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조선로동당의 핵심 지도 기구로, 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위원들로 구성된다.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처음 구성되었으며, 김일성, 김정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구성원의 변동이 있었다. 현재는 김정은, 최룡해, 김덕훈, 조용원, 리병철 5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정은은 당 총비서, 국무위원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하며 북한 권력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로동당의 군사 정책 결정 및 조선인민군 지휘의 핵심 기구로서 김일성, 김정일을 거쳐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권한과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군사 및 안보 분야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비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와 투명성 결여로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는 남북 관계 첩보 활동, 외교 및 정책 결정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로, 대남 심리전, 해외 교포 및 위장 단체 관리, 대남 공작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조총련을 통해 일본 내 친북 활동을 지원하고 정보를 수집했으나, 김정은 시대에 조직 개편 및 기능 조정이 이루어져 현재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0국으로 개편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기본 정보
명칭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로마자 표기Joseon Rodongdang Jungang Wiwonhoe Jeongchiguk Sangmu Wiwonhoe
한자 표기朝鮮勞動黨 中央委員會 政治局 常務委員會
한글 표기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조선로동당 상징
조선로동당 상징
정치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지위중앙위원회 회의 간 최고 기관
최고 지도자김정은
구성원김정은
최룡해
리병철
김덕훈
조용원
선출 방식중앙위원회에서 선출
책임 기관정치국
구성원 수5
관련 정보
각주https://www.nknews.org/2020/04/leadership-guns-and-money-in-north-korea-what-happens-if-kim-jong-un-goes/
http://news.ifeng.com/a/20160509/48736286_0.shtml

2. 역사

1980년 10월 10일에 개최된 에 의해 김일성, 김일, 오진우, 김정일, 이종옥이 지명되었다.

이후 김일성(1994년)을 시작으로 여러 명의 상무위원이 사망하는 등의 상황으로 1997년에는 김정일만 남게 되었다. 이후 조선로동당이 오랫동안 당대회를 개최하지 않고,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결원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었기 때문에, 정치국 상무위원은 김정일 한 명을 제외하고 조선로동당 내 지도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했다.

그러나 2010년에 개최된 에 의해 김정일, 김영남, 최영림, 조명록, 리영호 5명이 선출되어 조선로동당 중앙 기관을 대신하여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다시 기능을 회복했다.

2012년에는 에 의해 김정은, 최룡해 2명이 선출되었고, 같은 해 7월에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리영호가 해임되었다. 또한 2015년 2월에는 최룡해가 해임되었고, 4월에는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황병서가 선출되었다.

2016년 5월, 조선로동당은 36년 만에 당대회를 개최하여 김정은, 김영남, 황병서, 박봉주, 최룡해 5명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했다.[5][6]

2021년 1월에 개최된 제8차 당대회에서 김정은, 최룡해, 리병철, 김덕훈, 조용원이 선출되었고, 박봉주가 퇴임했다.[7]

2021년 6월 조선노동당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제2차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리병철이 해임되었다.

2021년 9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박정천이 보선되었다.

2022년 4월 리병철이 보선되었다.

2023년 1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총회 확대회의에서 박정천이 해임되었다.

2. 1. 설립 초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제3차 당대회에서 김영남(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국가원수), 최영림(북한의 국무총리, 정부 수반), 차수 조명록(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그리고 차수 리영호(조선인민군 총참모장) 등 4명의 새로운 위원이 임명되면서 활성화되었다.[3] 외부 관찰자들은 두 명의 군 장교 임명을 김정일의 선군정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겼다.[3] 리영호는 당시 김정은의 개인 경호 군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김정일 초기 집권 당시 오진우의 역할과 유사하다.[3] 제4차 당대회에서 ''차수'' 최룡해가 상무위원회에 임명되었다.[3]

2. 2. 김정일 시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제3차 당대회에서 김영남(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국가원수), 최영림(북한의 국무총리, 정부 수반), 차수 조명록(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그리고 차수 리영호(조선인민군 총참모장) 4명의 새로운 위원이 임명되면서 활성화되었다.[3] 외부 관찰자들은 두 명의 군 장교 임명을 김정일의 선군정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겼다.[3] 리영호는 당시 김정은의 개인 경호 군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김정일 초기 집권 당시 오진우의 역할과 유사하다.[3] 제4차 당대회에서 ''차수'' 최룡해가 상무위원회에 임명되었다.[3]

2. 3. 김정은 시대

김정일의 선군정치에 따라, 제3차 당대회에서 4명의 새로운 위원(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최영림 (국무총리), 차수 조명록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그리고 차수 리영호 (총참모장))이 임명되면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활성화되었다. 외부 관찰자들은 두 명의 군 장교 임명을 김정일의 선군정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겼다. 리영호는 당시 김정은의 개인 경호 군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김정일 초기 집권 당시 오진우의 역할과 유사하다. 제4차 당대회에서는 ''차수'' 최룡해가 상무위원회에 임명되었다.[3]

2010년 이후 현재까지 김정은, 최룡해, 김덕훈, 리병철이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주요 직책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위원장(2012년~2016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2021년~)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김영남2010년 9월2019년 4월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황병서2015년 4월2018년 4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최룡해재임현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19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2019년부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박봉주2016년 5월2021년 1월내각총리(2019년까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경제담당, 2021년 1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21년 9월까지)
김덕훈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내각총리
리병철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
조용원2021년 1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박정천2021년 9월퇴임 (2023년 1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2022년 4월부터 2023년 1월까지)


3. 구성원

wikitext

현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김정은, 최룡해, 김덕훈, 조용원, 리병철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4]



위원임명일기타 직책
133x133px
김정은
(1984년생)
2012년 4월 11일
129x129px
최룡해
(1950년생)
2012년 4월 11일
리병철
(1948년생)
2020년 8월 13일
김덕훈
(1962년생)
2020년 8월 13일
조용원2021년 1월 10일[4]



== 역대 상무위원 ==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주요 직책
80px
김일성1980년 10월1994년 7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국가주석
80px
김일1980년 10월1984년 3월국가부주석
오진우1980년 10월1995년 2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80px
김정일1980년 10월2011년 12월조선노동당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80px
이종옥1980년 10월1983년 6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김정은2012년 4월재임조선노동당 제1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80px
김영남2010년 9월2019년 4월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최영림2010년 9월2013년 4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80px
조명록2010년 9월2010년 11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이영호2010년 9월2012년 7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최룡해2012년 4월2015년 2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80px
황병서2015년 4월2018년 4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최룡해재임현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19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2019년부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박봉주2016년 5월2021년 1월내각총리(2019년까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경제담당, 2021년 1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21년 9월까지)
김덕훈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내각총리
리병철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조용원2021년 1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박정천2021년 9월퇴임 (2023년 1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2022년 4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리병철2022년 4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3. 1. 현재 상무위원 (2023년 기준)

현재 상무위원은 김정은, 최룡해, 김덕훈, 조용원, 리병철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4]

  • 최룡해: 김정은에 이어 북한 2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2019년 4월 11일 14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과거 최현의 아들로, 김일성, 김정일과 가깝게 지냈다.[8] 2014년에는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차 서울을 방문했고,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푸틴 대통령과 비공개 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한 바 있다.[9]

  • 김덕훈: 2020년 8월 내각 총리로 임명되면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 리병철: 2020년 8월 13일 상무위원에 임명되었으며, 중앙위원회 비서,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위원을 겸임하고 있다.

위원임명일기타 직책
김정은
(1984년생)
2012년 4월 11일
최룡해
(1950년생)
2012년 4월 11일
리병철
(1948년생)
2020년 8월 13일
김덕훈
(1962년생)
2020년 8월 13일
조용원2021년 1월 10일[4]


3. 2. 역대 상무위원

wikitext

김정은, 최룡해, 김덕훈, 조용원, 박정천 5명의 상무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일성, 김정일에 이은 북한 백두혈통, 조선로동당 총비서, 국무위원회 위원장이고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이며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다.

김정은에 이어 북한 2인자로 알려져 있다. 30대의 어린 김정은은 백두혈통으로 공식적인 국가원수이지만, 60대의 최룡해가 오히려 북한의 실권자라는 분석이 있다.

중국에서 생활한 중국 유력 인사는 김일성 주석이 최현과 함께 있는 것을 자주 목격했으며, 최현이 김 주석에게 ‘일성아’라고 부르는 것도 여러 차례 들었다. 김일성 저택 옆집이 최현 저택이었고, 최현의 아들 최룡해도 어릴 적 김정일을 ‘형’, 김경희를 ‘누이’라고 부르면서 가깝게 지냈다.[8]

2014년 10월,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에 최룡해가 서울에 왔다. 한국의 대통령 경호원처럼 북한 요원들이 복장을 하고 밀착 경호를 했다. 전세계의 장관들이 외국에 다닐 때 하는 경호 수준이 아니었다. 단장은 황병서였는데, 한국 장관들과 만난 자리에서, 황병서는 침묵만 하고 최룡해가 할 말은 다 했다. 최룡해와 박근혜 대통령이 만나는지가 관심사였는데, 불발되었다고 보도되었다. 중국, 러시아에는 김정은 특사라면서,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최룡해 혼자 다녔다.

2014년 11월, 최룡해가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 푸틴 대통령과 1시간 동안 비공개 대화를 했다. 최룡해는 박근혜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모스크바에서 정상회담을 하도록 주선할 것을 요청했으며, 푸틴 대통령은 핵동결을 하면 주선하겠다고 하였고, 최룡해는 핵동결을 약속했다.[9] 최룡해가 1시간의 비공개 회담 중간에 김정은에게 전화를 걸어 핵동결을 승인받고 푸틴에게 약속한 게 아니라 최룡해가 즉석에서 약속을 한 정황으로 보도되었다.

2019년 4월 11일 14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2020년 8월 내각 총리로 임명되면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김정은의 최측근으로 2021년 조선로동당 제8차 대회에서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며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으로 2021년 9월 7일 코로나19 관련 업무태만으로 실각한 리병철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겸 중앙위 군수공업부장을 대신해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주요 직책
김일성1980년 10월1994년 7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국가주석
김일1980년 10월1984년 3월국가부주석
오진우1980년 10월1995년 2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김정일1980년 10월2011년 12월조선노동당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이종옥1980년 10월1983년 6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김정은2012년 4월재임조선노동당 제1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김영남2010년 9월2019년 4월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최영림2010년 9월2013년 4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조명록2010년 9월2010년 11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이영호2010년 9월2012년 7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최룡해2012년 4월2015년 2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황병서2015년 4월2018년 4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최룡해재임현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19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2019년부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박봉주2016년 5월2021년 1월내각총리(2019년까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경제담당, 2021년 1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21년 9월까지)
김덕훈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내각총리
리병철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조용원2021년 1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박정천2021년 9월퇴임 (2023년 1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2022년 4월부터 2023년 1월까지)


3. 2. 1. 제6차 (1980년)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주요 직책
김일성1980년 10월1994년 7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국가주석
김일1980년 10월1984년 3월국가부주석
오진우1980년 10월1995년 2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김정일1980년 10월2011년 12월조선노동당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이종옥1980년 10월1983년 6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3. 2. 2. 제7차 (2016년)

wikitable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주요 직책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김영남2010년 9월2019년 4월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황병서2015년 4월2018년 4월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국장
최룡해재임현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19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2019년부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박봉주2016년 5월2021년 1월내각총리(2019년까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경제담당, 2021년 1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21년 9월까지)
김덕훈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내각총리
리병철2020년 8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


3. 2. 3. 제8차 (2021년)

(1984년생)2012년 4월 11일최룡해
(1950년생)2012년 4월 11일리병철
(1948년생)2020년 8월 13일김덕훈
(1962년생)2020년 8월 13일조용원2021년 1월 10일[4]



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주요 직책
김정은재임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최룡해재임현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조용원2021년 1월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김덕훈재임현임내각 총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부위원장(2021년 9월부터)
박정천2021년 9월퇴임 (2023년 1월)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2022년 4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리병철재임
2022년 4월
현임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2021년 6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2021년 9월까지)


4. 주요 사건 및 보도

2017년 9월 3일, 북한 6차 핵실험 직후, 노동신문은 상무위원회 사진을 보도했는데, 북한이 핵실험 전후로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10]

5. 비판 및 논란

5. 1. 권력 집중

5. 2. 잦은 인사 변동

참조

[1] 웹사이트 Leadership, guns, and money in North Korea: what happens if Kim Jong Un goes https://www.nknews.o[...] 2020-04-30
[2] 웹사이트 金正恩が党委員長に就任(名簿) http://news.ifeng.co[...] Phoenix Television 2016-05-09
[3] 웹사이트 Kim Jong Un Appointed "First Secretary" of Korean Workers' Party https://nkleadership[...]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2012-04-11
[4] 웹사이트 Press Release of First Plenary Meeting of 8th Central Committee of WPK Issued https://kcnawatch.or[...]
[5] 웹사이트 金正恩当选为朝鲜劳动党新设委员长 http://news.xinhuane[...] 2016-05-09
[6] 웹사이트 朝鲜劳动党七大闭幕 政治局常委出炉(名单) http://news.ifeng.co[...] 2016-05-09
[7] 웹사이트 金正恩氏が党総書記に 与正氏は政治局候補委員から外れる https://m-jp.yna.co.[...] 2021-01-11
[8] 간행물 겹눈으로 본 북한 신동아 2014-05-23
[9] 뉴스 北 최룡해-푸틴, 지난해 11월 비공개 면담서 주고받은 대화보니.. 이데일리 2015-01-15
[10] 뉴스 핵실험 결정 5인방 공개…김정은, 정상 국가 흉내 MBN 2017-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