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일 미국 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일 미국 육군은 일본에 주둔하는 미국 육군 부대이다. 1941년 미국 극동 육군(USAFFE)으로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극동 사령부의 육군 부대로 부활했다. 1957년 주일 미국 육군(USARJ)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현재는 제1군단(전방) 사령부가 본부를 두고 있다. 주요 임무는 주일 미군 육군 구성 사령부 역할 수행, 일본 육상 자위대와의 양자 활동 참여,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작전 지원 등이다. 가나가와현, 도쿄도, 히로시마현, 오키나와현 등 일본 각지에 주요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제1군단 전방, 주일 미군 장병 지원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마시 - 소부다이마에역
    소부다이마에역은 일본 가나가와현에 위치한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의 역으로, 1927년 개업 이후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며, 주일 미국 육군 캠프 자마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고 하루 평균 3만 명 이상이 이용한다.
  • 자마시 - 가타기리 미사오
    가타기리 미사오는 1965년 경찰관 살해와 1968년 총포상 인질극을 벌이다 경찰과의 총격전 끝에 사망한 일본의 범죄자이며, 그의 사건은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소설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 주일 미군의 부대 및 조직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 주일 미군의 부대 및 조직 - 제836수송대대
    제836수송대대는 1941년 창설된 미국 육군 수송 부대로, 주요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을 지원했으며 냉전 시대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 한국 전쟁 지원 공로로 공로부대표창을 수여받고 괌과 알래스카에 파견대를 두고 있다.
  • 미국 육군의 근무 구성 사령부 - 미국 남부 육군
    미국 남부 육군은 1904년 파나마 운하 경비대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고, 제2차 세계 대전과 국군 원정 기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텍사스에 본부를 두고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작전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주요 사령부이다.
  • 미국 육군의 근무 구성 사령부 - 미국 태평양 육군
    미국 태평양 육군은 미국 육군의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사령부로,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강대국 부상과 함께 시작되어 주요 전쟁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하와이에 본부를 두고 인도적 지원, 재해 구호, 국토 방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주일 미국 육군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부대명주일 미군 육군
원어 부대명United States Army, Japan
약칭USARJ
창설일1957년 7월 1일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종류육군 근무 구성 군사령부
역할일본 열도의 모든 미국 육군 지휘통제
상위 지휘주일 미군
미국 태평양 육군
본부가나가와현 캠프 자마
표어Omnia Fieri Potest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주일 미군 육군 어깨 소매 휘장
어깨 소매 휘장
주일 미군 육군 부대 식별 휘장
부대 식별 휘장
지휘관
현재 사령관데이비드 B. 워맥 소장
주요 사령관로스코 로빈슨 주니어
제임스 C. 부저 시니어
비엣 수안 르엉
역사
창설일1957년 7월 1일
관련 훈련오리엔트 실드 훈련

2. 역사

주일 미 육군의 역사는 1941년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극동 미 육군(USAFFE) 사령관으로 취임하면서 시작되었다. USAFFE는 같은 해 7월 마닐라에 설립되었으나, 필리핀 점령 과정에서 미국의 패배로 인해 와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극동 사령부의 육군 부대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도쿄에 극동 미 육군(Army Forces Far East)이라는 명칭으로 부활하였다. 1957년 극동 사령부가 해체되면서 여러 개의 소규모 미 육군 사령부가 창설되었다.

1953년 1월, 태평양 지역 미군 재편에 따라 극동군은 극동 지역의 육군 병력의 중추가 되었다. 같은 해 10월, 극동군은 도쿄에서 남서쪽으로 56km 떨어진 캠프 자마로 이전하여 안토닌 레이몬드가 설계한 새로운 청사에 사령부를 두었다. 1954년 11월 20일, 극동군은 제8군과 통합되어 극동군/제8군이 되었다. 1955년, 제8군 사령부는 서울용산기지로 이전하고, 캠프 자마의 사령부는 극동군/제8군(후방)으로 개칭되었다. 주일미군(USARJ)이라는 명칭은 1957년 7월 1일 태평양 지역 미군 재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968년 9월 1일 재편성된 USARJ는 기존의 임무와 기능을 유지하면서 작전 효율성을 높였다. 1974년 7월 1일 USARJ 재편성으로 혼슈 주둔 미 육군(USAGH), 오키나와 주둔 미 육군(USAGO), 미 육군 의무부대 일본(MEDDAC-JAPAN) 등 3개의 하급 사령부가 설립되었다.

1990년 8월 USARPAC이 재건되었고, USARJ는 USARPAC의 주요 하급 사령부이자 주일 미군(USFJ)의 육군 구성 사령부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하였다. 1994년 제9군단은 제9극장 육군 지역 사령부로 대체되었고, 1999년 11월 8일 제9전구지원사령부(9th TSC)로 재지정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여러 차례의 소규모 재편성과 명칭 변경이 있었고, 2001년 9월 11일에는 USARJ가 일본과 오키나와에 있는 물류 기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2011년 3월 11일, 규모 9.0의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일본 북동부 해안을 강타했다. USARJ는 즉시 '토모다치 작전'(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양자 작전)에서 육상자위대를 지원하는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작전을 개시했다. 작전이 공식적으로 종료된 후에도 USARJ는 9월까지 육상자위대에 장비 및 정비 지원을 제공하며 피해 지역 주민들을 지원했다.

'''역대 주일 미국 육군 사령관'''[12]

미국 극동 육군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설명
1.--육군 원수
Douglas McCathy|더글러스 맥아더영어
1941년 7월 26일1951년 4월 11일초대 극동사령관, 유엔 사령관, 연합군 최고사령관
2.
대장
Matthew B. Ridgway|매슈 리지웨이영어
1951년 4월 11일1952년 5월 12일2대 극동사령부 사령관, 유엔 사령관, 마지막 연합군 최고사령관
3.
대장
Mark W. Clark|마크 웨인 클라크영어
1952년 5월 12일1953년 10월 7일3대 극동사령관, 제8군 사령관, 유엔 사령관
4.
대장
John E. Hull|존 E. 홀영어
1953년 10월 7일1954년 11월 20일4대 극동사령관, 유엔 사령관
5.
대장
Maxwell D. Taylor|맥스웰 테일러영어
1954년 11월 20일1955년 4월 1일5대 극동사령관, 제8군 사령관, 유엔 사령관
6.
대장
Lyman L. Lemnitzer|레이먼 L. 램니처영어
1955년 4월 1일1955년 6월 5일6대 극동사령관, 제8군 사령관, 유엔 사령관
7.
대장
Isaac D. White|아이작 D. 화이트영어
1955년 7월 25일1957년 7월 1일마지막 극동사령관, 극동 육군 사령관, 7대 제8군 사령관, 유엔 사령관



주일 미국 육군(USARJ)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설명
1.
중장
Charles D. Palmer|찰스. D. 팔머영어
1957년 7월 1일1958년 3월 5일초대 USARJ 사령관
2.
중장
Emerson L. Cummings|에머슨 L. 커밍스영어
1958년 3월 5일1958년 12월 2일
3.
소장
David H. Tulley|데이비드 H. 툴리영어
1958년 12월 2일1961년 3월 4일
4.
소장
Jean E. Engler|쟝 E. 엥글러영어
1961년 5월 25일1963년 9월 3일
5.--소장
Chester W. Clark|체스터 W. 클라크영어
1963년 9월 3일1965년 4월 30일
6.--소장
Lloyd E. Fellenz|롤로이드 E. 펠렌즈영어
1965년 4월 30일1967년 7월 19일
7.--소장
Bruce E. Kendall|브루스 E. 켄달영어
1967년 7월 20일1968년 7월 3일
8.--소장
John A. Goshorn|존 A. 고스혼영어
1968년 7월 23일1970년 7월 24일
9.--준장
Hugh A. Richeson|휴 A. 리체슨영어
1970년 7월 31일1971년 12월 15일
10.--준장
Ross R. Condit Jr.|로스 R. 컨딧 주니어영어
1972년 1월 7일1972년 5월 14일
11.--중장
Welborn G. Dolvin|웰번 G. 돌빈영어
1972년 5월 14일1975년 3월 1일



주일 미국 육군 / 제9군단 사령관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설명
12.
중장
John R. Guthrie|존 R. 구스리영어
1975년 3월 1일1977년 5월 6일25대 제9(IX)군단
13.--중장
John Q. Henion|존 Q. 헤니언영어
1977년 5월 16일1960년 5월 23일26대 제9(IX)군단장
14.
중장
Roscoe Robinson Jr.|로스코 로빈슨 주니어영어
1960년 6월 18일1982년 8월 20일27대 제9(IX)군단장
15.--중장
Alexander M. Weyand|알렉산더 M. 웨이얀드영어
1982년 9월 2일1985년 8월 1일28대 제9(IX)군단장
16.--중장
Charles W. Dyke|찰스 W. 다이크영어
1985년 8월 1일1988년 7월 15일29대 제9(IX)군단장
17.
중장
Johnnie H. Corns|조니 H. 콘스영어
1988년 7월 15일1989년 12월 5일30대 제9(IX)군단장
18.--중장
Jack D. Woodall|잭 D. 우드올영어
1989년 12월 5일1992년 4월 22일31대 제9(IX)군단장
19.--중장
Jerome H. Granrud|제롬 H. 그란루드영어
1992년 4월 22일1994년 9월 8일마지막 제9(IX)군단장



주일 미국 육군 / 제9전구지원사령부 지휘관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설명
20.--소장
Waldo D. Freeman|왈도 D. 프리먼영어
1994년 9월 8일1996년 9월 27일
21.--소장
Robert R. Hicks Jr.|로버트 R. 힉스 주니어영어
1996년 9월 27일1998년 8월 21일
22.
소장
Joseph R. Inge|조지프 R. 인게영어
1998년 8월 21일2000년 6월 2일
23.--소장
Alan D. Johnson|앨런 D. 존슨영어
2000년 6월 2일2002년 8월 13일
24.
소장
Thomas G. Miller|토머스 G. 밀러영어
2002년 8월 13일2003년 6월 27일마지막 제9전구지원사령부 지휘관



주일 미국 육군 /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설명
25.--소장
Elbert N. Perkins|엘버트 N. 퍼킨스영어
2003년 6월 27일2008년 6월 30일초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6.
소장
Francis J. Wiercinski|프란시스 J. 위어킨스키영어
2008년 6월 30일2010년 10월 12일2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7.
소장
Michael T. Harrison Sr.|마이클 T. 해리슨 Sr.영어
2010년 10월 12일2013년 6월 8일3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8.
소장
James C. Boozer Sr.|제임스 C. 부저 Sr.영어
2013년 6월 25일2015년 7월 8일4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9.
소장
James F. Pasquarette|제임스 F. 패스커렛영어
2015년 7월 8일2018년 8월 28일5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30.
소장
Viet X. Luong|비엣 X. 루응영어
2018년 8월 28일임기중6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 1. 냉전

1957년 7월 1일, 극동사령부가 해체되고 주일 미군이 창설되면서, 극동 육군은 '''주일 미국 육군'''(USARJ)으로 재편되었다. 1959년에는 USARJ가 제6군수사령부와 결합하여 USARJ/제6군수사령부 본부가 되었다.

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 반환에 따라 류큐 열도가 일본에 반환되면서 USARJ의 관할 지역에 류큐 열도가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류큐사령부가 해체되고, 오키나와 기지사령부 등 여러 부대가 USARJ 예하로 편입되었다.

1975년 1월 1일, USARJ는 미국 육군부의 주요사령부(MAJCOM)로 승격되어 직접보고부대(DRU)가 되었다. 1976년에는 제9군단과 합쳐져 "USARJ/제9(IX)군단, 본부"가 되었다.

1990년 8월, 육군 서부사령부가 태평양 육군으로 재편되면서 USARJ는 다시 태평양 육군의 예하 근무구성군사령부가 되었다. 1994년에는 제9군단제9전구지원사령부로 재편되었다.

2. 2. 21세기

2001년 9·11 테러 발생 후, 테러와의 전쟁 지원을 위해 제9전구지원사령부가 다목적 구성군 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07년 제9전구지원사령부가 해체되었다.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하여 제1(I)군단 사령부를 캠프 자마에 배치하여 통합 작전 사령부로 운용할 예정이었으나, 일본 정부와 캠프 자마 주변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대신 2007년 12월 19일에 제1군단 전방 사령부가 창설되어 USARJ/제1(I)군단 전방 사령부로 결합하였다.[6][7]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 후, USARJ는 토모다치 작전을 통해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활동을 전개했다.

3. 시설

주일 미국 육군은 일본 각지에 여러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1. 가나가와현

캠프 자마자마에 있으며, USARJ 본부 및 제1군단 전방 사령부가 위치하고 있다. 캠프 자마에는 캐스트너 육군 비행장과 크로포드 F. 샘스 준장 육군 보건소가 있다.[1]

사가미 종합보급창사가미하라시에 있다.[1]

3. 2. 히로시마현

4. 부대 구성

주일 미 육군은 제1군단 전방 사령부, 주일 미 육군 장병 지원단, 그리고 다양한 지원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2]

주일 미 육군의 주요 부대는 혼슈에 있는 주일 미군 장병 지원단(잠보 캠프)와 주일 미군 장병 지원단(토리 기지)로 나뉜다.

'''혼슈 주둔 부대'''


  • 미 육군 항공대대
  • 제35 전투지원지원대대
  • 제623 이동통제팀
  • 제78 신호대대
  • 제311 군사정보대대
  • 미 육군 일본 군악대
  • 제836 수송대대
  • 탄약고, 제10 지원단(지역)
  • 제88 군사경찰 분견대
  • 제901 군사경찰 분견대
  • 제403 야전지원여단 동북아시아 대대
  • 제403 야전지원여단 물류준비센터
  • 제38 방공포병여단


'''오키나와 주둔 부대'''

  • 제10 지원단(지역) (여단급 물류)
  • 제1대대, 제1방공포병연대 (패트리어트)
  • 제1 특전단 제1대대, 제1특전단
  • 제247 군사경찰 분견대
  • 제835 수송대대
  • 제505 쿼터마스터 대대
  • 제78 신호대대


이 외에도, [https://www.poj.usace.army.mil/ JAPAN ENGINEER DISTRICT U.S. Army Corps of Engineers] (미 육군 공병대 일본 공병 지구), [https://bg-crawford.tricare.mil/ Brigadier General Crawford F. Sams United States Army Health Clinic Japan] (크로포드 F. 샘스 준장 육군 보건소), [https://www.usarj.army.mil/units/dentac/ DENTAC-J] (주일 치의처), 일본 공중보건 활동 부대가 주일 미 육군에 포함된다.[2]

4. 1. 주요 부대

일본 열도에 주둔하는 부대 배치도 (2015년 이전)


일본 혼슈에 주둔하는 부대 배치도 (2015년 기준)

4. 2. 지원 부대

5. 한일 관계 및 한국의 관점

주일 미 육군은 한반도 유사시 미군 증원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한국 안보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12] 주일 미 육군은 일본 육상자위대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이는 한미일 3국 안보 협력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주일 미 육군 기지 이전 및 재배치 문제는 한일 양국 간의 민감한 현안으로, 한국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대응하고 있다. 특히, 오키나와 미군 기지 문제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환경 문제 등 복잡한 쟁점을 안고 있으며, 이는 한일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역대 주일미군 사령관 중에는 과거 주한미군 사령관을 지낸 인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다음 표는 주일 미 육군 및 관련 부대의 역대 사령관 목록 중 일부이다.

역대 주일 미 육군 사령관 (일부)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더글라스 맥아더1941년 7월 26일1951년 4월 11일초대 극동사령관, 초대 유엔 사령관, 초대 연합군 최고사령관
매슈 리지웨이1951년 4월 11일1952년 5월 12일2대 극동사령부 사령관, 2대 유엔 사령관, 마지막 연합군 최고사령관
마크 웨인 클라크1952년 5월 12일1953년 10월 7일3대 극동사령관, 제8군 사령관, 3대 유엔 사령관
존 E. 홀1953년 10월 7일1954년 11월 20일4대 극동사령관, 4대 유엔 사령관
맥스웰 테일러1954년 11월 20일1955년 4월 1일5대 극동사령관, 5대 제8군 사령관, 5대 유엔 사령관
레이먼 L. 램니처1955년 4월 1일1955년 6월 5일6대 극동사령관, 6대 제8군 사령관, 6대 유엔 사령관
아이작 D. 화이트1955년 7월 25일1957년 7월 1일마지막 극동사령관, 마지막 극동 육군 사령관, 7대 제8군 사령관, 7대 유엔 사령관


6. 역대 사령관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1Charles D. Palmer|찰스 D. 팔머영어1957년 7월 1일1958년 3월 5일초대 USARJ 사령관
2Emerson L. Cummings|에머슨 L. 커밍스영어1958년 3월 5일1958년 12월 2일
3David H. Tulley|데이비드 H. 툴리영어1958년 12월 2일1961년 3월 4일
4Jean E. Engler|쟝 E. 엥글러영어1961년 5월 25일1963년 9월 3일
5--Chester W. Clark|체스터 W. 클라크영어1963년 9월 3일1965년 4월 30일
6--Lloyd E. Fellenz|롤로이드 E. 펠렌즈영어1965년 4월 30일1967년 7월 19일
7--Bruce E. Kendall|브루스 E. 켄달영어1967년 7월 20일1968년 7월 3일
8--John A. Goshorn|존 A. 고스혼영어1968년 7월 23일1970년 7월 24일
9--Hugh A. Richeson|휴 A. 리체슨영어1970년 7월 31일1971년 12월 15일
10--Ross R. Condit Jr.|로스 R. 컨딧 주니어영어1972년 1월 7일1972년 5월 14일
11--Welborn G. Dolvin|웰번 G. 돌빈영어1972년 5월 14일1975년 3월 1일
12John R. Guthrie|존 R. 구스리영어1975년 3월 1일1977년 5월 6일제9(IX)군단
13--John Q. Henion|존 Q. 헤니언영어1977년 5월 16일1960년 5월 23일제26대 제9(IX)군단장
14Roscoe Robinson Jr.|로스코 로빈슨 주니어영어1960년 6월 18일1982년 8월 20일제27대 제9(IX)군단장
15--Alexander M. Weyand|알렉산더 M. 웨이얀드영어1982년 9월 2일1985년 8월 1일제28대 제9(IX)군단장
16--Charles W. Dyke|찰스 W. 다이크영어1985년 8월 1일1988년 7월 15일제29대 제9(IX)군단장
17Johnnie H. Corns|조니 H. 콘스영어1988년 7월 15일1989년 12월 5일제30대 제9(IX)군단장
18--Jack D. Woodall|잭 D. 우드올영어1989년 12월 5일1992년 4월 22일제31대 제9(IX)군단장
19--Jerome H. Granrud|제롬 H. 그란루드영어1992년 4월 22일1994년 9월 8일마지막 제9(IX)군단장
20--Waldo D. Freeman|왈도 D. 프리먼영어1994년 9월 8일1996년 9월 27일
21--Robert R. Hicks Jr.|로버트 R. 힉스 주니어영어1996년 9월 27일1998년 8월 21일
22Joseph R. Inge|조지프 R. 인게영어1998년 8월 21일2000년 6월 2일
23--Alan D. Johnson|앨런 D. 존슨영어2000년 6월 2일2002년 8월 13일
24Thomas G. Miller|토머스 G. 밀러영어2002년 8월 13일2003년 6월 27일
25--Elbert N. Perkins|엘버트 N. 퍼킨스영어2003년 6월 27일2008년 6월 30일초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6Francis J. Wiercinski|프랜시스 J. 위어친스키영어2008년 6월 30일2010년 10월 12일제2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7Michael T. Harrison Sr.|마이클 T. 해리슨 Sr.영어2010년 10월 12일2013년 6월 8일제3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8James C. Boozer Sr.|제임스 C. 부저 Sr.영어2013년 6월 25일2015년 7월 8일제4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29James F. Pasquarette|제임스 F. 패스커렛영어2015년 7월 8일2018년 8월 28일제5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30Viet X. Luong|비엣 X. 루응영어2018년 8월 28일임기중제6대 제1(I)군단 (전방) 사령관

[12]

참조

[1]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ww.usarj.ar[...] 2022-07-16
[2] 웹사이트 Map of Honshu https://www.usarj.ar[...] 2019-11-19
[3] 웹사이트 U.S. Army 1st Corps HQ in Zama http://www.japantime[...] Kyodo News 2015-03-01
[4] 웹인용 U.S. Army, Japan http://www.tioh.hqda[...] 문장학 연구소 2014-06-11
[5] 웹인용 IX Corp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6-16
[6] 뉴스 주일미군 자마기지 아시아 작전허브로 http://article.joins[...] 동아일보 2012-04-06
[7] 뉴스 Army making plans for new I Corps element http://www.stripes.c[...]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16-12-21
[8] 웹인용 在日米陸軍の公式チャンネルがオープン! http://blog.nicovide[...] 니코니코인포 2012-00-00
[9] 뉴스 58th Signal Battalion colors cased, 333rd, 349th Signal Companies OPCON to 78th Signal Battalion http://www.army.mil/[...] 미국 육군 공사 사무소 2014-10-10
[10] 웹인용 58th Signal Battalion Inactivation Ceremony https://www.facebook[...] 311th Signal Command 2014-10-10
[11] 문서 AMC World Wide Locations http://www.amc.army.[...] 미국 육군 물자사령부 2017-01-17
[12] 웹인용 Former U.S. Army Japan Commanding Generals http://www.usarj.arm[...] U.S. Army Japan 2018-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