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8군 (영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8군(영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육군의 야전군으로,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 전역에서 활약했다. 1941년 9월 서부 사막에서의 작전을 위해 창설되어, 앨런 커닝엄 장군이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십자군 작전, 가잘라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이 지휘하며 전력을 증강했다. 1943년 튀니지 전역과 이탈리아 전역에서 활약하며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전쟁 후 오스트리아 주둔 연합군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7월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야전군 - 제2군 (영국)
    제2군은 영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서부 전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작전에 참여하여 공훈을 세웠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야전군 - 제1군 (영국)
    제1군은 영국군 부대로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역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영국의 야전군 - 이집트 원정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이 이집트 술탄국을 보호하기 위해 창설한 이집트 원정군은 수에즈 운하 방어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군과 전투를 수행하며,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공세를 주도하여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을 종결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영국의 야전군 - 제2군 (영국)
    제2군은 영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서부 전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작전에 참여하여 공훈을 세웠다.
  • 1941년 설립 - 미국 육군 항공대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급격히 성장하여 최대 규모의 병력과 항공기를 보유했던 미합중국 육군의 항공전 부대였으나, 1947년에 미국 공군으로 재편되었다.
  • 1941년 설립 - 청주교육대학교
    1941년 청주사범학교로 설립된 청주교육대학교는 국립대학교로서, 1963년 폐교 후 1984년 4년제 대학으로 재개교하여 초등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부설초등학교 등의 부속기관을 두고 있다.
제8군 (영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8군 마크
8군의 부대 휘장
활동 기간1941년 9월 10일 – 1945년 7월 29일
군종영국 육군
종류야전군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서부 사막 전역
튀니지 전역
허스키 작전
이탈리아 전역
지휘관
주요 지휘관알란 커닝엄
닐 리치
클로드 오킨렉
버나드 몽고메리
올리버 리세
리차드 맥크리리

2. 역사적 배경

수에즈 운하는 영국 본토와 영국령 인도 제국을 포함한 극동 지역 식민지를 연결하는 대영 제국의 중요한 연결 고리이자, 경제적, 위세적인 중요성을 지닌 곳이었다. 영국은 수에즈 운하를 유지하기 위해 1882년 이집트를 점령하고 보호령을 설치했다.[1] 전간기 동안, 중동과 운하는 석유 생산이 확대되고 영국과 영국령 인도 간의 항공 노선이 개발되면서 더욱 중요해졌다. 1935년, 영국의 정책은 이탈리아의 식민 야망과 군비 증강, 그리고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으로 인해 이탈리아를 중동에서 영국의 이익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간주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2] 이후 1936년 영국-이집트 조약이 체결되었고, 1937년 1월 2일 이탈리아와 영국은 지중해 주변의 현상 유지를 위한 공동 선언을 발표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고, 영국은 이집트로 증원군을 파견했다. 병력은 카이로 인근과 운하 지대에서 알렉산드리아 서쪽 약 273.59km 떨어진 서부 사막의 메르사 마트루로 이동하여 리비아 식민지로부터의 이탈리아 침공으로부터 이집트를 보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었다.[3][4]

1940년 9월 13일부터 1941년 5월 30일 사이에 벌어진 전투와 이동을 상세히 보여주는 서부 사막 지도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해 9월 13일부터 16일 사이에 이탈리아는 이집트 침공을 감행했다.[5] 12월에는 반격 작전인 컴파스 작전이 시작되어 이탈리아 제10군을 격파하고 리비아의 키레나이카를 점령했다. 이 공격은 서부 사막 군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작전 종료 후 제13군단으로 개칭되었다.[6] 해바라기 작전 이후 추축군의 아프리카 증원군 파견으로, 1941년 3월 이탈리아-독일군은 반격하여 주요 영국군 부대를 이집트로 몰아내고 제2기갑사단의 일부를 파괴했다. 호주군의 상당수가 리비아 항구 토브루크에 포위되었다. 이로 인해 토브루크 포위전이 발생했고, 독일과 이탈리아 병력의 대부분이 이를 유지하는 데 투입되어 추축군의 대규모 공세 작전을 방해했다.[7] 5월 15일, 영국군은 이집트 내부에서 출발하여 이집트-리비아 국경 지역을 공격하는 브레비티 작전을 개시했으나, 다음날 종료되었다.[8] 5월 말, 독일의 소규모 반격인 스콜피온 작전으로 브레비티 작전에서 상실한 지역을 탈환했다. 6월 15일 시작된 배틀액스 작전은 이집트에서 진격하여 토브루크 포위망을 돌파하려는 2일간의 노력이었으나, 이탈리아-독일군은 공격을 격퇴했고, 어떠한 지형도 확보하지 못했다.[9] 그 후, 포위망을 돌파하기 위한 새로운 공세를 시작하라는 압박이 영국 지휘관들에게 가해졌다. 독일군의 대부분이 바르바로사 작전소련 침공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과 영국군이 추축국의 패배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전선에 더 가까이 다가가 수개월의 정치적 논쟁 끝에 토브루크의 호주 수비대를 구출해야 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이는 9월과 10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호주군은 점차적으로 항구로 수송된 영국 제70보병사단으로 교체되었다.[10][11]

3. 편성 및 발전

1941년 동안 제13군단은 이집트 주둔 영국군의 주력이었다. 기갑군단으로 알려졌다가 제30군단으로 이름이 변경된 두 번째 군단을 편성하는 과정도 시작되었으나, 이 군단은 1941년 10월까지 활동하지 않을 예정이었다. 이집트 주둔 영국군의 규모가 증가하고 두 번째 군단이 편성되면서, 1941년 9월, 이들 부대를 지휘할 야전군 사령부가 필요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1]

3. 1. 초기 편성

1941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이집트 주둔 영국군의 규모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지휘할 야전군 사령부가 필요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서부군 사령부가 카이로에 설립되었고, 이후 나일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9월 26일에 제8군으로 최종 변경되었다.[1] 영국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은 이 군대를 서부 사막 부대라고 부르기도 했다.[1]

제8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앨런 커닝엄 장군


윈스턴 처칠은 헨리 메이틀랜드 윌슨 장군을 군 사령관으로 제안했지만, 최종 결정은 중동 사령부 사령관 클로드 오친렉 경에게 맡겨졌다. 오친렉은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영국군을 이끌었던 앨런 커닝엄 중장을 선택했다. 커닝엄은 1941년 8월 29일 이집트로 소환되어 9월 24일에 제8군 사령관을 맡게 되었다. 제8군은 서부 사막에서의 작전을 담당했으며, 전선의 교통선, 이집트 방공망 및 내부 보안을 통제하는 기존의 이집트 주둔 영국군 사령부의 지원을 받았다.

제8군의 일부였던 제7기갑사단은 마스코트와 휘장으로 선택한 저빌 때문에 사막 쥐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러나 이 용어는 토브루크 공방전에 참전했던 병사들을 포함하여 서부 사막에서 복무한 모든 군인들에게 널리 사용되었다.

3. 2. 전력 증강 및 재편

1941년 9월, 제13군단을 지휘할 야전군 사령부가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서부군 사령부가 카이로에 설립되었다. 이 사령부는 나일군으로 변경되었다가 9월 26일에 제8군으로 최종 변경되었다.[1] 처칠 영국 총리는 이 군대를 서부 사막 부대라고 부르기도 했다.

처칠은 헨리 메이틀랜드 윌슨 장군을 군 사령관으로 제안했지만, 중동 사령부 사령관 클로드 오친렉 경은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영국군을 이끌었던 앨런 커닝엄 중장을 선택했다. 커닝엄은 1941년 8월 29일 이집트로 소환되어 9월 24일에 제8군 사령관을 맡게 되었다. 제8군은 서부 사막에서의 작전을 담당했으며, 전선의 교통선, 이집트 방공망 및 내부 보안을 통제하는 이집트 주둔 영국군 사령부의 지원을 받았다.

제7기갑사단은 마스코트와 휘장으로 선택한 저빌 때문에 '사막 쥐'라는 별명을 얻었다. 역사가 조지 포티는 제7기갑사단의 명성이 "서부 사막에서 복무한 군인이라면 누구에게나 널리 사용되는" 별명으로 이어졌다고 언급했다. 로빈 닐랜드스는 제8군에 관한 저서에서 "'사막 쥐'라는 용어는 사막군 또는 토브루크에서 싸운 병사를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되지만, 엄격히 말하면 영국 제7기갑사단 병사에게만 적용해야 한다"고 썼다.

1942년에 제8군 사령관이 되어 직접 지휘를 맡은 중동 사령관 오친렉


1942년 6월 25일, 오친렉은 제8군을 직접 지휘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오친렉의 중동 사령부 참모장인 에릭 도먼-스미스 소장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오친렉과 도먼-스미스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도먼-스미스는 제8군 내에서 비공식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그는 오친렉이 사용한 전투 계획을 작성했지만, 이러한 아이디어를 본부의 다른 구성원에게 알릴 의무는 없었다. 오친렉은 도먼-스미스를 선호하여 군 본부의 구성원들을 배제했고, 그 결과 본부와 다른 장교들 사이에 혼란과 적대감이 생겼다.

오친렉은 메르사 마트루 전투에서 최종 전투를 치르지 않기로 결정하고 제8군 사단의 재편성을 명령했다. 그는 사단을 전방 부대와 후방 부대로 나누기를 원했다. 전방 부대는 보병 여단 하나와 모든 사단 포병을 포함하고, 후방 부대는 기동화가 불가능한 나머지 보병으로 구성되어 고정된 위치를 점령하게 될 것이었다. I. S. O. 플레이페어는 영국 교리가 퇴각 중에는 격전을 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오친렉의 변화는 확립된 관행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제2뉴질랜드 사단 사령관 버나드 프레이버그 중장은 그의 사단이 정치적으로 보호받고 있었기 때문에 오친렉의 변화에 저항할 수 있었다.

6월 14일, X 군단은 제8군을 지원하기 위해 시리아에서 소집되었다. 6월 22일 메르사 마트루 근처에 집결하여 제8기갑여단의 전차를 제1기갑사단에 넘겨주었고, 여단은 재건을 위해 운하 지역으로 보내졌다. 4일 후, 메르사 마트루 전투가 시작되었다. 몇몇 전술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다음 날 저녁 제8군은 퇴각을 시작했다. 통신 두절과 전술적 변화로 인해 제2뉴질랜드 사단은 포위되었고 탈출하기 위해 싸워야 했다. X 군단은 무선 통신이 두절되었고, 장비 손실과 부대 응집력 저하로 인해 전투 후 휴식과 재보급이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6월 28일에야 퇴각 사실을 통보받고 탈출할 수 있었다.

4. 주요 전투 및 작전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해 9월 13일부터 16일 사이에 이탈리아는 이집트 침공을 감행했다.[1] 12월에는 반격 작전인 컴파스 작전이 시작되어 이탈리아 제10군을 격파하고 리비아의 키레나이카를 점령했다. 해바라기 작전 이후 추축군의 아프리카 증원군 파견으로, 1941년 3월 이탈리아-독일군은 반격하여 주요 영국군 부대를 이집트로 몰아내고 제2기갑사단의 일부를 파괴했다. 호주군의 상당수가 리비아 항구 토브루크에 포위되어 토브루크 포위전이 발생했다.[2]

1941년 5월 15일, 영국군은 브레비티 작전을 개시했으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고, 5월 말 독일의 스콜피온 작전으로 브레비티 작전에서 상실한 지역을 탈환했다.[3] 6월 15일 시작된 배틀액스 작전은 토브루크 포위망을 돌파하려는 노력이었으나 실패했다.[4]

이후, 제8군은 십자군 작전을 통해 키레나이카를 탈환하고 토브루크 포위를 풀고자 했다. 1941년 11월 18일에 시작된 이 작전에서 제8군은 118,000명의 병력과 738대의 전차를 투입했으며, 이탈리아-독일 연합군은 119,000명의 병력과 552대의 전차를 보유했다. 십자군 작전은 연말까지 목표를 달성했다.[3] 그러나 11월 25일, 독일군의 반격이 격퇴된 후, 커닝햄은 해임되고 닐 리치 소장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4]

1942년 1월 말, 추축군이 반격했고, 제8군은 가잘라로 후퇴하여 방어선을 구축했다. 가잘라 전투는 5월 26일에 시작되어 제8군의 패배로 이어졌다. 토브루크가 함락되고 32,000명의 병력이 포로로 잡혔으며, 제8군은 후퇴해야 했다.[5]

1942년 6월 25일, 클로드 오친렉 장군은 제8군을 직접 지휘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메르사 마트루에서 전투를 치르지 않고 엘 알라메인으로 후퇴하여 방어선을 구축했다.[6] 1942년 6월 30일, 추축군 선봉대가 엘 알라메인에서 제8군과 접촉했다. 7월 동안, 제8군은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를 치렀고, 추축군의 공격은 중단되었지만 오친렉의 반격도 멈췄다.[2]

1942년 8월, 해럴드 알렉산더 장군이 중동 사령관으로, 버나드 몽고메리 중장이 제8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몽고메리는 병사들의 사기를 회복하고 8월 말부터 9월까지 알람 엘 할파 전투에서 승리했다. 11월에는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추축군을 격파하고 튀니지까지 추격했다.[2]

1943년 2월, 제8군은 튀니지 국경에서 마레트 선 전투에 참여했고, 3월에 마레트 방어선을 우회했다. 5월에는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이 항복했다.[3]

제8군은 이탈리아 전역에 참여하여 시칠리아 섬 침공(허스키 작전)을 시작으로 이탈리아 본토 침공을 수행했다.[4] 1943년 말, 몽고메리는 영국으로 이동하고 올리버 리즈 중장이 제8군 사령관을 맡았다.[7]

1944년 4월, 제8군은 몬테카시노 전투에 참여하여 이탈리아 중부로 돌파했고, 6월 초 로마에 진입했다.[8] 이후 제8군은 피렌체를 점령하고 고딕 라인에 도달했다. 10월, 리즈는 동남아시아 사령부로 재배치되고 리처드 맥크리리 중장이 제8군 사령관을 맡았다.[9]

1945년 봄, 제8군은 1945년 봄 이탈리아 공세에 참여하여 볼로냐를 방어하는 적 병력을 격파하고 오스트리아로 진격했다. 1945년 5월 2일, 제8군은 트리에스테를 해방했다.[10]

4. 1. 십자군 작전 (1941년 11월)

십자군 작전 기간 중 커닝햄을 대신한 닐 리치(파이프를 든 가운데 인물)가 군단 사령관들과 함께 가잘라 전투 중 찍은 사진


제8군이 수행한 첫 번째 임무 중 하나는 엘 알라메인에서 방어 진지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 작업은 10월 말까지 지속되었으며, 이후 군단은 시리아로 이동하고 이집트 주둔 영국군이 책임을 맡았다.[1] 커닝햄은 임명된 후, 키레나이카를 탈환하고 토브루크 포위를 풀기 위한 작전인 십자군 작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오친렉과 긴밀히 협력했다. 제8군은 전방 보급 기지, 야전 정비 센터를 설치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해 약 257.49km 파이프라인을 건설했다.[2] 11월 18일에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 전투에서 제8군은 118,000명의 병력과 738대의 전차를 투입했으며, 주력 부대는 이집트에서 왔으며 토브루크 수비대도 포함되었다. 상대는 이탈리아-독일 연합군으로 119,000명의 병력과 552대의 전차를 보유했다. 전투는 11월 18일에 시작되었고, 십자군 작전은 연말까지 목표를 달성했다.[3]

11월 25일, 십자군 작전 중 독일군의 이집트 반격이 격퇴된 후, 커닝햄은 오친렉에 의해 해임되었다. 그의 후임은 오친렉의 참모차장인 닐 리치 소장이었으며, 십자군 작전 계획에 익숙하다는 점 때문에 선택되었다. 이 작전의 공식 역사 기록에 따르면, 오친렉은 커닝햄이 지나치게 방어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 결정이 내려졌다. 이는 그의 "지시받은 공세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능력"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이어졌다.[4] 오친렉에 대해 글을 쓴 역사가인 에반 맥길브레이와 필립 워너는 오친렉이 커닝햄의 스트레스, 피로, 시력 문제로 인해 지휘에서 벗어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우려했다는 추가적인 요인을 덧붙였다.[5][6] 전투에 참전했고 나중에 야전 원수이자 역사가가 된 마이클 카버는 건강 평가에 동의했다. 그는 또한 커닝햄이 "상상력이 풍부한 선택"이었지만, 나중에는 북아프리카 전투의 기동성 요구 사항에 대한 경험과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그의 "임명이 실수였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언급했다.[7] 닐란즈는 리치가 소장으로서 자신보다 계급이 높은 사람들을 감독해야 하는 위치에 놓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부대 통제나 사막 전투 경험 부족으로 더욱 심화되었으며, 그의 임명 후 10일 동안 오친렉이 제8군 본부에 머물면서 사실상 지휘를 맡았다.[8]

4. 2. 가잘라 전투와 후퇴 (1942년 5월-6월)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해 9월 13일부터 16일 사이에 이탈리아는 이집트 침공을 감행했다.[1] 12월에는 반격 작전인 컴파스 작전이 시작되어 이탈리아 제10군을 격파하고 리비아의 키레나이카를 점령했다.[1] 해바라기 작전 이후 추축군의 아프리카 증원군 파견으로, 1941년 3월 이탈리아-독일군은 반격하여 주요 영국군 부대를 이집트로 몰아내고 제2기갑사단의 일부를 파괴했다. 호주군의 상당수가 리비아 항구 토브루크에 포위되었다. 이로 인해 토브루크 포위전이 발생했고, 독일과 이탈리아 병력의 대부분이 이를 유지하는 데 투입되어 추축군의 대규모 공세 작전을 방해했다.[2] 5월 15일, 영국군은 이집트 내부에서 출발하여 이집트-리비아 국경 지역을 공격하는 브레비티 작전을 개시했으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다음날 종료되었다. 5월 말, 독일의 소규모 반격인 스콜피온 작전으로 브레비티 작전에서 상실한 지역을 탈환했다.[3] 6월 15일 시작된 배틀액스 작전은 이집트에서 진격하여 토브루크 포위망을 돌파하려는 2일간의 노력이었으나, 이탈리아-독일군은 공격을 격퇴했고, 어떠한 지형도 확보하지 못했다.[4]

1942년 6월 25일, 오친렉은 가잘라 전투 전에 처칠의 지지를 받아 제8군을 직접 지휘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오친렉의 중동 사령부 참모장인 에릭 도먼-스미스 소장의 중요성이 높아졌다.[5] 오친렉과 도먼-스미스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서로를 이해했지만, 도먼-스미스는 제8군 내에서 비공식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그는 오친렉이 사용한 전투 계획을 작성했지만, 이러한 아이디어를 본부의 다른 구성원에게 알릴 의무는 없었다. 오친렉은 도먼-스미스를 선호하여 군 본부의 구성원들을 배제했고, 그 결과 본부와 다른 장교들 사이에 혼란과 적대감이 생겼다.[6]

오친렉은 메르사 마트루에서 최종 전투를 치르지 않기로 결정하고 제8군 사단의 재편성을 명령했다. 그는 사단을 전방 부대와 후방 부대로 나누기를 원했다. 전방 부대는 보병 여단 하나와 모든 사단 포병을 포함하게 될 것이었다. 이들은 사막을 자유롭게 오가며 독립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기동성이 있어야 했고, 후방 부대는 기동화가 불가능한 나머지 보병으로 구성되어 고정된 위치를 점령하게 될 것이었다. 이것은 처음에는 리비아-이집트 국경을 따라 배치될 예정이었지만, 엘 알라메인으로 이동하여 참호를 구축하도록 지시받았다. 공식 역사의 저자인 I. S. O. 플레이페어는 영국 교리가 퇴각 중에는 격전을 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퇴각과 전투 중에 이루어진 오친렉의 변화는 확립된 관행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제2뉴질랜드 사단 사령관인 버나드 프레이버그 중장은 그의 사단이 정치적으로 보호받고 있었기 때문에 오친렉이 원하는 변화에 저항할 수 있었다. 어떠한 변화라도 뉴질랜드 정부의 동의가 필요했다.[7]

6월 14일, X 군단은 제8군을 지원하기 위해 시리아에서 소집되었다. 6월 22일 메르사 마트루 근처에 집결하여 제8기갑여단의 전차를 제1기갑사단에 넘겨주었고, 여단은 재건을 위해 운하 지역으로 보내졌다. 4일 후, 메르사 마트루 전투가 시작되었다. 몇몇 전술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다음 날 저녁 제8군은 퇴각을 시작했다. 통신 두절과 전술적 변화로 인해 제2뉴질랜드 사단은 포위되었고 탈출하기 위해 싸워야 했다. X 군단은 무선 통신이 두절되었고, 장비 손실과 부대 응집력 저하로 인해 전투 후 휴식과 재보급이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6월 28일에야 퇴각 사실을 통보받고 탈출할 수 있었다.[8]

4. 3. 엘 알라메인 전투 (1942년 7월-11월)

1942년 6월 30일, 추축군 선봉대는 엘 알라메인에서 제8군과 접촉했다. 이 지역은 북쪽으로는 지중해, 남쪽으로는 카타라 저지대의 염습지로 방어에 유리한 위치였다. 제8군은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추축군의 공격을 저지했지만, 오친렉의 반격도 성공하지 못했다.[2]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중 몽고메리


북아프리카 전황은 영국과 미국에서 우려를 낳았다. 제2차 워싱턴 회담에서 연합군은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상륙 작전(Operation Torch)을 승인했다. 앨런 브룩 장군과 처칠은 모스크바로 가는 길에 이집트를 방문하여 추축군 격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친렉은 9월까지 공세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고, 결국 8월 6일 처칠은 사령관 교체를 결정했다. 해럴드 알렉산더 장군이 중동 사령관으로, 버나드 몽고메리 중장이 제8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몽고메리는 8월 15일에 지휘권을 인수하여 사령부에 큰 변화를 주고 병사들의 사기를 회복시켰다.[2]

전투 중 공격을 묘사한 영국 군인들


몽고메리는 롬멜 신화를 깨기 위해 병사들에게 동기 부여 연설을 하고, 전투 스트레스 반응으로 고통받는 병사들을 위한 의료 센터를 설립하는 등 사기 진작에 힘썼다. 8월 말, 처칠은 이집트를 방문하여 제8군의 "완전한 분위기 변화"를 확인했다.[2]

8월 말부터 9월까지, 제8군은 알람 엘 할파 전투에서 승리했다. 11월에는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추축군을 격파하고 튀니지까지 추격했다.[2]

4. 4. 튀니지 전역과 이탈리아 전역 (1943년-1945년)

리비아를 가로지르는 추격전 이후, 제8군은 1943년 2월 튀니지 국경에서 마레트 선 전투에 참여했으며, 이후 제18군 집단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제8군은 1943년 3월에 마레트 방어선을 우회했으며, 1942년 11월부터 튀니지 전역을 수행해 온 제18군 집단의 다른 구성 요소인 제1군과 함께 추가 전투를 벌인 후, 1943년 5월에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이 항복했다.[3]

조지 6세는 1943년 6월 21일 트리폴리 첫 방문 시 환호하는 병사들 사이에서 참모 차량을 타고 몽고메리 장군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제8군은 이후 이탈리아 전역에 참여했는데, 이는 코드명 허스키 작전으로 시작된 시칠리아 섬 연합군 침공으로 시작되었다. 연합군이 그 후 이탈리아 본토를 침공했을 때, 제8군 부대는 베이타운 작전에서 이탈리아 '발가락'에 상륙했고, 타란토에서 슬랩스틱 작전을 수행했다. 마크 W. 클라크 장군이 이끄는 미국 제5군의 좌익과 연결한 후, 그들은 살레르노에 상륙했고, 나폴리 남쪽 이탈리아 서해안에서 제8군은 연합군 부대의 동쪽 측면에서 이탈리아를 따라 계속 진격했다. 이 두 군은 함께 이탈리아 연합군(나중에 제15군 집단으로 재설계됨)을 구성했으며, 장군인 해럴드 알렉산더 경이 지휘했다.[4]



1943년 말, 몽고메리 장군은 오버로드 작전 준비를 시작하기 위해 영국으로 이동했다. 제8군 사령관은 이전에 XXX 군단을 지휘했던 올리버 리즈 중장에게 맡겨졌고, XXX 군단은 영국으로 복귀하고 있었다.[7]

1944년 초 미국 제5군이 연합군이 겨울 방어선으로 알고 있는 독일 방어 진지를 돌파하려 했지만 세 번의 시도가 실패한 후, 제8군은 1944년 4월에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비밀리에 이동하여 제5 군단을 제외한 모든 병력을 아펜니노 산맥 서쪽으로 집중시켜 미국 제5군과 함께 대규모 공세를 펼쳤다. 이 네 번째 몬테카시노 전투는 성공적으로, 제8군은 이탈리아 중부로 돌파했고 제5군은 6월 초 로마에 진입했다.[8]

제8군 사령관 올리버 리즈 중장과 다른 장교들이 1944년 6월 2일 적 장비 전시회에서 노획한 독일 PzKpfw V 판터 전차를 타고 있다.


연합군이 로마를 점령한 후, 제8군은 이탈리아 중부를 거쳐 북쪽으로 진격을 계속하여 피렌체를 점령했다. 여름 전역이 끝나갈 무렵, 연합군은 고딕 라인에 부딪혔다. 제8군은 아드리아해 연안으로 돌아와 고딕 라인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지만, 결국 연합군은 겨울이 시작되어 심각한 공세 작전이 중단되기 전에 포 계곡으로 돌파할 수 없었다. 10월 동안, 리즈는 동남아시아 사령부로 재배치되었고, 이전에 X 군단을 지휘했던 리처드 L. 맥크리리 경 중장이 그를 대신했다.[9]

1945년 봄 이탈리아 공세에서 제8군은 다시 작전에 투입되었다. 당시 루시안 K. 트루스콧이 지휘하는 미국 제5군과 협력하여 (4월 중) 볼로냐를 방어하는 적 C 군 집단의 대규모 병력을 차단하고 파괴한 후 이탈리아 북동부를 거쳐 오스트리아로 빠르게 진격했다. 영국군과 유고슬라비아군이 만나는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군대는 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을 확보하는 데 전념했다. 그들은 영국군보다 먼저 도착하여 이탈리아 대부분의 지역에 적용되었던 군정 수립을 막으려고 매우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그들은 심지어 오스트리아의 영국 점령 지역으로의 보급을 제한하고, 해당 국가의 일부를 차지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1945년 5월 2일, 제8군의 제2 뉴질랜드 사단이 트리에스테를 해방했고, 같은 날 유고슬라비아 제4군과 슬로베니아 제9 군단 NOV가 그 도시에 진입했다. 이탈리아 전선에서 전투가 벌어지는 동안 제8군은 1943년 9월 3일부터 1945년 5월 2일까지 123,254명의 사상자를 냈다.[10]

5. 역대 지휘관

역대 지휘관
번호임명일계급지휘관
11941년 9월 9일중장앨런 커닝엄
21941년 11월 26일중장닐 리치
31942년 6월 25일대장클로드 오친렉
41942년 8월 13일대장버나드 몽고메리
51943년 12월 29일중장올리버 리세
61944년 10월 1일중장클로드 오친렉[1]


6. 유산 및 영향

전쟁이 끝나자 제8군은 오스트리아로 이동하여 연합군 점령군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 7월 29일, 제8군은 해체되었고, 그 병력은 영국군 오스트리아 사령부를 창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새로운 사령부는 제8군의 금색 십자군 십자 휘장을 유지했다.[1][11]

전쟁 후, 제8군 참전 용사들은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연례 재회를 조직했다. 이후 1970년대 후반에 제8군 참전 용사 협회가 결성되었다. 회원 수가 가장 많았을 때는 영국 북서부를 중심으로 35개 이상의 지부가 있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Badge, Formation, 8th Army https://www.iwm.org.[...] Imperial War Museum 2022-02-13
[2] 서적 Historical Battle Analysis, El Alamein and the Principles of War https://apps.dtic.mi[...] 1984
[3] 문서 Walker 2006, p. 193
[4] 문서 Mead p. 44
[5] 웹사이트 THE BRITISH ARMY IN SICILY, AUGUST 1943 https://www.iwm.org.[...] 2020-09-13
[6] 웹사이트 Quei bambini sul carro armato – la Repubblica.it https://ricerca.repu[...] 2017-06-11
[7] 웹사이트 The Commander of the 8th Army in Italy, Lieutenant-General Oliver Leese, Italy, 30 April 1944 https://www.iwm.org.[...] Imperial War Museum 2019-03-17
[8] 뉴스 1944: Celebrations as Rome is liberated http://news.bbc.co.u[...] BBC 2019-03-17
[9] 웹사이트 McCreery, Sir Richard Loudon (1898-1967), General http://www.kcl.ac.uk[...] Liddell Hart Centre for Military Archives 2019-03-17
[10] 서적 The British Army 1939–45 (2): Middle East &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sprey
[11] 뉴스 The Eighth Army Disbanded: From Alamein to the Alps 1945-07-30
[12] 웹인용 Eighth Army Veterans (City of Manchester) http://www.eavm.co.u[...] 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