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는 인간의 생활 양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예술, 언어, 종교, 가치관 등을 포함한다. 인류학, 사회학,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문화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으며, 공유성, 학습성, 축적성, 변동성, 총체성과 같은 속성을 지닌다. 문화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자문화중심주의, 문화 상대주의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된다. 또한 문화는 정치, 경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대중 매체를 통해 전파되고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문화유산은 유형 및 무형의 문화적 성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으며 관광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구성주의 - 토마스 루크만
    토마스 루크만은 슬로베니아 출신 독일 사회학자로, 알프레드 슈츠의 영향을 받아 현상학적 사회학을 발전시켰으며, 피터 L. 버거와 함께 사회학 고전으로 평가받는 《사회적 실재의 구성》을 저술하고, 현대 사회 종교의 사사화 현상을 분석한 《보이지 않는 종교》를 발표하는 등 지식사회학, 종교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했다.
  • 사회 구성주의 - 프레이밍
    프레이밍은 정보 제시 방식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사회 개념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사회 개념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 문화 - 문화유산
    문화유산은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자연유산, 디지털 유산으로 나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기념물, 건축물군, 유적으로 문화유산을 구분하고 문화적 경관 개념을 추가하여 인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각국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 문화 - 단혼
    단혼 또는 일부일처제는 한 번에 한 사람하고만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중혼 또는 다처제와 대조되며, 사회적, 성적, 유전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고, 현대 사회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시행되며, 여성 권리 운동의 옹호를 받는다.
문화
문화
민속 문화 행사 중 행진하는 독일인들
민속 문화 행사 중 행진하는 독일인들
종교와 표현 예술은 인간 문화의 중요한 측면이다.
종교와 표현 예술은 인간 문화의 중요한 측면이다.
인간의 상징적 표현은 선사시대 인간이 행동 근대성에 도달하면서 발전했다.
인간의 상징적 표현은 선사시대 인간이 행동 근대성에 도달하면서 발전했다.
정의
문화의 정의사회의 행동 및 규범
특징공유되고, 학습되며, 사회적으로 전달되는 행동 양식, 신념, 가치관, 상징, 제도, 기술 등을 포함
유형물질 문화 (물건, 기술), 비물질 문화 (사상, 가치관)
문화 형성 요소지리적 환경, 역사적 경험, 사회적 상호작용
문화의 기능
사회 통합공통의 가치관과 신념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을 결합
정체성 형성개인과 집단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
사회적 규범 제공사회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임
의사소통 수단언어, 몸짓, 상징 등을 통해 사회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함
학습과 전수지식, 기술, 전통을 다음 세대로 전달
문화 연구 분야
인류학다양한 문화의 기원, 발달, 구조 등을 연구
사회학사회 구조와 사회적 상호작용이 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 연구문화 현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해석
언어학언어와 문화의 관계 연구
심리학문화가 개인의 심리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와 사회 변화
문화 변동기술 발전, 외부 문화 유입, 사회적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
문화적 다양성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상태, 각 사회의 고유한 문화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
문화 갈등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 문화적 이해와 관용이 중요
문화의 주요 구성 요소
가치관사회 구성원이 중요하게 여기는 신념, 윤리적 원칙
규범사회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는 규칙, 기대, 관습
상징특정 의미나 가치를 나타내는 물건, 행동, 이미지 등
언어사회 구성원들이 의사소통하는 데 사용하는 시스템
제도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 관습, 법률
예술창의적인 표현, 문학, 음악, 미술 등
문화의 역사적 변화
고대 문화농업 혁명, 문명 발달, 종교, 국가 형성
중세 문화봉건제, 기독교 중심 사회, 도시 발달
근대 문화르네상스, 종교 개혁, 과학 혁명, 산업 혁명
현대 문화정보화 사회, 세계화, 다문화주의, 기술 발달
문화의 다양성
민족 문화특정 민족이 공유하는 문화, 전통, 가치관
지역 문화특정 지역에서 발전한 문화, 지역 특성이 반영됨
세계 문화국제 사회에서 공유되는 문화, 세계화의 영향
하위 문화기존 문화와 다른 특징을 가진 집단 문화
문화와 관련된 이슈
문화적 제국주의강대국 문화가 약소국 문화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식민주의
문화적 동화소수 문화가 주류 문화에 통합되는 과정, 자발적 또는 강제적
문화적 상대주의다른 문화를 자신의 문화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는 태도, 문화 존중
문화적 보편주의모든 문화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가치가 있다고 보는 관점
문화 관련 용어
문화적 충격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혼란, 스트레스
문화적 적응새로운 문화에 익숙해지는 과정, 사회적응 노력
문화적 공유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교류하는 과정, 문화적 융합
문화의 미래
기술 발전문화 창조, 전파, 소비 방식에 변화 초래
세계화문화적 다양성 증가, 문화적 교류 확대
디지털 문화인터넷, 소셜 미디어를 통한 문화 형성
환경 문제문화적 가치관, 생활 방식에 영향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munhwa

2. 문화의 정의

문화는 매우 광범위하고 복잡한 개념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서로 다른 관점으로 정의된다.

문화에 대한 정의는 매우 어렵고 다양하다. 문화는 음악, 미술, 문학, 연극, 영화와 같은 예술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50] 사람들은 상품으로서 대중문화, 유행가와 같은 것들을 소비함으로써 문화를 접하기도 한다.[151]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소비재로서의 문화 상품은 문화의 다른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문화는 사상, 의상, 언어, 종교, 의례, 이나 도덕 등의 규범, 가치관과 같은 것들을 포괄하는 “'''사회 전반의 생활 양식'''”이라 할 수 있다.[153] 가치관, 행동 양식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가진 이론 기반에 따라 여러 가지 정의가 존재한다.

인류학은 사회 전반의 기술, 예술, 관습, 양식 등 보다 광범위한 것들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문화를 정의한다. 인류학자들은 정형화할 수 있고 기호로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모든 인간의 능력을 문화로 정의한다. 동물학에서는 문화를 동물 생태계에서 위치하고 있는 인류의 행동 양식으로 이해하기도 하며,[152] 고고학은 역사적 유적에 집중한다. 사회인류학은 사회 제도와 인간의 상호관계로서, 문화인류학에서는 규범과 가치로서 문화를 다룬다. 종교적인 관점에서 보면 폴 틸리히가 본 것처럼 종교는 문화의 뿌리이다. 사상적인 관점에서 보면 세계관에 의해 문화의 모습이 만들어진다.

서양에서는 18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러 형성된 유럽의 문화를 일반적인 문화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화를 문명과 동일시하는 동시에 서구의 문명을 문화의 전범으로 파악하는 서구우월주의에 의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반성에서 모든 인류의 문화를 내재적 시각으로 연구하려는 문화상대주의가 시작되었다.

문화는 여러 기준에 의해서 분류되기도 한다.


  • 종교적 구분: 이슬람 문화, 기독교 문화, 불교 문화, 힌두교 문화 등
  • 언어적 구분: 영어 문화권, 프랑스어 문화권, 스페인어 문화권, 포르투칼어 문화권, 아랍어 문화권 등
  • 지역적 구분: 동아시아 문화, 중동 문화, 유럽 문화 등
  • 기타: 젓가락 문화권, 유목 문화권 등


문화란 무엇인지 그 정의를 질문한다면, 답변하기가 가장 어려운 것들 중 하나일 것이다. 아직까지 어떤 문화학자도 만족할 만한 충분한 정의를 서술하지 못하였다. 이런 어려운 규정에 대한 난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에 대한 고전적 정의로부터 그 보편성을 가지는 함의적인 의미를 찾아야 할 것이다.

문화의 속성의미
공유성문화는 한 사회의 구성원들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난다.
학습성문화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된다.
축적성문화는 다음 세대로 전해지면서 기존 문화에 새로운 문화 내용이 쌓인다.
변동성문화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총체성문화는 각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 관련을 맺고 통합성을 가진다.


2. 1. 어원

'문화'라는 단어는 라틴어 'colere'(경작하다)에서 유래한 'cultura'에 기반하며, '경작', '재배', '양성' 등의 의미를 지닌다.[82] 고대 로마의 웅변가 키케로는 그의 저서 ''투스쿨라네 논쟁''에서 영혼의 계발을 의미하는 "''cultura animi''"[6]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 영어 'Culture', 독일어 'Kultur'의 번역어로는, 메이지 시대쓰보우치 쇼요가 "문화(文華)"라는 단어를 사용했고,[83] 오니시 이와이가 매슈 아널드의 저서 『Culture and Anarchy』를 번역한 『교양과 무질서』(1986년)에서 "문화"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4]

2. 2. 인류학적 정의

인류학에서는 인간과 자연동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문화가 존재한다.[87]

최초의 정의는 영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가 1871년에 제시한 것으로,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그리고 기타 사람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과 습관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전체"를 문화 또는 문명으로 정의한다.[88] 이 정의에 뒤따르는 진화론적 논의는 비판을 받았지만, 타일러의 정의 자체는 현재까지도 기본적으로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다.[89]

이 정의는 동물이 사회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내려졌으나, 이후 야생 동물도 사회를 구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동물이 사용하지 않는 언어를 통해 문화를 특징짓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동물의 음성 의사소통과는 다른 재귀성이나 상징성이 강조되었다. 레비스트로스는 언어가 문화의 조건이라고 보았다.[90] 즉, 문화는 비언어적인 것이더라도 언어적인 성질을 가진 상징적인 사건으로 정의되며, 이는 구조주의 문화인류학자들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관점이다.[91][92]

2. 3. 사회학적 정의

사회학에서 문화는 사회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가치, 신념, 행동 양식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파슨스는 문화 시스템을 사회 시스템과 병행하여 정당성을 확보하는 요소로 정의하였다.[93]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 시부타니 다모쓰는 특정 집단 또는 사회적 세계에서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관점(인식 틀)을 문화로 파악한다.[94] 하버마스는 문화를 "지식의 축적으로, 의사소통 참여자들이 세계에 대한 어떤 것에 대해 이해할 때 이 지식의 축적에서 해석을 얻는다"라고 정의했다.[95]

2. 4. 기타 정의

유네스코2002년 “문화는 한 사회 또는 사회적 집단에서 나타나는 예술, 문학, 생활양식, 더부살이, 가치관, 전통, 신념 등의 독특한 정신적, 물질적, 지적 특징”으로 정의하였다.[15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에서는 문화가 주로 자연과 대립해서 쓰인다고 하였다. 인간을 제외한 자연은 객관적·필연적으로 생기나, 이러한 자연을 소재로 하여 목적 의식을 지닌 인간의 활동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문화’라 한다. 이러한 과정의 소산(所産)을 특히 ‘문화재’(文化財)라 부른다. 즉 종교·예술·과학·문학 등의 구체적 형상을 ‘문화재’라고 한다. 또한 ‘문화’와 ‘문명’을 대비시켜 쓰는 경우도 있다. 문화는 비교적 내부적인 것, 문명은 비교적 외부적인 것을 가리키나, 그 구별은 엄밀하지 않다.

3. 문화의 속성

문화는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가지는 생활 양식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을 지닌다.[153]

문화의 속성의미
공유성문화는 한 사회의 구성원들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난다.
학습성문화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된다.
축적성문화는 다음 세대로 전해지면서 기존 문화에 새로운 문화 내용이 쌓인다.
변동성문화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총체성문화는 각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 관련을 맺고 통합성을 가진다.


4. 문화의 분류

문화는 여러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 종교적 구분: 한 사회의 대다수가 믿는 종교에 따라 이슬람 문화, 기독교 문화, 불교 문화, 힌두교 문화 등으로 문화를 구분하는 방법이다.[153]
  • 언어적 구분: 사용되는 언어에 따라 영어 문화권, 프랑스어 문화권, 스페인어 문화권, 포르투갈어 문화권, 아랍어 문화권 등으로 문화를 구분하는 방법이다.[153]
  • 지역적 구분: 동아시아 문화, 중동 문화, 유럽 문화와 같이 역사적, 정치적 의미에 의해 지역을 기준으로 문화를 분류한다.[153]
  • 기타: 젓가락 문화권, 유목 문화권과 같이 생활양식을 기준으로 문화를 구분하기도 한다.[153]

5. 문화 이해의 흐름

문화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문화는 자연을 인위적으로 변화시켜 인간의 삶의 방식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의미한다.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문화에 대한 최초의 고전적 학술적 정의를 시도한 영국의 인류학자이다. 그는 문화에 대해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 관습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간이 얻는 또 다른 능력과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잡한 통합”이라고 정의했다.[154][155]

리차드 니버는 미국의 문화학자로, 문화란 “인간활동의 총체적 과정과 그 활동으로 인한 총체적 결과”라고 정의한다. 또한 "문화라는 것은 인간이 자연적인 것 위에 첨가한 인공적이며 2차적 환경인데, 이것은 언어, 관습, 사상, 믿음, 습관, 사회조직, 전수된 가공품, 기술적 제조법 그리고 가치 등으로 구성된 것" 이라고 정의한다.

클리포드 기어츠는 미국의 인류학자로, 저서 『문화의 해석』에서 문화란 "삶에 대한 인간들의 지식과 태도를 소통하고 지속시키고 발전시키는 상징적 형식으로 표현되어 전달된 개념의 체계"라고 기술했다.

6. 문화와 사회

문화는 사상, 의상, 언어, 종교, 의례, 이나 도덕 등의 규범, 가치관과 같은 것들을 포괄하는 “'''사회 전반의 생활 양식'''”이라 할 수 있다.[153] 가치관, 행동 양식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가진 이론 기반에 따라 여러 가지 정의가 존재한다.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자문화중심주의: 자신의 국가의 문화가 최고라고 생각하는 태도이다.
  • 문화 사대주의(열등주의): 자신의 국가의 문화가 상대 국가의 문화에 비해 뒤쳐져있다고 생각하는 태도이다. 조선시대에 국력의 약화로 이런 모습이 일부 영역에 있었다.
  • 문화 상대주의: 문화 간의 우열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이다. 한 문화가 형성되는 데에는 복잡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외부인이 자신의 기준으로 그 문화를 평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태도이다. 인류학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 독일 학자, 프란츠 보아스에 의해서 처음 주장된 이후로 인류학자들에게는 타자의 문화를 이해하는 기본 태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문화 제국주의: 폭력적이고 정치적이었던 식민주의, 제국주의 시기가 끝난 이후, 강대국의 문화와 삶의 형식이 경제의 형태로 유입되는 현상을 말한다.


대부분의 사회에는 다양한 하위 문화가 존재한다. 사회 구성원의 행동 양식이나 가치관, 또는 신념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적 정체성을 지니는 집단이 하위 문화를 이루게 된다.

7. 영미 교양 관념 (컬처)

'''컬처'''(culture)는 교양의 영어식 표현으로 한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근본적인 생활양식,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그리스어 파이데이아, 독일어 빌둥과 유사하면서도 다른 뉘앙스를 담고 있다.

영어에서 ‘culture’는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지적처럼, 그 의미가 “가장 복잡한 두 세 개의 단어 중의 하나”이다. 19세기 영어에서 이 단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158]

구분의미
첫째“지적, 정신적, 심미적 발달 과정” 즉, 교양(빌둥)을 가리키는 경우
둘째헤르더와 클렘(Klemm)의 문화론의 영향을 받아 “민족, 시대, 집단, 혹은 인간 일반의 특정한 삶의 방식” 즉, 문화(Kultur)를 가리키는 경우
셋째“지적 활동, 특히 예술 활동의 결과물과 행위” 즉, 교양의 ‘결과물’을 가리키는 경우



낭만주의 이론은 슐레겔 형제, 특히 아우인 프리드리히가 개척했다.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는 국가적 컬처를 부르짖었다.


이런 관점은 컬처의 현대적 이해를 도왔다. 프란츠 보아스는 이러한 지적 전통을 지닌 채로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했다.[164]

영국의 시인이자 비평가 매슈 아널드는 컬처를 인간 이상을 경작하는 것으로 보았다


실제로 컬처는 미술, 서양 고전 음악, 상류층 음식문화 등과 관계있는 엘리트적 이상을 부르곤 했다.[166] 이것을 도시생활에 연결해보면 컬처는 문명화, 근대화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낭만주의 운동의 다른 측면은 비엘리트적 컬처인 민속에 대한 관심이다. 이러한 구분은 곧 지배적 사회 집단의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라는 이분법을 낳았다. 즉, 컬처라는 관념은 18, 19세기 유럽의 불평등 속에서 발전한 것이다.[167]

영국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컬처를 포괄적인 의미의 학술용어로 사용한 첫 번째 영어권 학자 중 하나이다.


루소를 추종하는 다른 19세기 비평가들은 고급/저급 문화의 이분법을 받아들이긴 했지만, 상류문화가 인간 본성을 왜곡하고 모호하게 만드는, 자연스럽지 못하고 타락한 것이라는 관점을 가지기도 했다. 그들은 민요를 자연스러운 삶의 정직한 표현이라고 보았고, 클래식은 겉치레와 퇴폐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마찬가지로 원주민들을 "고귀한 야만인"으로 격상했으며, 서구 자본주의에 오염되지 않은 삶을 오롯하게 살아내는 사람으로 보았다.

7. 1.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

이마누엘 칸트는 "개화(enlightenment)"를 "인간이 스스로 갇혀있던 미성숙 상태에서 탈출하는 것"[159]이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독일어 빌둥과 유사한 개념이다. 그는 이러한 미성숙이 지식 부족이 아닌, 스스로 생각하는 용기의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며, "현명함에 도전하라"(Sapere aude)고 강조했다.[159]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는 칸트의 주장에 대한 반향으로, 인간의 창조성이 이성만큼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더 나아가 빌둥의 집합적인 형태를 제안했는데, "헤르더에게 빌둥은 정체성에 밀착되는 경험의 총체였고 인간이 숙명적으로 공유해야 하는 것이었다."[160]

아돌프 바스티안은 보편문화로서의 컬처 개념을 발전시켰다.


빌헬름 폰 훔볼트는 칸트와 헤르더의 관심사를 종합하여 세계관이라는 개념을 문화에 포함시켰다.[161] 낭만주의 시대 학자들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항한 소수민족들의 투쟁에 동참한 민족주의자들은 세계관으로 민족을 구분하고, 하나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돌프 바스티안은 "인류의 정신적 통합체"[162]를 제안했다. 그는 모든 인간 사회를 과학적으로 비교하면, 서로 다른 세계관이 공통 요소, 즉 '기본 생각'(Elementargedanken)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사회가 '기본 생각'의 집합을 공유하며, '민족적 생각'(Völkergedanken)은 기본 생각의 지역적 특성일 뿐이라고 설명했다.[163]

7. 2. 영국 낭만주의

매슈 아널드같은 영국의 인문주의자들은 컬처를 사람 각각이 만들어낸 정수의 이상적 형태라고 보았다.[165] 이것은 독일의 빌둥과 비교된다. "컬처는 우리와 관계있는 모든 것들을 알고 싶어하는 총체적 완벽의 추구이다. 우리 세계에서 생각하고 언급해온 최고의 것이다."

영국에서는 문화 수준이 낮아 로마의 권위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려웠지만, Celt와 Norse의 신화·전설 등을 소재로 한 문학이 차차 나왔고, 종교 개혁 후에는 성서의 영향도 짙게 나타났다.

토머스 홉스장자크 루소를 추종하는 학자들은 컬처를 자연 상태와 대비했다. 홉스와 루소는 유럽에 정복당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자연 상태에 놓여있었다고 보았다.

인류학자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컬처를 인간 사회를 특징짓는 행동들의 발산이라는 형태로 다시 다듬었다. 이런 관점은 컬처를 현대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왔다.

8. 문화의 변화

문화는 내부적, 외부적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라이몬 판니카르는 성장, 발전, 진화, 내포, 쇄신, 재개념화, 개혁, 혁신, 부흥주의, 혁명, 돌연변이, 진보, 확산, 삼투, 차용, 절충주의, 융합주의, 현대화, 토착화, 변혁 등 문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29가지 방법을 제시했다.[13]

사회적 갈등과 기술의 발전은 사회 역동성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문화 모델을 촉진하며 창발적 행동을 자극하거나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회 내에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이데올로기적 변화 및 기타 유형의 문화 변화를 수반할 수 있다.[15]

문화는 사회 간의 접촉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전쟁이나 경쟁은 기술 발전이나 사회 역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문화적 사상은 확산이나 문화 동화를 통해 한 사회에서 다른 사회로 전파될 수 있다. 확산은 한 문화의 요소가 다른 문화로 이동하는 것이고, "자극 확산"은 한 문화의 요소가 다른 문화에서 발명이나 전파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혁신 확산 이론은 개인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언제, 왜 채택하는지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18]

문화 동화는 한 문화의 특징이 다른 문화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과 전 세계의 많은 원주민들이 식민지화 과정에서 겪었던 것이 그 예시이다. 개인 수준에서 관련된 과정에는 동화이문화가 포함된다.[14]

특정 지역의 문화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문화 전파라고 한다. 문화 전파에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접촉적 확산 전파, 중요 인물이나 대도시 간 등 원거리의 동일 계층에 먼저 확산되고 거기서 하위 계층으로 전파되는 계층적 확산 전파, 문화 보유자가 이주함으로써 문화가 전파되는 이동 전파 등이 있다.[131]

불교인도에서 발생하여 종파의 분열과 각 지역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주로 상좌부 불교는 남쪽의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대승불교는 북쪽의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여러 국가 등으로 전파되었다.[132] 이후 대승불교가 6세기에 일본에도 전해졌지만(불교 공인), 처음에는 숭불 논쟁이 일어나 격렬하게 다투었다. 수용 후에는 중국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일본 고유의 종파도 발달했고, 본지수기설의 등장에 따라 일본 고유의 종교인 신토와의 융합이 일어나 신불습합이라는 상태가 되었다.[133]

교통·통신 수단의 개선과 경제 교류 증대에 따라 각 문화권의 교류가 밀접해짐에 따라 문화의 전파·교류는 점점 더 밀도를 더하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세계화의 폭발적인 진전과 함께 각국에서는 타국 문화의 유입이 일어나 다양성이 증대되었고, 기존 문화와 이질 문화의 융합에 의해 새로운 문화가 탄생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유입되는 이질 문화는 대개 강력한 문화,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문화이며, 미국화를 비롯한 문화의 표준화에 의한 문화 차이의 감소도 현저해지고 있다.[134] 이러한 세계화와 지역 한정화의 혼합에 의한 문화의 흐름은 글로컬화라고 불린다.[138]

9. 문화와 정치경제

대중매체는 오락, 문화, 교양 정보뿐만 아니라 기업의 광고나 단체의 홍보를 대량으로 전달한다.[139] 이러한 대중매체의 일방적인 정보 제공은 시민들이 받아들이는 정보를 균일하게 만들어, 광범위한 공통 문화 시장과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문화를 탄생시켰다.[140]

문화는 민족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며, 국가는 국민 문화 창출에 힘을 쏟는다.[142] 각국은 음악, 문학, 영화 등 대중문화와 자국의 전통 문화를 국가 경쟁력 강화에 유효한 수단으로 여기고, 문화 산업 수출과 자국 문화 홍보에 경쟁적으로 힘을 쏟고 있다.[144] 이러한 문화 교류를 통해 다른 나라의 공감과 호의를 얻고 자국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것은 외교상 소프트 파워라고 불리며, 퍼블릭 디플로머시는 소프트 파워를 얻기 위한 중요한 외교 수단이 되고 있다.[145]

10. 문화유산

고대 이집트 유적의 복원


각 문화는 유형 및 무형의 문화유산을 보유하며, 그중 가치가 높은 것은 국제적으로 보호된다. 각국의 문화유산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보호 체제도 갖추고 있다.[146] 1972년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가치가 높은 유형 문화유산은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문화유산 또는 복합유산으로 보호받는다.[147] 2003년에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에 관한 조약이 채택되어, 유네스코에 의해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148] 이러한 문화유산은 관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외국에서 문화를 감상하거나 체험하기 위해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149]

참조

[1] 서적 Primitive Culture J.P. Putnam's Son 1871
[2] 서적 Encyclopedia of Multicultural Psychology
[3] 논문 Repositioning culture for development: women and development in a Nigerian rural community http://dx.doi.org/10[...] 2017-05-29
[4] 영화 Song from the Forest 2013
[5] 서적 Sociology Pearson Prentice Hall 2011
[6] 서적 Tusculanes https://books.google[...] J. Gaude 2018-03-03
[7] 서적 Being after Rousseau: philosophy and culture in ques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8]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Globalization and Social Justice https://archive.org/[...] Sage 2015
[9] 서적 Urban Sustainability in Theory and Practice: Circles of Sustainability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17-05-29
[10] 웹사이트 Meaning of "culture" https://dictionary.c[...] 2015-07-26
[11] 서적 Thirty Years of Terror Management Theory 2015
[12] 서적 Handbook of Experimental Existenti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Guilford Publications 2016-06-01
[13] 서적 Religious Pluralism: An Indian Christian Perspectiv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91
[14] 논문 Repositioning culture for development: women and development in a Nigerian rural community 2015-07-03
[15] 웹사이트 Culture Change: Processes of Change http://anthro.paloma[...] Palomar College 2016-10-29
[16] 논문 The Slow Birth of Agriculture 1998-11-20
[17] 웹사이트 Why China Loves American Chain Restaurants So Much https://www.eater.co[...] 2019-09-29
[18] 웹사이트 A New Kind of Science: A 15-Year View https://writings.ste[...] 2017-05-16
[19] 간행물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Enlightenment? 1784
[20] 웹사이트 The German Bildung Tradition http://www.philosoph[...] UNC Charlotte 2017-05-29
[21] 서적 Humboldt, Worldview, and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9
[22] 서적 Adolf Bastian and the psychic unity of mankind Lit Verlag 2005
[23] 웹사이트 Biography of Adolf Bastian, ethnologist https://todayinsci.c[...] 2017-05-29
[24] 논문 Franz Boas and the discovery of culture http://home.uchicago[...] 2016-10-30
[25] 웹사이트 Culture and Anarchy http://www.library.u[...] 2017-05-29
[26] 서적 Understanding Popular Music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7
[27] 서적 1981
[28] 서적 The globaliza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Oxford 2017
[29] 서적
[30] 서적 Tre saggi sull'antropologia dell'età coloniale 1973
[31] 서적 Constructing race: the science of bodies and cultures in American anthropology http://worldcat.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7-10
[32] 웹사이트 anthropology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anthropology Britannica.com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6-10-30
[34] 웹사이트 What is Anthropology? – Advance Your Career http://www.americana[...]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6-10-30
[35]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The Human Challenge Wadsworth/Cengage Learning 2011
[36] 서적 Small data: the tiny clues that uncover huge trends St. Martin's Press 2016
[37] 서적 Georg Simmel on individuality and social forms: selected writing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05-29
[38] 웹사이트 A Physicist Experiments with Cultural Studies http://www.physics.n[...] 2016-10-28
[39] 학술지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Sociology of Culture http://dx.doi.org/10[...] 1987
[40] 서적 Karl Marx: His Life and Environ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1] 간행물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42] 서적 Ways of seeing Peter Smithn 1972
[43] 학술지 Studying Culture – Reflections and Assessment: An Interview with Richard Hoggart
[44] 뉴스 Cultural hallmark https://www.theguard[...] 2016-10-30
[45] 서적 Stuart Hall Routledge 2004
[46] 서적 Introducing Cultural Studies Totem Books 1994
[47] 서적 Myths of Oz: reading Australian popular culture Allen and Unwin 1987
[48] 서적 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 http://proxy2.hec.ca[...] University of Texas Press 2021-09-01
[49] 웹사이트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http://www.thepress.[...] 2016-10-30
[50] 서적 Qualitative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https://archive.org/[...] Sage 2002
[51] 웹사이트 Marxism https://www.thecanad[...] Historica Canada 2019-10-07
[52] 서적 Doing Cultural Studies: The Story of the Sony Walkman https://books.google[...] Sage 2015-07-02
[53] 웹사이트 Julia Kristeva https://www.oxfordbi[...]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9-29
[54] 학술지 Economic growth and cultural change 2013-12-01
[55] 서적 Meaning in Action: Outline of an Integral Theory of Culture Polity 2016
[56] 학술지 Cultural psychology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ognitive Science
[57] 서적 Social psychology
[58] 학술지 Psychological universals: what are they and how can we know? 2005-09
[59] 학술지 Toward Theorizing Japanese Communication Competence from a Non-Western Perspective
[60] 학술지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across the adult life span: Parallels in five cultur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61] 학술지 Development of the Chines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1996-03
[62] 간행물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Blackwell Publishers Ltd
[63] 학술지 Cultural Differences in Self-Evaluation 2001
[64] 학술지 The Myth of the Teen Brain https://drrobertepst[...] 2007-06
[65] 뉴스 Why it's time to lay the stereotype of the 'teen brain' to rest https://theconversat[...] 2017-10-29
[66]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Adolescence https://www.psycholo[...] 2017-02-19
[67] 학술지 On the "Invention" of Adolescence. https://eric.ed.gov/[...] 1994-02
[68] 서적 Teen 2.0: Saving Our Children and Families from the Torment of Adolescence https://books.google[...] Linden Publishing 2010
[69] 학술지 Adolescence in Historical Perspective
[70] 웹사이트 The Danger of Treating Teens Like Children http://help.fortroub[...]
[71] 잡지 Are the Brains of Reckless Teens More Mature Than Those of Their Prudent Peers? https://www.scientif[...] 2009-08-25
[72] 웹사이트 The Teenage Brain: Debunking the 5 Biggest Myths https://www.huffingt[...] 2011-05-17
[73] 서적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Military Manual. UNESCO
[74] 뉴스 UNESCO Director-General calls for stronger cooperation for heritage protection at the Blue Shield International General Assembly. UNESCO 2017-09-13
[75] 웹사이트 UNESCO Legal Instruments: Second Protocol to the Hague Convention of 1954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1999 http://portal.unesco[...]
[76] 간행물 Kulturschutz in der Ära der Identitätskriege 2018-10-24
[77] 웹사이트 Karl von Habsburg auf Mission im Libanon https://www.krone.at[...] 2019-04-28
[78] 간행물 Cultural Property at War: Protecting Heritage during Armed Conflict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2008-03-01 # Spring으로 추정
[79] 학술지 Commodification, culture and tourism 2002-08-01
[80] 서적 Lascaux et la conservation en milieu souterrain: actes du symposium international (Paris, 26-27 fév. 2009) = Lascaux and Preservation Issues in Subterranean Environmen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Paris, February 26 and 27) Éditions de la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81] 학술지 Perceived sociocultural impacts of tourism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 case study of Langkawi Island
[82] 웹사이트 カルチャー/culture(語源由来辞典) https://gogen-yurai.[...]
[83] 서적 話のネタ PHP文庫
[84]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文化」の解説(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85] 서적 現代文化論 新しい人文知とはなにか 有斐閣 2018-11-05
[86] 서적 民族誌的近代への介入—文化を語る権利は誰にあるのか〔増補版〕 人文書院
[87] 서적 文化人類学入門 中央公論社
[88] 서적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Kessinger Pub Co
[89] 서적 文化人類学 有斐閣
[90] 서적 構造人類学 みすず書房
[91] 웹페이지 # 위키피디아 페이지로 추정
[92] 서적 心ところばの起源を探る: 文化と認知 勁草書房
[93] 서적 文化システム論 ミネルヴァ書房
[94] 논문 パースペクティブとしての準拠集団 https://hdl.handle.n[...]
[95] 서적 コミュニケーション的行為の理論 木鐸社
[96] 서적 意味の歴史社会学―ルーマンの近代ゼマンティック論 世界思想社
[97] 웹페이지 # 위키피디아 페이지로 추정
[98] 서적 文化進化論 ダーウィン進化論は文化を説明できるか NTT出版 2016-02-15
[99] 서적 Rikoteki na idenshi. https://www.worldcat[...] Kinokuniyashoten 2018-02-01
[100] 서적 文化進化論 ダーウィン進化論は文化を説明できるか NTT出版 2016-02-15
[101] 서적 文化進化論 ダーウィン進化論は文化を説明できるか NTT出版 2016-02-15
[102]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03]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104]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05] 서적 博覧会の政治学 中公新書 1992-09-25
[106]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107]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08] 서적 ヒトはなぜヒトを食べたか—生態人類学から見た文化の起源 早川書房 1997
[109] 서적 「文化」を捉え直す カルチュラル・セキュリティの発想 岩波新書 2015-11-20
[110] 서적 「文化」を捉え直す カルチュラル・セキュリティの発想 岩波新書 2015-11-20
[111] 서적 「文化」を捉え直す カルチュラル・セキュリティの発想 岩波新書 2015-11-20
[112] 서적 世界の宗教と人口 原書房 2013-07-16
[113] 학술지 Creating the Past 1989
[114] 학술지 Native and Anthropologist 1991
[115] 서적 サモアの思春期 蒼樹書房 1976
[116] 서적 マーガレット・ミードとサモア (출판사 정보 없음) 1995
[117] 서적 メイキング文化人類学 (출판사 정보 없음) 2005
[118] 서적 民族誌的近代への介入 (출판사 정보 없음) 2001
[119] 서적 現代文化論 新しい人文知とはなにか 有斐閣 2018-11-05
[120] 웹사이트 文化住宅にしひがし http://www.asahi.com[...] 2021-12-24
[121] 서적 現代文化論 新しい人文知とはなにか 有斐閣 2018-11-05
[122] 웹사이트 文化住宅にしひがし http://www.asahi.com[...] 2021-12-24
[123]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bunka-al.com/[...] 2021-12-24
[124] 서적 The Predicament of Culture: Twentieth-Century Ethnography, Literature and Ar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125] 서적 The Predicament of Culture: Twentieth-Century Ethnography, Literature and Ar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126] 서적 トランスポジションの思想 文化人類学の再想像 世界思想社 1998
[127] 학술지 『劇場国家』から『旅行者の楽園へ』 1992
[128] 서적 大東亞科學綺譚 筑摩書房 1996
[129] 서적 イメージの楽園 筑摩書房 1992
[130] 서적 ミーム―心を操るウイルス 講談社 1998
[131] 서적 文化地理学ガイドブック あたりまえを読み解く三段活用 改訂版 ナカニシヤ出版 2022-01-10
[132] 서적 面白くて眠れなくなる宗教学 PHP研究所 2018-02-06
[133] 서적 面白くて眠れなくなる宗教学 PHP研究所 2018-02-06
[134] 서적 現代人の社会学・入門 グローバル化時代の生活世界 有斐閣 2010-12-20
[135] 서적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 縮小する世界 朝倉書店 2018-03-05
[136] 서적 現代人の社会学・入門 グローバル化時代の生活世界 有斐閣 2010-12-20
[137] 서적 現代人の社会学・入門 グローバル化時代の生活世界 有斐閣 2010-12-20
[138] 서적 「文化」を捉え直す カルチュラル・セキュリティの発想 岩波新書 2015-11-20
[139] 서적 メディアとジャーナリズムの理論 基礎理論から実践的なジャーナリズム論へ 同友館 2011-08-22
[140] 서적 環境になったメディア マスメディアは社会をどう変えているか 北樹出版 2004-03-25
[141] 서적 現代文化論 新しい人文知とはなにか 有斐閣 2018-11-05
[142] 서적 文化人類学キーワード 有斐閣 1997-09-30
[143] 서적 食で読み解くヨーロッパ 地理研究の現場から 朝倉書店 2019-04-10
[144] 서적 「文化」を捉え直す カルチュラル・セキュリティの発想 岩波新書 2015-11-20
[145] 서적 外交 他文明時代の対話と交渉 有斐閣 2007-12-30
[146] 웹사이트 文化遺産 https://www.mofa.go.[...] 2021-05-23
[147] 웹사이트 世界遺産 https://www.mofa.go.[...] 2021-08-15
[148] 웹사이트 無形文化遺産 https://www.mofa.go.[...] 2021-08-15
[149] 서적 よくわかるスポーツ人類学 ミネルヴァ書房 2017-03-31
[150] 서적 키워드: 문화와 사회의 다양성(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P 1983
[151] 서적 Ways of Seeing Peter Smith Pub. Inc. 1971
[152] 서적 The Chimpanzees of Gombe: Patterns of Behavior 1986
[153] 서적 The HarperCollins Dictionary of Sociology 1991
[154] 인물 에드워드 버네트 타일러 1832-1917
[155] 서적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1974
[156] 인물 바쌈 티비 1944-
[157] 서적 기독교 문화관 토라 2005
[158] 논문 아널드의 교양 개념의 문화정치학적 함의와 ‘열린’ 교양의 가능성 2012
[159] 서적 1784
[160] 웹사이트 The German Bildung Tradition http://www.philosoph[...] 2009-01-23
[161] 서적 Humboldt, Worldview, and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9
[162] 서적 Adolf Bastian and the Psychic Unity of Mankind Lit 2005
[163] 웹사이트 Adolf Bastian //en.wikipedia.org/w[...]
[164] 논문 2003-05
[165] 서적 1869
[166] 서적 1983
[167] 서적 1981
[16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