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1989년 고속국도로 지정되어 여러 단계를 거쳐 개통되었으며, 부산-대구 구간은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한다. 총 연장은 388.10km이며, 삼락 나들목에서 춘천 나들목까지 중앙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통과 지역은 부산, 김해, 밀양, 청도, 경산, 대구, 칠곡, 군위, 의성, 안동, 예천, 영주, 단양, 제천, 원주, 횡성, 홍천, 춘천 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횡성군의 도로 - 영서로
    영서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홍천군, 춘천시, 화천군, 철원군을 연결하는 도로로, 부분적인 개통과 확장을 거쳐 2009년 8월 7일에 2개 이상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으며, 주요 시설 및 건물이 이 도로를 따라 위치한다.
  • 횡성군의 도로 - 서동로
    서동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서 동해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1976년부터 여러 구간이 개통되었고, 2개 이상의 시·군에 걸쳐 있으며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도 포함한다.
  • 청도군의 도로 - 새마을로 (밀양 경산)
    새마을로(새마을길)는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에서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을 잇는 도로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으며 국도 제25호선 및 국도 제58호선과 중첩되는 구간을 포함하고 남성현터널과 청도 나들목을 지난다.
  • 청도군의 도로 - 청려로
    청려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단석로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고암성산대로와 직결되고 국도 제20호선 구간을 포함하며, 곰티재터널을 통해 청도군 내 교통 편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 단양군의 도로 - 단양로
    단양로는 충청북도 단양군과 제천시를 연결하며 중앙고속도로와 이어지는 국도 제5호선 및 국도 제36호선과 겹치는 구간을 포함하고 죽령로와 직결되는 도로이다.
  • 단양군의 도로 - 죽령로
    죽령로는 경상북도 영주시와 충청북도 단양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5호선 및 국도 제36호선의 일부로, 영주시 가흥동에서 시작하여 단양군 대강면을 지나 단양로와 이어지며, 영주시 가흥동에서 안정면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고 죽령 구간은 해발 696m에 위치한다.
중앙고속도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번호55
노선명중앙고속도로
로마자 표기Jungang Gosok Doro
노선 종류고속국도
노선 방향남북
개통일1994년 12월 12일
총 길이388.1 km (경부고속도로 공용 구간 포함)
별칭Jungang Expressway
주요 경유 도시
경유 도시안동시
영주시
제천시
원주시
기점 및 종점
남쪽 기점부산광역시사상구 [[파일:Korea Urban Expwy No.33.svg|20px]] 관문대로
북쪽 종점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 [[파일:Korea National Route No.5.svg|20px]] 국도 5호선
이미지
중앙고속도로 노선도
중앙고속도로 노선도
기타 정보

2. 역사

날짜내용
1989년 10월 20일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중앙고속도로(중앙선)으로 지정[3]
1989년 12월 14일중앙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조암동 99.638km 구간과 충청북도 제원군 봉양면 강평리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106.23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5]
1992년 4월 29일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9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부산 ~ 대구선)으로 지정[6]
1992년 5월 18일부산 ~ 대구고속도로 대동 ~ 김해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월촌리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7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1992년 6월 9일춘천 나들목 건설을 위해 강원도 춘성군 동내면 사암리 ~ 신촌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1992년 11월 12일중앙고속도로 예천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작곡리 ~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장평리 73.74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1992년 12월 31일중앙고속도로 설계 변경(왕복 2차선 → 4차선)으로 인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읍 87.48km 구간,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 강원도 원주군 지정면 38.7km 구간,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 춘천시 석사동 26.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1994년 4월 28일1996년 12월까지 낙동대교 건설을 위해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08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1994년 10월 21일홍천 나들목 설계 변경으로 인해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7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2]
1994년 12월 15일금호 분기점 ~ 칠곡 나들목 6.1km 구간, 만종 분기점 ~ 남원주 나들목 6.2km 구간 개통.[13]
1995년 2월 18일부산 ~ 대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 경상북도 경산군 남천면 삼성리 19.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4]
1995년 6월 12일2001년 12월까지 안동 ~ 영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동 ~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2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1995년 8월 29일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79.8km 구간[16],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0.1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5.2km 구간 왕복 2차로 (왕복 4차로 확장을 대비한 형태) 개통.[17]
1996년 3월 28일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홍천 나들목 ~ 춘천 구간의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
1996년 6월 4일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영주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60.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8]
1996년 6월 28일대저 분기점 ~ 대동 분기점 7.0km 구간 개통[19]
1996년 7월 1일기점을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으로 변경. 부산 ~ 대구고속도로의 기점을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종점을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으로 변경.[20]
1996년 7월 26일2001년 12월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삼랑진 ~ 대동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22.7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1]
1996년 12월 7일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원주 ~ 홍천 구간 신설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신평리 ~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42.6km 구간을 42.3km로 도로구역 변경[22]
1997년 2월 13일2000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제천 ~ 원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중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금창리 ~ 판부면 금대리 3.035km 구간을 2.881km로 도로구역 변경[23]
1997년 3월 5일1998년 12월까지 낙동강교 건설 공사를 위해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772m 구간 도로구역 변경[24]
1997년 6월 10일1999년 12월까지 동명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5]
1997년 6월 23일2000년 5월까지 춘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 동내면 사암리 8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1998년 3월 14일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삼성리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34.06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7]
1998년 6월 10일2000년 12월까지 신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 신림리 구간[28], 서제천 나들목 개량 및 국도 제5호선 이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 봉양읍 장평리 구간[29], 춘천 종점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 동내면 신촌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30]
1998년 6월 27일2002년 12월까지 단양군 단성면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두음리 ~ 단성면 상방리 3.18km 구간을 3.204km로[31], 영주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파지리 ~ 안정면 묵리 1.06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7월 2일2002년 12월까지 제천휴게소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 봉양읍 삼거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32]
1998년 9월 15일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 삼랑진읍 미전리 9.4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3]
1998년 11월 7일2001년까지 남원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1999년 1월 12일죽령터널 연장을 4,130m에서 4,520m로 조정[35]
1999년 7월 1일삼락 나들목 ~ 대저 나들목(강서낙동강교) 1.6km 구간 개통[36]
1999년 9월 16일남안동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16.5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서안동 나들목 ~ 영주 나들목 25.5km 구간 신설 개통[37]
2000년 6월 1일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64.9km 구간[39],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9.5km 구간,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7.6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6.2km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40]
2001년 8월 17일만종 분기점 ~ 홍천 나들목 42.5km 구간 개통[41]
2001년 8월 25일기존 부산 ~ 대구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14호에서 제55호로 변경.[42]
2001년 9월 14일서제천 나들목이 제천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2001년 12월 14일풍기 나들목 ~ 제천 나들목 51.2km 구간 개통.[43]
2002년 4월 8일2006년 2월까지 경산 나들목 진출입로 평면 접속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4]
2002년 12월 5일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으로 변경[45]
2003년 2월 24일2003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 ~ 석우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2004년 4월 3일2006년 2월까지 북밀양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2004년 5월 17일2006년 2월까지 대동 요금소 설치, 동대구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 및 대구 요금소 설치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8]
2005년 5월 14일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자구간 건설 사업시행기간을 2006년 2월로 연기[49]
2006년 2월 15일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변경[50]
2008년 5월 19일2009년까지 춘천 요금소 이전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 사암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53]
2009년 1월 14일초정 나들목 개통
2009년 6월 18일춘천 요금소를 동산면 조양리에서 동내면 사암리로 이전[56]
2009년 6월 23일2010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 ~ 천평리 1.9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7][58]
2009년 7월 15일춘천 분기점 개통
2010년 12월 28일도로명주소에 삼락 나들목부터 춘천 나들목까지 370.85km 구간을 중앙고속도로로 고시[60]
2013년 8월 20일청도휴게소가 청도새마을휴게소로 명칭 변경
2015년 3월 27일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명시,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서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으로 변경[61]
2015년 6월 30일제천 분기점 개통
2016년 11월 11일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김해부산 요금소대구 요금소 철거, 신평 분기점 개통
2016년 12월 26일안동 분기점 개통
2017년 6월 28일군위 분기점 개통
2018년 2월 7일대감 분기점 개통
2019년 9월 24일단양휴게소가 단양팔경휴게소로 명칭 변경[63]
2019년 9월 26일2020년 12월 31일까지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에 졸음쉼터 설치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4]
2020년 12월 11일밀양 분기점 개통
2022년 3월 31일동명동호 분기점 개통


2. 1. 중앙고속도로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대동 분기점에서 지선이 분기하고, 동대구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며, 금호 분기점에서 본선으로 진입하여 경상북도, 충청북도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지선 고속도로는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 18.2km 구간을 잇는 '''중앙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551호선)이 있다.[1]

시멘트의 주요 생산지인 강원도 남부와 충청북도 북동부 지역은 많은 물동량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이 타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대구에서 춘천까지 잇는 중앙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2] 이 고속도로는 경남, 경북 중동부, 경상북도 북부, 충청북도 동북부,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에 고속도로 혜택을 주고,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대동 분기점~대구광역시 동대구 분기점 구간은 민간투자고속도로로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며,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경영을 맡고 있다. 개통 초기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공업·관광 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대구-부산 구간이 경부선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승용차보다 운수 및 화물차량이 더 많이 통행하고 있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1989년, 철도 중앙선이 지나는 원주, 제천, 안동 등을 포함하여 춘천에서 대구까지 잇는 고속도로로 지정된 고속국도 14호 중앙고속도로에서 시작된 노선이다. 개통 초기에는 임시 2차선 구간이 있었지만, 2000년까지 4차선으로 확장하는 사업이 진행되어 현재는 전 구간 4차선 이상이다.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까지의 구간은, 원래 별도의 계획인 1992년 지정 고속국도 19호 부산대구고속도로로, 경주나 울산 방면으로 우회하는 경부고속도로 대신 철도 경부선처럼 밀양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계획된 구간이다. 사업화 당시 국가 예산이 아닌 민간 자본 투입 방침이 결정된 노선이었으며, 이 구간은 중앙고속도로에 통합된 후에도 한국도로공사가 아닌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관할한다. 이 구간은 2001년 노선 지정 방식 및 번호 변경 이후 중앙고속도로와 통합[1]되어 현재에 이른다.

지선으로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의 중앙고속도로 지선을 가지고 있다. 이 지선은 2001년 통합 이전에는 중앙고속도로가 아닌 부산대구고속도로의 지선이었으나, 통합 이후 중앙고속도로의 지선이 되었다.

횡성 나들목 표지판

2. 2. 대구-부산 고속도로 (민자구간)

대구부산고속도로한국어(大邱釜山高速道路)는 중앙고속도로의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을 달리 부르는 명칭이다.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경영을 맡고 있는 민간투자고속도로이다. 개통 초기 홍보 광고에서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대구 - 부산 구간이 경부선의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게 되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승용차보다 운수차량 및 화물차량이 더 많이 통행하고 있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2006년 2월에 총 1조이 조금 넘는 비용으로 공사가 완료되었다.[49][50] 이 프로젝트는 현대산업개발(I-Park)이 감독했으며, "I-Way"라는 이름으로 홍보했다. 호주의 맥쿼리은행이 운영하는 한국도로공사(Korean Road Infrastructure Fund)의 대출을 통해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자금 조달 기간은 30년이다.

길이는 82.05km에 4차선이며, 제한 속도는 시속 110km이다.

3. 구성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대동 분기점에서 지선이 분기하고, 동대구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며, 금호 분기점에서 본선으로 진입하여 경상북도, 충청북도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지선 고속도로는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 18.2km 구간을 잇는 '''중앙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551호선)이 있다.[2]

시멘트 주요 생산지인 강원도 남부와 충청북도 북동부 지역은 많은 물동량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이 타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대구에서 춘천까지 이어지는 중앙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2] 이 도로는 경남, 경북 중동부, 경상북도 북부, 충청북도 동북부,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에 고속도로 혜택을 주고,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 및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대동 분기점~대구광역시 동대구 분기점 구간은 민간투자고속도로로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며,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경영을 맡고 있다. 개통 초기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공업·관광 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대구-부산 구간이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게 되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승용차보다 운수 및 화물차량이 더 많이 통행하고 있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1989년, 중앙선이 지나는 원주, 제천, 안동 등을 포함하여 춘천에서 대구까지 잇는 고속국도 14호 중앙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임시 2차선 구간이 있었지만, 2000년까지 4차선으로 확장하여 현재는 전 구간 4차선 이상이다.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까지의 구간은, 1992년 지정된 고속국도 19호 부산대구고속도로로, 경부고속도로 대신 경부선처럼 밀양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민간 자본 투입으로 사업화되었으며, 중앙고속도로에 통합된 후에도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관할한다. 이 구간은 2001년 노선 지정 방식 및 번호 체계 변경 이후 중앙고속도로와 통합[1]되었다.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까지의 중앙고속도로 지선은 2001년 통합 이전에는 부산대구고속도로의 지선이었으나, 통합 이후 중앙고속도로의 지선이 되었다.


  • 기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삼락IC)
  •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석사동 (춘천IC)
  • 총연장: 388.1 km
  • * 시설연장: 370.8 km (경부고속도로와 공용구간 17.3 km 제외)
  • 관리
  • * 한국도로공사 (대동JCT~동대구JCT 구간 제외)
  • *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대동JCT~동대구JCT)
  • 차선 수: 전 구간 4차선 (공용구간 제외)
  • * 일부 혼잡 구간은 갓길을 차선으로 활용하는 LCS(차로제어시스템)가 있다.


'''24시간 교통량'''(대)

구간1995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삼락IC - 대저분기점미개통데이터
없음
57,50166,35961,37259,47464,893
대저분기점 - 초정IC81,023103,41561,38573,27471,436
초정IC - 대감분기점83,63299,450110,492
대감분기점 - 대동분기점84,78398,224
대동분기점 - 상동IC미개통43,02552,92342,58849,637
상동IC - 삼랑진IC33,33142,33838,16143,292
삼랑진IC - 남밀양IC33,68144,73141,61246,905
남밀양IC - 밀양IC33,16244,08540,70246,305
밀양IC - 청도IC30,40040,36338,49347,309
청도IC - 수성IC31,24639,06734,57944,966
수성IC - 동대구IC40,49950,75752,28061,066
동대구IC - 동대구분기점62,34893,17181,69783,697
금호분기점 - 칠곡IC42,45843,93340,74550,80358,18560,70149,606
칠곡IC - 동명동호분기점19,86528,88734,85243,57549,90249,75642,884
동명동호분기점 - 다부IC57,341
다부IC - 가산IC19,17427,22333,69240,97448,23252,31854,605
가산IC - 군위분기점14,50919,57224,25128,99632,91137,99843,621
군위분기점 - 군위IC44,38347,332
군위IC - 의성IC12,41017,56721,53924,65029,01540,29243,483
의성IC - 안동분기점8,63013,84618,02920,59524,73529,47439,748
안동분기점 - 남안동IC32,02931,735
남안동IC - 서안동IC5,2868,56714,73614,37817,20822,80625,908
서안동IC - 예천IC미개통6,94813,35214,24316,60415,97722,694
예천IC - 영주IC6,00712,63113,86218,12120,47022,358
영주IC - 풍기IC2,9659,72713,79813,56415,16918,126
풍기IC - 단양IC미개통12,10614,64218,76122,25523,199
단양IC - 북단양IC12,05813,85917,77819,40521,288
북단양IC - 남제천IC12,09514,19821,89923,04425,500
남제천IC - 제천분기점12,05113,77819,63322,64723,614
제천분기점 - 제천IC16,75917,766
제천IC - 신림IC데이터
없음
데이터
없음
12,26520,06423,74930,79435,433
신림IC - 남원주IC21,17122,27931,12130,66035,099
남원주IC - 만종분기점21,63220,78428,99535,63746,29845,889
만종분기점 - 신평분기점미개통11,85613,87815,00233,66335,316
신평분기점 - 북원주IC22,09924,692
북원주IC - 횡성IC12,42814,74515,63820,58725,721
횡성IC - 홍천IC12,02115,59017,54219,48824,014
홍천IC - 춘천분기점데이터 없음14,35819,17222,18422,76127,400
춘천분기점 - 춘천IC25,01027,84237,47534,231


3. 1. 차로 수

3. 2. 제한 속도

춘천 나들목 ~ 동대구 분기점, 대동 분기점 ~ 삼락 나들목 구간은 최고 속도 100km/h, 최저 속도 50km/h로 제한된다. 단, 춘천 방향 춘천휴게소 - 춘천 나들목 구간과 부산 방향 대동 분기점 - 대감 분기점 구간은 최고 100km/h, 최저 60km/h이며,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도 포함된다.[1] 동대구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은 최고 110km/h, 최저 70km/h이다.[1]

구간 과속 단속은 다음과 같다.[1]

  • 대구, 부산 방향: 죽령터널 - 수철교 5.6km, 다부 나들목 - 동명휴게소 4km (제한 속도 100km/h)
  • 춘천 방향: 동명휴게소 - 다부 나들목 4km, 치악휴게소 - 금대4교 5.9km (제한 속도 100km/h)

3. 3. 구간 과속 단속

대구, 부산방향으로는 죽령터널 - 수철교 5.6km, 다부 나들목 - 동명휴게소 4km 구간에서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하고 있으며, 제한속도는 100km/h이다. 춘천방향으로는 동명휴게소 - 다부 나들목 4km, 치악휴게소 - 금대4교 5.9km 구간에서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하고 있으며, 제한속도는 100km/h이다.

4. 주요 통과지

지역구간
부산광역시사상구 (삼락동) - 강서구 (대저1동)
경상남도김해시 (대동면 - 상동면 - 생림면) - 밀양시 (삼랑진읍 - 상남면 - 가곡동 - 용평동 - 활성동 - 산외면 - 상동면)
경상북도청도군 (청도읍 - 화양읍) - 경산시 (남천면 - 옥곡동 - 사정동 - 옥산동)
대구광역시수성구 (욱수동 - 노변동 - 대흥동 - 시지동 - 가천동) - 동구 (율하동 - 용계동 - 신평동 - 부동 - 방촌동 - 둔산동 - 검사동 - 도동 - 봉무동 - 불로동) - 북구 (검단동 - 산격동 - 서변동 - 조야동 - 노곡동 - 팔달동 - 금호동 - 태전동 - 관음동 - 읍내동)
경상북도칠곡군 (동명면 - 가산면) - 구미시 (장천면) - 군위군 효령면 - 구미시 장천면- 군위군 군위읍 - 의성군 (봉양면 - 안평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풍산읍) - 예천군 (보문면 - 감천면) - 영주시 (장수면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충청북도단양군 (대강면 - 단성면 - 적성면) - 제천시 (금성면 - 봉양읍)
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 (신림면 - 판부면 - 관설동 - 단구동- 판부면 - 무실동 - 호저면 - 지정면 - 호저면) - 횡성군 (횡성읍 - 공근면) - 홍천군 (동면 - 홍천읍 - 북방면) - 춘천시 (동산면 - 동내면 - 석사동)


5. 나들목 · 분기점

거리 (km)누적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관문대로와 직결부산기점-0.00부산광역시사상구1삼락Samnak0.200.20부산광역시도 제31호선 (공항로), 부산광역시도 제33호선 (관문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강변대로), 체육공원로강서구2대저 분기점Daejeo JC2.943.1410호선 남해고속도로, 국도 제14호선 (낙동북로), 부산광역시도 제31호선 (공항로),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낙동북로), 체육공원로나들목 역할 병행, 춘천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부산방향) 진출 불가능2-1초정Chojeong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서낙동로),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서낙동로)경상남도김해시춘천방향 진입과 부산방향 진출만 가능2-2대동Daedong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대동로)부산방향 진입, 춘천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대동 요금소Daedong TG2-3대감 분기점Daegam JC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3대동 분기점Daedong JC6.9810.12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춘천방향의 경우 중앙고속도로지선(김해방향) 진출 불가능4상동Sangdong6.6416.76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상동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동북로)5삼랑진Samnangjin15.2932.05국도 제58호선 (삼랑진로), 지방도 제1022호선 (삼랑진로·천태로)밀양시6남밀양S.Miryang7.5639.61국도 제25호선 (밀양대로)7밀양Miryang6.0345.64국도 제24호선 (밀양대로), 국도 제25호선 (밀양대로·상동로)7-1밀양 분기점Miryang JC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SA청도새마을휴게소Cheongdo Saemaeul SA경상북도청도군양방향[65]8청도Cheongdo18.0363.67국도 제20호선 (청려로), 국도 제25호선 (새마을로)9수성Suseong22.3085.97국도 제25호선 (달구벌대로), 대구광역시도 제40호선 (달구벌대로), 월드컵로대구광역시수성구10동대구E.Daegu3.6089.57국도 제4호선 (화랑로)동구11동대구 분기점E.Daegu JC2.6092.171호선 경부고속도로, 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상매 분기점과 연계, 부산방향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진출 불가, 부산방향 직진 시 경부고속도로와 직결12도동 분기점Dodong JC20호선 새만금포항고속도로새만금포항고속도로 팔공산 나들목과 연계13북대구N.Daegu국도 제4호선 (노원로), 국도 제25호선 (노원로),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 (신천대로), 대구광역시도 제12호선 (서변남로)북구14금호 분기점Geumho JC16.33108.501호선 경부고속도로, 451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춘천방향 직진 시 경부고속도로와 직결, 부산방향 직진 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직결15칠곡Chilgok4.78113.28국도 제4호선 (태전로), 국도 제5호선 (칠곡중앙대로), 국도 제25호선 (칠곡중앙대로), 관음로·구암로15-1동명동호 분기점Dongmyeong-Dongho JC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호국로)경상북도칠곡군나들목 겸 분기점, 춘천방향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진출 불가SA동명휴게소Dongmyeong SA양방향16다부Dabu13.90127.18국도 제5호선 (경북대로), 국도 제25호선 (경북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호국로·다부원1길), 지방도 제923호선 (호국로·다부원1길)17가산Gasan6.28133.46국도 제5호선 (경북대로), 국도 제25호선 (낙동대로·송신로)17-1군위 분기점Gunwi JC141.2301호선 영천상주고속도로대구광역시군위군18군위Gunwi12.11145.57국도 제5호선 (경북대로), 국도 제67호선 (장천로)SA군위휴게소Gunwi SA양방향19의성Uiseong11.00156.57국도 제5호선 (경북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경북대로)경상북도의성군20안동 분기점Andong JC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안동시21남안동S.Andong22.73179.30지방도 제914호선 (풍일로)SA안동휴게소Andong SA양방향22서안동W.Andong15.00194.30국도 제34호선 (경서로)23예천Yecheon13.30207.60지방도 제928호선 (보문로)예천군24영주Yeongju12.10219.70국도 제28호선 (예영로), 장수로·충효로영주시SA영주휴게소Yeongju SA양방향(임시 휴게소), (양방향 주유소 없음)25풍기Punggi10.20229.90국도 제5호선 (죽령로), 국도 제36호선 (죽령로), 지방도 제931호선 (소백로)26단양Danyang16.98246.88국도 제5호선 (단양로·죽령로), 국도 제36호선 (단양로·죽령로), 지방도 제927호선 (사인암로)충청북도단양군SA단양팔경휴게소Danyang Palgyeong SA양방향[66]27북단양N.Danyang14.19261.07지방도 제532호선 (적성로)28남제천S.Jecheon12.03273.10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청풍호로), 지방도 제532호선 (청풍호로)제천시춘천방향 진입 시 제천 분기점과 연계28-1제천 분기점Jecheon JC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SA제천휴게소Jecheon SA양방향(임시 휴게소), (양방향 주유소 없음)29제천Jecheon8.30281.40국도 제5호선 (북부로·제원로), 국도 제38호선 (북부로)구 서제천 나들목30신림Sillim12.82294.22국도 제5호선 (치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신림황둔로·치악로)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SA치악휴게소Chiak SA양방향31남원주S.Wonju18.58312.80국도 제19호선 (북원로)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32만종 분기점Manjong JC4.95317.7550호선 영동고속도로32-1신평 분기점Sinpyeong JC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양방향 모두 광주원주고속도로(원주방향) 진출 불가33북원주N.Wonju7.78325.53국도 제5호선 (북원로), 국도 제19호선 (북원로), 호저로SA원주휴게소Wonju SA양방향34횡성Hoengseong10.71336.24국도 제5호선 (경강로), 국도 제6호선 (경강로), 한우로횡성군35홍천Hongcheon25.59361.83국도 제44호선 (설악로)홍천군SA홍천강휴게소Hongcheongang SA춘천방향[67]36춘천 분기점Chuncheon JC11.29373.12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춘천시SA춘천휴게소Chuncheon SA양방향[68]TG춘천 요금소Chuncheon TG본선요금소37춘천Chuncheon12.88386.00국도 제5호선 (순환대로·영서로), 국도 제46호선 (순환대로)부산방향 진입과 춘천방향 진출만 가능춘천종점1.09387.09국도 제5호선 (순환대로·영서로)영서로와 직결


6. 터널

터널 이름소재지길이(m)준공 년도비고
상동1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매리5472006년춘천 방면
550부산 방면
상동2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대감리5202006년춘천 방면
용산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502006년부산 방면
무척산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2,0102006년춘천 방면
2,030부산 방면
생림1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리2922006년춘천 방면
240부산 방면
생림2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리5172006년춘천 방면
485부산 방면
삼랑진터널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7222006년춘천 방면
740부산 방면
가곡터널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3752006년춘천 방면
고정1터널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엄광리1,1472006년춘천 방면
1,118부산 방면
고정2터널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1,0602006년부산 방면
고정3터널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6552006년춘천 방면
청도1터널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5712006년춘천 방면
577부산 방면
청도2터널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1,5502006년춘천 방면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송금리부산 방면
남천터널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협석리8702006년춘천 방면
867부산 방면
금호터널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6701995년춘천 방면
660부산 방면
읍내터널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2801995년춘천 방면
2882000년부산 방면
다부터널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1,0411995년춘천 방면
1,0752000년부산 방면
가산터널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7651995년춘천 방면
7482000년부산 방면
장천터널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2101995년춘천 방면
2000년부산 방면
군위터널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4681995년춘천 방면
6102000년부산 방면
일직터널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3401995년춘천 방면
3262000년부산 방면
풍산터널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2001995년춘천 방면
2101999년부산 방면
보문터널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오암리8011999년춘천 방면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778부산 방면
봉현터널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두산리5322001년춘천 방면
533부산 방면
죽령터널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4,6002001년춘천 방면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부산 방면
단양터널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5002001년춘천 방면
465부산 방면
현곡터널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2202001년
적성터널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하리5602001년춘천 방면
616부산 방면
제천터널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포전리1,1902001년춘천 방면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원곡리1,150부산 방면
치악1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1931995년춘천 방면
치악2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1791995년춘천 방면
2982000년부산 방면
치악3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2981995년춘천 방면
3202000년부산 방면
치악4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1471995년춘천 방면
1512000년부산 방면
금대1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3241995년춘천 방면
3172000년부산 방면
금대2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2281995년춘천 방면
2132000년부산 방면
만종터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무실동4231995년춘천 방면
4342000년부산 방면
횡성터널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오산리4052001년춘천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학곡리367부산 방면
공근터널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매곡리6352001년춘천 방면
570부산 방면
삼마치터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월운리1,4362001년춘천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어둔리1,429부산 방면
남산터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장전평리8402001년춘천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삼현리797부산 방면
굴지터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북방면 굴지리7101995년춘천 방면
6482000년부산 방면
원무1터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봉명리4971995년춘천 방면
4982000년부산 방면
원무2터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8151995년춘천 방면
8082000년부산 방면
원창터널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2241995년춘천 방면
2742000년부산 방면


참조

[1] 법률 大韓民国の大統領令第22537号 高速道路路線指定令 http://www.law.go.kr[...] 2010-12-20
[2] 저널 중앙고속도로 건설현장 https://scienceon.ki[...] 1995
[3] 법률 대통령령 제128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9-10-20
[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737호 http://theme.archive[...] 1989-12-14
[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93호 http://theme.archive[...] 1997-09-06
[6] 법률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235호 http://theme.archive[...] 1992-05-18
[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283호 http://theme.archive[...] 1992-06-09
[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599호 http://theme.archive[...] 1992-11-12
[1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790호 http://theme.archive[...] 1992-12-31
[1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135호 http://theme.archive[...] 1994-04-28
[1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394호 http://theme.archive[...] 1994-10-21
[13]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994-301호 http://theme.archive[...] 1994-12-15
[1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51호 http://theme.archive[...] 1995-02-18
[1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94호 http://theme.archive[...] 1995-06-12
[16] 뉴스 중앙고속도로 칠곡 - 서안동 왕복 2차선 개통 http://imnews.imbc.c[...] 문화방송 1995-01-11
[17]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249호 http://theme.archive[...] 1995-08-26
[1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66호 http://theme.archive[...] 1996-06-04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189호 http://theme.archive[...] 1996-06-27
[20] 법률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2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46호 http://theme.archive[...] 1996-07-26
[2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2호 http://theme.archive[...] 1996-12-07
[2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9호 http://theme.archive[...] 1997-02-13
[2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67호 http://theme.archive[...] 1997-03-05
[2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86호 http://theme.archive[...] 1997-06-10
[2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96호 http://theme.archive[...] 1997-06-23
[2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81호 http://theme.archive[...] 1998-03-14
[2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0호 http://theme.archive[...] 1998-06-10
[2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1호 http://theme.archive[...] 1998-06-10
[3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4호 http://theme.archive[...] 1998-06-10
[3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95호 http://theme.archive[...] 1998-06-27
[3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07호 http://theme.archive[...] 1998-07-02
[3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00호 http://theme.archive[...] 1998-09-15
[3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60호 http://theme.archive[...] 1998-11-07
[3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호 http://theme.archive[...] 1999-01-12
[36]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15호 http://theme.archive[...] 1999-06-29
[37]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99호 http://theme.archive[...] 1999-09-15
[3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41호 http://theme.archive[...] 2000-02-25
[39] 뉴스 중앙고속도로 칠곡 - 서안동 - 풍기 4차선 개통 https://news.naver.c[...]
[40]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139호 http://theme.archive[...] 2000-05-29
[4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22호 http://gwanbo.mois.g[...] 2001-08-10
[42]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4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41호 http://gwanbo.mois.g[...] 2001-12-12
[4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60호 http://gwanbo.mois.g[...] 2002-04-08
[45] 법률 대통령령 제17794호 http://www.law.go.kr[...] 2002-12-05
[4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39호 http://gwanbo.mois.g[...] 2003-02-24
[4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69호 http://gwanbo.mois.g[...] 2004-04-03
[4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107호, 제2004-108호 http://gwanbo.mois.g[...] 2004-05-17
[4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11호 http://gwanbo.mois.g[...] 2005-05-14
[5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1호 http://gwanbo.mois.g[...] 2006-02-15
[5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6-22호 http://gwanbo.mois.g[...] 2006-01-25
[52]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7-4호 http://gwanbo.mois.g[...] 2007-11-08
[53]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163호 http://gwanbo.mois.g[...] 2008-05-19
[54]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9-2호 http://gwanbo.mois.g[...] 2009-05-27
[55] 뉴스 신대구부산고속도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 http://autotimes.han[...] 한국경제신문 2009-06-01
[56] 뉴스 중앙고속도 춘천영업소 18일 조기 이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6-16
[57]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388호 http://gwanbo.mois.g[...] 2009-06-23
[58] 간행물 재고시 http://gwanbo.mois.g[...] 2009-07-02
[59]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0-2호 http://gwanbo.mois.g[...] 2010-08-31
[60]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6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62]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6-7호 http://gwanbo.mois.g[...] 2016-08-03
[63] 뉴스 중앙고속도로 단양휴게소, 단양팔경휴게소로 명칭 변경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9-24
[6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15호 http://gwanbo.mois.g[...] 2019-09-26
[65] 일반
[66] 일반
[67] 일반
[68] 일반
[69] 뉴스 횡성 중앙고속도로 43중 추돌…19명 중·경상(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