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1989년 고속국도로 지정되어 여러 단계를 거쳐 개통되었으며, 부산-대구 구간은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한다. 총 연장은 388.10km이며, 삼락 나들목에서 춘천 나들목까지 중앙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통과 지역은 부산, 김해, 밀양, 청도, 경산, 대구, 칠곡, 군위, 의성, 안동, 예천, 영주, 단양, 제천, 원주, 횡성, 홍천, 춘천 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횡성군의 도로 - 영서로
영서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홍천군, 춘천시, 화천군, 철원군을 연결하는 도로로, 부분적인 개통과 확장을 거쳐 2009년 8월 7일에 2개 이상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으며, 주요 시설 및 건물이 이 도로를 따라 위치한다. - 횡성군의 도로 - 서동로
서동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서 동해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1976년부터 여러 구간이 개통되었고, 2개 이상의 시·군에 걸쳐 있으며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도 포함한다. - 청도군의 도로 - 새마을로 (밀양 경산)
새마을로(새마을길)는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에서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을 잇는 도로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으며 국도 제25호선 및 국도 제58호선과 중첩되는 구간을 포함하고 남성현터널과 청도 나들목을 지난다. - 청도군의 도로 - 청려로
청려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단석로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고암성산대로와 직결되고 국도 제20호선 구간을 포함하며, 곰티재터널을 통해 청도군 내 교통 편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 단양군의 도로 - 단양로
단양로는 충청북도 단양군과 제천시를 연결하며 중앙고속도로와 이어지는 국도 제5호선 및 국도 제36호선과 겹치는 구간을 포함하고 죽령로와 직결되는 도로이다. - 단양군의 도로 - 죽령로
죽령로는 경상북도 영주시와 충청북도 단양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5호선 및 국도 제36호선의 일부로, 영주시 가흥동에서 시작하여 단양군 대강면을 지나 단양로와 이어지며, 영주시 가흥동에서 안정면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고 죽령 구간은 해발 696m에 위치한다.
중앙고속도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 번호 | 55 |
노선명 | 중앙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Jungang Gosok Doro |
노선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방향 | 남북 |
개통일 | 1994년 12월 12일 |
총 길이 | 388.1 km (경부고속도로 공용 구간 포함) |
별칭 | Jungang Expressway |
주요 경유 도시 | |
경유 도시 | 안동시 영주시 제천시 원주시 |
기점 및 종점 | |
남쪽 기점 | 부산광역시사상구 [[파일:Korea Urban Expwy No.33.svg|20px]] 관문대로 |
북쪽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 [[파일:Korea National Route No.5.svg|20px]] 국도 5호선 |
이미지 | |
![]() | |
기타 정보 |
2. 역사
날짜 | 내용 |
---|---|
1989년 10월 20일 |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중앙고속도로(중앙선)으로 지정[3] |
1989년 12월 14일 | 중앙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조암동 99.638km 구간과 충청북도 제원군 봉양면 강평리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106.23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5] |
1992년 4월 29일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9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부산 ~ 대구선)으로 지정[6] |
1992년 5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 대동 ~ 김해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월촌리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7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
1992년 6월 9일 | 춘천 나들목 건설을 위해 강원도 춘성군 동내면 사암리 ~ 신촌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1992년 11월 12일 | 중앙고속도로 예천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작곡리 ~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장평리 73.74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
1992년 12월 31일 | 중앙고속도로 설계 변경(왕복 2차선 → 4차선)으로 인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읍 87.48km 구간,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 강원도 원주군 지정면 38.7km 구간,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 춘천시 석사동 26.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1994년 4월 28일 | 1996년 12월까지 낙동대교 건설을 위해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08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1994년 10월 21일 | 홍천 나들목 설계 변경으로 인해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7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2] |
1994년 12월 15일 | 금호 분기점 ~ 칠곡 나들목 6.1km 구간, 만종 분기점 ~ 남원주 나들목 6.2km 구간 개통.[13] |
1995년 2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 경상북도 경산군 남천면 삼성리 19.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4] |
1995년 6월 12일 | 2001년 12월까지 안동 ~ 영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동 ~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2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1995년 8월 29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79.8km 구간[16],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0.1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5.2km 구간 왕복 2차로 (왕복 4차로 확장을 대비한 형태) 개통.[17] |
1996년 3월 28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홍천 나들목 ~ 춘천 구간의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 |
1996년 6월 4일 | 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영주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60.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8] |
1996년 6월 28일 | 대저 분기점 ~ 대동 분기점 7.0km 구간 개통[19]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으로 변경. 부산 ~ 대구고속도로의 기점을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종점을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으로 변경.[20] |
1996년 7월 26일 | 2001년 12월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삼랑진 ~ 대동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22.7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1] |
1996년 12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원주 ~ 홍천 구간 신설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신평리 ~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42.6km 구간을 42.3km로 도로구역 변경[22] |
1997년 2월 13일 | 2000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제천 ~ 원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중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금창리 ~ 판부면 금대리 3.035km 구간을 2.881km로 도로구역 변경[23] |
1997년 3월 5일 | 1998년 12월까지 낙동강교 건설 공사를 위해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772m 구간 도로구역 변경[24] |
1997년 6월 10일 | 1999년 12월까지 동명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5] |
1997년 6월 23일 | 2000년 5월까지 춘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 동내면 사암리 8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
1998년 3월 14일 | 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삼성리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34.06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7] |
1998년 6월 10일 | 2000년 12월까지 신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 신림리 구간[28], 서제천 나들목 개량 및 국도 제5호선 이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 봉양읍 장평리 구간[29], 춘천 종점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 동내면 신촌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30] |
1998년 6월 27일 | 2002년 12월까지 단양군 단성면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두음리 ~ 단성면 상방리 3.18km 구간을 3.204km로[31], 영주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파지리 ~ 안정면 묵리 1.06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7월 2일 | 2002년 12월까지 제천휴게소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 봉양읍 삼거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32] |
1998년 9월 15일 | 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 삼랑진읍 미전리 9.4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3] |
1998년 11월 7일 | 2001년까지 남원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
1999년 1월 12일 | 죽령터널 연장을 4,130m에서 4,520m로 조정[35] |
1999년 7월 1일 | 삼락 나들목 ~ 대저 나들목(강서낙동강교) 1.6km 구간 개통[36] |
1999년 9월 16일 | 남안동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16.5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서안동 나들목 ~ 영주 나들목 25.5km 구간 신설 개통[37] |
2000년 6월 1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64.9km 구간[39],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9.5km 구간,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7.6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6.2km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40] |
2001년 8월 17일 | 만종 분기점 ~ 홍천 나들목 42.5km 구간 개통[41] |
2001년 8월 25일 | 기존 부산 ~ 대구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14호에서 제55호로 변경.[42] |
2001년 9월 14일 | 서제천 나들목이 제천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1년 12월 14일 | 풍기 나들목 ~ 제천 나들목 51.2km 구간 개통.[43] |
2002년 4월 8일 | 2006년 2월까지 경산 나들목 진출입로 평면 접속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4] |
2002년 12월 5일 |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으로 변경[45] |
2003년 2월 24일 | 2003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 ~ 석우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2004년 4월 3일 | 2006년 2월까지 북밀양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2004년 5월 17일 | 2006년 2월까지 대동 요금소 설치, 동대구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 및 대구 요금소 설치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8] |
2005년 5월 14일 | 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자구간 건설 사업시행기간을 2006년 2월로 연기[49] |
2006년 2월 15일 | 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변경[50] |
2008년 5월 19일 | 2009년까지 춘천 요금소 이전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 사암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53] |
2009년 1월 14일 | 초정 나들목 개통 |
2009년 6월 18일 | 춘천 요금소를 동산면 조양리에서 동내면 사암리로 이전[56] |
2009년 6월 23일 | 2010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 ~ 천평리 1.9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7][58] |
2009년 7월 15일 | 춘천 분기점 개통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삼락 나들목부터 춘천 나들목까지 370.85km 구간을 중앙고속도로로 고시[60] |
2013년 8월 20일 | 청도휴게소가 청도새마을휴게소로 명칭 변경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명시,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서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으로 변경[61] |
2015년 6월 30일 | 제천 분기점 개통 |
2016년 11월 11일 |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김해부산 요금소와 대구 요금소 철거, 신평 분기점 개통 |
2016년 12월 26일 | 안동 분기점 개통 |
2017년 6월 28일 | 군위 분기점 개통 |
2018년 2월 7일 | 대감 분기점 개통 |
2019년 9월 24일 | 단양휴게소가 단양팔경휴게소로 명칭 변경[63] |
2019년 9월 26일 | 2020년 12월 31일까지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에 졸음쉼터 설치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4] |
2020년 12월 11일 | 밀양 분기점 개통 |
2022년 3월 31일 | 동명동호 분기점 개통 |
2. 1. 중앙고속도로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대동 분기점에서 지선이 분기하고, 동대구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며, 금호 분기점에서 본선으로 진입하여 경상북도, 충청북도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지선 고속도로는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 18.2km 구간을 잇는 '''중앙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551호선)이 있다.[1]시멘트의 주요 생산지인 강원도 남부와 충청북도 북동부 지역은 많은 물동량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이 타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대구에서 춘천까지 잇는 중앙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2] 이 고속도로는 경남, 경북 중동부, 경상북도 북부, 충청북도 동북부,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에 고속도로 혜택을 주고,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대동 분기점~대구광역시 동대구 분기점 구간은 민간투자고속도로로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며,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경영을 맡고 있다. 개통 초기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공업·관광 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대구-부산 구간이 경부선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와 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승용차보다 운수 및 화물차량이 더 많이 통행하고 있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1989년, 철도 중앙선이 지나는 원주, 제천, 안동 등을 포함하여 춘천에서 대구까지 잇는 고속도로로 지정된 고속국도 14호 중앙고속도로에서 시작된 노선이다. 개통 초기에는 임시 2차선 구간이 있었지만, 2000년까지 4차선으로 확장하는 사업이 진행되어 현재는 전 구간 4차선 이상이다.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까지의 구간은, 원래 별도의 계획인 1992년 지정 고속국도 19호 부산대구고속도로로, 경주나 울산 방면으로 우회하는 경부고속도로 대신 철도 경부선처럼 밀양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계획된 구간이다. 사업화 당시 국가 예산이 아닌 민간 자본 투입 방침이 결정된 노선이었으며, 이 구간은 중앙고속도로에 통합된 후에도 한국도로공사가 아닌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관할한다. 이 구간은 2001년 노선 지정 방식 및 번호 변경 이후 중앙고속도로와 통합[1]되어 현재에 이른다.
지선으로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의 중앙고속도로 지선을 가지고 있다. 이 지선은 2001년 통합 이전에는 중앙고속도로가 아닌 부산대구고속도로의 지선이었으나, 통합 이후 중앙고속도로의 지선이 되었다.

2. 2. 대구-부산 고속도로 (민자구간)
대구부산고속도로한국어(大邱釜山高速道路)는 중앙고속도로의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을 달리 부르는 명칭이다.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경영을 맡고 있는 민간투자고속도로이다. 개통 초기 홍보 광고에서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대구 - 부산 구간이 경부선의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게 되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와 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승용차보다 운수차량 및 화물차량이 더 많이 통행하고 있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 2000년 2월 25일: 대구 ~ 대동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고시[38]
- 2001년 2월 12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자구간) 착공
- 2006년 1월 25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자구간) 82.05km 개통[51] 및 경부고속도로의 동대구 나들목이 중앙고속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 동대구 나들목은 동대구 분기점으로 변경됨.
- 2007년 11월 8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52]
- 2009년 5월 27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54]
- 2009년 6월 1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55]
- 2010년 9월 1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59]
- 2016년 9월 1일: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62]
- 2016년 11월 11일: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김해부산 요금소와 대구 요금소 철거
2006년 2월에 총 1조원이 조금 넘는 비용으로 공사가 완료되었다.[49][50] 이 프로젝트는 현대산업개발(I-Park)이 감독했으며, "I-Way"라는 이름으로 홍보했다. 호주의 맥쿼리은행이 운영하는 한국도로공사(Korean Road Infrastructure Fund)의 대출을 통해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자금 조달 기간은 30년이다.
길이는 82.05km에 4차선이며, 제한 속도는 시속 110km이다.
3. 구성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대동 분기점에서 지선이 분기하고, 동대구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며, 금호 분기점에서 본선으로 진입하여 경상북도, 충청북도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지선 고속도로는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 18.2km 구간을 잇는 '''중앙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551호선)이 있다.[2]
시멘트 주요 생산지인 강원도 남부와 충청북도 북동부 지역은 많은 물동량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이 타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대구에서 춘천까지 이어지는 중앙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2] 이 도로는 경남, 경북 중동부, 경상북도 북부, 충청북도 동북부,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에 고속도로 혜택을 주고,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 및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대동 분기점~대구광역시 동대구 분기점 구간은 민간투자고속도로로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며,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경영을 맡고 있다. 개통 초기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공업·관광 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대구-부산 구간이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게 되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와 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승용차보다 운수 및 화물차량이 더 많이 통행하고 있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1989년, 중앙선이 지나는 원주, 제천, 안동 등을 포함하여 춘천에서 대구까지 잇는 고속국도 14호 중앙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임시 2차선 구간이 있었지만, 2000년까지 4차선으로 확장하여 현재는 전 구간 4차선 이상이다.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까지의 구간은, 1992년 지정된 고속국도 19호 부산대구고속도로로, 경부고속도로 대신 경부선처럼 밀양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민간 자본 투입으로 사업화되었으며, 중앙고속도로에 통합된 후에도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관할한다. 이 구간은 2001년 노선 지정 방식 및 번호 체계 변경 이후 중앙고속도로와 통합[1]되었다.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의 중앙고속도로 지선은 2001년 통합 이전에는 부산대구고속도로의 지선이었으나, 통합 이후 중앙고속도로의 지선이 되었다.
- 기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삼락IC)
-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석사동 (춘천IC)
- 총연장: 388.1 km
- * 시설연장: 370.8 km (경부고속도로와 공용구간 17.3 km 제외)
- 관리
- * 한국도로공사 (대동JCT~동대구JCT 구간 제외)
- *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대동JCT~동대구JCT)
- 차선 수: 전 구간 4차선 (공용구간 제외)
- * 일부 혼잡 구간은 갓길을 차선으로 활용하는 LCS(차로제어시스템)가 있다.
'''24시간 교통량'''(대)
구간 | 1995년 | 2000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20년 | 2022년 |
---|---|---|---|---|---|---|---|
삼락IC - 대저분기점 | 미개통 | 데이터 없음 | 57,501 | 66,359 | 61,372 | 59,474 | 64,893 |
대저분기점 - 초정IC | 81,023 | 103,415 | 61,385 | 73,274 | 71,436 | ||
초정IC - 대감분기점 | 83,632 | 99,450 | 110,492 | ||||
대감분기점 - 대동분기점 | 84,783 | 98,224 | |||||
대동분기점 - 상동IC | 미개통 | 43,025 | 52,923 | 42,588 | 49,637 | ||
상동IC - 삼랑진IC | 33,331 | 42,338 | 38,161 | 43,292 | |||
삼랑진IC - 남밀양IC | 33,681 | 44,731 | 41,612 | 46,905 | |||
남밀양IC - 밀양IC | 33,162 | 44,085 | 40,702 | 46,305 | |||
밀양IC - 청도IC | 30,400 | 40,363 | 38,493 | 47,309 | |||
청도IC - 수성IC | 31,246 | 39,067 | 34,579 | 44,966 | |||
수성IC - 동대구IC | 40,499 | 50,757 | 52,280 | 61,066 | |||
동대구IC - 동대구분기점 | 62,348 | 93,171 | 81,697 | 83,697 | |||
금호분기점 - 칠곡IC | 42,458 | 43,933 | 40,745 | 50,803 | 58,185 | 60,701 | 49,606 |
칠곡IC - 동명동호분기점 | 19,865 | 28,887 | 34,852 | 43,575 | 49,902 | 49,756 | 42,884 |
동명동호분기점 - 다부IC | 57,341 | ||||||
다부IC - 가산IC | 19,174 | 27,223 | 33,692 | 40,974 | 48,232 | 52,318 | 54,605 |
가산IC - 군위분기점 | 14,509 | 19,572 | 24,251 | 28,996 | 32,911 | 37,998 | 43,621 |
군위분기점 - 군위IC | 44,383 | 47,332 | |||||
군위IC - 의성IC | 12,410 | 17,567 | 21,539 | 24,650 | 29,015 | 40,292 | 43,483 |
의성IC - 안동분기점 | 8,630 | 13,846 | 18,029 | 20,595 | 24,735 | 29,474 | 39,748 |
안동분기점 - 남안동IC | 32,029 | 31,735 | |||||
남안동IC - 서안동IC | 5,286 | 8,567 | 14,736 | 14,378 | 17,208 | 22,806 | 25,908 |
서안동IC - 예천IC | 미개통 | 6,948 | 13,352 | 14,243 | 16,604 | 15,977 | 22,694 |
예천IC - 영주IC | 6,007 | 12,631 | 13,862 | 18,121 | 20,470 | 22,358 | |
영주IC - 풍기IC | 2,965 | 9,727 | 13,798 | 13,564 | 15,169 | 18,126 | |
풍기IC - 단양IC | 미개통 | 12,106 | 14,642 | 18,761 | 22,255 | 23,199 | |
단양IC - 북단양IC | 12,058 | 13,859 | 17,778 | 19,405 | 21,288 | ||
북단양IC - 남제천IC | 12,095 | 14,198 | 21,899 | 23,044 | 25,500 | ||
남제천IC - 제천분기점 | 12,051 | 13,778 | 19,633 | 22,647 | 23,614 | ||
제천분기점 - 제천IC | 16,759 | 17,766 | |||||
제천IC - 신림IC | 데이터 없음 | 데이터 없음 | 12,265 | 20,064 | 23,749 | 30,794 | 35,433 |
신림IC - 남원주IC | 21,171 | 22,279 | 31,121 | 30,660 | 35,099 | ||
남원주IC - 만종분기점 | 21,632 | 20,784 | 28,995 | 35,637 | 46,298 | 45,889 | |
만종분기점 - 신평분기점 | 미개통 | 11,856 | 13,878 | 15,002 | 33,663 | 35,316 | |
신평분기점 - 북원주IC | 22,099 | 24,692 | |||||
북원주IC - 횡성IC | 12,428 | 14,745 | 15,638 | 20,587 | 25,721 | ||
횡성IC - 홍천IC | 12,021 | 15,590 | 17,542 | 19,488 | 24,014 | ||
홍천IC - 춘천분기점 | 데이터 없음 | 14,358 | 19,172 | 22,184 | 22,761 | 27,400 | |
춘천분기점 - 춘천IC | 25,010 | 27,842 | 37,475 | 34,231 | |||
3. 1. 차로 수
- 삼락 나들목 ~ 초정 나들목,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금호 분기점 ~ 춘천 분기점: 왕복 4차로
- 초정 나들목 ~ 대동 분기점: 왕복 6차로
- 동대구 분기점 ~ 금호 분기점: 왕복 8차로 (경부고속도로 중복 구간)
3. 2. 제한 속도
춘천 나들목 ~ 동대구 분기점, 대동 분기점 ~ 삼락 나들목 구간은 최고 속도 100km/h, 최저 속도 50km/h로 제한된다. 단, 춘천 방향 춘천휴게소 - 춘천 나들목 구간과 부산 방향 대동 분기점 - 대감 분기점 구간은 최고 100km/h, 최저 60km/h이며,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도 포함된다.[1] 동대구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은 최고 110km/h, 최저 70km/h이다.[1]구간 과속 단속은 다음과 같다.[1]
- 대구, 부산 방향: 죽령터널 - 수철교 5.6km, 다부 나들목 - 동명휴게소 4km (제한 속도 100km/h)
- 춘천 방향: 동명휴게소 - 다부 나들목 4km, 치악휴게소 - 금대4교 5.9km (제한 속도 100km/h)
3. 3. 구간 과속 단속
대구, 부산방향으로는 죽령터널 - 수철교 5.6km, 다부 나들목 - 동명휴게소 4km 구간에서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하고 있으며, 제한속도는 100km/h이다. 춘천방향으로는 동명휴게소 - 다부 나들목 4km, 치악휴게소 - 금대4교 5.9km 구간에서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하고 있으며, 제한속도는 100km/h이다.4. 주요 통과지
지역 | 구간 |
---|---|
부산광역시 | 사상구 (삼락동) - 강서구 (대저1동) |
경상남도 | 김해시 (대동면 - 상동면 - 생림면) - 밀양시 (삼랑진읍 - 상남면 - 가곡동 - 용평동 - 활성동 - 산외면 - 상동면) |
경상북도 | 청도군 (청도읍 - 화양읍) - 경산시 (남천면 - 옥곡동 - 사정동 - 옥산동) |
대구광역시 | 수성구 (욱수동 - 노변동 - 대흥동 - 시지동 - 가천동) - 동구 (율하동 - 용계동 - 신평동 - 부동 - 방촌동 - 둔산동 - 검사동 - 도동 - 봉무동 - 불로동) - 북구 (검단동 - 산격동 - 서변동 - 조야동 - 노곡동 - 팔달동 - 금호동 - 태전동 - 관음동 - 읍내동) |
경상북도 | 칠곡군 (동명면 - 가산면) - 구미시 (장천면) - 군위군 효령면 - 구미시 장천면- 군위군 군위읍 - 의성군 (봉양면 - 안평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풍산읍) - 예천군 (보문면 - 감천면) - 영주시 (장수면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
충청북도 | 단양군 (대강면 - 단성면 - 적성면) - 제천시 (금성면 - 봉양읍) |
강원특별자치도 | 원주시 (신림면 - 판부면 - 관설동 - 단구동- 판부면 - 무실동 - 호저면 - 지정면 - 호저면) - 횡성군 (횡성읍 - 공근면) - 홍천군 (동면 - 홍천읍 - 북방면) - 춘천시 (동산면 - 동내면 - 석사동) |
5. 나들목 · 분기점
거리 (km)
거리 (km)
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