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추이는 모든 꼭짓점이 동일한 종류의 대칭을 갖는 기하학적 도형을 의미한다. 등각 다각형, 아페이로곤, 다면체 및 다포체는 꼭짓점의 추이성을 기반으로 분류되며, 균일 다면체와 테셀레이션은 점추이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k-등각 및 k-균일 도형은 꼭짓점의 추이 클래스 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차원 다포체 - 정팔포체
정팔포체는 4차원 공간에서 정의되고 모든 모서리에서 3개의 정육면체가 만나는 도형으로, 슐레플리 기호 {4, 3, 3}으로 표현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네트워크 토폴로지나 대중 문화에 영감을 주는 소재로 활용된다. - 4차원 다포체 - 정십육포체
정십육포체는 4차원 공간에서 16개의 정사면체 세포, 32개의 삼각형 면, 24개의 모서리, 8개의 꼭짓점을 가지는 정규 볼록 4-다포체이다. - 다포체 - 라세미산
- 다포체 - 단체 (수학)
단체는 n+1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꼭짓점 집합이 유일한 면에 속하는 n차원 폴리토프이며, 위상수학에서는 중심 좌표나 단위 분할로 정의되는 표준적인 형태를 가지는 도형이다. - 다면체 - 마름모구십면체
마름모구십면체는 깎은 정이십면체에 각뿔을 붙여 만든 다면체이며, 넓은 마름모 60개와 좁은 마름모 30개로 구성되고 좁은 마름모는 황금비의 제곱과 관련된 대각선 비율을 가지며 최적 충전율은 약 0.7947이다. - 다면체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점추이 | |
---|---|
일반 정보 | |
정의 | 모든 꼭짓점이 동일한 다면체 또는 쪽매붙임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꼭짓점 추이 그래프 등각 다면체 |
2. 등각 다각형과 아페이로곤
모든 정다각형, 아페이로곤, 정다각형 별은 ''등각''이다. 등각 다각형의 쌍대 다각형은 등변 다각형이다.
두 변의 길이를 번갈아 가며 나타내는 일부 짝수 변의 다각형과 아페이로곤(예: 직사각형)은 ''등각''이다.
모든 평면 등각 2''n''각형은 변의 중간점을 가로지르는 반사선을 갖는 이면각 대칭(D''n'', ''n'' = 2, 3, ...)을 갖는다.
2. 1. 등각 아페이로곤
![]() |
![]() |
![]() |
![]() |
![]() |
![]() |
![]() |
![]() |
모든 정다각형, 아페이로곤 및 정다각형 별은 ''등각''이다. 등각 다각형의 쌍대 다각형은 등변 다각형이다.
두 변의 길이를 번갈아 가며 나타내는 일부 짝수 변의 다각형과 아페이로곤(예: 직사각형)은 ''등각''이다.
모든 평면 등각 2''n''각형은 변의 중간점을 가로지르는 반사선을 갖는 이면각 대칭(D''n'', ''n'' = 2, 3, ...)을 갖는다.
2. 2. 등각 어긋난 아페이로곤
3. 등각 다면체와 2D 타일링
점추이 다면체와 2차원 타일링은 단일 종류의 꼭짓점을 갖는다.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점추이 다면체는 균일 다면체이며, 각 꼭짓점 주변의 면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꼭짓점 배치 표기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균일 다면체와 타일링의 기하학적 왜곡 변형도 꼭짓점 배치를 가질 수 있다.
![]() |
D3d, 차수 12 | Th, 차수 24 | Oh, 차수 48 | |
---|---|---|---|
4.4.6 | 3.4.4.4 | 4.6.8 | 3.8.8 |
![]() | ![]() | ![]() | ![]() |
3. 1. 점추이 다면체의 분류
- 정다면체는 면추이(면 전이적) 및 변추이(모서리 전이적)이기도 하다. 이는 모든 면이 동일한 종류의 정다각형임을 의미한다.
- 준정다면체는 변추이(모서리 전이적)이지만 면추이(면 전이적)는 아니다.
- 준정다면체는 모든 면이 정다각형이지만 면추이(면 전이적) 또는 변추이(모서리 전이적)가 아니다. (정의는 저자마다 다르며, 예를 들어 일부는 이면각 대칭을 가진 도형이나 비볼록 도형을 제외한다.)
- 균일 다면체는 모든 면이 정다각형, 즉 정다면체, 준정다면체 또는 준정다면체이다.
- 준균일은 그 요소가 점추이이기도 하다.
- 스칼리폼은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같다.
- 노블 다면체는 또한 면추이(면 전이적)이다.
4. N차원: 등각 다포체와 테셀레이션
이러한 정의는 더 높은 차원의 다포체와 벌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모든 균일 다포체는 등각이다. 예를 들어 균일 4-다포체와 볼록 균일 벌집이 있다.
등각 다포체의 쌍대 다포체는 등면체 도형이며, 이는 해당 면에 대해 추이적이다.
5. k-등각 및 k-균일 도형
다면체 또는 타일링은 꼭짓점이 ''k''개의 추이 클래스를 형성하는 경우 '''''k''-등각'''이라고 할 수 있다. 더 제한적인 용어인 '''''k''-균일'''은 정다각형만으로 구성된 ''k-등각 도형''으로 정의된다. 이것들은 서로 다른 균일 색칠을 통해 시각적으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이 절단된 롬비 정십이면체는 꼭짓점의 두 개의 추이 클래스를 포함하므로 2-등각이다. 이 다면체는 정사각형과 평평한 육각형으로 만들어졌다. |
![]() 이 반정규 타일링 역시 2-등각(및 2-균일)이다. 이 타일링은 정삼각형과 정육각형 면으로 구성된다. |
2-등각 9/4 에네아그램 (정십이면체의 최종 별 모양의 면) |
참조
[1]
논문
Isogonal prismatoids
[2]
서적
The Densities of the Regular Polytopes II
[3]
간행물
The Lighter Side of Mathematics: Proceedings of the Eugène Strens Memorial Conference on Recreational Mathematics and its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