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매시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매시선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사업가로, 1819년부터 중국 광저우에서 아편 무역을 시작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1832년 윌리엄 자딘과 함께 자딘 매시선 상회를 설립하여 아편 밀수, 차와 비단 무역 등 다양한 사업을 펼쳤다. 청나라의 아편 단속 강화로 무역이 어려워지자 영국 정부에 강경 대응을 촉구하는 로비 활동을 벌였으며, 아편 전쟁 후 영국으로 귀국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루이스 섬을 인수하여 루이스 성을 건설하고, 준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영국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1878년 프랑스 망통에서 사망했으며, 자녀가 없어 매시선 가문은 단절되었다. 또한, 조슈오걸의 영국 유학을 지원하여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딘 매시선 - 이케아
이케아는 1943년 잉바르 캄프라드가 설립한 스웨덴의 다국적 가구 및 홈퍼니싱 기업으로, 저렴한 가격, 조립식 가구, 플랫팩 방식으로 유명하며,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러시아 사업 중단 및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을 받았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 구축과 사회 공헌 활동을 추구한다. - 자딘 매시선 - 케직가
케직가는 윌리엄 케직이 홍콩에서 자딘 매티슨 상하이 지점에서 근무하며 시작되어, 자딘 매티슨을 상당 부분 지배하며 홍콩과 상하이에서 활동한 스코틀랜드 출신 가문이다. - 스코틀랜드의 기업인 - 제임스 버스비
제임스 버스비는 뉴사우스웨일즈의 포도 재배 기술자이자 뉴질랜드 영국 거주민으로 임명되어 와이탕이 조약 체결, 뉴질랜드 초기 국기 디자인 선정, 독립 선언 작성 등 뉴질랜드 초기 역사에 기여했으며, 그의 와인 제조 관련 저술은 호주 와인 산업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 스코틀랜드의 기업인 - 제임스 와트
제임스 와트는 뉴커먼 기관을 개량하여 현대적인 증기 기관을 개발하고 효율성을 극적으로 높여 산업 혁명의 핵심 동력이 되었으며, 그의 업적은 와트(단위)로 기념된다. - 1796년 출생 - 야코프 슈타이너
야코프 슈타이너는 스위스 출신의 기하학자로, 사영기하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슈타이너 원뿔곡선을 제시했으며, 저서를 통해 현대 종합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컴퍼스 없이 직선만으로 2차 방정식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였다. - 1796년 출생 - 김제준
김제준은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이자 순교자로, 용인 지역 천주교 공동체 회장을 역임하며 독실한 신앙생활을 했으나 기해박해 때 순교하여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제임스 매시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임스 매시선 |
로마자 표기 | Jeimseu Maesiseon |
한자 표기 | 詹姆士 馬地臣(勿地臣) |
출생일 | 1796년 11월 17일 |
출생지 | 스코틀랜드 서덜랜드 주 라잉 시니스 |
사망일 | 1878년 12월 31일 |
사망지 | 프랑스 망통 |
국적 | 영국 |
직업 | 사업가, 타이판 |
소속 | 왕립 학회 |
배우자 | 메리 퍼시벌 |
준남작 작위 | true |
경력 | |
주요 경력 | 자딘 매시선 공동 창업자 |
정당 | 휘그당 |
의회 | 영국 |
선거구_MP | 애슈버턴 |
임기 시작 | 1843년 |
임기 종료 | 1847년 |
이전 의원 | 윌리엄 자딘 |
다음 의원 | 토마스 매시선 |
선거구_MP2 | 로스 및 크로마티 |
임기 시작2 | 1852년 |
임기 종료2 | 1868년 |
이전 의원2 | 제임스 매켄지 준남작, 6대 |
다음 의원2 | 알렉산더 매시선 준남작, 1대 |
학력 | |
출신 학교 | 에든버러 대학교 |
기타 정보 | |
알려진 업적 | 자딘 매시슨 & Co. 공동 창립 |
2. 생애
스코틀랜드 서덜랜드 주 라잉(Lairg영어) 출신으로[19], 에든버러 대학교 등에서 교육을 받았다. 초기에는 인도 캘커타에서 삼촌의 무역 회사에서 일했으나[30], 이후 중국 광저우로 건너가 독자적으로 아편 무역에 뛰어들었다[19][31].
1832년, 윌리엄 자딘과 함께 자딘 매시선 상회를 설립하여[19] 아편 밀수를 비롯한 다양한 무역 활동을 통해 큰 부를 축적했다. 청나라의 아편 단속 강화에 맞서 영국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으며[19], 이는 제1차 아편 전쟁 발발의 한 배경이 되었다.
아편 전쟁 이후 1842년 영국으로 돌아와[19] 정계에 진출하여 하원의원으로 활동했다[24][28]. 1844년에는 50만파운드 이상을 들여 스코틀랜드의 루이스 섬을 매입하고 루이스 성을 건설했으며[12][19], 1851년에는 루이스 준남작(1st Baronet of Lewis) 작위를 받았다[14][27].
1878년 프랑스 망통에서 사망했으며[25], 자녀가 없어 준남작 작위는 단절되었다[15][25].
2. 1. 초기 생애
도널드 매시선(Donald Matheson영어)과 아내 캐서린(Katherine영어, 옛 성 매케이(MacKay영어))의 차남으로, 1796년 11월 17일 스코틀랜드 서덜랜드 주 라잉(Lairg) 근처 샤이니스(Shinness영어)에서 태어났다[19]. 인버네스 로열 아카데미(Inverness Royal Academy영어), 에든버러의 로열 하이스쿨,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런던에서 2년간 상업을 공부했다[19].1815년경 인도 캘커타에 있는 삼촌이 운영하던 무역회사 ‘매킨토시 상회’(Mackintosh & Co.영어)에서 일했으나[30], 숙부의 사업 실패로 회사가 문을 닫자[19] 실직했다. 이후 1818년 무역 선장 로버트 테일러(Robert Taylor영어)와 함께 독립하여 주로 인도와 청나라 사이의 무역에 종사했다[19]. 테일러는 2년 만에 사망했고[19], 1819년부터는 아편 무역에 전 재산을 투자했으며, 이후 아편 가격 폭등으로 이익을 보았다[20][31].
1821년, 덴마크 주 광저우 영사로 임명되었다[19]. 당시 영국 상인이 다른 나라 영사를 맡는 것은 영국 동인도 회사 규정에 어긋나지 않았다[21][32]. 같은 해 마카오에서 Yrissari & Co.영어라는 합자회사를 설립했으나, 1826년 출자자 중 한 명(Xavier Yrissari영어)이 사망하면서 1828년에 회사를 정리했다[19]. 1827년 11월 8일에는 윌리엄 우드와 함께 광저우에서 아편 시세 등을 다루는 영자 신문 『캔턴 레지스터』(Canton Register|캔턴 레지스터영어, 광주기록보)를 창간했다[22][33].
2. 2. 중국과 홍콩에서의 활동
에든버러 대학교 졸업 후, 매시선은 런던의 대리업체에서 2년을 보낸 뒤 삼촌이 인도 캘커타에서 운영하던 무역회사 ‘매킨토시 상회’(Mackintosh & Co.eng)에서 일하기 위해 인도로 갔다.[2][19][30] 1807년, 삼촌이 맡긴 편지를 제때 전달하지 못하는 부주의로 인해 영국으로 돌아가라는 말을 들었다. 귀국길에 오른 매시선은 우연히 만난 늙은 선장의 영향으로 중국 광저우로 향하게 되었다. 삼촌의 사업 실패로 실직한 후,[30] 1818년에는 무역 선장 로버트 테일러(Robert Tayloreng)와 함께 무역업에 종사하며 인도와 청나라 간 무역을 시작했다.[19] 1819년부터는 테일러와 함께 아편 무역에 뛰어들었으며, 매시선은 전 재산을 투자했으나 다행히 이후 아편 가격이 폭등했다.[31][20] 테일러는 2년 안에 사망했다.[19]
1820년, 매시선은 봄베이에서 윌리엄 자딘을 처음 만났다.[3] 1821년에는 덴마크 주 광저우 영사로 취임했는데,[19] 당시 영국 상인이 다른 나라의 영사직을 맡는 것은 영국 동인도 회사 규정에 어긋나지 않았다.[32][21] 같은 해 마카오에서 Yrissari & Co.eng라는 합자회사를 설립했으나, 1826년 출자자 중 한 명인 Xavier Yrissarieng가 사망하고 1828년에 회사를 정리했다.[19] 1827년 11월 8일, 매시선은 윌리엄 와이트먼 우드(William Wightman Wood)와 함께 광저우에서 아편 시세 등을 다루는 중국 최초의 영어 신문인 ‘캔턴 레지스터’(광저우기록보, The Canton Registereng)를 창간했다.[33][4][5][22]
1832년 7월 1일, 윌리엄 자딘의 소개로 Magniac & Co.eng에 출자하여 회사를 재편, 자딘, 매시선 앤 컴퍼니(Jardine, Matheson & Co.)를 설립했다.[7][19] 이 회사는 인도에서 청나라로 아편을 밀수하고, 필리핀과는 설탕과 향신료를 거래했으며, 청나라의 차와 비단을 영국으로 수출하는 등 다양한 무역 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선적 서류 처리, 적하 보험, 조선소 및 창고 임대, 무역 금융 등 무역 관련 업무 전반을 취급했다. 회사는 호콰가 설립한 이화 홍의 이름을 따 '이화'(怡和, Yee-Woeng, 문자 그대로 '행복한 조화')라는 중국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정직하고 올바른 평판을 얻기 위함이었다.[8] 1834년, 영국 의회가 영국과 중국 간 무역에 대한 영국 동인도 회사의 독점권을 폐지하자, 자딘 매시선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동인도 회사의 빈자리를 채웠다. 차를 실어 나르는 첫 항해에서 자딘의 배 사라(Sarah)호는 영국으로 떠났다. 자딘 매시선은 홍콩을 거점으로 동인도 회사의 주요 상업 대리인에서 아시아 최대의 영국 무역 홍(회사)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9]
1830년대 중반, 청나라는 아편 무역의 대가로 은이 대량 유출되는 것을 우려하여 아편 단속을 강화했고, 이로 인해 무역 활동은 점차 어려워졌다. 이는 서구 상인들이 취급하는 청나라산 차와 비단의 수출액보다 아편 수입액이 더 많아 발생한 무역 불균형 때문이었다.
아편 거래 확대를 원했던 윌리엄 자딘은 청나라에 대한 강경책을 영국 정부에 요구하기 위해 매시선을 영국으로 파견했다. 매시선은 당시 외무장관이었던 '철의 공작' 웰링턴 공작을 만났으나 문전박대를 당했고, 자딘에게 "오만하고 어리석은 사람에게 모욕을 받았다"고 보고했다.[10] 매시선은 중국인에 대해 "... 놀라운 정도의 무능, 탐욕, 자만심, 완고함으로 특징지어진 사람들..."이라고 묘사하며 자신의 견해를 드러냈다.[10] 1836년 매시선은 아시아로 돌아왔고, 같은 해 저서 《영국 대중 무역의 현황과 전망》(The Present Position and Future Prospects of British Trade with Chinaeng)을 출간하여 중국의 무역 상황을 설명하고 청나라의 대외 정책을 비판하며 영국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19] 이후 자딘이 직접 영국으로 가 로비 활동을 이어갔다.[7]
1834년 11월 29일, 매시선은 새로 창설된 "중국 유용 지식 보급 협회"(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in Chinaeng)의 회장이 되었다. 위원회에는 데이비드 올리펀트(David Olyphant), 윌리엄 웨트모어(William Wetmore), 제임스 인네스(James Innes), 토마스 폭스(Thomas Fox), 일라이자 콜먼 브리지먼(Elijah Coleman Bridgman), 카를 구츨라프(Karl Gützlaff), 존 로버트 모리슨(John Robert Morrison) 등 광저우의 다양한 사업가와 선교사들이 참여했으며, 당시 주중 영국 무역 감독관이었던 존 프란시스 데이비스(John Francis Davis)는 명예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1839년 3월, 청나라 흠차대신 린쩌쉬는 외국 상관들의 아편을 몰수하고 매시선을 포함한 상인 16명을 구금했다.[19] 매시선은 같은 해 5월 석방되면서 청나라로부터 영구 추방 명령을 받았지만, 영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마카오와 홍콩에서 아편 밀수를 계속했다.[19] 자딘의 로비 활동은 성공하여 영국 정부는 제1차 아편 전쟁을 일으켰고, 전쟁 결과 체결된 남경 조약은 자딘 매시선 상회가 광저우를 넘어 홍콩과 중국 본토로 사업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편 전쟁 후인 1842년, 매시선은 천식을 이유로 영국으로 귀국하여 상회 경영에서 은퇴하고 조카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19][23]
2. 3. 영국으로의 귀환과 정치 활동

아편 전쟁 이후 1842년, 천식을 앓게 되어 영국으로 귀국했다.[19] 이와 함께 자딘 매시선 상회의 관리직에서도 은퇴하여, 그의 조카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19][23]
1843년 3월, 사업 파트너였던 윌리엄 자딘이 사망하자[19], 그의 지역구였던 애쉬버튼의 보궐 선거에서 휘그당(후에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141표 대 96표로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24] 그는 1852년까지 애쉬버튼 지역구 의원을 지냈다. 같은 해 11월 9일, 메리 제인 퍼시벌(Mary Jane Percevaleng, 1876년 11월 23일 사망)과 결혼했다.[25] 그녀는 암살된 영국 총리 스펜서 퍼시벌의 사생아 마이클 헨리 퍼시벌(Michael Henry Percevaleng, 1779–1829)의 딸이었다.[15]

1844년, 50만파운드가 넘는 금액으로 스코틀랜드 아우터 헤브리디스의 루이스 섬을 매입했다.[12][19] 그는 스토노웨이 근처에 루이스 성을 건설했으며[12], 섬 개발을 명목으로 500가구가 넘는 기존 주민들을 캐나다로 이주시키고 그들의 토지를 정리했다.[12] 1845년부터는 배수 시설 설치와 도로 건설을 포함한 섬 개선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2] 런던에서는 클리블랜드 로우 13번지에 거주했으며, 1846년 2월 19일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26]
1847년 영국 총선에서는 로스 앤 크로마티 선거구로 지역구를 옮겨 무투표로 당선되었다.[28] 1852년 영국 총선에서는 288표 대 218표로 재선했으며, 이후 1857년, 1859년, 1865년 총선에서는 연이어 무투표로 재선하여 1868년까지 의원직을 유지했다.[28] 1868년 영국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고 의원직에서 물러났다.[28]
1840년대 말 고지 감자 기근이 발생했을 때, 매시선은 섬 개선 사업을 확대하며 구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2][19] 1850년까지 섬 개발에 32.9만파운드를 지출했으며, 1851년부터 1855년 사이에는 1,771명의 주민 이주를 지원하기도 했다.[12] 이러한 활동으로 1851년 1월 15일, 루이스 준남작(1st Baronet of Lewis) 작위를 수여받았다.[14][27]
그는 서덜랜드의 부통감과 치안 판사를 역임했으며[25], 은행업에도 진출했다.[19] 또한 수년간 페닌슐라 앤 오리엔탈 증기 항해 회사의 회장을 지냈다.[15] 1866년 6월 27일에는 로스셔 통감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을 맡았다.[29]
1878년 12월 31일, 프랑스 망통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19] 부부 사이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15][25] 준남작 작위는 그의 사망과 함께 단절되었다. 루이스 영지는 미망인에게 상속되었고, 이후 그의 조카 도널드(Donald Mathesoneng, 1819-1901)와 증손자 던컨 매시선 대령(Duncan Mathesoneng, 1850-1930)에게 넘어갔다. 그의 미망인은 루이스 성 부지에 남편을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다.[17] 매시선은 생전에 포트 오브 네스 항구 건설 비용으로 1500GBP를 기부하기도 했다.[18] 그는 스코틀랜드 라잉(Lairgeng)의 묘지에 묻혔다.[19]
2. 4. 사망
1878년 12월 31일 프랑스 망통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5], 스코틀랜드 레그(Lairg)의 묘지에 매장되었다[19]. 슬하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15][25] 준남작 작위는 그의 사망과 함께 단절되었다.3. 일본과의 관계
자딘 매시선 상회는 조슈번 출신 인물들의 영국 유학을 지원했다. 이 유학생들은 장주 오걸이라 불리며, 이노우에 가오루, 엔도 킨스케, 야마오 요조, 노무라 야키치,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 등 5명이었다. 유학 지원은 자딘 매시선 상회 요코하마 지점(영국 제일관)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들이 영국에 머무는 동안에는 제임스 매시선의 조카인 휴 매시선(자딘 매시선 상회 런던 사장)이 후견인 역할을 맡았다.
3. 1. 비판적 시각 (더불어민주당 관점)
장주 오걸의 영국 유학은 자딘 매시슨 상회 요코하마 지점(영국 제일관)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이 유학생 그룹에는 이노우에 가오루, 엔도 킨스케, 야마오 요조, 노무라 야키치와 더불어 훗날 대한제국 침략에 앞장서게 되는 이토 히로부미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이 영국에 머무는 동안에는 제임스 매시슨의 조카인 휴 매시슨(자딘 매시슨 상회 런던 사장)이 후견인 역할을 맡았다.결과적으로 제임스 매시선과 그의 사업체가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한 일본 제국주의 주요 인물들의 성장을 도왔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지원이 장차 일본의 침략 정책을 실행하는 인물을 키워내는 데 일조했으며, 이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역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있다.
4. 유산
조슈번의 조슈오걸(이노우에 가오루, 엔도 긴스케, 야마오 요조, 이노우에 마사루, 이토 히로부미)이 영국으로 유학을 갈 때, 자딘 매시선 상회 요코하마 지점(영일번관)이 이를 지원했다. 또한 제임스 매시선의 조카인 휴 매시선(당시 자딘 매시선 상회 런던 사장)은 이들의 영국 체류 기간 동안 도움을 주었다.
홍콩 코즈웨이 베이(퉁로완)에 있는 ‘매시선 스트리트’(Matheson Street, 勿地臣街)는 제임스 매시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Mathesons with Genealogies of the Various Families
1900
[2]
서적
British Trade and the Opening of China, 1800–1842
Routledge
[3]
서적
The Thistle and The Jade. A Celebration of 175 years of Jardine Matheson
Frances Lincoln Publishers
1982
[4]
서적
Jardine Matheson Traders of the Far East
Weidenfeld & Nicolson
1999
[5]
간행물
Hong Kong's Hongs with Long Histories and British Connections
http://hkjo.lib.hku.[...]
[6]
서적
The Romance of China: Excursions to China in US Culture: 1776–1876
http://www.gutenberg[...]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William Jardine
https://web.archive.[...]
2011-04-13
[8]
서적
The Hong Merchants of Canton: Chinese merchants in Sino-Western trade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Shanghai: The Rise and Fall of a Decadent City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Publishers
[10]
서적
The Present Position and Prospects of the British Trade With China
https://archive.org/[...]
Smith, Elder & Co.
1836
[11]
서적
The Chinese Repository
https://books.google[...]
Maruzen Kabushiki Kaisha
[12]
서적
The Blood Never Dried
2006
[13]
웹사이트
Fellows Details: Matheson; Sir; Nicholas James Sutherland (1796 - 1878)
https://web.archive.[...]
Royal Society
2014-05-09
[14]
간행물
London Gazette issue 21167
1850-12-31
[15]
웹사이트
DNB: "Matheson, Sir (Nicholas) James Sutherland"
http://www.oxforddnb[...]
[16]
웹사이트
Auction of Fine Portrait Miniatures Including the Judy & Brian Harden Collection London, Knightsbridge 25 May 2011
http://www.bonhams.c[...]
Bonhams
2011-05-25
[17]
웹사이트
Lady Matheson's Memorial
https://web.archive.[...]
The Stornoway Trust
2011-04-13
[18]
간행물
Second Annual Report of the Fishery Board of Scotland 1883 Appendix E No. 1
[19]
웹사이트
Matheson, Sir (Nicholas) James Sutherland, first baronet
2007-05-24
[20]
서적
洋行之王:怡和
三聯書店
2010-02-01
[21]
서적
和平與友誼:丹麥與中國的官方關係 1674-2000
北欧亜洲研究所
2000
[22]
서적
洋行之王:怡和
三聯書店
2010-02-01
[23]
웹사이트
Sir James Matheson (1796–1878)
https://artuk.org/di[...]
2022-01-28
[24]
서적
British Parliamentary Election Results 1832–1885
Macmillan Press
1977
[25]
서적
Members of Parliament, Scotland: Including the Minor Barons, the Commissioners for the Shires, and the Commissioners for the Burghs, 1357–1882
https://books.google[...]
Hazell, Watson, and Viney
1882
[26]
기타
Matheson; Sir; Nicholas James Sutherland (1796 - 1878)
2022-01-28
[27]
간행물
1850-12-31
[28]
서적
British Parliamentary Election Results 1832–1885
Macmillan Press
1977
[29]
웹사이트
Lieutenants and Lord-Lieutenants of Counties (Scotland) 1794-
https://www.history.[...]
2005-09
[30]
서적 인용
British Trade and the Opening of China, 1800–1842
Routledge
[31]
서적
『洋行之王』
三聯書店(홍콩)
2010
[32]
서적
『和平與友誼:丹麥與中國的官方關係 1674-2000』
北欧亜洲研究所
2000
[33]
서적
『洋行之王』
[34]
서적
『Jardine Matheson: Traders of the Far East』
Orion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