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테트라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테트라오는 라오스의 공산주의 운동 세력으로, 1950년 수파누봉이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결성한 반프랑스 민족해방운동이다. 라오스 내전과 베트남 전쟁 시기 라오스 왕립 정부와 대립하며 라오스 북부와 동부를 장악했다. 1956년 라오 인민 전선으로 정당을 결성하고, 1973년 비엔티안 조약을 통해 정전에 합의했다. 1975년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고, 라오 인민 혁명당이 새로운 정부를 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공산주의 무장 단체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없어진 공산주의 무장 단체 - 투파마로스
    투파마로스는 1962년 우루과이에서 결성되어 무장 투쟁과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으나, 군사 독재 이후 합법 정당으로 전환하여 우루과이 정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좌익 게릴라 조직이다.
파테트라오
개요
파테트라오 깃발
파테트라오 깃발
활동 기간1949/1950년 – 1975년 12월 2일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좌익 민족주의
친베트남
지도자소파누봉 공
카이손 폼비한
누학 품사반
본부비엔티안
전신라오 이사라
후신라오 인민군
동맹 및 적대 세력
동맹국국가 동맹:
북베트남
중화인민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북한
인도네시아
동독
쿠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비국가 동맹:
베트콩
크메르 루주 (1975년 4월까지)
태국 공산당
적대국국가 적대국:
라오 왕국
남베트남
크메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중화민국
태국
미국
비국가 적대국:
FULRO
활동
주요 전투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태국 공산주의 반란

2. 역사적 배경

2. 1. 라오 잇싸라 (자유 라오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오스에서는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레지스탕스 조직으로 라오 이사라(자유 라오스)가 결성되었다.[4] 1945년 10월 12일, 라오 이사라는 임시 정부를 수립했으나,[4] 프랑스군의 재점령으로 태국으로 망명했다. 1949년, 라오스 왕국프랑스 연합 내 협동국으로 성립되었지만, 외교권과 방위권은 여전히 프랑스가 보유했다.

1953년 삼느아의 파테트 라오


1950년, 수파누봉베트민 본부에 합류하여 "네오 라오 이사라"(자유 라오 전선)라는 정치 조직과 함께 파테트 라오의 수장이 되었다.[5] 파테트 라오는 수파누봉(총리, 외무부 장관), 카이손 폼비한(국방부 장관), 누학 폼사반(재무부 장관), 푸미 봉비칫(부총리, 내무부 장관) 등으로 구성된 저항 정부를 설립했다.[5]

1953년 파테트 라오 전사들은 베트민 군대가 이끄는 베트남의 라오스 침공에 동행하여 라오스 북동부 후아판 주 비엔티안에 정부를 수립했다.[7]

1954년 제네바 협정은 외국 군대의 철수를 요구했고, 파테트 라오가 라오스 북부 두 주에 정권을 수립하는 것을 허용했다.[7]

1956년에는 공식 정당인 라오 인민 전선(Neo Lao Hak Sat (NLHS))으로 결성되었다.[4]

1957년에는 군주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에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 1959년 전투가 제개되기전, 왕립 라오스 육군 (RLA)에 통합될 예정이었던 두 개의 파테트 라오 대대가 RLA 병력에 의해 포위되어 무장 해제를 시도하였으나, 한 대대의 일부가 체포되었지만 나머지는 북베트남으로 도주했다. 그 후 1959년 7월 라오스 경찰은 반역죄로 국민 의회에 선출된 7명을 포함하여 16명의 네오 라오 학 삿 회원을 체포했다. 이러한 조치로 전투가 재개되었다.[7]

2. 2. 네오 라오 잇싸라 (라오스 자유 전선)



'''네오 라오 잇싸라'''(라오스 자유 전선)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동안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식민 당국에 맞서 베트민의 반란에 가담한 수파누봉이 이끄는 라오스 군대에 의해 1950년에 "파테트 라오"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만들어졌다.[4]

수파누봉은 베트남 냐짱[5]에서 7년을 포함하여 16년 동안 호치민을 만나고 베트남 여인과 결혼했으며,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게릴라 부대를 창설했다.[6]

1950년 8월, 수파누봉은 하노이 북쪽에 있는 베트민 본부에 합류하여 "네오 라오 이사라"(자유 라오 전선)를 조직하고 파테트 라오의 수장이 되었다.[5] 파테트 라오는 수파누봉(총리, 외무부 장관), 카이손 폼비한(국방부 장관), 누학 폼사반(재무부 장관), 푸미 봉비칫(부총리, 내무부 장관), 쑤크 봉삭, 시톤 꼼마담, 파이당 롭리야오로 구성된 저항 정부를 설립했다. 이는 라오스 공산주의 운동에 권위의 허울을 씌우려는 시도였다. 이 조직의 가장 중요한 창립자 두 명은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회원이었으며, 군주제 전복과 프랑스 축출을 주장했다.[6]

1953년, 파테트 라오 전사들은 베트민 군대가 이끄는 베트남의 라오스 침공에 동행하여 라오스 북동부 후아판 주의 비엔티안에 정부를 수립했다.[7] 이들은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 중부에 침투, 내전이 발발했으며, 파테트 라오는 라오스 영토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은 외국 군대의 철수를 요구했고, 파테트 라오가 라오스 북부 두 주에 정권을 수립하는 것을 허용했다.[7] 베트민과 북베트남은 협정에도 불구하고 라오스 국경 지역에서 철수하지 않았고 파테트 라오는 베트민의 지부 조직처럼 활동했다. 협정 두 달 후 북베트남은 나 메오에 본부를 둔 그룹 100을 결성했다.[7] 이 부대는 파테트 라오 운동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지휘했다.

1956년에는 공식 정당인 라오 인민 전선(Neo Lao Hak Sat (NLHS))으로 결성되었다.[4]

1957년에는 군주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에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 1959년 5월 왕립 라오스 육군 (RLA)에 통합될 예정이었던 두 개의 파테트 라오 대대가 RLA 병력에 의해 포위되어 무장 해제를 시도하자, 한 대대의 일부가 체포되었지만 나머지는 북베트남으로 도주했다. 그 후 1959년 7월 라오스 경찰은 반역죄로 국민 의회에 선출된 7명을 포함하여 16명의 네오 라오 학 삿 회원을 체포했다. 이러한 조치로 전투가 재개되었다.[7]

망명 정부 내 일부는 프랑스에 회유되어 라오스 왕국에 협력했지만, 이에 타협하지 않은 구 라오 이사라의 좌파 세력은, 베트민 및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의해 영향을 받아, 수파누봉 왕자 및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카이손 폼비한을 지도자로 하여, 반 프랑스 투쟁을 계속했다.

2. 3. 빠텟라오 (라오인의 나라)

1950년 8월 수파누봉이 인도차이나 공산당 당원들과 함께 결성한, 반프랑스 민족해방운동인 라오 잇싸라(자유라오스)의 후신이다.[4] 'Pathet Lao'는 라오스 말로 '라오인의 나라'라는 뜻이며, 1954년부터 정식명칭은 '''라오스 좌파연합 애국전선'''으로 알려졌다. 1956년에는 공식 정당인 라오 인민 전선(Neo Lao Hak Sat (NLHS))으로 결성되었다.[4]

수파누봉은 베트남에서 호치민을 만나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하노이 북쪽 베트민 본부에서 "네오 라오 이사라"(자유 라오 전선)라는 정치 조직과 함께 빠텟라오를 결성했다.[5] 초기 빠텟라오는 평지 라오인보다 더 가혹한 세금 징수에 시달리던 고지대 소수 민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남부에서는 볼라벤 고원을 중심으로 아타푸, 살라반 등에서 현지 족장 온케오, 시톤 코마단 등의 파테트 라오 지도자들이 항전을 지속했다.

1953년 빠텟라오는 베트민과 협력하여 라오스 북서부를 장악하고,[7] 후아판 주의 비엔티안에 정부를 수립했다. 이후 베트민의 지원을 받아 라오스 중부에 침투, 내전이 발발하여 라오스 영토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외국 군대가 철수하고, 빠텟라오는 라오스 북부 두 개 주에 정권을 수립했다.[7] 그러나 베트민과 북베트남은 협정에도 불구하고 라오스 국경 지역에서 철수하지 않았고, 빠텟라오는 베트민의 지부 조직처럼 활동했다.[7]

2. 4. 네오 라오 학 삿 (라오스 애국 전선)

1950년 8월 수파누봉이 결성한 반프랑스 민족해방운동인 라오 이사라의 후신인 빠텟라오는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외국 군대가 철수하면서 라오스 북부 2개 주에 집결했다.[7] 협정에도 불구하고 베트민과 북베트남은 라오스 국경 지역에서 완전히 철수하지 않았고, 빠텟라오는 계속해서 베트민의 지부 조직처럼 활동했다. 협정 체결 2개월 후, 북베트남은 나 메오에 본부를 둔 그룹 100을 결성하여 빠텟라오 운동을 통제하고 지휘했다.[7]

1956년 1월, 네오 라오 이싸라는 '''네오 라오 학 삿'''(Neo Lao Hak Sat, 라오스 애국 전선)으로 개칭되어[4] 서구의 자본주의, 식민주의, 제국주의에 맞선 공산주의 투쟁을 목표로 하는 정치 조직으로 전환했다. 1957년, 군주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간의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고, 라오스 왕국 정부와의 통일 정부 수립 선언을 통해 네오 라오 학 삿의 전투 부대인 빠텟라오가 왕국군에 편입되었다.

1958년 삼느아퐁살리에서 보궐 선거가 실시되었고, 네오 라오 학 삿과 그 동맹 당인 평화 중립당이 21석 중 13석을 획득했다. 이 선거에서 수파누봉은 전체 입후보자 중 최고 득표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1959년 5월, 왕립 라오스 육군에 통합될 예정이었던 두 개의 빠텟라오 대대가 포위되어 무장 해제를 시도당했고, 일부는 체포되었지만 나머지는 북베트남으로 도주했다. 같은 해 7월, 라오스 경찰은 반역죄로 국민 의회에 선출된 네오 라오 학 삿 회원들을 체포했고, 이로 인해 전투가 재개되었다.[7]

3. 라오스 내전과 베트남 전쟁

3. 1. 라오스 내전 발발

1958년 보궐 선거에서 라오스 애국 전선과 동맹 세력이 약진했으나, 친미 우익 푸이 사나니콘 정권은 라오스 애국 전선 정치인들을 추방하고 탄압했다. 이에 반발한 파테트라오 소속 병사들이 왕국군에서 집단 탈주하면서 1959년 라오스 내전이 발발했다.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분 움에 따르면 반란은 남부 볼라벤 고원, 아타푸, 팍세에서 가장 만연했다.

1959년 말, 북베트남은 호치민 루트로 알려진 남베트남의 베트콩 반군에게 병력과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라오스 동부 지역을 재점령했다.[7] 북베트남은 파테트 라오를 지원하기 위해 제959집단을 창설했다.[7][8] 일반적인 전략은 베트남 인민군 정규군이 먼저 공격하고, 전투가 끝날 무렵 파테트 라오를 투입하여 승리를 주장하는 것이었다.[7]

1960년 콩 레 대위의 중립파 쿠데타로 인해 라오스는 왕국군(우파), 파테트라오(좌파), 중립파 간의 삼파전으로 확대되었다. 1960년대 초, 라오스 중립에 관한 국제 협정을 포함한 중립 협정과 연립 정부 수립 시도가 있었으나, 북베트남은 라오스에서 철수할 의사가 없었기에 실패했다.[7] 파테트 라오는 1962년 6월 연립 정부에 참여했지만, 1963년 4월 탈퇴하고 전투를 재개했다.[7]

1973년 라오스 비엔티안의 파테트 라오 병사

3. 2. 베트남 전쟁의 영향과 미국의 개입

1960년대 중반부터 미국과 북베트남이 라오스 내전에 개입하면서 내전은 더욱 격화되었다.[7] 미군은 호치민 루트와 파테트 라오 지배 지역을 맹폭하며 군사적 압박을 가했다.[17] 이 때 폭격에 사용된 집속탄의 상당수가 불발탄으로 남아 현재까지도 피해를 주고 있다.

1959년 말, 북베트남은 라오스 동부 지역을 재점령하고 호치민 루트를 확보했다.[7] 1959년 9월, 북베트남은 제959집단을 창설하여 파테트 라오를 지원하고 훈련시켰다.[7][8] 베트남 인민군 정규군이 먼저 공격을 가한 후, 파테트 라오가 전투에 투입되어 승리를 주장하는 전략이 사용되었다.[7]

1962년 7월 23일, 라오스 중립에 관한 국제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북베트남은 라오스에서 철수하지 않았다.[7] 1960년대 중반, 라오스는 친미 및 친북베트남 불규칙 군사 집단 간의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7] 베트남 인민군과 파테트 라오는 라오스 왕립군, 미국 불규칙군 (에어 아메리카, 흐몽 특공대), 태국 의용군과 전투를 벌였다.[7]

1965년 10월, 파테트 라오의 무장군은 라오스 인민해방군(LPLA)으로 개칭되었다.[4] LPLA는 정규군, 지역/민병대, 민병대/게릴라 부대로 구성되었으며, 베트남 인민군 고문이 배정되었다.[4] 징병은 애국심에 호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훈련은 정치적 교화에 중점을 두었다.[4][4]

1970년, 파테트 라오는 태국군과 교전하여 다수의 사상자를 냈다고 발표했지만, 태국 측은 이를 부인했다.[17] 1971년 말, 파테트 라오와 중립파 연합군은 왕국군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확보했다.[9][9]

1973년 1월 27일, 파리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미국 포로들이 석방되었다.[10] 그러나 미국 국방부(DOD)에 등록된 실종자 수와 북베트남이 제공한 포로 명단에는 차이가 있었다.[11] 2019년 7월 26일 현재, DOD는 286명의 미국인을 라오스에서 실종자로 등록하고 있다.[13]

1973년 2월 21일, 파테트 라오와 라오스 정부는 비엔티안 조약을 체결하여 정전에 합의했다.[14]

3. 3.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

1973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로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빠텟라오의 군사적 우위는 더욱 강화되었다.[18][19] 1971년 말에는 이미 왕국군에 대해 군사적으로 우세를 점하고 있었다. 1970년 3월 21일에는 삼톤 부근에서 정부군을 공격하여 다수의 태국군 병사를 살해했다고 발표했지만, 태국 측은 병사 파견을 부인하여 국제 문제화는 피할 수 있었다.[17] 1960년대 중반부터 미국과 남북 베트남이 개입하면서, 미국군은 산악 지대의 호치민 루트 및 평지의 파테트 라오 지배 지역을 맹폭했다. 이때 사용된 집속탄 중 많은 수가 불발탄으로 남아 현재까지도 피해를 주고 있다.

1974년, 삼파 연합에 의한 라오스 민족 연합 정부가 수립되었다.[18][19]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 비엔티안에서는 2만 명 규모의 반우파 주민 시위가 발생하고, 우파 각료들이 정권을 포기하면서 왕국군은 무장 해제되었다.[18][19] 같은 해 12월, 빠텟라오는 왕정을 폐지하고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수립했다.[18][19] 이후 중립파 군을 흡수하여 라오스 국가 건설 전선으로 개칭했지만, 외국에서는 현재도 빠텟라오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4. 조직

파테트라오의 정치 운동은 초기에는 "라오 인민당"(1955~1972년)으로 불렸고, 이후 "라오 인민 혁명당"(1972년~현재)으로 불렸다.[3] 주요 지도자로는 수파누봉 왕자, 카이손 폼비한, 푸미 봉비칫, 누하크 푸람사반, 캄타이 시판돈 등이 있다.[3] 1956년부터 "라오 애국 전선"(Neo Lao Hak Xatlo)이라는 정치 기구를 통해 여러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3]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파테트라오는 라오스 왕립 정부와 라오스 내전을 벌였으며 라오스의 북부와 동부를 장악했다.[3] 파테트라오는 1975년 초 전국에서 권력을 잡았고, 12월에 미국이 지원하는 정부가 무너지고 라오 인민 혁명당이 새로운 정부를 구성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Pathet Lao http://countrystudie[...]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011-08-08
[2] 서적 Winning the Third World: Sino-American Rivalry during the Cold War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 백과사전 Pathet Lao http://www.britannic[...] britannica 2013-03-09
[4] 서적 The Pathet Lao Leadership and Organisation https://www.rand.org[...] Greenwood Publishing
[5] 서적 At War in the Shadow of Vietnam: U.S. Military Aid to the Royal Lao Government, 1955 - 1975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Laos: The Pathet Lao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7] 서적 Revolution in Laos: The North Vietnamese and the Pathet Lao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8] 서적 Hanoi's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War for Peace in Vietna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9] 서적 Shadow War: The CIA's Secret War in Laos Paladin Press
[10] 뉴스 Laos P.O.W. list shows 9 from U.S. https://www.nytimes.[...] 1973-02-02
[11] 뉴스 POW pilots left in Laos, files suggest https://www.washingt[...] 1994-01-02
[12] 뉴스 Children of the Last P.O.W. Close a Pain-Filled Chapter https://query.nytime[...] 1994-10-05
[13] 웹사이트 Vietnam era statistical report Americans unaccounted for in Southeast Asia https://www.dpaa.mil[...] 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2019-07-26
[14] 백과사전 Laos https://archive.org/[...] Field Enterprises Educational Corporation
[15] 뉴스 Pentagon Recovers Remains Believed to Be Howard Dean's Brother https://www.foxnews.[...] Fox News 2003-11-18
[16] 문서 ປະເທດは「国」、ລາວは民族としての「ラーオ族」、又は、集団としての「ラオス」を意味するため、ラオス語でປະເທດລາວは「ラーオ族の国」となり、本項の勢力のみを意味しない。実際にラオ語版ウィキペディアにおいて、[[:lo:ປະເທດລາວ|ປະເທດລາວ]]は、国家としてのラオス(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の見出し語であり、本項の勢力の見出し語となっていない。
[17] 뉴스 タイ軍と交戦 パテト・ラオ 1970-03-22
[18] 간행물 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の樹立 https://dl.ndl.go.jp[...]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5-12-25
[19] 간행물 樹立された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世界と日本) / 三浦 一夫 https://dl.ndl.go.jp[...]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6-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