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와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48.8km의 왕복 4차선 고속도로이다. 1990년대 초반 계획이 시작되어, 2010년 고속국도 제600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 12월 노포 분기점 ~ 기장 분기점 구간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2018년 2월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금정 나들목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위치한 금정 나들목은 2017년 12월 28일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개장하여 부산광역시도 제6106호선과 연결되며, 2019년 기준 일일 통행량은 6,301대이다.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기장 분기점
기장 분기점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하며, 동해고속도로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접속하는 분기점으로 2017년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통행이 시작되었다. - 양산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양산시의 도로 - 함양울산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는 함양군에서 울주군을 잇는 고속국도 제14호선으로, 2012년 지정되었으며,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천황산터널 등 장대 터널이 많고,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한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와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철도역으로,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등이 정차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도 운행된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명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노선 번호명 | 고속국도 제600호선 |
총연장 | 48.8 km |
개통년 | 2017년 12월 28일 , 2018년 2월 7일 |
기점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
주요 경유지 |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양산시 부산광역시 기장군 |
종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58호선 |
2. 역사
부산광역시 외곽을 연결하는 순환도로 계획은 1990년대 초반부터 있었으며, 1993년 건설부가 발표한 "국토 장기 간선도로망 개발 계획"에서 현재 건설 중인 노선과 유사한 형태의 노선이 시작되었다.[2] 이후 여러 차례 계획 및 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0년 12월 20일 고속국도 제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지정되었고,[14] 2010년 12월 24일 착공에 들어갔다.
2017년 12월 28일 노포 분기점 ~ 기장 분기점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2018년 2월 7일 진영 분기점 ~ 노포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광재 나들목은 2018년 2월 13일에, 한림 나들목은 2019년 7월 17일에 각각 개통되었다.
2. 1. 초기 계획 및 추진
1990년대 초반 부산광역시는 해상신도시 계획과 함께 사하구 다대동에서 영도를 잇는 외곽순환고속도로를 추진했으나[1], 이는 현재 노선과는 달랐다. 현재 노선과 유사한 노선은 1993년 건설부가 발표한 "국토 장기 간선도로망 개발 계획"에서 시작되었다.[2] 1994년 건설부는 "부산광역권 개발계획"을 발표하면서 가덕, 한림, 양산, 일광, 해운대를 잇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계획을 포함시켰다.[3]1999년 대한민국 정부는 "부산순환고속도로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여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했고(B/C 1.13), 부산광역시는 "교통기본계획 변경안"에 녹산공단, 부산신항, 지사과학단지, 냉정 분기점, 양산, 좌천, 일광을 잇는 외곽순환도로를 포함시켜 사업을 본격화했다.
2. 2. 사업 본격화 및 착공 지연
1999년 대한민국 정부는 "부산순환고속도로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여 경제성이 있다고 판정(B/C 1.13)했고, 부산광역시는 "부산시 교통기본계획 변경안" 등에 외곽순환도로를 포함시켜 사업을 본격화했다.[1]2004년 부산광역시와 한국도로공사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추진을 발표했고,[4] 2006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5][6] 이후 이명박 정부의 "동남권 선도 프로젝트"에 선정되고,[7] 부산광역시의 장기 계획에 포함되면서[8][9] 부산광역시와 한국도로공사는 조기 착공에 합의했으나, 대한민국 정부의 국비 지원 지연으로 착공이 계속 미뤄졌다.[10]
2010년 12월 20일,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 따라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600호선)로 지정되었고,[11] 같은 해 12월 24일 1공구와 12공구를 시작으로 착공했다. 2011년 11월 11일 나머지 구간도 착공하여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5년 10월 4일 한림 나들목 설치가 확정되어 같은 해 10월 24일에 착공했고,[12] 김해가야 나들목도 2017년 4월 18일 설치 협약 체결 후 같은 해 5월에 착공했다.[13]
2. 3. 착공 및 개통
- 2010년 12월 20일: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부산외곽순환선)로 지정하였다.[14]
- 2010년 12월 24일: 전 구간 착공
- 2011년 7월 6일: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정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48.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5]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우동리', 종점을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로 명시[16]
- 2017년 5월: 김해휴게소 나들목 착공
- 2017년 12월 28일: 노포 분기점 ~ 기장 분기점 11.5km 구간 신설 개통[17]
- 2018년 2월 7일: 한림 나들목, 광재 나들목을 제외한 진영 분기점 ~ 노포 분기점 37.3km 구간 신설 개통[18][19]
- 2018년 2월 13일: 광재 나들목 개통[20][21]
- 2018년 8월 29일: 진영휴게소 회차시설 요금소 개통[22]
- 2018년 11월 28일: 한림 나들목 개통일을 2019년 말로 연기[23]
- 2019년 6월 24일: 2020년까지 한림 나들목 요금소 신축을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정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48.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4]
- 2019년 7월 17일: 한림 나들목 개통[25]
- 2020년 9월 18일: 도로명주소에 진영 분기점부터 기장 분기점까지 49.606km 구간을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로 고시[26]
3. 구성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총 연장 47.9km, 왕복 4차로이며, 제한 속도는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더 자세한 노선 정보와 시설물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노선 정보
- 총 연장: 48.8km
- 차로수: 왕복 4차로
- 제한 속도: 최고 100km/h, 최저 50km/h
3. 2. 시설물
거리거리
(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
SA
김해금관가야휴게소
Gimhae-Geumgwangaya SA
양방향 통합형
부산방향의 경우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
국도 제3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91호선 (기장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