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밀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밀라는 알제리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 유적지로, 원래 쿠이쿨(Cuicul)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서기 1세기에 누미디아 지방의 해발 900m 고원에 로마 군사 기지로 건설되었으며, 농업을 기반으로 번성했다. 3세기에는 카라칼라 황제 시기에 포럼이 확장되었고, 후기 고대 시대에는 기독교가 전파되어 바실리카와 세례당 등 교회 구역이 건설되었다. 5~6세기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점차 버려졌으며, 이슬람교도들이 이 지역을 점령한 후 제밀라("아름다운"이라는 뜻)로 개명했다. 제밀라는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세계유산 - 팀가드
    팀가드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에 의해 건설된 군사 식민 도시로,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기독교와 도나투스파의 중심지가 되었다가 8세기 초 이슬람 정복 이후 멸망하여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알제리의 유적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유적 - 히포 레기우스
    히포 레기우스는 고대 알제리에 위치했던 도시로,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했으며 로마 시대에 번성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로 활동했고, 반달족, 동로마 제국,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거쳐 1832년 프랑스에 의해 보네로 개명되었으며,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제밀라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제밀라 로마 극장
공식 명칭제밀라
로마자 표기Jemilla
다른 이름퀴쿨
로마자 표기 (다른 이름)Cuicul
위치
국가알제리
행정 구역세티프 주
역사
시대로마 제국
건설 시기서기 1세기
폐허 시기서기 6세기
고고학 정보
종류정착지
발굴진행 중
세계유산 정보
명칭퀴쿨-제밀라
지정 연도1982년 (6차 회의)
등재 번호191
지정 기준(iii), (iv)
유형문화
지역아랍 국가

2. 역사

쿠이쿨(Cuicul)이라는 이름으로, 이 도시는 서기 1세기 누미디아 지방의 좁고 삼각형 고원에 위치한 로마 군사 기지로, 해발 900m에 건설되었다. 지형은 두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다소 험준했다.

쿠이쿨은 누미디아 지도에서 밀레비움과 키르타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다.''Atlas Antiquus'', H. Kiepert, 1869


쿠이쿨 건설자들은 중앙에 포럼을 두고 두 개의 주요 도로, 카르도 막시무스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를 주요 축으로 하는 표준 계획을 따랐다.[1] 초기에는 이탈리아 출신 로마 군인들의 식민지로 인구가 늘어났고, 결국 대규모 무역 시장으로 성장했다. 도시 번영에 기여한 자원은 농업(곡물, 올리브 나무, 농장)이었다.

3세기 카라칼라 통치 기간 동안 쿠이쿨 행정관들은 오래된 성벽 일부를 허물고 새로운 포럼을 건설했다. 그들은 옛 포럼 주변 건물보다 더 크고 인상적인 건물을 그 주변에 세웠다. 지형 때문에 도시 성벽 밖에 극장을 지었는데, 이는 예외적인 일이었다.

후기 고대 시대에 쿠이쿨은 로마 모리타니아 시티펜시스 지방에 위치했으며, 약 10,000명의 인구를 가졌다고 추정된다.[2] 4세기에는 기독교가 매우 인기를 얻었고(3세기 초 몇 번의 박해가 있은 후[3]), 5세기에는 바실리카, 세례당 등을 포함한 교회 구역이 건설되었다.[2] 이 구조물들은 "크리스천" 구역의 쿠이쿨 남쪽에 위치하며, 인기 있는 명소이다.[1]

쿠이쿨의 주교로는 푸덴티아누스가 카르타고 공의회 (255년)에 참여하여 이단세례 유효성에 대해 논의했고, 엘피도포루스는 카르타고 공의회 (348년)에 참여했다. 크레스코니우스는 카르타고 공의회 (411년)에서 가톨릭 주교와 도나투스파 주교 간 회의에 쿠이쿨을 대표한 가톨릭 주교였으나, 이 도시의 도나투스파 주교는 회의 시작 전에 사망했다. 크레스켄스는 아리우스파 반달족 왕 후네리크가 카르타고 공의회 (484년)로 소환한 가톨릭 주교 중 한 명이었다. 빅토르는 553년에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석했다.[4][5][6][7] 더 이상 주거 주교구가 아닌 쿠이쿨은 오늘날 가톨릭 교회에 의해 명목 대주교로 등재되어 있다.[8]

5세기와 6세기경 로마 제국 멸망 이후 도시는 서서히 버려졌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에서 벽 강화 등 몇 가지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후 이슬람교도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지만 쿠이쿨을 재점령하지 않았고, 이곳을 제밀라(아랍어로 "아름다운"이라는 뜻)로 개명했다.

2. 1. 로마 시대 건설과 번영

쿠이쿨(Cuicul)이라는 이름으로, 이 도시는 서기 1세기 누미디아 지방의 좁고 삼각형 고원에 위치한 로마 군사 기지로 건설되었으며, 해발 900m에 위치해 있었다. 지형은 두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다소 험준했다.

쿠이쿨의 건설자들은 중앙에 포럼을 두고 두 개의 주요 도로, 카르도 막시무스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를 주요 축으로 하는 표준 계획을 따랐다.[1] 이 도시는 초기에 이탈리아 출신의 로마 군인들의 식민지에 의해 인구가 늘어났고, 결국 대규모 무역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 도시의 번영에 기여한 자원은 본질적으로 농업(곡물, 올리브 나무, 농장)이었다.

3세기에 카라칼라 통치 기간 동안 쿠이쿨의 행정관들은 오래된 성벽 일부를 허물고 새로운 포럼을 건설했다. 그들은 옛 포럼을 둘러싼 것보다 더 크고 인상적인 건물을 그 주변에 세웠다. 지형이 건축을 방해했기 때문에, 그들은 도시 성벽 밖에 극장을 지었는데, 이는 예외적인 일이었다.

2. 2. 기독교의 전파와 쇠퇴

기독교는 4세기에 매우 인기를 얻었고, 5세기에는 바실리카, 세례당 등을 포함한 교회 구역이 건설되었다.[2] 이 구조물들은 "크리스천"이라고 불리는 구역의 쿠이쿨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인기 있는 명소이다.[1]

쿠이쿨의 주교로는 푸덴티아누스가 카르타고 공의회 (255년)에 참여하여 이단세례 유효성에 대해 논의했고, 엘피도포루스는 카르타고 공의회 (348년)에 참여했다. 크레스코니우스는 카르타고 공의회 (411년)에서 가톨릭 주교와 도나투스파 주교 간의 회의에 쿠이쿨을 대표한 가톨릭 주교였으나, 이 도시의 도나투스파 주교는 회의 시작 전에 사망했다. 크레스켄스는 아리우스파 반달족 왕 후네리크가 카르타고 공의회 (484년)로 소환한 가톨릭 주교 중 한 명이었다. 빅토르는 553년에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석했다.[4][5][6][7] 더 이상 주거 주교구가 아닌 쿠이쿨은 오늘날 가톨릭 교회에 의해 명목 대주교로 등재되어 있다.[8]

이 도시는 5세기와 6세기경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서서히 버려졌으며,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에서 벽 강화와 같은 몇 가지 개선이 이루어졌다.

2. 3. 이슬람 시대와 현재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시기에 벽을 강화하는 등 몇 가지 개선이 이루어졌다.[1]

이후 이슬람교도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지만, 쿠이쿨(Cuicul) 지역을 다시 점령하지는 않았다. 대신 이들은 이곳의 이름을 제밀라(아랍어로 "아름다운"이라는 뜻)로 바꾸었다.

3. 주요 유적

제밀라는 쿠이쿨(Cuicul)이라는 이름으로 서기 1세기에 누미디아에 건설된 로마 군사 기지였다. 이 도시는 초기에 이탈리아 출신 로마 군인들의 식민지로 시작하여, 농업(곡물, 올리브 나무, 농장)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무역 시장으로 성장했다.[1]

후기 고대 시대에는 로마 모리타니아 시티펜시스 지방에 속했으며, 약 10,000명의 인구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 4세기에는 기독교가 널리 퍼졌고, 5세기에는 교회 구역이 건설되었다.[2]

5세기와 6세기경 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도시는 서서히 버려졌지만,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에서 성벽 강화 등 일부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후 이슬람교도들이 이 지역을 지배하면서 제밀라(Djémila, 아랍어로 "아름다운"이라는 뜻)로 이름이 바뀌었다.

3. 1. 도시 구조

쿠이쿨(Cuicul)은 서기 1세기 누미디아 지방의 좁고 삼각형 고원에 세워진 로마 군사 기지로, 해발 900m에 위치한다. 이 곳은 두 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 다소 험준한 지형이다.[1]

쿠이쿨 건설자들은 중앙에 포럼을 두고 두 개의 주요 도로, 카르도 막시무스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를 주요 축으로 하는 표준 계획을 따랐다.[1] 카라칼라 통치 기간인 3세기에는 쿠이쿨 행정관들이 오래된 성벽 일부를 허물고 새로운 포럼을 건설했다. 이들은 옛 포럼 주변보다 더 크고 인상적인 건물들을 세웠다. 지형 때문에 도시 성벽 밖에 극장을 짓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후기 고대 시대에 쿠이쿨은 로마 모리타니아 시티펜시스 지방에 속했다.[2] 4세기에는 기독교가 널리 퍼졌고, 5세기에는 세 개의 바실리카세례당 등을 갖춘 교회 구역이 건설되었다.[2] 이 유적들은 "크리스천" 구역이라 불리며 쿠이쿨 남쪽에 있다.[1]

3. 2. 건축물

Cuicul이라는 이름으로, 이 도시는 서기 1세기, 누미디아 지방의 좁고 삼각형의 고원에 위치한 로마 군사 기지로, 해발 900m에 건설되었다. 지형은 두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다소 험준하다.

Cuicul의 건설자들은 중앙에 포럼을 두고 두 개의 주요 도로, 카르도 막시무스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를 주요 축으로 하는 표준 계획을 따랐다.[1] 이 도시는 초기에 이탈리아 출신의 로마 군인들의 식민지에 의해 인구가 늘어났고, 결국 대규모 무역 시장으로 성장했다.

3세기에 카라칼라 통치 기간 동안 Cuicul의 행정관들은 오래된 성벽 일부를 허물고 새로운 포럼을 건설했다. 그들은 옛 포럼을 둘러싼 것보다 더 크고 인상적인 건물을 그 주변에 세웠다. 지형이 건축을 방해했기 때문에, 그들은 도시 성벽 밖에 극장을 지었는데, 이는 예외적인 일이었다.

후기 고대 시대에 Cuicul은 로마 모리타니아 시티펜시스 지방에 위치해 있었고, 약 10,00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고 추정된다.[2] 기독교는 4세기에 매우 인기를 얻었고, 5세기에는 세 개의 바실리카, 세례당, 보조실, 목욕탕, 그리고 주랑 현관이 있는 집을 포함한 교회 구역이 건설되었다.[2] 이 구조물들은 "크리스천"이라고 불리는 구역의 Cuicul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인기 있는 명소이다.[1]

이 도시는 5세기와 6세기경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서서히 버려졌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치하에서 벽 강화와 같은 몇 가지 개선이 이루어졌다.

자마니 프로젝트는 2009년 두 차례의 현장 조사를 통해 제밀라의 공간적 기록을 작성했으며,[9] 이는 함자 제글라셰 교수와 그의 알제리 세티프 대학교 팀, 그리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립 연구 재단(NRF)과 협력하여 진행되었다. 세례당,[10] 카라칼라 문, 시장, 셉티미우스-세르부스 신전, 그리고 극장을 포함한 여러 구조물이 기록되었다.

3. 3. 3D 복원

2009년 자마니 프로젝트에서 두 차례 현장 조사를 하여 제밀라의 공간적 기록을 남겼다.[9] 함자 제글라셰 교수와 알제리 세티프 대학교 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립 연구 재단(NRF)이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세례당,[10] 카라칼라 문, 시장, 셉티미우스-세르부스 신전, 극장 등 여러 구조물이 기록되었다.

4. 주목할 만한 인물


  • 루키우스 알페누스 세네시오: 브리타니아 총독 (205년~207년)이었다.[11]
  •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푸덴스: 브리타니아 총독이었다.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수바티아누스 아퀼라: 메소포타미아이집트 총독이었다.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수바티아누스 프로쿨루스: 누미디아 총독이었다.

5. 세계유산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으므로, 주어진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등재 기준

이 유산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 기준 iii, iv에 해당한다.

6. 갤러리

기독교 세례 구역

참조

[1] 서적 Djemila Lonely Planet 1992-04
[2] 간행물 Holy Goals and Worldly Means. Urban Representation Elements in Church Complexes https://brill.com/di[...] Brill 2024-09-12
[3] 웹사이트 Christian persecutions in Cuicul http://www.persee.fr[...]
[4] 서적 Cuicul http://booksnow.scho[...] Paris 1956
[5] 간행물 Anciens évêchés et ruines chrétiennes de la Numidie et de la Sitifienne http://gallica.bnf.f[...] 1913
[6] 서적 L'Afrique chrétienne http://gallica.bnf.f[...] Paris 1912
[7] 서적 Africa christiana https://books.google[...] Brescia 1816
[8]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9] 웹사이트 Site - Djemila https://zamaniprojec[...] 2019-09-19
[10] 웹사이트 3D Heritage Models, with a Twist https://www.spar3d.c[...] 2019-09-27
[11] 서적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Éd.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