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다이도코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다이도코로는 일본 역사에서 쇼군(幕府)의 정실 부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원래는 식탁을 놓는 곳, 부엌을 의미했으나, 헤이안 시대에는 고위 귀족의 정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가마쿠라 막부 이후에는 쇼군의 정실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호칭이 되었다. 특히 에도 막부 시대의 미다이도코로는 오오쿠(大奧) 내에서 최고 지위에 있었으며, 황족, 미야케, 구게 출신이 맡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형식적인 최고 지위와는 달리, 실제 권력은 오오쿠 총책임자나 쇼군의 생모가 쥐는 경우가 많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다이도코로 - 히노 도미코
    히노 도미코는 무로마치 시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정실로, 막부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오닌의 난 권력 다툼 개입, 쇼군 후계자 옹립 역할 수행, 막부 좌지우지, 민중 반발 야기 등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며, 후지와라 도미코로 불렸다는 주장도 있고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미다이도코로 - 마스코 여왕
    마스코 여왕은 후시미노미야 사다유키 친왕의 딸이자 에도 막부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의 정실이었으나, 23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이에시게는 재혼하지 않았으며, 그녀는 여러 대중 문화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 일본의 역사 - 에도 시대
    에도 시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에 막부를 세운 1603년부터 메이지 유신으로 막부가 멸망한 1868년까지의 일본 역사 시대로, 도쿠가와 막부의 통치 아래 평화와 사회적 안정을 누렸으나 엄격한 신분제도와 쇄국정책을 유지하며 막번체제, 산킨코타이 제도 등 독특한 정치·사회·경제 체제를 통해 일본 근세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미다이도코로
개요
직위쇼군의 정실
성별여성
봉록1만 석
거주지에도 성 혼마루 오오쿠
상세 정보
역할쇼군의 배우자
쇼가의 안주인
쇼군 후계자의 생모 (가장 중요)
출신황족, 공가 (섭가, 청화가)의 딸
오오쿠의 최고 지위
존칭고케쇼 (御家所)
대략적인 의미쇼군의 부인, 안주인
다른 칭호오토도 (御殿)
오쓰보네사마 (御局様)
유래 및 역사
유래본래 쇼군의 부엌을 관리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역사무로마치 시대부터 사용
에도 시대에는 쇼군의 정실만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축소됨
쇼군과의 관계정략 결혼 대상
쇼군의 후계자를 낳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임무
정치적 영향력은 제한적이었음
관련 용어
오오쿠에도 시대 쇼군의 사적인 공간이자 거처
쇼군일본의 무가 정권의 최고 지도자
소실쇼군의 측실

2. 용어의 유래와 의미 변화

헤이안 시대 중반까지 종3위 이상 공경의 정실은 모두 "키타노만도코로"라고 불렸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키타노만도코로"는 선지를 통해 수여되는 칭호가 되었고, 섭정 또는 관백의 정실에게만 한정되었다.

이에 따라 종3위 이상 공경 중 대신이나 대장의 정실은 다른 호칭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이 미다이도코로, 또는 이를 줄인 '''다이반도코로'''(다이반 도코로)나 '''미다이'''(미다이)이며, 인세이 시대 이후 문헌에서 이러한 용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후지와라노 모로자네의 정실 미나모토노 레이시는 모로자네가 대신이었을 때는 "다이반도코로"라고 불렸지만, 쇼호 2년(1075년) 모로자네가 관백이 된 이후에는 "키타노만도코로"라고 불렸다.

가마쿠라 시대 『헤이케 이야기』에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들의 호칭에서 이러한 구분이 나타난다. 좌대신 후지와라노 카네마사의 정실은 "미다이반도코로", 고시라카와인의 총신이었던 후지와라노 타카후사의 정실은 "호호", 정실이 따로 있었던 후지와라노 노부타카의 아내는 "함께 한다"라고 표현되었다.

2. 1. 다이반과 다이반도코로

미다이도코로의 "다이반"은 장방형의 테두리가 있는 판에 네 다리를 붙여 대(臺) 모양으로 만든 1인용 식탁으로, 오늘날의 반상기를 말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다이반이 일상적으로 사용된 곳은 상류 귀족의 저택이나 궁중에 한정되어 있었다.

"다이반도코로"는 문자 그대로 그 다이반을 놓아두는 곳으로, 조리나 배선을 하는 한 방을 가리켰다. 이것이 오늘날의 부엌의 어원이다. 후에 궁중에서는 이것이 더 나아가 세이료덴 내의 뇨보가 머무는 곳을 다이반도코로라고 부르게 되었다.

2. 2. 헤이안 시대: 기타노만도코로와 미다이도코로

헤이안 시대 중기까지 종3위 이상 공경의 정실은 모두 기타노만도코로라고 불렸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섭정 또는 관백의 정실에게만 수여되는 칭호로 격식화되었다.

이에 따라 대신이나 대장의 정실은 '미다이도코로', 또는 이를 줄인 '''다이반도코로'''나 '''미다이'''로 불리게 되었으며, 인세이 시대 이후 문헌에서 이러한 칭호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후지와라노 모로자네의 정실 미나모토노 레이시는 모로자네의 관직에 따라 다르게 불렸다. 모로자네가 대신(내대신 → 좌근위대장 → 우대신 → 좌대신)이었을 때는 "다이반도코로"라고 불렸지만, 쇼호 2년(1075년) 모로자네가 관백이 된 이후에는 기타노만도코로라고 불렸다. 이를 통해 미다이반도코로와 기타노만도코로의 용법에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3. 헤이케 이야기에서의 용례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헤이케 이야기』에서는 관직에 따라 정실의 호칭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권1에 입도상국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자녀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에서 딸들을 소개하는 대목을 보면 다음과 같다.

호칭대상설명
미다이반도코로카잔인 좌대신 후지와라노 카네마사의 정실이 된 차녀
황후다카쿠라 천황의 중궁이 되어 안토쿠 천황을 낳아 국모가 된 삼녀 토쿠코
키타노만도코로섭정 관백 후지와라노 모토자네의 정실이 된 사녀 모리코
키타노만도코로섭정 관백 코노에 모토미치의 정실이 된 육녀 칸시
호호권대납언 후지와라노 타카후사의 정실이 된 오녀고시라카와인의 총신이었으나 대신, 대장, 섭정, 관백이 아니었기 때문
함께수리 대부 후지와라노 노부타카의 아내가 된 장녀노부타카에게 정실이 따로 있었기 때문에 호호가 아니었음


3. 쇼군 정실

가마쿠라 막부 초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부인 호조 마사코가 "미다이도코로"로 불린 이후 역대 쇼군 정실의 호칭으로 정착되었다. 이후 무로마치 막부에도 막부의 쇼군 부인도 미다이도코로로 불렸다.

가마쿠라 막부의 쇼군 정실(미다이도코로)은 다음과 같다.

3. 1. 무로마치 막부의 미다이도코로

대수부군이름(성씨)원호재임 기간생부비고
제1대다카우지(尊氏)아카하시 도시(赤橋登子)도신인(登眞院)1338년 ~ 1358년호조 히사토키(北条久時)
제2대요시아키라(義詮)시부카와 고시(澁川幸子)교겐인(香巖院)1359년 ~ 1367년시부카와 요시스에(渋川義季)
제3대요시미쓰(義滿)히노 나리코(日野業子)조신인(定心院)1375년 ~ 1395년히노 도키미쓰(日野時光)
히노 야스코(日野康子)키타야마인(北山院)1394년 ~ 1395년히노 스게야스(日野資康)
제4대요시모치(義持)히노 에이시(日野榮子)지쥬인(慈受院)? ~ 1423년히노 스게야스(日野資康)
제6대요시노리(義敎)히노 무네코(日野宗子)칸지인(觀智院)1429년 ~ 1441년히노 시게미쓰(日野重光)
오기마치산조 다다코
(正親町三條 尹子)
즈이슌인(瑞春院)1431년 ~ 1441년오기마치산조 기미마사(正親町三条 公雅)
제8대요시마사(義政)히노 도미코묘젠인(妙善院)1455년 ~ 1474년히노 시게마사(日野重政)
제9대요시히사(義尙)히노 씨(日野氏)쇼운인(祥雲院)히노 가쓰미쓰(日野勝光)
제10대요시타네(義稙)호소카와 씨(細川氏)세이운인(清雲院)호소카와 시게유키(細川成之)
제11대요시즈미(義澄)히노 아코(日野阿子)온요인(安養院)히노 나가토시(日野永俊)
부에이 씨(武衛氏)록카쿠 다카요리(六角高賴)
제12대요시하루(義晴)고노에 씨(近衛氏)게이쥬인(慶壽院)1534년 ~ 1547년고노에 히사미치(近衛尚通)
제13대요시테루(義輝)고노에 씨(近衛氏)고노에 다네이치(近衛稙家)


3. 2. 에도 막부의 미다이도코로

무로마치 막부에 이어 에도 막부의 쇼군 부인도 미다이도코로로 불렸다. 다음은 역대 쇼군과 그 정실(미다이도코로) 목록이다. 쇼군의 생모는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대수부군이름(칭호)원호재임기간친부모비고
제1대이에야스쓰키야마도노세이치인(淸池院)-부: 세키구치 지카나가
모: 이마가와 씨
막부 성립 이전에 서거함.
아사히히메난메이인(南明院)-부: 지쿠아미
모: 오만도코로
막부 성립 이전에 서거함.
제2대히데타다오히메간토인(甘棠院)-부: 오다 노부카쓰
모: 지요 고젠
막부 성립 이전에 서거함.
후지와라 사토코스겐인(崇源院)1605년 ~ 1626년부: 아자이 나가마사
모: 오이치노가타
제3대이에미쓰다카쓰카사 다카코혼리인(本理院)1625년 ~ 1651년부: 다카쓰카사 노부후사
모: 삿사 데루코
제4대이에쓰나아키코 여왕고겐인(高巖院)1659년 ~ 1676년부: 사다키요 친왕
모: (미상)
제5대쓰나요시다카쓰카사 노부코조코인(淨光院)1680년 ~ 1709년부: 다카쓰카사 노리히라
모: 레이제이 씨
제6대이에노부고노에 히로코덴에이인(天英院)1709년 ~ 1712년부: 고노에 모토히로
모: 쓰네코 내친왕
제7대이에쓰구요시코 내친왕조린인노미야(淨琳院宮)1716년?부: 레이겐 천황
모: 마쓰무로 아쓰코
미다이 도코로로
칭하기 전에 쇼군이 서거함.
제8대요시무네마사코 여왕간토쿠인(寬德院)-부: 사다유키 친왕
모: (미상)
쇼군 즉위 전에 서거함.
제9대이에시게마스코 여왕쇼메이인(證明院)-부: 구니나가 친왕
모: (미상)
쇼군 즉위 전에 서거함.
제10대이에하루도모코 여왕신칸인(心觀院)1760년 ~ 1771년부: 나오히토 친왕
모: (미상)
제11대이에나리고노에 다다코고다이인(廣大院)1787년 ~ 1837년부: 시마즈 시게히데
모: 지코인
제12대이에요시다카코 여왕조칸인(淨觀院)1837년 ~ 1840년부: 오리히토 친왕
모: 다카기 아쓰코
제13대이에사다다카쓰카사 아쓰코덴신인(天親院)-부: 다카쓰카사 마사히로
모: (미상)
쇼군 즉위 전에 서거함.
이치조 히데코쥬신인(澄心院)-부: 이치조 다다요시
모: (미상)
쇼군 즉위 전에 서거함.
고노에 스미코덴쇼인(天璋院)1856년 ~ 1858년부: 시마즈 다다타케
모: 오유키
제14대이에모치지카코 내친왕세이칸인노미야(靜寬院宮)1862년 ~ 1866년부: 닌코 천황
모: 하시모토 쓰네코
제15대요시노부이치조 미카코데이슈쿠인(貞肅院)1867년 ~ 1868년부: 이마데가와 킨히사
모: (미상)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내 후지와라 사토코가 첫 번째 미다이도코로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는 쇼군이 되었을 때 이미 정실이 사망하여 미다이도코로가 없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니조 성에 들어갔기 때문에 그의 아내는 "고렌주"라고 불렸다.

3. 2. 1. 에도 막부 오오쿠에서의 미다이도코로

오오쿠 내에서 미다이도코로는 최고 지위에 해당되는 인물이었다. 미다이도코로는 황실, 미야케(방계황족), 구게(셋케) 출신인 것이 관례였다.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정실 고노에 타다코와 13대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정실 고노에 도쿠코는 예외였지만, 이들 역시 혼인하기 전 고노에 가문의 양녀가 되어 구게의 딸 신분으로 쇼군의 아내가 되었다. 이는 장군 정실로서의 격식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미다이도코로는 오오쿠 내 고텐무키(御殿向き|고텐무키일본어) 안에서도 북동쪽에 있는 “신고덴”(新御殿|신고덴일본어)에서 생활하였다. 식사할 때를 제외하고는 손을 직접 움직이는 일이 거의 없었으며, 손톱 깎기, 사람 부르기 등 모든 일은 시녀들이 대신했다. 식사는 항상 열 명 분의 음식이 준비되었고, 그중 두 명이 독 검사를 했다. 독 검사를 통과한 음식 중에서 미다이도코로가 실제로 먹는 것은 2인분 정도였고 나머지는 식사 당번 시녀가 먹었다.

형식상으로는 미다이도코로가 윗전이었지만, 실권은 대체로 오오쿠 총책임자, 쇼군의 생모, 후계자를 낳은 측실에게 있었다. 이는 오오쿠 바깥에도 널리 알려져 “막부의 장식”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부인 이치조 미카코처럼 오오쿠에 들어가지 않아 미다이도코로로 불리지 않은 정실도 있었다.

교토의 황실이나 미야케가 막부와 화합하는 형식으로 쇼군과 미다이도코로의 혼인이 이루어졌으나, 부부 사이에서 후계자나 다른 아이가 태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오오쿠 내에서 황실이나 미야케가 도쿠가와 가문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미다이도코로가 아이를 갖지 못하도록 여러 방책을 썼다는 이야기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