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루손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루손어군은 가설적인 원시 중앙 루손어에서 유래된 언어군으로,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또는 원시 필리핀어에서 진화하며 일부 자음이 손실되었다. 이 언어군에는 팜팡가어, 삼발어군(아벨렌어, 암발라어, 볼리나오어, 보톨란어, 안치어, 인디어, 마리벨레스어, 삼발어), 시나우나어가 포함된다. 로널드 하임스와 로렌스 리드는 북민도로어군이 중앙루손어군과 분기군을 이룰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두 언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R 음소가 /y/로 변화하는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앙루손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중앙루손어군 |
로마자 표기 | Jungang Ruson-eogun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지역 | 중앙루손 지방 서부, 피나투보산 인근, 서부 불라칸주, 남서부 누에바에시하주, 팜팡가주 전체, 서부 팡가시난주, 북동부 칼라바르손 지방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필리핀어군 |
조어 | 프로토-중앙루손어 |
하위 언어 | 팜팡가어 삼발어군 시나우나어 |
Glottolog | cent2080 |
Glottolog 참조 | 중앙루손 |
![]() |
2. 역사 언어학
현대의 중앙루손어군은 가설적인 원시 중앙 루손어에서 유래되었다.
원시 중앙 루손어군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또는 원시 필리핀어에서 진화하면서 일부 자음이 손실되었다.[3]
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colspan="2" | | ŋ | colspan="2" | | |||||
파열음 | p, b | t, d | j | k, g | ʔ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z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s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R음 | colspan="2" | | r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반모음 | w | colspan="2" | | y | colspan="2" | | colspan="2" | |
위에 나열된 자음의 음성 값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추정되는 값이며, 원시 중앙 루손어군으로의 음운 변화로 인해 발생한 성문 파열음은 예외이다: *q > *ʔ 및 *h > Ø 다음에 Ø > *ʔ/#_[3].
높이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colspan="2" | | u | |||
중모음 | colspan="2" | | e | colspan="2" | | |||
저모음 | colspan="2" | | a | colspan="2" | |
위에 나열된 모음의 값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가지고 있던 값이다.[2]
2. 1. 원시 중앙 루손어의 음운론
원시 중앙 루손어군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또는 원시 필리핀어에서 진화하면서 일부 자음이 손실되었다.[3]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colspan="2" | | ŋ | colspan="2" | | |||||
파열음 | p, b | t, d | j | k, g | ʔ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z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s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R음 | colspan="2" | | r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반모음 | w | colspan="2" | | y | colspan="2" | | colspan="2" | |
위에 나열된 자음의 음성 값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추정되는 값이며, 원시 중앙 루손어군으로의 음운 변화로 인해 발생한 성문 파열음은 예외이다: *q > *ʔ 및 *h > Ø 다음에 Ø > *ʔ/#_[3].
높이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colspan="2" | | u | |||
중모음 | colspan="2" | | e | colspan="2" | | |||
저모음 | colspan="2" | | a | colspan="2" | |
위에 나열된 모음의 값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가지고 있던 값이다.[2]
2. 1. 1. 원시 중앙 루손어의 자음
원시 중앙 루손어군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또는 원시 필리핀어에서 진화하면서 일부 자음이 손실되었다.[3]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colspan="2" | | ŋ | colspan="2" | | |||||
파열음 | p, b | t, d | j | k, g | ʔ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z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s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R음 | colspan="2" | | r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반모음 | w | colspan="2" | | y | colspan="2" | | colspan="2" | |
위에 나열된 자음의 음성 값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추정되는 값이며, 원시 중앙 루손어군으로의 음운 변화로 인해 발생한 성문 파열음은 예외이다: *q > *ʔ 및 *h > Ø 다음에 Ø > *ʔ/#_[3].
높이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colspan="2" | | u | |||
중모음 | colspan="2" | | e | colspan="2" | | |||
저모음 | colspan="2" | | a | colspan="2" | |
위에 나열된 모음의 값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가지고 있던 값이다.[2]
2. 1. 2. 원시 중앙 루손어의 모음
원시 중앙 루손어군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3]높이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i | colspan="2" | | u u | |||
중모음 | colspan="2" | | e ə | colspan="2" | | |||
저모음 | colspan="2" | | a a | colspan="2" | |
로널드 하임스(Ronald Himes, 2012)[5][3]와 로렌스 리드(Lawrence Reid, 2015)[6][4]는 북민도로어군이 중앙루손어군과 분기군을 이룰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두 어군은 모두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R 음소가 /y/로 변화하는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한다.[5][3]
중앙루손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다음과 같다.
위에 나열된 모음의 값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가지고 있던 값이다.[2]
3. 타 어군과의 관계
4. 내부 분류
4. 1. 팜팡가어
팜팡가어는 중앙루손어군에 속한다.
4. 2. 삼발어군
아벨렌어
암발라어
볼리나오어
보톨란어
안치어
인디어
마리벨레스어
삼발어
4. 2. 1. 아벨렌어
4. 2. 2. 암발라어
삼발어군에 속한다.
4. 2. 3. 볼리나오어
삼발어군의 하위 언어이다. 아벨렌어, 암발라어, 보톨란어 등과 함께 삼발어군을 이룬다.
4. 2. 4. 보톨란어
삼발어군에 속하는 보톨란어는 중앙루손어군에 속한다.
4. 2. 5. 마그-안치어 (안치어)
팜팡가어와 삼발어군을 구성하는 언어이다. 아벨렌어, 암발라어, 볼리나오어, 보톨란어, 안치어, 인디어, 마리벨레스어, 삼발어가 삼발어군에 속한다.
4. 2. 6. 마그-인디어 (인디어)
wikitext
4. 2. 7. 마리벨레스어
삼발어군의 하위 언어이다.
4. 2. 8. 삼발어
4. 3. 시나우나어 (하탕 카이어)
시나우나어는 중앙루손어군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참조
[1]
뉴스
Wear Kapampangan: T-shirt entrepreneurs seek to boost Pampanga's language
http://www.gmanetwor[...]
2015-04-24
[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http://hdl.handle.ne[...]
Asia-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
논문
The Central Luzon Group of Languages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
[4]
간행물
Re-evaluating the position of Iraya among Philippine languages
http://ical13.ling.s[...]
2015
[5]
논문
The Central Luzon Group of Languages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
[6]
간행물
Re‐evaluating the position of Iraya among Philippine languages
http://ical13.ling.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