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무장친위대에 소속된 기갑사단이다. 1943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동부 전선, 서부 전선 등에서 전투를 치렀다.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구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응하여 캉 지구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후 팔레즈 포위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아르넘 전투, 벌지 전투에 참전했다. 1945년에는 동부 전선에서 싸우다 할베 전투에서 포위되어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로타르 데베스, 카를 피셔 폰 트로이엔펠트, 하인츠 하르멜 등이 있었으며, 귄터 그라스가 이 사단에서 복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유럽 전역에서 활동하며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마을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것으로 악명 높고 종전 후 해체, 일부 생존자들은 전범으로 처벌받았다.
  •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1SS기갑사단 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
    제1SS기갑사단 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히틀러 개인 경호 부대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작전에 참여했지만 전쟁 범죄에 연루되어 악명을 얻었고, 전쟁 후반기에는 후퇴전을 거듭하다 일부 병력이 베를린 전투에 참여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제5기갑군
    제5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기갑군으로, 북아프리카와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튀니지 전투,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3년과 1945년에 각각 항복하고 해체되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무장친위대의 사단 - 슈츠슈타펠
    슈츠슈타펠은 나치 독일의 핵심 조직으로, 히틀러 경호 부대에서 시작하여 힘러 지휘 아래 권력을 휘두르며 나치 정권의 범죄에 깊이 관여, 전후 범죄 단체로 규정되어 해체되었다.
  • 무장친위대의 사단 -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친위대 제13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보스니아 무슬림을 주축으로 창설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 내 파르티잔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창설 배경, 반란, 잔혹 행위 등으로 악명을 떨치다 전쟁 후 구성원들이 전범 재판에 회부되거나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10SS기갑사단 휘장
사단 휘장
명칭 (독일어)10. SS-Panzerdivision "Frundsberg"
종류기갑사단
역할기갑전
규모사단
별칭풀룬츠베르크
모토나의 명예는 충성 (Meine Ehre heißt Treue)
연혁
창설1943년 1월 2일
해체1945년 5월 8일
재편성1943년 10월 26일 (기갑 사단으로 재편)
소속무장친위대
모국나치 독일
편성지베를린-리히터펠데
전투
주요 전투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엡솜 작전
마켓 가든 작전
노르트빈트 작전
할베 포켓
지휘관
주요 지휘관하인츠 하르멜

2. 역사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는 16세기 독일 지휘관 게오르크 폰 프룬츠베르크의 이름을 따 "프룬츠베르크"라는 명예 칭호를 받았다.[2] 이 사단은 주로 징집병으로 구성되었다.

1944년 4월 타르노폴에서 처음 전투를 치렀고,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에서 포위된 독일군 구출 작전에 참여했다. 이후 연합군의 상륙에 대항하기 위해 노르망디로 이동, SS 사단 호헨슈타우펜과 함께 연합군의 엡솜 작전에 맞서 싸웠다.[3]

블루코트 작전 동안 영국군, 도몽프롱에서 미군과 전투를 벌인 후, 팔레즈 포위전에 휘말렸다. 생 랑베르와 샹부아 사이로 돌파를 시도했으나 큰 손실을 입었고, 벨기에를 거쳐 아르넘 근처에서 재편성되었다. 네덜란드 나이메겐에서 마켓 가든 작전 동안 제9SS기갑사단과 함께 II SS 기갑군단을 구성, 연합군 공수부대와 교전했다.[4] 그러나 10월 초 나이메겐 돌출부 전투 반격전에서 큰 손실을 보았다.

1945년 1월 재건 후 알자스에서 전투를 벌였고,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포메라니아와 작센에서 소련군과 싸웠다. 할베 포위전에서 포위된 후 돌파, 모리츠부르크를 거쳐 체코슬로바키아 테플리체 지역에 도달하여 미군에 항복했다.[5]

2. 1. 창설 및 편성 (1943)

1943년 1월 8일, SS대장하인리히 힘러는 2개 무장 SS 사단의 신설을 명령했다.[12] 베를린의 리히터펠데에서 1943년 2월 1일에 '''제10SS장갑척탄병사단 (10. SS-Panzergrenadier-Division)''' 편성이 시작되었으며,[12] 이후 사단은 프랑스 북부의 보르도 지역에 배치되었다. 1943년 3월 1일, 사단에 『카를 데어 그로세(Karl der Große)』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지만, 장갑 연대 편성은 늦어져 최초의 장갑 연대는 2개 대대 편성으로 이루어졌다.

1944년 말에도 제1대대는 차량이 부족하여, 대대에 독자적으로 돌격포 중대가 설치되었으며, 적군 노획품까지 사용되었다.

1943년 7월, 사단은 비아리츠 동부로 이동한 후, 마르세유 이북 지역으로 옮겨져 사단 훈련이 계속되었다. 1943년 10월, OKW는 사단에 이탈리아군의 차량을 보충하도록 명령했다.

1943년 10월 26일, 장갑 사단으로 재편되면서 사단명도 "'''제10SS장갑사단 '프룬츠베르크'(10. SS Panzer-Division "Frundsberg")'''"로 개칭되었다.[12]

2. 2. 동부 전선 투입 (1944)

1944년 3월, 프룬츠베르크 사단은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에서 제1SS기갑군단을 구출하는 작전에 투입되었다.[2] 제1SS기갑군단타르노폴에서 포위되어 있었는데, 프룬츠베르크 사단은 격렬한 전투 끝에 이들을 구원하는 데 성공했다.[2]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단은 전사 577명, 부상 1,432명, 실종 67명의 상당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2]

이후 프룬츠베르크 사단은 4월 25일부터 육군 집단 예비로서 로하틴-할리치 지구로 이동했고, 5월 1일에는 포모르자니 지구에서 대파르티잔전에 투입되었다.[2]

2. 3. 서부 전선 (1944-1945)

1944년 6월,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자,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는 급히 프랑스로 이동했다.[14] 6월 20일, 메츠 남서쪽 낭시-바-르-뒥 지구에 도착했다.[14]

6월 29일부터 지구에서 독일군의 반격 작전에 참가했으나, 팔레즈에서의 방어전(팔레즈 포위전)에 휘말려 큰 손실을 입고 철수했다.[14] SS-기갑척탄병 연대 21은 생 랑베르를 향해 공격했지만 격퇴되었고, 프룬츠베르크의 계획된 공격은 중단되었다. 사단은 생 랑베르와 샹부아 사이로 돌파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이후 제9SS기갑사단과 함께 네덜란드의 아르넘 근교에서 휴양 및 재편성을 진행했다.[4]

그러나 마켓 가든 작전에 따른 연합군 공수 부대와 조우하면서 전투가 발생했다. 병력과 장비가 부족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제9SS기갑사단과 함께 제2SS기갑군단을 형성하여[13] 영국 제1공수여단에 큰 손실을 입혔다.[14] 10월 초에는 나이메겐 돌출부 전투에 대한 반격전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1945년 1월까지 라인 중류의 알자스 주변에서의 공방전에 참가했다.[14]

2. 4. 독일 본토 방어 및 항복 (1945)

1945년 1월, 프룬츠베르크알자스에서 전투를 벌였다.[5] 이후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포메라니아와 작센에서 소련군과 싸웠다.[5] 할베 포위전에서 포위된 후 돌파를 시도, 모리츠부르크를 거쳐 체코슬로바키아테플리체 지역에 도달했으며, 전쟁이 끝날 무렵 미군에 항복했다.[5]

3. 주요 작전 지역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전선에서 주요 작전에 참여했다.[2][3][4][5]

주요 작전 지역
기간지역비고
1943년 1월 ~ 1944년 3월프랑스창설 및 훈련
1944년 3월 ~ 4월동부 전선 남부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참전
1944년 4월 ~ 6월폴란드
1944년 6월 ~ 9월프랑스노르망디 상륙 작전, 팔레즈 포위전 참전
1944년 9월 ~ 10월벨기에, 네덜란드마켓 가든 작전 참전
1944년 10월 ~ 1945년 2월독일 서부노르트빈트 작전 참전
1945년 2월 ~ 3월독일 북서부
1945년 3월 ~ 5월독일 동부, 체코슬로바키아베를린 전투, 할베 포위전 참전
1945년 5월체코슬로바키아미군에 항복, 사단 해산


4. 조직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8]

명칭 (영어)[9]명칭 (독일어)[10]


4. 1. 1943년 편성

1943년 1월 8일, SS대장하인리히 힘러는 2개 무장 SS 사단의 신설을 명령했다.[12] 1943년 2월 1일 베를린의 리히터펠데에서 "'''제10SS장갑척탄병사단 (10. SS-Panzergrenadier-Division)'''"으로 편성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사단은 프랑스 북부의 보르도 지역에 배치되었다. 3월 1일, 사단에 『'''카를 데어 그로세(Karl der Große)'''』라는 명예로운 명칭이 부여되었지만, 장갑 연대의 편성은 늦어져 최초의 장갑 연대는 2개 대대 편성으로 이루어졌다.

1944년 말에도 제1대대는 차량이 부족하여 독자적으로 돌격포 중대가 설치되었으며, 적군 노획품까지 사용되었다.

1943년 7월, 사단은 비아리츠 동부로 이동한 후, 마르세유 이북 지역으로 옮겨져 훈련을 계속했다. 10월, OKW는 사단에 이탈리아군의 차량을 보충하도록 명령했다.

1943년 10월 26일, 장갑 사단으로 재편되면서 사단명도 "'''제10SS장갑사단 '프룬츠베르크'(10. SS Panzer-Division "Frundsberg")'''"로 개칭되었다.

다른 무장 SS 사단과 마찬가지로 제9SS장갑사단 "호엔슈타우펜", 제7SS 의용 산악 사단 "프린츠오이겐" 등 역사상 뛰어난 인물의 이름을 채용한 것은 무장 SS의 군인적 이상상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웅상의 모델은 제1차 세계 대전작가 에른스트 윙거에 의해 창작된 란츠크네히트상에 기초하고 있다.[12]

이 SS 부대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8]

명칭 (영어)[9]명칭 (독일어)[10]


5. 주요 지휘관

주요 지휘관
순서사진계급이름재임 기간
1SS-대령de미하엘 리페르트1943년 2월 1일 ~ 1943년 2월 15일
2
SS-소장de로타르 데베스1943년 2월 15일 ~ 1943년 11월 15일
3
SS-소장de카를 피셔 폰 트로이엔펠트1943년 11월 15일 ~ 1944년 4월 27일
4--SS-준장de하인츠 하르멜1944년 4월 27일 ~ 1945년 4월 28일
5SS-중령de프란츠 뢰스텔1945년 4월 28일 ~ 1945년 5월 8일



계급은 사단장 재임 시의 계급이다.

6. 주요 장비

템플릿이 제거되어야 한다.

7. 저명한 복무 인원

독일 작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1944년 11월, 17세의 나이로 이 SS 사단에서 전차 승무원으로 훈련을 받았다. 그는 1945년 4월 25일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포로로 잡혔다.[6] 2006년이 되어서야 자신이 무장 친위대에 소속되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7]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성명계급소속수여일
오토 페쉬SS 중령제10SS 장갑연대장1944년 9월 23일
한스 라이터SS 소위제21SS 장갑척탄병연대 참모장1944년 8월 23일
카를 케크SS 대위제15중대/제21SS 장갑척탄병연대 지휘관1944년 8월 23일
카를 바스티안SS 대위제Ⅱ대대/제21SS 장갑척탄병연대 지휘관1944년 8월 23일
에리히 레히SS 상사제2중대/제10SS 장갑정찰대대 소대장1944년 8월 23일
카를-하인츠 오일링SS 소령제Ⅳ대대/제22SS 장갑척탄병연대 지휘관1944년 10월 15일
레오-헤르만 라인홀트SS 대위제Ⅱ대대/제10SS 장갑연대 지휘관1944년 10월 16일
에르빈 바흐만SS 중위제Ⅰ대대/제10SS 장갑연대 부관1945년 2월 10일
프란츠 리델SS 중위제7중대/제10SS 장갑연대 지휘관1945년 3월 28일
프란츠 쉘처SS 중위제Ⅰ대대/제10SS 장갑연대 지휘관1945년 3월 28일
에른스트 요한테크SS 소령제Ⅰ대대/제10SS 장갑연대 지휘관1945년 3월 28일
에르빈 프란츠 에스터SS 중령제10SS 전차헌병대대 지휘관1945년 5월 3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리히터SS 소령제Ⅲ대대/제21SS 장갑척탄병연대 지휘관1945년 5월 11일



백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성명계급소속수여일
오토 페쉬SS 중령제10SS 장갑연대장1945년 4월 5일



백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성명계급소속수여일
하인츠 하르멜SS 소장제10SS 장갑사단장1944년 12월 15일


참조

[1] 문서 Official designation in German language as to "Bundesarchiv-Militärarchiv" in Freiburg im Breisgau
[2] 서적 Hitler's Armed SS: The Waffen-SS at War, 1939–1945 Pen and Sword 2022
[3] 문서
[4] 웹사이트 Defending Arnhem © 2006 https://web.archive.[...] 2018-03-22
[5] 서적 Verbände und Truppen der deutschen Wehrmacht und Waffen-SS Biblio Verlag 1974
[6] 뉴스 Günter Grass is my hero, as a writer and a moral compass https://web.archive.[...] 2006-08-19
[7] 웹사이트 Günter Grass im Interview: 'Warum ich nach sechzig Jahren mein Schweigen breche' https://web.archive.[...] 2010-10-31
[8] 서적 "The SS Hitler's Instrument of the power" KAISER 1994
[9] 문서 MILITÄRISCHES STUDIENGLOSAR ENGLISCH Teil II/ Teil III, Deutsch – Englisch, Abkürzung Begriff Bundessprachenamt 2001-01
[10] 문서 Official designation as to "Bundesarchiv-Militärarchiv" in Freiburg im Breisgau
[11] 뉴스 Günter Grass is my hero, as a writer and a moral compass https://web.archive.[...] The Guardian 2006-08-19
[12] 문서 Ritter, Landsknecht, Legionär, Militärmythische Leitbilder in der Ideologie der SS Peter Lang 2008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8-03-22
[14] 서적 Verbände und Truppen der deutschen Wehrmacht und Waffen-SS Biblio Verlag 1974
[15] 서적 "The SS Hitler's Instrument of the power" KAISER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