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자식 항공기 발진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자식 항공기 발진시스템(EMALS)은 항공모함에서 항공기를 발사하는 데 사용되는 최첨단 기술이다. 1950년대부터 사용된 증기 캐터펄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선형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여 항공기를 가속한다. EMALS는 기존 증기 캐터펄트보다 가볍고, 공간을 덜 차지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기에는 높은 실패율과 신뢰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미국, 프랑스, 인도, 영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EMALS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해군은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EMALS를 탑재하여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선형 유도 전동기 - 하이퍼루프
    하이퍼루프는 진공 튜브 안에서 캡슐을 이동시켜 최고 속도 1280km/h로 운송하는 친환경 고속 운송 시스템으로, 일론 머스크의 제안 이후 여러 기관에서 개발 중이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전자기 구성요소 - 전동기
    전동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회전자와 고정자로 구성되어 계자와 전기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회전력을 얻으며,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어 산업과 가정용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 전자기 구성요소 - 레일건
    레일건은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두 레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탄체를 가속하여 발사하는 장치이다.
  • 항공모함 - 항공모함 캐터펄트
    항공모함 캐터펄트는 함재기를 짧은 활주로에서 이륙시키는 장치로, 초기에는 화약, 추 등을 이용했으나 유압식을 거쳐 증기식을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항공기 부담을 줄이는 전자기식 발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항공모함 - STOBAR
    STOBAR는 항공모함에서 단거리 이륙 후 어레스팅 와이어를 이용해 착륙하는 방식으로, CATOBAR 방식보다 비용이 적게 들지만 운용 가능 기종과 이륙 중량에 제약이 있어 과도기적 기술로 평가받는다.
전자식 항공기 발진시스템
개요
EMALS를 사용하여 항공기를 발진시키는 USS 제럴드 R. 포드 (CVN-78)
EMALS를 사용하여 항공기를 발진시키는 USS 제럴드 R. 포드 (CVN-78)
유형항공기 발진 시스템
개발 국가미국
운용 국가미국
개발
개발사제너럴 아토믹스
개발 시작2004년
배치 시작2017년
사용함USS 제럴드 R. 포드 (CVN-78)
특징
이전 시스템증기식 캐터펄트
장점더 많은 항공기 발진 가능
더 다양한 항공기 발진 가능
유지보수 비용 절감
더 부드러운 가속
단점높은 초기 비용
전력 소모량 증가
프로그램 비용
개발 비용32억 달러
단위 비용대당 1억 2천만 달러

2. 개발 역사

전자식 항공기 발진시스템(EMALS)의 개념은 1946년 웨스팅하우스가 개발했던 '전기 추진기'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실제로 배치되지는 않았다.[4] 이후 1950년대에 개발된 증기 캐터펄트는 오랜 기간 사용되며 매우 높은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4개의 증기 캐터펄트를 갖춘 항공모함은 99.5%의 시간 동안 최소 1개는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했다.[1]

그러나 증기 캐터펄트는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가장 큰 문제점은 피드백 제어 없이 작동하여, 발진 시 견인력에 큰 과도 현상이 발생하여 항공기 기체에 손상을 주거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이었다.[2] 또한 증기 시스템은 크고 에너지 효율이 낮았으며(유효 작업률 4~6%),[3] 정밀한 제어가 어려웠다. 이러한 제어 문제로 인해 니미츠급 항공모함 등에서 사용되는 증기 캐터펄트는 무거운 항공기는 잘 발사할 수 있지만, 무인 항공기(UAV)처럼 가벼운 항공기는 발사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증기 캐터펄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전자기식 캐터펄트, 즉 EMALS 개발을 시작했다. EMALS는 특히 핵추진 항공모함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기존 증기 시스템에서 압축 공기를 다루는 데 따르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으로 추진되는 함선에서는 증기 캐터펄트를 위해 별도의 스팀 보일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미 해군의 제럴드 R. 포드급 차기 원자력 항공모함과 영국 해군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EMALS를 채택할 계획이다. 포드급 항공모함에 탑재될 EMALS는 제너럴 아토믹스사가 개발했으며, 2010년 6월 1일에는 지상 시험 시설에서 T-45 훈련기를 이용한 이륙 시험에 성공했다.

EMALS는 길이 91m(약 91.44m)이며, 최대 45ton 무게의 전투기를 시속 240 km/h까지 가속시킬 수 있다. 발사 시 에너지는 122 MJ로, 기존 증기식 캐터펄트(95 MJ)보다 약 29% 향상되었다. 또한 재충전 시간도 45초로 단축되어 더 빠른 항공기 운용이 가능해졌다.

2. 1. 작동 원리

EMALS는 선형 유도 전동기(LIM)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선형 유도 전동기는 교류(AC)를 이용하여 트랙을 따라 캐리지를 추진하는 자기장을 생성함으로써 항공기를 발진시킨다.[5][6] EMALS는 크게 네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선형 유도 전동기, 에너지 저장 서브시스템, 전력 변환 서브시스템, 제어 콘솔.[7]

  • 선형 유도 전동기 (LIM): 이 전동기는 기존 유도 전동기의 원형 고정자 코일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일련의 고정자 코일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이 공급되면, 이 코일들이 생성하는 자기장이 트랙을 따라 캐리지를 가속시킨다. 캐리지를 둘러싼 코일 중 필요한 부분만 특정 시간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무효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EMALS의 약 91.44m 길이의 LIM은 약 45359.20kg 무게의 항공기를 130kn의 속도까지 가속시킬 수 있다.[6]

  • 에너지 저장 서브시스템: 항공기 발사 시 유도 전동기는 함선의 일반적인 전력 공급 능력보다 훨씬 큰 전력 서지를 필요로 한다. EMALS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시스템은 45초의 재충전 시간 동안 함선에서 전력을 끌어와, 4개의 원판 교류 발전기 회전자에 운동 에너지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한다. 저장된 에너지는 발사 시 2~3초 안에 방출된다 (최대 484MJ).[8] 각 회전자는 최대 121MJ의 에너지를 저장 및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약 1 가솔린 갤런 상당에 해당), 발사 후 45초 이내에 재충전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 증기 캐터펄트보다 빠른 속도이다.[6] 최대 성능 발사 시(각 회전자당 121MJ 사용), 회전자의 속도는 6400 rpm에서 5205 rpm으로 감소한다.[8][9]

  • 전력 변환 서브시스템: 발사 과정에서 이 서브시스템은 사이클로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스크 교류 발전기에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한다.[6] 사이클로컨버터는 LIM에 제어된 주파수와 전압을 공급하여, 발사 캐리지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고정자 코일의 특정 부분만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킨다.[8]

  • 제어 시스템: EMALS의 작동은 폐 루프 시스템을 통해 정밀하게 제어된다. 트랙에 설치된 홀 효과 센서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항공기가 원하는 가속도를 얻도록 보장한다. 이 폐 루프 제어 방식 덕분에 EMALS는 일정한 견인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발사 시 항공기 동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6]

3. 장점

증기 캐터펄트와 비교했을 때, EMALS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우선 무게가 덜 나가고 차지하는 공간이 작으며, 유지보수가 더 쉽고 필요한 인력도 적다. 이론적으로 고장률도 낮아 신뢰성이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8] 재충전 시간도 45초로 단축되었으며,[8] 에너지 효율도 뛰어나다.[6]

증기 캐터펄트는 한 번 발사할 때마다 약 610kg의 증기를 사용하며, 이를 위한 광범위한 기계, 공압 및 유압 하위 시스템이 필요하다.[8] 반면 EMALS는 증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 해군이 계획하고 있는 완전 전기 추진 함정에 더 적합하며,[21] 가스 터빈 추진 선박에서 증기 캐터펄트용 보일러를 따로 설치해야 했던 필요성을 없애준다.

또한 EMALS는 증기 캐터펄트보다 발사 출력을 훨씬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벼운 무인 항공기(UAV)부터 무거운 전투기수송기까지 더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효과적으로 발사할 수 있다.[21] 이는 피드백 제어 없이 작동하여 때때로 항공기 기체에 손상을 줄 수 있었던 증기 캐터펄트의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2]

성능 면에서도 EMALS는 최대 121 메가줄(MJ)의 에너지를 항공기에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 증기 캐터펄트의 최대 출력인 약 95 MJ보다 29% 더 강력하다.[8]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EMALS는 90%의 전력 변환 효율을 목표로 하는 반면, 증기 캐터펄트의 효율은 5% 수준에 불과하여 훨씬 효율적이다.[6]

4. 비판 및 신뢰성 문제

2017년 5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전자식 항공기 발진 시스템(EMALS)에 대해 기존의 증기식 캐터펄트보다 "수억 달러의 비용이 더 들고 쓸모가 없다"고 비판했다.[22][23][24][25] 이러한 비판은 2018년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서도 이어졌는데, EMALS의 신뢰성이 매우 부족하며 치명적인 고장률이 해군의 기준 요구 사항보다 9배나 높다고 지적했다.[26]

초기 시험 단계에서도 문제는 드러났다. 2013년 뉴저지주 레이크허스트 시험장에서 진행된 1,967번의 시험 발사 중 201번이 실패하여 10%의 실패율을 기록했다. 당시 기준으로 EMALS의 평균 "고장 간 시간"은 240번 중 1번꼴에 불과했다.[27] 2015년 3월 보고서에 따르면, 예상 신뢰도 향상에도 불구하고 중요 고장 간 평균 사이클(MCBOMF)의 고장률은 예상보다 5배 높았다. 2014년 8월까지 3,017회 이상의 발사가 실시되었지만, 운용 시험 및 평가 국장(DOT&E)에게 고장 관련 업데이트는 제공되지 않았다.[28]

시험 과정에서 EMALS는 외부 연료 탱크를 장착한 전투기를 발사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미국 해군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지만, 실제 유인 항공기 테스트는 2017년으로 연기되었다.[29]

2017년 7월, USS 제럴드 R. 포드에서 해상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30] 그러나 2021년 1월 DOT&E 보고서에서는 3,975회의 캐터펄트 발사 동안 EMALS의 신뢰성(MCBOMF)이 181회로, 요구 사항인 4,166회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다시 지적했다.[31] 펜타곤의 시험 책임자인 로버트 베일러 역시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USS 제럴드 R. 포드에서의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EMALS가 여전히 잦은 고장과 낮은 신뢰성을 보인다고 보고했다.[32]

이에 대해 2022년 4월,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의 셰인 G. 가하간 소장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USS ''제럴드 R. 포드''에서 8,500회의 성공적인 발사 및 착륙(Cats and traps)을 달성했다고 반박했다.[33] 2022년 6월 25일에는 USS ''제럴드 R. 포드''에서 10,000회의 성공적인 캐터펄트 발사 및 착륙이라는 주요 이정표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34][35]

하지만 같은 해 6월 GAO 보고서는 "해군은 여전히 항공기를 신속하게 배치하기 위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EMALS 및 첨단 체포 장치(AAG)의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해군 스스로도 EMALS와 AAG가 신뢰성 목표에 도달하는 시점을 "2030년대"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36]

5. 도입 현황

전자식 항공기 발진 시스템(EMALS)은 리니어 모터와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차세대 캐터펄트 기술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 증기식 캐터펄트에 비해 핵추진 항공모함에서의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압축 공기 관련 위험 요소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가스터빈 추진 방식의 함선에서는 별도의 증기 보일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간 활용 및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미국 해군제너럴 아토믹스사를 통해 EMALS를 개발하여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최초로 탑재하였다. EMALS는 기존 증기식 캐터펄트보다 출력이 향상되었고 재충전 시간도 단축되었다. 초기에는 영국 해군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에도 EMALS 도입이 계획되었으나, 이후 계획이 변경되었다.

5. 1. 미국

미 해군은 리니어 모터와 전자기력을 이용한 캐터펄트, 즉 전자식 항공기 발진 시스템(EMALS)을 개발하고 있다. EMALS는 핵추진 항공모함에서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기존 증기 캐터펄트의 압축 공기 관련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스터빈 추진 선박에서는 증기 캐터펄트를 위한 별도의 스팀 보일러 설치 필요성을 없애준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의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과 영국 해군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EMALS를 도입할 계획이다.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탑재될 EMALS는 제너럴 아토믹스사가 개발 중이며, 91m 길이의 시스템으로 최대 45ton 무게의 전투기를 240 km/h 속도로 가속시킬 수 있다. 이는 기존 증기식 캐터펄트의 95 MJ보다 29% 향상된 122 MJ의 출력을 내며, 재충전 시간도 45초로 단축되었다.

EMALS의 지상 시험 발사는 201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주요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항공기 기종무게결과
2010년 6월 1일T-45 고스호크 훈련기6ton성공[10]
2010년 6월 9일C-2 그레이하운드 수송기24ton성공[11]
2010년 12월 18일F/A-18E 슈퍼 호넷 전투기30ton성공[12][13]
2011년 9월 27일E-2D 어드밴스드 호크아이 조기경보기26ton성공[14][15]
2011년 11월 18일F-35C 라이트닝 II 전투기31ton성공[16]



미 해군 F/A-18E 슈퍼 호넷이 2010년 12월 18일 시험 중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 레이크허스트에서 전자식 항공기 발진 시스템(EMALS)을 사용하여 발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상 시험을 바탕으로 항공기 호환성 테스트(ACT)가 진행되었다. ACT 1단계는 2011년 말까지 레이크허스트 해군항공공학기지의 EMALS 시험 설비에서 F/A-18E, T-45C, C-2A, E-2D, F-35C 등 다양한 기종으로 134회의 발진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후 실제 USS ''제럴드 R. 포드''에 탑재될 4개의 캐터펄트 구성을 모사하도록 시스템이 재구성되었다.[17]

ACT 2단계는 2013년 6월 25일부터 2014년 4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EA-18G 그라울러와 F/A-18C 호넷을 포함하여 총 310회의 추가 발진 시험이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는 중심 이탈 발진, 시스템 고장 상황 등 다양한 항공모함 운용 환경을 가정한 시험을 통해 항공기의 최종 속도 달성 능력과 시스템 신뢰성을 검증했다.[17] 2014년 6월까지 조인트 베이스 맥과이어-딕스-레이크허스트에서 진행된 두 차례의 ACT를 통해 미 해군이 운용하는 모든 고정익 항공기 기종을 대상으로 총 450회의 유인 항공기 발진 시험이 완료되었다.

최초의 최대 속도 선상 테스트는 2015년 5월에 수행되었으며,[18] 2017년 7월 28일에는 해군 시험 및 평가 비행대대 23(VX-23) 소속 제이미 "코치" 스트럭 중령이 F/A-18F 슈퍼 호넷을 타고 USS ''제럴드 R. 포드''(CVN-78)에서 EMALS를 이용한 첫 번째 항공기 발진에 성공했다.[19]

2021년 4월 기준으로 USS ''제럴드 R. 포드''에서는 EMALS와 첨단 착함 장치(AAG)를 이용하여 8,000회의 항공기 발사 및 착함 사이클을 완료했다. 미 해군은 이 중 대부분의 사이클이 최근 18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351명의 조종사가 EMALS/AAG 관련 훈련을 이수했다고 밝혔다.[20]

미국 해군제너럴 아토믹스가 개발한 EMALS의 최초 사용자이며, 이 시스템은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성공적으로 설치되어 운용 중이다.

5. 2. 프랑스

프랑스는 차기 프랑스 항공모함EMALS를 설치하여 라팔 전투기를 탑재할 계획이다.[37] 프랑스 해군은 미래 항공모함이자 새로운 기함 건조를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있는데, 이 차세대 항공모함은 프랑스어로 Porte-avions de nouvelle génération|포르트아비옹 드 누벨 제네라시옹프랑스어으로 불리며 약칭은 PANG이다.[37] 이 함선은 원자력 추진 방식을 채택하고 EMALS 캐터펄트 시스템을 탑재할 예정이다.[37] PANG의 건조는 2025년경 시작하여, 기존 항공모함인 샤를 드 골이 퇴역하는 해인 2038년에 취역할 예정이다.[37]

5. 3. 인도

인도 해군은 계획 중인 CATOBAR 방식의 INS 비샬 항공모함에 EMALS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38][39][40] 인도 정부는 제너럴 아토믹스의 지원을 받아 전자기식 항공기 발진 시스템을 국내에서 생산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41]

5. 4. 영국

영국 해군은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2척에 전자식 캐터펄트(EMALS) 도입을 검토했다. 초기 계획은 스키점프대를 장착하여 STOVL 방식의 F-35B 수직 이착륙기를 운용하는 것이었으나, 계획 변경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3][44]

영국의 컨버티엄(Converteam UK)은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을 위한 자체적인 전자식 캐터펄트(EMCAT) 시스템 개발을 연구하기도 했다.[42] 2009년 8월에는 영국이 F-35B 대신 CTOL 방식의 F-35C 모델 도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자체 개발한 EMCAT이나 미국의 EMALS 같은 캐터펄트를 장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43][44]

2010년 10월, 영국 정부는 CATOBAR(캐터펄트 이착륙) 시스템을 채택하여 F-35C를 운용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11년 12월에는 미국의 제너럴 아토믹스와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용 EMALS 개발 및 설치 계약을 체결했다.[42][45]

그러나 2012년 5월, 영국 정부는 EMALS 도입 및 운용에 드는 예상 비용이 기존 추정치의 두 배로 증가하고, 도입 완료 시점도 2023년으로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자 기존 결정을 번복했다. 결국 F-35C 도입 계획을 취소하고, 다시 초기 계획대로 스키점프대를 이용하는 STOVL 방식의 F-35B를 구매하기로 최종 결정했다.[46] 이에 따라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에는 EMALS 대신 스키점프대가 설치되었다.

5. 5. 중국

2016년 7월 4일, 중국 해군화베이 지역 실험장에서 젠-15 전투기를 이용해 EMALS 실험에 성공했다. 기존 증기식 캐터펄트 대신 EMALS를 이용하면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사출시스템의 무게 및 운영 인원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항공모함에 여분의 공간이 늘어나 더 많은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다.[53]

중국은 2000년대에 항공모함을 위한 전자기식 캐터펄트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지만, 기술적 접근 방식은 미국과 달랐다. 중국은 미국이 개발한 교류 캐터펄트 시스템 대신, 중간 전압의 직류 (DC) 전력 전송 시스템을 채택했다.[47][48][49]

6. 대한민국

한국은 독도함에 유사시 스키점프대를 장착하여 31ton F-35B 수직이착륙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일렉트로펄트(전자식 항공기 발진시스템)를 장착할 경우, 31ton F-35C 항모형 전투기의 운용도 가능해지지만, 이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는 아직 보도된 바 없다. 현재로서는 한국의 공상과학 소설에서 일렉트로펄트를 장착한 한국형 항공모함이 등장하는 정도의 수준에서 언급되고 있다.

독도함과 비슷한 크기인 브라질의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의 사례를 통해, 독도함급 함선에 일렉트로펄트 1개를 장착할 경우 다양한 함재기를 운용할 수 있음이 실증되었다. 운용 가능한 함재기는 다음과 같다.

함재기 종류중량비고
T-45 고쉬호크6ton훈련기
C-2 그레이하운드24ton30인승 수송기
F/A-18E 슈퍼 호넷30ton전투기
E-2D 호크아이26ton조기경보기
F-35C 라이트닝 II31ton전투기 (항모형)


참조

[1] 서적 Modernizing the U.S. Aircraft Carrier Fleet
[2] 간행물 Electromagnetic Aircraft Launch System – EMALS Naval Air Engineering Station Lakehurst
[3] 간행물 Electromagnetic Aircraft Launch System – EMALS
[4] 웹사이트 October 1946 – Westinghouse unveils the Electropult https://www.theengin[...] The Engineer 2013-10-30
[5] 웹사이트 EMALS: Learning to Launch https://www.newengla[...] 2020-05-04
[6] 뉴스 How It Works http://www.edn.com/P[...] EDN Magazine 2002-04-11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a.com/at[...] 2008-02-29
[8] 뉴스 Electromagnetic Aircraft Launch System – EMALS http://www.navair.na[...] 1994-04-15
[9] 논문 Flywheels http://www.sandia.go[...] 2015-05
[10] 웹사이트 EMALS launches first Goshawk – NAVAIR – U.S. Navy Naval Air Systems Command – Navy and Marine Corps Aviation Research, Development, Acquisition, Test and Evaluation http://www.navair.na[...] 2011-06-17
[11] 웹사이트 Photo release: EMALS successfully launches first Greyhound – NAVAIR – U.S. Navy Naval Air Systems Command – Navy and Marine Corps Aviation Research, Development, Acquisition, Test and Evaluation http://www.navair.na[...] 2011-06-17
[12] 웹사이트 NAVAIR – U.S. Navy Naval Air Systems Command – Navy and Marine Corps Aviation Research, Development, Acquisition, Test and Evaluation http://www.navair.na[...] 2010-12-21
[13] 간행물 USN undertakes first EMALS Hornet launch Key Publishing Ltd 2011-03
[14] 웹사이트 Navy's new electromagnetic catapult 'real smooth' http://www.app.com/a[...] Newbury Park Press 2011-09-28
[15] 웹사이트 New carrier launch system tested http://www.upi.com/B[...]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11-10-03
[16] 웹사이트 F-35C launches from emals http://defensetech.o[...] 2011-11-28
[17] 웹사이트 EMALS to start sled trials on CVN 78 in late 2015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5-04-01
[18] 뉴스 Navy Announces Successful Test of Electromagnetic Catapult on CVN 78 http://www.imperialv[...] PEO Carriers 2015-05-15
[19] 웹사이트 Local man pilots first plane to land on U.S.S. Gerald Ford http://fox8.com/2017[...] 2017-07-29
[20] 웹사이트 EMALS, AAG hit 8,000 aircraft recoveries, launches before completion of Ford Post Delivery Test & Trials {{!}} NAVAIR https://www.navair.n[...] 2021-08-11
[21] 웹사이트 Defense Tech: EMALS: Next Gen Catapult http://defensetech.o[...] 2007-04-05
[22] 간행물 Read Donald Trump's Interview With TIME on Being President https://time.com/477[...] 2017-05-11
[23] 웹사이트 Navy should return to 'goddamned steam' on carrier, Trump says https://www.navytime[...] 2017-05-11
[24] 뉴스 'You have to be Albert Einstein to figure it out': Trump targets the Navy's new aircraft catapult https://www.washingt[...] 2017-06-26
[25] 뉴스 General Atomics mum on Trump's 'goddamned steam' criticism of new carrier catapult http://www.sandiegou[...] 2017-06-30
[26] 뉴스 Navy's Troubled Ford Carrier Makes Modest Progress https://breakingdefe[...] Breaking Defense 2018-06-25
[27] 웹사이트 Director,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 FY 2013 Annual Report https://www.dote.osd[...] 2017-06-30
[28] 웹사이트 The Pentagon's 'Concurrency Myth' Is Now Available in Supercarrier Size http://foxtrotalpha.[...] 2015-06-17
[29] 웹사이트 Navy Ford (CVN-78) Class Aircraft Carrier Program: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7-05-18
[30] 웹사이트 VIDEO: USS Gerald R. Ford Conducts First Arrested Landing, Catapult Launch https://news.usni.or[...] U.S. Naval Institute 2017-07-28
[31] 웹사이트 Navy Ford (CVN-78) Class Aircraft Carrier Program: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1-03-25
[32] 뉴스 Navy's Priciest Carrier Ever Struggles to Get Jets On, Off Deck https://www.bloomber[...] 2021-01-09
[33] 웹사이트 Admiral on EMALS and AAG Programs: 'It Works' https://seapowermaga[...] 2022-04-04
[34] 웹사이트 General Atomics EMALS, AAG Systems on CVN 78 Reach 10,000 'Cats and Traps' Milestone https://seapowermaga[...] 2022-07-13
[35] 웹사이트 EMALS and AAG reach 10,000 aircraft launches and recoveries https://www.navair.n[...] 2022-07-05
[36] 웹사이트 GAO-22-105230 Weapon Systems Annual Assessment https://www.gao.gov/[...]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22-06-01
[37] 웹사이트 Macron kicks off French race to build a new 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https://www.defensen[...] 2020-12-08
[38] 웹사이트 Indian Navy seeks EMALS system for second vikrant class aircraft carrier http://www.naval-tec[...] Naval Technology 2013-05-29
[39] 뉴스 India plans a 65,000-tonne warship http://www.newindian[...] 2012-08-06
[40] 간행물 This US Technology Could Give Indian Aircraft Carriers an Important Edge https://thediplomat.[...]
[41] 뉴스 US defence secretary to visit India in May to push aircraft carrier technologies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5-04-05
[42] 뉴스 "Converteam develops catapult launch system for UK carriers" http://www.janes.com[...] Jane's 2010-07-26
[43] 웹사이트 Britain rethinks jump jet order http://www.upi.com/S[...] UPI.com 2009-08-12
[44] 뉴스 Defence jobs at risk https://www.telegrap[...] Telegraph.co 2009-08-12
[45] 웹사이트 News Channel - Homepage - flightglobal.com http://www.flightglo[...]
[46] 웹사이트 It's Official: UK to Fly F-35B JSFs http://defensetech.o[...] 2012-07-19
[47] 웹사이트 China's New Aircraft Carrier to Use Advanced Jet Launch System https://thediplomat.[...] 2017-11-06
[48] 웹사이트 EMALS: Learning to Launch https://www.newengla[...] 2020-05-04
[49] 웹사이트 China claims breakthrough in electromagnetic launch system for aircraft carrier https://www.defensen[...] 2017-11-09
[50] 웹사이트 India’s EMALS Breakthrough: DRDO and HAL Push the Boundaries of Naval Aviation Technology https://pune.news/de[...] 2024-08-24
[51]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Launch System https://x.com/manish[...] 2024-08-23
[52] 웹사이트 Maritime Technical Exposition 2024 https://x.com/indian[...] 2024-02-21
[53] 뉴스 중국, 항모 전자기사출 시험 성공…첫 자국산 항모에 도입 뉴시스 2016-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