자동기술법과 같은 새로운 표현 방식을 실험했다.

모더니즘의 종결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문학에서는 대체로 1939년경[115] 또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무렵을 기점으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본다.[116] 1930년 이후[118][119] 또는 1945년 이후[123]의 모더니즘 작품들을 "후기 모더니즘"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시기까지 활동한 주요 모더니스트 작가로는 월리스 스티븐스, 고트프리트 벤, T. S. 엘리엇, 안나 아흐마토바, 윌리엄 포크너, 도로시 리처드슨, 에즈라 파운드 등이 있다. 1989년에 사망한 사무엘 베케트는 모더니즘의 표현주의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미니멀리즘과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후기 모더니스트 작가로 평가받는다.[120][121]

모더니즘 문학은 서구권을 넘어 다른 문화권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서는 가와바타 야스나리, 나가이 가후,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같은 작가들의 산문에서 모더니즘적 경향을 볼 수 있으며,[174] 요코미쓰 리이치 등은 문학 잡지 ''분게이 지다이''(문예 시대)를 창간하며 '신감각파' 운동을 이끌었다.[175] 중국 상하이에서도 서구와 일본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신감각파'(新感觉派) 작가들(무스잉, 스저춘 등)이 활동했는데, 이들은 정치나 사회 문제보다 무의식과 미학에 더 관심을 두었다.[178] 아프리카에서는 볼레 소잉카와 같은 탈식민주의 작가들이 모더니즘의 미학적 자율성 개념을 식민 지배와 인종 차별에 저항하는 문학적 도구로 활용하기도 했다.[180][181]

3. 2. 미술



모더니즘은 단순히 예술 사조를 넘어, 20세기 이후 사회 전반의 시대정신에 영향을 미친 광범위한 문화 운동이었다.[13] 전통적인 가치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추구했으며, 특히 예술 분야에서는 19세기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났다. 모더니즘 미술은 기존의 표현 방식을 거부하고 실험적인 기법과 새로운 주제를 탐구하며 현대 사회의 변화와 복잡성을 반영하고자 했다.

모더니즘 미술가들은 19세기 부르주아 사회 질서와 그 세계관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공유하며, 낭만주의의 반항 정신을 이어받았다.[29][30][31] 19세기 풍경화가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는 낭만주의 운동에 속했지만, 빛과 색채에 대한 탐구는 이후 인상주의에 영향을 주었다.[32] 그러나 모더니스트들은 예술이 현실의 본질을 직접 보여준다는 낭만주의적 믿음에는 비판적이었다. 그들은 예술이 관람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열려 있으며, 오히려 기존의 관점을 흔들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도구라고 보았다.[33]

모더니즘 미술의 시작점은 여러 시각이 있지만, 종종 19세기 중후반 프랑스에서 그 기원을 찾는다. 미술 평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에두아르 마네를 모더니즘 회화의 시작점으로 보았다.[44] 마네의 ''올랭피아''(1863-65)는 전통적인 누드화의 관습을 깨고 동시대 파리의 매춘부를 노골적으로 묘사하여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 이는 당시 부르주아 사회의 위선을 고발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또한, 샤를 보들레르의 에세이 "현대 생활의 화가"(1863)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전통에서 벗어나 동시대의 삶을 새로운 방식으로 묘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1860년대 이후 프랑스에서는 인상주의와 상징주의라는 두 가지 주요 흐름이 나타났다. 인상주의는 클로드 모네,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등을 중심으로 야외에서 빛의 순간적인 효과를 포착하려 했다. 이들은 파리 살롱에서 거부당하자 낙선전을 열거나 독자적인 전시회를 개최하며 활동했다. 상징주의는 오딜롱 르동, 귀스타브 모로 등으로 대표되며, 현실 너머의 신비로운 세계나 내면의 감정을 암시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49] 후기 인상주의 화가 폴 세잔,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등은 인상주의에서 더 나아가 형태의 단순화, 강렬한 색채, 주관적인 감정 표현을 통해 20세기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르주 쇠라점묘법은 과학적인 색채 이론을 적용한 새로운 시도였다.

20세기 초, 모더니즘 미술은 더욱 급진적이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앙리 마티스를 중심으로 한 야수파는 강렬하고 비자연적인 색채와 거친 붓질을 통해 감정을 폭발적으로 표현했다.[51] 거의 동시대에 독일에서는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등이 주도한 브뤼케 그룹과 바실리 칸딘스키, 프란츠 마르크 등이 참여한 청기사 그룹을 중심으로 표현주의가 발전했다. 표현주의는 산업화와 도시화 속에서 느끼는 인간 소외와 불안, 내면의 격렬한 감정을 왜곡된 형태와 강렬한 색채로 표출했다.[75] 에곤 실레와 오스카 코코슈카 역시 표현주의의 중요한 작가로 활동했다.

파블로 피카소조르주 브라크폴 세잔의 영향과 아프리카 조각 등 원시 미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입체주의를 창시했다. 이들은 대상을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해하고 여러 시점에서 본 모습을 한 화면에 재구성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선보였다.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1907)은 입체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34] 입체주의는 이후 장 메칭거, 알베르 글레즈, 후안 그리스, 페르낭 레제 등에 의해 더욱 발전하며 20세기 미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69]

이탈리아에서는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가 발표한 미래주의 선언(1909)을 시작으로 미래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미래주의자들은 과거의 전통을 부정하고 기계 문명의 역동성, 속도, 힘을 찬미하며 이를 미술, 문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표현하고자 했다.[79] 움베르토 보치오니, 자코모 발라, 카를로 카라 등이 대표적인 미래주의 화가이다.

바실리 칸딘스키, 피에트 몬드리안, 카지미르 말레비치 등은 대상을 재현하는 것에서 벗어나 색, 선, 면과 같은 순수한 조형 요소만으로 구성하는 추상 미술을 개척했다. 칸딘스키는 내면의 감정과 정신적인 것을 색채와 형태로 표현하려 했고, 몬드리안은 수직선과 수평선, 삼원색만을 사용하여 질서와 조화의 본질을 탐구했으며, 말레비치는 절대적인 순수 추상을 추구하는 절대주의를 주창했다. 사진술의 발달로 인해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회화의 역할이 줄어든 것도 추상 미술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83]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혹함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다다이즘초현실주의의 등장을 촉진했다. 다다이즘은 전쟁의 비극 속에서 기존의 모든 가치와 예술 형식을 부정하고 비합리성, 우연성, 파괴적인 유머를 강조했다. 마르셀 뒤샹은 변기에 '샘'이라는 제목을 붙여 출품하는 등 기성품(레디메이드)을 이용해 예술의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다.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성의 통제를 벗어난 무의식, 꿈, 환상의 세계를 탐구하는 데 더 집중했다. 앙드레 브르통이 주도했으며,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 막스 에른스트, 호안 미로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이들은 자동기술법, 데페이즈망, 프로타주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이미지를 창조했다.[95]

프란츠 마르크, ''동물의 운명'', 1913. 이 작품은 1937년 나치 독일뮌헨에서 열린 퇴폐 미술 전시회에 전시되었다.


1930년대 대공황파시즘의 부상은 예술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나치 독일은 모더니즘 미술을 "퇴폐 미술"로 규정하고 탄압했으며, 많은 예술가들이 박해를 피해 미국 등지로 망명해야 했다.[113] 소련에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유일한 공식 예술 양식으로 강요되면서 아방가르드 예술 활동이 억압되었다.[106]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내전의 비극을 고발한 대작 ''게르니카''(1937)를 제작했다. 미국에서는 에드워드 호퍼, 그랜트 우드, 벤 샨, 토마스 하트 벤턴 등이 미국 장면 회화와 사회적 사실주의 경향의 작품을 통해 당시 미국의 사회상을 반영했다. 멕시코에서는 디에고 리베라, 다비드 시케이로스,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등이 주도한 멕시코 벽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프리다 칼로는 강렬한 상징과 개인적인 경험을 담은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미술의 중심은 파리에서 뉴욕으로 이동했다. 유럽에서 망명 온 예술가들의 영향과 미국 자체의 역동성이 결합되어 추상 표현주의가 탄생했다. 추상 표현주의는 잭슨 폴록액션 페인팅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등의 색면 회화라는 두 가지 주요 흐름으로 나뉜다. 폴록은 캔버스를 바닥에 놓고 물감을 뿌리거나 흘리는 방식으로 역동적이고 즉흥적인 화면을 만들었고, 색면 화가들은 거대한 캔버스에 단색 또는 몇 가지 색의 면을 사용하여 숭고하고 명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빌렘 데 쿠닝, 프란츠 클라인, 로버트 머더웰 등도 추상 표현주의의 주요 작가이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추상 표현주의의 주관성과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새로운 미술 경향들이 등장했다. 로버트 라우센버그와 재스퍼 존스는 일상적인 사물이나 기호들을 작품에 도입하여 네오다다 또는 팝 아트의 선구를 이루었다. 라우센버그는 회화와 오브제를 결합한 "콤바인" 작업을 선보였고, 존스는 성조기, 과녁 등을 주제로 삼았다.

1960년대에는 팝 아트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대중문화의 이미지(만화, 광고, 상품 등)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클래스 올덴버그 등이 대표적인 팝 아티스트이다. 이들은 소비 사회의 풍경을 때로는 비판적으로, 때로는 무덤덤하게 반영하며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다.[149] 같은 시기, 미니멀리즘은 예술가의 주관적인 표현을 극도로 배제하고 사물의 기본적인 형태와 재료 자체에 집중했다. 도널드 저드, 댄 플래빈, 칼 안드레, 프랭크 스텔라 등은 산업 재료를 사용하여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조각이나 회화를 제작했다.[154] 미니멀리즘 이후에는 포스트 미니멀리즘, 프로세스 아트, 개념 미술, 대지 미술 등 더욱 다양하고 실험적인 미술 경향들이 나타났다. 에바 헤세, 리처드 세라, 로버트 스미스슨, 솔 르윗 등이 이러한 흐름을 이끌었다. 또한 이브 클랭, 요셉 보이스, 백남준 등은 퍼포먼스 아트, 해프닝, 플럭서스와 같은 행위 기반 예술을 통해 예술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비디오 아트, 설치 미술 등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는 시도도 활발해졌다.

영국에서는 헨리 무어가 반추상적인 인체 조각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130] 프랜시스 베이컨, 루시안 프로이드 등 "런던 스쿨" 화가들은 강렬하고 독특한 구상 회화를 선보였다.[134]

모더니즘 미술은 20세기 서구 문화를 중심으로 발전했지만,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 다른 지역에서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수용되고 변형되었다. 일본에서는 다니자키 준이치로 등의 작가들이 서구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썼고,[174] 중국 상하이에서는 신감각파 작가들이 활동했다.[178] 인도에서는 진보 예술가 그룹이 유럽 모더니즘과 인도 전통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했다.[179]

1970년대 이후 모더니즘의 종언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작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지만,[116] 추상 회화, 팝 아트, 미니멀리즘 등 모더니즘의 여러 경향은 21세기에도 여전히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지속되고 발전하고 있다.[170][171][172]

3. 3. 음악

20세기 초, 작곡가 아놀드 쇤베르크는 전통적인 조화 체계를 거부하며 모더니즘 음악의 중요한 장을 열었다. 그는 1908년 현악 사중주 2번에서 무조성을 선보였으며, 이후 음들을 동등하게 배열하는 12음렬 기법을 창안했다.[63][64] 쇤베르크는 이를 완전히 새로운 작곡 방식이라 믿었지만, 이러한 시도는 프란츠 리스트,[62] 리하르트 바그너, 구스타프 말러 등 이전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63][64]

1913년, 러시아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발레 음악 ''봄의 제전''을 파리에서 초연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작품은 인신 제사를 묘사하며 불협화음과 원시적인 리듬을 사용하여 당시 관객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이후에도 재즈 어법을 활용하는 등[167] 다양한 실험을 이어갔는데, 1918년 극작품 ''병사의 이야기''의 "래그타임"이나 1945년의 ''흑단 협주곡'' 등이 그 예이다.[16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더니즘 음악은 잠시 주춤하는 듯했으나, 피에르 불레즈, 장 바라케, 밀턴 배빗, 루이지 노노,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야니스 크세나키스 등 새로운 세대의 작곡가들이 등장하며 다시 활기를 띠었다.[117]

1960년대에는 미니멀리즘 음악이 등장했다. 이는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단순한 구조와 반복을 통해 본질을 드러내려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의 라 몬테 영, 테리 라일리,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존 애덤스 등이 대표적인 미니멀리즘 작곡가로 꼽히며,[157] 이들의 음악은 종종 시스템 음악으로도 불린다. 유럽에서도 루이 안드리센, 카렐 고에이베르츠, 마이클 니먼, 하워드 스켐프턴, 엘리안 라디그, 개빈 브라이어스, 스티브 마트랜드, 헨리크 구레츠키, 아르보 패르트, 존 타베너 등이 미니멀리즘 경향의 작품을 선보였다.

모더니즘 음악은 대중 음악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대중문화를 거부하는 경향도 있었지만,[166] 스트라빈스키처럼 대중음악의 요소를 차용하기도 했다.[167] 1960년대 이후 대중음악의 문화적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부 음악가들은 아방가르드 음악에서 영감을 받아 새로운 시도를 했다.[169] 음악 프로듀서 조 미크의 ''나는 새로운 세상을 듣는다''(1960)는 전자 음악아방팝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으며,[168] 비틀즈의 "Tomorrow Never Knows"(1966)는 구체 음악, 아방가르드 작곡, 인도 음악 등을 팝 형식에 접목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라 몬테 영의 미니멀리즘, 비트 시, 팝 아트 등을 결합하여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169]

3. 4. 건축



건축 분야에서 모더니즘은 과거의 장식적인 양식 건축을 비판하며 등장했다. 빈 분리파, 데 스틸, 바우하우스 등 여러 동향을 거치며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건축을 이상으로 삼는 근대 건축 운동으로 발전했다. 르 코르뷔지에, 미스 반 데어 로에,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등은 세계 모더니즘 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가로 꼽힌다.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력은 상당하여, 홍콩프랑크푸르트의 많은 고층 건물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스타일은 오늘날에도 전 세계 건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73] 일본의 모더니스트 건축가 단게 겐조 (1913–2005)는 20세기 주요 건축가 중 한 명으로, 전통 일본 양식과 모더니즘을 결합하여 세계 여러 곳에 건물을 설계했다. 그는 신진대사 운동의 후원자였으며, 자신은 1960년대 초에 구조주의적 사고를 시작했다고 언급했다.[176] 단게는 어린 시절 르 코르뷔지에에게 영향을 받았고, 1949년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 설계 공모전에서 우승하며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177]

모더니즘은 조경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20세기에 자연 풍경식 정원 양식이 선호되었는데, 이는 장식을 배제한 근대 건축과 잘 어울렸기 때문이다. 근대 조경의 선구자인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는 20세기 초 보스턴의 "에메랄드 목걸이" 프로젝트를 통해 식물 생태 분포에 기반한 도시 재편을 시도했다. 이는 단순히 녹지를 조성하는 것을 넘어, 수계에 따른 식생 연속성을 통해 위생, 복지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유기적 형태를 파크웨이라는 교통 시스템으로 번역하려는 복합적인 접근이었다. 댄 캘리와 같은 선구자들은 1940년대부터 식재를 활용한 새로운 정원 구성을 시도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미니멀리즘[200]과 환경 예술의 실험이 조경에도 영향을 주었다. 미니멀리즘 아트가 추구하는 수사 배제와 순수한 형태는 디터 키나스트, 피터 워커 등에 의해 조경으로 전개되면서, 오히려 식물이라는 생물 소재의 고유한 특성(개별 형태의 다름)을 부각시켰다. 한편, 조지 하그레이브스는 환경 예술의 관점에서 매립지나 하천 부지 정비에 자생 식물의 우발성을 활용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환경 예술은 식물생물적 특성(개체차, 우발성, 증식)에서 영감을 받아 기존의 제도구조에 질문을 던지는 조형 언어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 데이비드 내쉬와 같이 제재된 목재를 사용하면서도 나무 본연의 형태를 탐구하는 작업은[201] 조각가의 의도와 생물 형태의 우발성이 교차하는 지점을 보여준다.

3. 5. 철학

철학이나 정치 사상 분야에서 모더니즘은 고전적인 군주제나 신정 정치 또는 봉건주의와 같은 권위주의적인 사상과 체제에 반하여, 계몽주의 이후의 '인간의 이성 중심의 사상'을 가리킨다. 마키아벨리를 그 기원으로 보기도 하며[199], 대표적인 모더니즘 철학자로는 사르트르, 니체, 메를로퐁티, 야스퍼스 등이 있다.

모더니즘은 진보주의 운동으로서 실용적인 실험, 과학적 지식 또는 기술의 도움을 받아 인간이 환경을 만들고 개선하며 재구성할 수 있는 힘을 긍정하는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측면을 가진다.[13] 이러한 관점에서 모더니즘은 존재의 모든 측면을 재검토하도록 장려하며, 진보를 저해한다고 생각되는 요소를 분석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대체하고자 했다.

철학적으로 모더니즘은 형이상학의 붕괴와 관련이 깊다. 스코틀랜드 철학자 데이비드 흄(1711–1776)은 우리가 실제로 사건 간의 인과관계를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건들의 '상수 연접'만을 경험하며, 대상으로서의 자아 또한 직접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19] 감각적 경험을 통해서만 '안다'면 형이상학적 주장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모더니스트들이 형이상학적 진리를 갈망하면서도 그 불가능성을 동시에 이해하는 배경이 되었다.[17]

19세기 사상가들의 영향도 중요하다. 쇼펜하우어는 이전 시대의 낙관주의에 의문을 제기했고, 키르케고르니체는 현실을 순전히 객관적인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을 거부하며 실존주의허무주의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니체는 심리적 충동, 그중에서도 'Wille zur Machtde'(힘에의 의지)가 핵심적인 중요성을 갖는 철학을 제시하며 기존의 가치 체계에 도전했다.[52][53][54] 베르그손 역시 과학적 시간과 주관적 시간 경험의 차이를 강조하고, 생명력('élan vital|엘랑 비탈프랑스어')과 직관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모더니즘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42]

한편, 모더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인간 중심주의, 진보주의, 산업 중심주의, 획일화 등의 측면에서 비판받기도 한다.

3. 6. 종교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내에서의 모더니즘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일어난 운동이다. 이는 가톨릭 신앙의 전통을 근대의 인식론, 비판적 역사학 등과 연결하여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였다.[212] 이 운동은 프랑스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했으며, 통일된 계획 없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212]

모더니즘 신학자들은 성서비평학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성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그들은 성서 내의 모순점을 조정하려는 기존의 시도를 포기하고, 복음서기자를 포함한 성서 저자들이 당시의 역사적 한계 속에서 글을 썼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입장은 당시 프로테스탄트 학자들보다 더 회의적인 태도로 여겨지기도 했다. 또한, 주지주의를 비판하며 교의보다는 실천을 강조했고, 행동철학이나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삶 속에서 찾으려 했다. 역사를 목적론적으로 해석하여 그리스도교의 발전을 이해하려 했지만, 그 역사적 기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212]

대표적인 인물로는 프랑스의 알프레드 르와지(Alfred Loisy)가 있다. 그는 하르나크를 비판한 저서 《복음과 교회》를 통해 큰 논쟁을 일으켰다. 영국에서는 프리드리히 폰 휘겔(Friedrich von Hügel)과 조지 티렐(George Tyrrell), 이탈리아에서는 로몰로 무리(Romolo Murri) 등이 활동했다.[212]

가톨릭 교회 내부에서는 이러한 모더니즘적 경향에 대해 개신교마르틴 루터의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교리가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생각 자체에 대한 불안감이 존재했다.[112] 결국 1907년, 교황 비오 10세는 모더니즘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공식적으로 단죄했다.[212]

4.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모더니즘

학자 윌리엄 J. 타일러에 따르면 "모더니즘"과 "모더니스트"라는 용어는 비교적 최근에야 현대 일본 문학에 대한 영어권 담론의 일부가 되었으며, 서유럽 모더니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필요하다.[174] 타일러는 가와바타 야스나리, 나가이 가후,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같은 저명한 일본 작가들의 명백히 현대적인 산문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황이 다소 의외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시각 예술, 순수 미술, 건축, 시 분야의 연구자들은 1920년대와 1930년대 일본 문화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핵심 개념으로 "모더니즘"을 비교적 쉽게 받아들였다.[174][208] 1924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와 요코미쓰 리이치 등 젊은 일본 작가들은 문학 잡지 ''분게이 지다이''(문예 시대)를 창간했다. 이 잡지는 유럽의 큐비즘, 표현주의, 다다이즘 등 모더니즘 사조의 영향을 받은 '예술을 위한 예술' 운동의 일부였다.[175][209]

일본의 모더니스트 건축가 단게 겐조(1913–2005)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건축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전통적인 일본 양식과 모더니즘을 결합하여 세계 여러 대륙에 주요 건물을 설계했다. 단게는 또한 메타볼리즘 운동의 영향력 있는 후원자이기도 했다. 그는 "1959년경 또는 60년대 초에 내가 나중에 구조주의라고 부르게 될 것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176][210] 그는 어린 시절부터 스위스 모더니스트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았으며, 1949년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 설계 공모전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77]

중국에서는 1930년대와 1940년대 상하이를 기반으로 활동한 작가 그룹인 신감각파(新感觉派, Xīn Gǎnjué Pài)가 서구 및 일본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정치나 사회 문제보다는 무의식과 미학에 더 초점을 맞춘 소설을 썼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무스잉, 류 나오우, 스저춘 등이 있다.[178]

인도에서는 1947년 뭄바이를 중심으로 '진보 예술가 그룹'(Progressive Artists' Group)이 결성되었다. 이 현대 예술가 그룹은 특정한 단일 스타일을 추구하지는 않았지만, 후기인상주의, 큐비즘, 표현주의를 포함한 20세기 전반 유럽과 북미 예술의 영향을 받아들여 이를 인도 미술과 결합하고자 했다.[179]

아프리카의 경우, 학자 피터 칼리니는 "모더니즘 개념, 특히 미적 자율성은 영어권 아프리카의 탈식민주의 문학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80][205] 그의 관점에서 라자트 네오기, 크리스토퍼 오키그보, 볼레 소잉카와 같은 작가들은 "미적 자율성에 대한 모더니즘적 해석을 재정의하여, 식민 지배, 인종 차별 시스템, 그리고 새로운 탈식민 국가의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를 선언"하는 데 기여했다.[181][206]

5.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

모더니즘은 표현의 자유, 실험, 급진주의, 원시주의를 강조하며 기존의 기대를 무시했다. 많은 예술 형식에서 이는 초현실주의의 기묘하고 불안한 모티프 조합이나 모더니즘 음악의 극심한 불협화음 및 무조성의 사용처럼 기괴하고 예측 불가능한 효과로 청중을 놀라게 하거나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문학에서는 소설의 이해할 수 있는 줄거리나 등장인물의 거부, 또는 명확한 해석을 거부하는 시의 창작과 관련되기도 했다. 가톨릭교회 내부에서는 개신교마르틴 루터의 영향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교리가 시대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모더니즘적 사고에 대해 불안감을 나타내기도 했다.[112]

1932년부터 소련에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공식 예술 양식으로 채택되면서, 이전에 장려했던 러시아 미래주의구성주의와 같은 모더니즘 경향을 배척하기 시작했다.[106] 이는 주로 절대주의 철학에 따른 조치였다.

나치 독일 정부는 모더니즘을 자기애적이고 무의미하며, 반유대주의적 시각에서 "유대인적"이거나 인종차별적으로 "흑인적"이라고 비난했다.[113] 나치는 "퇴폐 미술"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어 정신질환자의 작품과 모더니즘 회화를 나란히 전시하며 모더니즘 예술가들을 탄압했다. "형식주의"라는 비난은 예술가에게 경력의 단절이나 그보다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 때문에, 전후 세대의 많은 모더니스트들은 자신들이 전체주의에 대한 중요한 보루, 즉 정부나 다른 권력 집단에 의한 탄압이 개인의 자유를 위협할 때 이를 알리는 "광산 속 카나리아"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한편, 루이스 A. 사스는 광기, 특히 조현병과 모더니즘을 비교하며 두 현상 모두에서 나타나는 분열적인 서사 구조, 초현실적인 이미지, 비일관성 등을 지적하기도 했다.[114]

''Strip Club'', 초기 스턱주의 작품, 찰스 톰슨 작. 그는 이후 포스트모던 예술에 반대하는 재모더니즘 운동을 공동 창립했다.


1980년대 초, 예술과 건축 분야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이 다양한 개념적이고 혼합 매체 형식을 통해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음악과 문학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더 일찍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음악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1970년대에 도입된 용어로 묘사되며,[182] 영국 문학의 경우, 1939년경 이미 모더니즘이 포스트모더니즘에 주도권을 내주기 시작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115] 그러나 이러한 시기 구분은 논쟁의 여지가 많으며, 안드레아스 호이센이 지적했듯이 "어떤 비평가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다른 비평가의 모더니즘"일 수 있다.[18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구분을 비판적으로 보거나, 둘을 같은 운동의 다른 측면으로 간주하거나, 후기 모더니즘이 계속되고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183]

포스트모더니즘은 본질적으로 사회-정치 이론에 기반하여 스스로 이름 붙인 중앙 집중적 운동이었지만, 현재는 20세기 이후의 현대적인 것을 인식하고 재해석하는 활동 전반을 가리키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184][185][186] 포스트모던 이론은 모더니즘을 사후에 정전(canon)으로 만들려는 시도가 해결 불가능한 모순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187]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은 단일하게 인식 가능한 진리에 대한 모든 주장을 비판하는 것이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은 진리의 존재 여부를 두고 대립한다. 모더니스트는 다양한 이론(대응설, 정합설, 실용주의 등)을 통해 '진리' 문제에 접근하는 반면, 포스트모더니스트는 접근 가능한 진리 자체의 존재를 부정함으로써 진리 문제에 접근한다.[188] 더 좁은 의미에서, 합리성과 사회 기술적 진보의 이점을 강조한 모더니즘의 요소들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구별되는 모더니즘 고유의 특징으로 여겨진다.[189]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모더니즘적 반작용으로 재모더니즘이 등장했는데, 이는 포스트모던 예술의 냉소주의와 해체를 거부하고 초기 모더니즘 미학을 되살리려 한다.[190][191]

예술적 모더니즘은 소비주의와 같은 자본주의적 가치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20세기 시민 사회는 점차 전 지구적 대량 생산과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품의 확산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사회 발전 시기를 "후기 모더니티" 또는 "고도 모더니티"라고 부르기도 한다. 독일 사회학자 위르겐 하버마스는 그의 저서 ''의사소통 행위 이론''(1981)에서 후기 모더니티 문화에 대한 중요한 비판을 제시했고,[194] 미국 사회학자 조지 리처는 ''사회의 맥도날드화''(1993)에서 후기 모더니티가 패스트푸드 소비 문화로 포화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다른 연구들은 모더니즘적 장치들이 대중 영화나 이후 등장한 뮤직 비디오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보여주었다. 모더니즘 디자인은 간결하고 양식화된 형태가 인기를 얻으면서, 종종 우주 시대의 하이테크 미래에 대한 동경과 결합되어 대중문화의 주류로 편입되기도 했다.[192][193]

소비 문화와 고급 문화 속 모더니즘적 형태가 융합되면서 "모더니즘"의 의미는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첫째, 전통을 거부하던 운동 자체가 하나의 전통이 되었다는 역설이 생겨났다. 둘째, 엘리트 모더니스트 문화와 대중 소비 문화 사이의 구분이 모호해졌음을 보여주었다. 모더니즘이 너무 제도화되어 혁명 운동으로서의 힘을 잃었다는 의미에서 "포스트 아방가르드" 상태가 되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많은 사람이 이러한 변화를 포스트모더니즘 단계의 시작으로 해석하지만, 로버트 휴즈와 같은 일부 예술 평론가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의 연장선으로 보기도 한다.

"반(反)모던" 또는 "반모더니즘" 운동은 모더니즘에 대한 대안으로 전체론, 연결성, 영성을 강조하려 한다. 이러한 운동은 모더니즘을 환원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시스템적이고 창발적인 효과를 간과한다고 본다. 알렉산더 스토다트와 같은 일부 전통주의 예술가는 모더니즘을 "가짜 문화와 결합된 가짜 돈의 시대"의 산물이라며 전면적으로 거부하기도 한다.[195]

어떤 분야에서는 모더니즘의 영향이 다른 분야보다 더 강하고 지속적으로 남아있다. 특히 시각 예술은 과거와의 단절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분야이다.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는 르네상스 이후 예술과 구별되는 현대 미술을 전시하는 미술관이 있다. 뉴욕의 현대 미술관, 런던의 테이트 모던, 파리의 퐁피두 센터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미술관은 일반적으로 모더니스트 단계와 포스트모더니스트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둘 다 현대 미술 내의 발전으로 간주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odernism https://www.theartne[...] 2024-05-17
[2] 문서 Modernism (art) Britannica online
[3] 문서 Social structure Britannica online
[4] 웹사이트 How did WWI reshape the modern world? https://today.usc.ed[...] 2018-11-09
[5] 웹사이트 What is Modernism? https://www.utoledo.[...] 2024-05-05
[6] 문서 Eco (1990) p. 95
[7]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Harcourt Brace Jovanovich
[8] 뉴스 An Outsider to His Own Life The New York Times 1997-08-03
[9] 백과사전 Postmodernism: definition of postmodernism https://web.archive.[...] 2018-02-16
[10] 문서 "Postmodern" https://ahdictionary[...] Ruth Reichl, Cook's November 1989; American Heritage Dictionary's definition of "Postmodern"
[11] 간행물 The Symbolic Function of Transmodernity
[12] 웹사이트 Modernist architecture: 30 stunning examples https://www.trendir.[...] 2016-09-02
[13] 서적 The First Moderns: Profiles in the Origins of Twentieth Century Though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문서 Berman 1988, p 16
[15] 서적 Where have all the fascists gon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7-01-01
[16] 문서 James Longenbach, for instance, quotes these words and says, 'What line could feel more central to our received notions of modernism?' in his chapter, 'Modern Poetry' in David Holdeman and Ben Levitas, W.B. Yeats in Context, (Cambridge: CUP, 2010), p.327. Longenbach quotes Cynthia Ozik, who said, 'That [i.e. this line], we used to think, was the whole of Modernism.... Now we know better, and also in a way worse. Yeats hardly foresaw how our dissolutions would surpass his own'. See Cynthia Ozick, 'The Muse, Postmodernism and Homeless', New York Times Book Review, 18 January 1987.
[17] 문서 According to the Stanford Encyclopaedia of Philosophy, Lyotard claims that 'Modern art is emblematic of a sublime sensibility, that is, a sensibility that there is something non-presentable demanding to be put into sensible form and yet overwhelms all attempts to do so'. See section 2 ('The Postmodern Condition') of the article on 'Postmodernism' at https://plato.stanford.edu/entries/postmodernism/#5.
[18] 문서 See section 5 ('Deconstruction') in 'Postmodern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rd.edu/entries/postmodernism/#5.
[19] 문서 Hume says, 'For my part, when I enter most intimately into what I call myself, I always stumble on some particular perception or other, of heat or cold, light or shade, love or hatred, pain or pleasure. I never can catch myself at any time without a perception'. See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iv, section 6.
[20] 문서 Daphne Erdinast- Vulcan explores Conrad's relation to Modernism, Romanticism and metaphysics in Joseph Conrad and the Modern Temper, Oxford: OUP, 1991. David Lynn describes Nick Carraway as "A synthesis of disparate impulses whose roots lie in nineteenth-century Romanticism and Realism[.] Nick's heroism is borne out in his assuming responsibility for Gatsby and in the act of narration." See 'Within and Without: Nick Carraway', in: The Hero's Tale, chapter 4, London: Palgrave Macmillan, 1989.
[21] 웹사이트 The painting is in the Peggy Guggenheim Collection. https://www.guggenhe[...]
[22] 문서 Schlegel, as an early German romantic, declared, "Only when striving toward truth and knowledge can a spirit be called a philosophical spirit". The idea of romanticism as an internalised quest is a commonplace. Harold Bloom, for instance, has written extensively on Romanticism as 'The Internalisation of Quest-Romance' in Romanticism and Consciousness, New York: Norton, 1970, pp.3–24. https://plato.stanfo[...]
[23] 서적 The Philosophy of Rhetoric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Frost at Midnight https://www.poetryfo[...]
[25] 문서 Quoted by Nicholas Halmi in The Genealogy of the Romantic Symbol (Oxford: OUP, 2007), p.1.
[26] 웹사이트 The Symbolist Movement in Literature https://archive.org/[...]
[27] 웹사이트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https://www.poetryfo[...]
[28] 서적 Cranial Bunker Greywacke Press
[29] 문서 Barth (1979) quotation
[30] 간행물 The myth of the postmodernist breakthrough 1973-01-01
[31] 간행물 Babbitt at the abyss: The social context of postmodern American fiction 1975-04-01
[32] 백과사전 J.M.W. Turner https://www.britanni[...] 2023-05-25
[33] 서적 The world and the book: a study of modern fiction Macmillan 1994
[34] 웹사이트 The painting is in the Peggy Guggenheim Collection. https://www.guggenhe[...]
[35] 문서 Schlegel, as an early German romantic, declared, "Only when striving toward truth and knowledge can a spirit be called a philosophical spirit". The idea of Romanticism as an internalized quest is commonplace. Harold Bloom, for instance, has written extensively on Romanticism as 'The Internalisation of Quest-Romance' in Romanticism and Consciousness, New York: Norton, 1970, pp.3–24. https://plato.stanfo[...]
[36] 서적 The Grand Experiment: The birth of the Railway Age, 1820–1845 Ian Allan Publishing
[37] 웹사이트 The Great Northern Railway: Kings Cross Station http://www.lner.info[...] 2013-11-19
[38] 서적 The Directory of Railway Stations Patrick Stephens 1995
[39] 서적 Cooke, and Wheatstone, and the Invention of the Electric Telegraph Routledge
[40] 간행물 The adoption of standard time https://zenodo.org/r[...] 2020-10-03
[41] 백과사전 Søren Kierkegaard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4-11-30
[42] 서적 Fifty Major Philosophers: A reference guide Routledge
[43] 서적 The Bloomsbury Guide to English Literature Prentice Hall
[44] 간행물 Modern and Postmodern http://www.sharecom.[...] 2006-06-15
[45]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W. W. Norton & Company
[46] 서적 Classical Sociological Theory Wiley-Blackwell
[47] 서적 Artists on Art Pantheon
[48] 문서 Frascina and Harrison 1982, p. 5.
[49] 문서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ed. [[Margaret Drabb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 966.'
[50] 문서 'Phillip Dennis Cate and Mary Shaw, eds., The Spirit of Montmartre: Cabarets, Humor, and the Avant-Garde, 1875–1905.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1996.'
[51] 문서 'Russell T. Clement. Four French Symbolists. [[Greenwood Press]], 1996. p. 114.'
[52] 문서 'Robert Gooding-Williams, "Nietzsche''s Pursuit of Modernism",\nNew German Critique, No. 41, Special Issue on the Critiques of the Enlightenment. (Spring–Summer, 1987), pp. 95–108.'
[53] 문서 'Bernd Magnus, "Friedrich Nietzsche".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Academic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 Web. 19 November 2013.'
[54] 백과사전 Friedrich Nietzsche https://www.britanni[...] 2022-06-23
[55] 문서 'The Bloomsbury Guides to English Literature: The Twentieth Century, ed. Linda R. Williams. London: Bloomsbury, 1992, pp. 108–109.'
[56] 문서 'David Denby, New Yorker, 11 June 2012, "Can Dostoevsky Still Kick You in the Gut?"'
[57] 문서 '[[M. H. Abrams]],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New York: Harcourt Brace, 1999), p. 299.'
[58] 문서 Eco (1990) p. 95
[59] 문서 Steiner (1998) pp. 489–490
[60] 문서 '[[T. S. Eliot]] "Tradition and the individual talent" (1919), in Selected Essays. Paperback edition. (Faber & Faber, 1999).'
[61] 문서 'Childs, Peter [https://books.google.com/books?id=x_WXXDeXqm4C&pg=PA17&lpg=PA17&dq ''Modernism'']{{Dead link|date=February 2024 |bot=InternetArchiveBot |fix-attempted=yes }} (Routledge, 2000). {{ISBN|0-415-19647-7}}. p. 17. Accessed on 8 February 2009.'
[62] 문서 Searle, New Grove, 11:28–29.
[63] 문서 '*Anon. 2000. "[http://encarta.msn.com Expressionism]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1004081452/http://encarta.msn.com/ |date=4 October 2009 }}".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000'
[64] 문서 Donald Mitchell, Gustav Mahler: The Wunderhorn Years: Chronicles and Commentaries. Rochester, NY: Boydell Press, 2005.
[65] 웹사이트 Biography of Henri Matisse http://www.henri-mat[...] 2013-11-15
[66] 웹사이트 MoMA http://www.moma.org/[...] 2013-11-15
[67] 웹사이트 Claude Monet (1840–1926) http://www.metmuseum[...] 2013-11-15
[68] 웹사이트 The Collection http://www.moma.org/[...] 2013-11-15
[69] 문서 Jean Metzinger, Note sur la peinture, Pan (Paris), October–November 1910
[70] 문서 Richard Sheppard, Modernism–Dada–Postmodernism. Northwestern Univ. Press, 2000
[71] 서적 'Albert Gleizes 1881–1953, A Retrospective Exhibition'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72] 서적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10-01
[73] 서적 Regression and Apocalypse: Studies in North American Literary Expressionism University of Toronto Press
[74] 서적 Regression and Apocalypse: Studies in North American Literary Expressionism University of Toronto Press
[75] 서적 Theorizing the Avant-Garde: Modernism, Expressionism, and the problem of Post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 서적 The Writer in Extremis Stanford University Press
[77] 문서
[78] 문서
[79] 서적 'Handbook of International Futurism'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80] 웹사이트 Stale Session http://emuseum.campu[...]
[81] 서적 Visual Thinking
[82] 서적 Abstract Art Tate Publishing
[83] 서적 On Photography Penguin
[84] 웹사이트 "God's work: Frank Lloyd Wright, quintessential American Modernist: Larchmont Chronicle" https://larchmontchr[...] 2019-08-27
[85]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Modernism in Architecture and its Impact on the 21st Century https://www.lenmak.c[...] 2019-04-29
[86] 백과사전 Le Corbusier https://www.britanni[...] 2023-08-23
[87] 웹사이트 Growth, Efficiency, and modernism http://www.gsa.gov/g[...] 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7-02-18
[88] 문서 Skyscraper Columbia University Press
[89] 뉴스 Mies van der Rohe Dies at 83; Leader of Modern Architecture https://www.nytimes.[...] 1969-08-17
[90] 서적 Stream of Consciousness in the Modern Novel University of California
[91] 웹사이트 Stream of consciousness (literature) https://www.britanni[...] 2023-11-07
[92] 문서 The Egoist 1918-04-01
[93] 간행물 Review of Italo Svevo: A double life
[94] 문서 Art and Culture Beacon Press
[95] 문서 Supreme Height of the Defenders of Surrealism in Paris and the Revelation of their Real Value http://www.notbored.[...] 1958-11-18
[96] 문서 Diary of a Genius http://www.bartleby.[...]
[97] 문서 Surrealism http://www.groveart.[...] Oxford University Press
[98] 백과사전 'Schoenberg [Schönberg], Arnold' 2001-01-01
[99] 간행물 "A Gendered Collision: Sentimentalism and modernism in Dorothy Parker's Poetry and Fiction" (review) 2001-12-01
[100] 간행물 "Robert Benchley and Dorothy Parker 'In Broadway Playhouses': Middlebrow Theatricality and Sophisticated Humour"
[101] 문서
[102] 웹사이트 A full alphabet of Johnston wood letter types http://www.20thcentu[...] Renaissance London/MLA 2011-04-28
[103] 간행물 "Modernist Writing and Reactionary Politics" (review) 2001-11-01
[104] 서적 Les heures de James Joyce Diffusion PUF
[105] 웹사이트 Dmitri Shostakovich Nose – Opera http://www.boosey.co[...] 2019-08-27
[106] 서적 Unknown Socialist Realism. The Leningrad School
[107] 서적 The Symphony: A Listen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웹사이트 Oxford Music https://www.oxfordmu[...] 2021-09-10
[109] 서적 For the End of Time: The Story of the Messiaen Quartet Cornell University Press
[110] 서적 Dada Turns Red University of Edinburgh Press
[111] 웹인용 The Most Famous Farm Couple in the World: Why American Gothic still fascinates. http://www.slate.com[...] 2005-06-08
[112] 서적 Encyclopedia of Martin Luther and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23-05-11
[113] 웹인용 "Entartete Kunst", from ''Grove Art Online'' https://www.moma.org[...]
[114] 서적 Madness and Modernism: Insanity in the Light of Modern Art, Literature, and Thought Basic Books
[115] 간행물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16] 간행물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Inc. Oxford Reference Online
[117] 간행물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18] 간행물 Late Modernism, 1928–1945: Criticism and Theory 2011-11
[119] 간행물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20] 뉴스 An Outsider to His Own Life 1997-08-03
[12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Irish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2] 문서 Late Modernist Poetics: From Pound to Prynne
[123] 문서 Late Modernist Poetics: From Pound to Prynne
[124] 논문 The Machine as Art (in the 20th Century): An Introduction 2018-01-23
[125] 문서 The Hutchinson Encyclopedia Helicon
[126] 웹사이트 The Theatre of the Absurd: The West and the East http://www.arts.gla.[...]
[127] 서적 Women Artists at the Millennium MIT Press
[128] 서적 Encounters in the Virtual Feminist Museum: Time, Space and the Archive Routledge
[129] 서적 3 X Abstraction Yale University Press
[130] 웹인용 Moore, Henry http://www.unesco.or[...] 2008-08-16
[131] 서적 Illinois; Guide & Gazetteer University of Virginia; Rand-McNally
[132] 서적 Henry Moore: Space, Sculpture, Politics Ashgate
[133] 문서 Inscribed on the plaque at the base of the sculpture
[134] 문서 Walker
[135] 서적 In Camera: Francis Bacon: Photography, Film and the Practice of Painting Thames and Hudson
[136] 뉴스 Francis Bacon http://topics.nytime[...] 2015-12-03
[137] 뉴스 Obituary 1992-04-29
[138] 웹인용 Lucian Freud, Figurative Painter Who Redefined Portraiture, Is Dead at 88 https://www.nytimes.[...] 2011-07-21
[139] 문서 Damien Hirst https://web.archive.[...] 2012-01
[140] 뉴스 Palace unveils Freud's gift to Queen https://www.theguard[...] 2001-12-21
[141] 뉴스 The 1990s in Review: Visual Art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9-11-28
[142] 뉴스 Lucian Freud Stripped Bare https://www.nytimes.[...] 2011-07-22
[143] 웹사이트 'Girl with a White Dog', Lucian Freud – Tate http://www.tate.org.[...] 2013-11-26
[144] 논문 Young Lyrical Painters 1969-11
[145] 간행물 Leaving C&M Art+Auction 2007-03
[146] 뉴스 The New Art: It's Way, Way Out 1968-07-29
[147] Citation "On the Theme of the Exhibition"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8
[148] Citation "Popular Culture and Pop Art"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8
[149] Citation Six. POP Goes the Art World: Departure from New York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8
[150] 웹사이트 Pop Art https://www.sothebys[...] 2024-05-13
[151] Citation "Popular Culture and Pop Art"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8
[152] Citation "On the Theme of the Exhibition"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8
[153] Citation Six. POP Goes the Art World: Departure from New York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08
[154] 문서 Minim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5] 백과사전 Minimalism https://www.britanni[...] 2022-06-23
[156] 서적 The Return of the Real: The Avant-garde at the End of the Century MIT Press 1996
[157] 웹사이트 Notes on The Theatre of Eternal Music and ''The Tortoise, His Dreams and Journeys'' http://www.melafound[...] Mela Foundation 2000
[158] 웹사이트 'Fountain', Marcel Duchamp: Summary – – Tate http://www.tate.org.[...] 2015-06-04
[159] 웹사이트 Blindman No. 2 http://sdrc.lib.uiow[...] 2015-06-04
[160] 서적 Beyond Recognition: Representation, Power, and Culture 1992
[161] 서적 The Postmodern Turn Guilford Press 1997
[162] 웹사이트 Fluxus & Happening – Allan Kaprow – Chronology http://members.chell[...] 2010-05-04
[163] 뉴스 Happenings Are Happening Again https://www.nytimes.[...] 2010-04-23
[164] 서적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 Anthology Blackwell Publishing 2003
[165] 서적 Twilight Memories: Marking Time in a Culture of Amnesia Routledge 1995
[166] 웹사이트 Modernism and Popular Music – Routledge Encyclopedia of Modernism https://www.rem.rout[...] 2021-09-09
[167] 뉴스 Why Jazz Musicians Love 'The Rite Of Spring' https://www.npr.org/[...] 2013-05-26
[168] 웹사이트 Joe Meek's pop masterpiece I Hear a New World gets the chance to haunt a whole new generation of audiophile geeks http://www.tinymixta[...] 2021-09-03
[169] 서적 Bloomsbury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Vol. XI: Genres: Europe Bloomsbury Academic 2017
[170] 간행물 The New Informalists Art News 1969-12
[171] 서적 American Painting. Part Two: The Twentieth Century Skira–Rizzoli 1969
[172] 간행물 Notes on American Painting of the Sixties. Artforum 1970-01
[173] 서적 ITV Visual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Carlton Books
[174] 웹사이트 Modanizumu: Modernist Fiction from Japan http://www.uhpress.h[...]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
[175] 뉴스 Draft confirmed as Kawabata novel http://info.japantim[...] 2012-07-15
[176] 간행물 Plan Amsterdam 1982-02
[177] 웹사이트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 Exhibition ! Permanent Exhibitions ! 4 Gallery ! 4-1 Construction of Peace Memorial Park ! 4-1-1 Construction of Peace Memorial Park https://hpmmuseum.jp[...] 2024-11-20
[178] 학술지 Rêveries et flottements dans la ville https://journals.ope[...] 2023-07-10
[179] 학술지 Les Artistes du Groupe de Calcutta (1943–1953) : Entre Tradition Occidentale et Modernité Indienne https://olh.openlibh[...] 2020-01-28
[180] 논문 Modernism, African Literature, and the Cold War 2015
[181] 논문 Modernism, African Literature, and the Cold War
[182] 서적 The Penguin Companion to Classical Music Penguin Books 2004
[183] 웹사이트 Postmodern Debates http://www.bokkilden[...] 2011-05-09
[184]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 Dictionary, Thesaurus, & Grammar http://www.askoxford[...]
[185] 웹사이트 Postmodern – Definition of Postmodern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2023-06-14
[186] 웹사이트 American Heritage Dictionary's definition of the Postmodern http://www.bartleby.[...] Cook's November 1989
[187] 웹사이트 The Po-Mo Page: Postmodern to Post-postmodern http://www9.georgeto[...]
[188] 서적 Post-truth The MIT Press 2018
[189] 서적 British, Irish and American Literature Trier 2002
[190] 뉴스 Modern art surges ahead:¡Magnifico! features new artistic expression http://www.dailylobo[...] Daily Lobo 2002-01-17
[191] 뉴스 Childish artists coming unstuck Financial Times 2001-03-13
[192] 뉴스 Out Of This World: Designs Of The Space Age https://www.npr.org/[...] NPR 2021-09-09
[193] 간행물 Googie: Architecture of the Space Age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21-09-09
[194] 웹사이트 Jane Bennet book Retrieved 19 January 2021 https://www.oxfordha[...] 2021-01-19
[195] 뉴스 Set in Stone https://www.theguard[...] 2009-06-06
[196] 웹사이트 Modernist Architecture:30 Examples https://www.trendir.[...]
[197] 웹사이트 T. S. Eliot's Life and Career https://www.modernam[...]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98] 웹사이트 Woman art https://quizlet.com/[...] Quizlet.com 2024-07-02
[199] 웹사이트 Niccolo-Machiavelli The-Art-of-War https://www.britanni[...] 2024-07-02
[200] 문서 스ティーヴ・ライヒらの音楽におけるミニマリズムのほか、さまざまなジャンルに、ミニマリズムは存在する
[201] 서적 The Sculpture of David Nash The Henry Moore Foundation 1996
[202] 웹사이트 Minimalism Grove Art Online 2009
[203] 웹사이트 Minimalism http://www.britannic[...] 2019-06-08
[204] 서적 The Return of the Real: The Avant-garde at the End of the Century MIT Press 2019-06-08
[205] 논문 Modernism, African Literature, and the Cold War 2015
[206] 논문 Modernism, African Literature, and the Cold War
[207] 문서 「刺青」「春琴抄」など作品多数。耽美主義の作家の代表格だった
[208] 서적 Modanizumu: Modernist Fiction from Japan, 1913–1938 http://www.uhpress.h[...]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
[209] 웹사이트 Draft confirmed as Kawabata novel http://info.japantim[...] The Japan Times 2019-06-08
[210] 간행물 Plan Amsterdam 1982-02
[211] 웹인용 모더니즘 소설가들 (2) https://brunch.co.kr[...] 2020-09-13
[212] 간행물 모더니즘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