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퍼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합 퍼즐은 형태, 구조, 회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는 퍼즐을 통칭한다. 대표적으로 정육면체, 정사면체, 정십이면체 등 다면체 형태의 트위스티 퍼즐이 있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예시는 루빅스 큐브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퍼즐은 포켓 큐브, 루빅스 큐브, 루빅스 리벤지, 프로페서스 큐브 등이 있으며, 정십이면체 모양의 퍼즐로는 메가밍크스, 기가밍크스, 스큐브 얼티메이트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정사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 구,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의 조합 퍼즐이 존재한다. 이러한 퍼즐들은 조각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특징지어지며, 붕대 감은 큐브와 같이 조각이 결합된 형태, 패턴과 색상 디자인이 변형된 형태, 2차원, 4차원 퍼즐 등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합 퍼즐 - 알렉산더의 별
알렉산더의 별은 수학자 애덤 알렉산더가 고안하여 특허를 취득하고 판매된 3차원 퍼즐로, 조각들을 재배열하여 각 쌍의 평행 평면이 단일 색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100대 게임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 조합 퍼즐 - 메가밍크스
메가밍크스는 정십이면체 큐브 퍼즐로, 루빅스 큐브처럼 면을 돌려 색을 맞추는 방식으로 풀이하며, WCA 공식 종목이고 다양한 디자인과 레이어 수를 가진 변형이 존재한다. - 퍼즐 - 다른 그림 찾기
다른 그림 찾기는 거의 동일한 두 그림에서 시각적 비교 등을 통해 서로 다른 부분을 찾아내는 퍼즐이다. - 퍼즐 - 몬티 홀 문제
몬티 홀 문제는 세 개의 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진행자가 상품이 없는 문을 열어 보여줄 때, 선택을 바꾸는 것이 유리한지를 묻는 확률 문제로, 직관과 달리 선택을 바꾸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전략임을 보여주는 확률 역설이며, 의사 결정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조합 퍼즐 | |
---|---|
일반 정보 | |
유형 | 조합 퍼즐 |
발명가 | 루비크 에르뇌 |
발명 연도 | 1974년 |
특허 출원 | 1975년 |
최초 생산 | 1977년 |
분류 | |
메커니즘 | 회전 |
필요 기술 | 알고리즘 공간지각력 |
역사 | |
초기 모델명 | 마법 큐브 (Magic Cube) |
1980년 모델명 변경 | 루빅스 큐브 (Rubik's Cube) |
대중 문화 | |
세계 큐브 협회 (WCA) | 공식 경기 개최 |
스피드큐빙 | 큐브를 가장 빠른 시간 안에 맞추는 스포츠 |
2. 종류
트위스티 퍼즐은 형태, 구조, 회전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된다. 가장 일반적인 정육면체 형태 외에도 정사면체, 정십이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 등 다양한 정다면체 형태의 퍼즐이 존재한다.[3]
최근에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더욱 복잡한 형태의 퍼즐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트위스티 퍼즐은 지금도 많은 전문가들과 기업들에 의해 새로운 퍼즐들이 발명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해법도 만들어지고 있다.
2. 1. 정육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 - 루빅스 큐브는 가장 널리 알려진 트위스티 퍼즐이다. 포켓 큐브(2x2x2), 리벤지 큐브(4x4x4), 프로페서스 큐브(5x5x5) 등 다양한 크기의 퍼즐이 존재하며, 이들 중 다수는 세계큐브협회(WCA)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 --
2. 1. 1. 정육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 | 루빅스 큐브(3x3x3 큐브) | 1974 | 루비크 에르뇌(Ernö Rubik) | 현재의 다른 트위스티 퍼즐의 기원이 되는 퍼즐이다. 정식 종목이다. |
-- | 포켓 큐브(2x2x2 큐브) | 1983 | 루비크 에르뇌(Ernö Rubik) | 엄격한 의미에서 최초의 발명가는 미국의 래리 니콜(Larry Nichols)이었다. 그러나 래리 니콜의 2x2x2 큐브는 구조상 제작비가 많이 들어 상용화에 실패했고, 결국 루비크 에르뇌의 2x2x2가 상용화되어서 보통 발명가는 루비크 에르뇌라고 인정된다. 정식 종목이다. |
-- | 리벤지 큐브(4x4x4 큐브) | 1980 | 페터 세베스테니(Peter Sebestény) | 정식 종목이다. |
-- | 프로페서스 큐브(5x5x5 큐브) | 1986 | 우도 크렐(Udo Krell) | 정식 종목이다. |
![]() | 스큐브 | ?? | 우베 메페르트(Uwe Meffert) | |
-- | 스퀘어-1 | 1993 | 보체크 코프스키(Vojtech Kopsky) & 카렐 흐르셀(Karel Hrsel) | 정식 종목이다. |
-- | 디노 큐브 | ?? | 로버트 웨브(Robert Webb) 또는 스티븐 하비(Stephen Harvey) | |
-- | 보이드 큐브 | ?? | 오카모토 가츠히코 | |
-- | 헬리콥터 큐브 | ?? | 우베 메페르트(Uwe Meffert) 또는 오카모토 가츠히코 | 모서리가 돌아간다. 시기적으로 오카모토 가츠히코가 먼저 만들어서 베벨 큐브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우베 메페르트의 헬리콥터 큐브와 구조가 같은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약 71도 돌린 상태에서 다른 곳을 돌려서 모양을 바꿀 수 있으며 이것을 점블(jumble)한다고 한다. |
2. 2. 정사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우베 메퍼트가 1970년에 발명한 꼭짓점에 축이 있는 사면체 모양의 퍼즐이다. 피라밍크스는 대표적인 정사면체 형태의 퍼즐이다.
2×2×2 큐브 메커니즘을 가진 모서리 회전 사면체 모양의 퍼즐로, 피라몰픽스가 있다.
브레인트위스트는 한 번에 퍼즐의 절반만 보여주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독특한 사면체 퍼즐이다.
2. 2. 1. 정사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 | 피라밍크스 | 1970년대 초반 | 우베 메페르트(Uwe Meffert) | 루빅스 큐브보다 먼저 만들어진 트위스티 퍼즐이다. 정식 종목이다. |
피라몰픽스 | 모서리가 돌아가며 2x2x2에서 모양만 바뀐 것이다. |
2. 3. 정십이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메가밍크스는 루빅스 큐브와 작동 및 해결 방법이 유사한 12면 다면체 퍼즐이다. 기가밍크스, 테라밍크스, 페타밍크스와 같이 면당 여러 층을 가진 메가밍크스 변형도 있다. 기가밍크스는 면당 2층(모서리당 총 5층), 테라밍크스는 면당 3층(모서리당 7층), 페타밍크스는 면당 4층(모서리당 9층)을 가지고 있다.[3]스큐브 얼티메이트는 스큐브 및 스큐브 다이아몬드와 기능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스큐브 다이아몬드의 면이 스큐브 얼티메이트의 꼭짓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조각 방향에 추가적인 제약 조건이 있다. 따라서 스큐브 다이아몬드 해법에 몇 가지 추가 사항이 필요하다.

피라밍크스 크리스탈은 메가밍크스와 유사하지만 더 깊게 잘려져 있어, 비틀었을 때 메가밍크스의 모서리와 다르게 동작하는 모서리를 제공한다.
2. 3. 1. 정십이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 | 메가밍크스 | ? | 여러 사람 | 정식 종목이다. |
![]() | 기가밍크스 | ? | ? | 메가밍크스에서 한 층이 더 생긴 것이다. 이후에도 한 층씩 늘 때마다 테라밍크스 등과 같이 SI 접두어를 사용한다. |
![]() | 피라밍크스 크리스탈 | ? | ? | 면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
-- | 스큐브 얼티메이트 | ? | ? | 꼭짓점을 중심으로 반이 갈려서 돌아가며 스큐브에서 모양만 바뀐 것이다. |
2. 4. 정팔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옥타헤드런은 면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과 꼭짓점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두 종류가 있으며, 겉보기에는 똑같다.
스큐브 다이아몬드는 스큐브에서 모양만 바뀐 퍼즐이다.
2. 4. 1. 정팔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 | 옥타헤드런 | ?? | ?? | 옥타헤드런에는 면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사진)과 꼭짓점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이 있다. 두 종류 모두 겉보기로는 똑같다. |
스큐브 다이아몬드 | ?? | ?? | 스큐브에서 모양만 바뀐 것으로, 면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퍼즐이다. |
2. 5. 정이십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2. 5. 1. 정이십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도직 | 1993 | 졸탄(Zoltan)과 로버트 베세이(Robert Vecsei) 또는 우베 메페르트(Uwe Meffert) | 제시된 사진은 도직의 원래 버전인 12색이다. 다른 버전은 10가지 색이 각 면에 배치되어 있는 모델이다. 정이십면체 형태의 큐브의 대표적인 예이며, 회전하는 방식에 따라서 1~6번(I,II,III,IV,V,VI)이 있다. |
2. 6. 구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마술 공(magic ball영어) 등이 있다.
2. 6. 1. 구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 | 마술 공 (magic ball영어) | ?? | ?? | 루빅스 큐브에서 모양만 바뀐 것이다. |
2. 7. 직육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플로피 큐브는 1×3×3 형태의 트위스티 퍼즐로, 2008년 오카모토 가쓰히코가 발명하였다.[9]2. 7. 1. 직육면체 모양의 트위스티 퍼즐 (표)
사진 | 명칭 | 발명 시기(년도) | 발명가 | 설명 |
---|---|---|---|---|
-- | 플로피 큐브 | 2008 | 오카모토 가쓰히코 | 1x3x3 형태의 트위스티 퍼즐이다. |
2. 8. 기타 다면체 퍼즐
그림 | 데이터 | 설명 |
---|---|---|
-- | 꼭짓점에 축이 있고, 사소한 팁이 있는 사면체 모양의 퍼즐이다. 1970년에 우베 메퍼트가 발명했다. | |
2×2×2 큐브 메커니즘을 가진 모서리 회전 사면체 모양의 퍼즐이다. | ||
-- | 루빅스 큐브와 작동 및 해결 방법이 유사한 12면 다면체 퍼즐이다. | |
면당 여러 층이 있는 메가밍크스 변형이다. 기가밍크스는 면당 2층, 모서리당 총 5층, 테라밍크스는 면당 3층, 모서리당 7층, 페타밍크스는 면당 4층, 모서리당 9층을 가지고 있다. | ||
-- | 포켓 큐브와 작동 및 해결 방법이 유사한 둥근 이십면체 퍼즐이다. | |
-- | 루빅스 큐브와 작동 및 해결 방법이 유사한 12면의 비볼록 균일 다면체 퍼즐이다. | |
-- | 한 번에 퍼즐의 절반만 보여주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독특한 사면체 퍼즐이다. | |
12개의 팁과 20개의 면 중심 주위에 60개의 삼각형 조각으로 잘린 이십면체이다. | ||
스큐브의 팔면체 변형으로, 스큐브와 매우 유사한 깊은 컷 퍼즐이며, 이중 다면체 변환이다. | ||
-- | 스큐브 다이아몬드보다 더 어려워 보이지만, 스큐브 및 스큐브 다이아몬드와 기능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퍼즐은 다른 방식으로 잘려 있지만, 어떤 조각이 같은지 식별하여 동일한 솔루션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스큐브 다이아몬드의 면이 스큐브 얼티메이트의 꼭지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 조각의 방향에 추가적인 제약 조건이 나타난다. 따라서 모든 스큐브 다이아몬드 솔루션은 스큐브 얼티메이트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추가 사항이 필요하다. | |
20개의 모서리 조각과 30개의 모서리 조각으로 잘린 십이면체이다. 메가밍크스와 유사하지만 더 깊게 잘려져서, 비틀었을 때 메가밍크스의 모서리와 다르게 동작하는 모서리를 제공한다. | ||
메가밍크스의 4차원 아날로그인 가상 4차원 퍼즐이다. |
2. 9. 비-루빅 스타일 3차원 퍼즐
2. 10. 2차원 퍼즐
조각 구성: 7×7슬라이딩 퍼즐
조각 구성: 4×4-1
15 퍼즐
루빅스 매직

루빅스 매직: 마스터 에디션

기하학적 형태: 정사각형
조각 구성: 3×3
N차원 순차 이동 퍼즐#3x3 2D 정사각형

조각 구성: 4×5-2 (일부 조각은 융합됨)
클로츠키
조각 구성: 이상한 모양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5개의 교차하는 원형 회전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