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발어는 필리핀 잠발레스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에스놀로그는 산타 크루스, 마신록, 이바를 주요 방언으로 분류한다. 이 언어는 '잠발(zambal)'이라고도 불리며, 한때 '티나(Tina)'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이는 보톨란 방언에서 '표백된'이라는 뜻으로 모욕적인 의미를 지녀 삼발어 화자들은 이 명칭을 일반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삼발어는 까팜팡간어와 타갈로그어의 고전적 형태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루손어군 - 팜팡가어
팜팡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중앙루손어군에 속하며 필리핀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고, 21개의 음소와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다양한 접사와 격 표지, 차용어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삼발어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삼발리, 삼발 티나, 티나 삼발 |
![]() | |
사용 국가 | 필리핀 |
사용 지역 | 삼발레스주, 팡가시난주 인판타, 메트로 마닐라, 팔라완섬 케손 |
민족 | 삼발족 |
사용자 수 | 70,000명 (2000년) |
언어 분류 | 지역어 (필리핀) |
관리 기관 | 필리핀 언어 위원회 |
언어 코드 | |
ISO 639-3 | xsb |
Glottolog | tina1248 |
Glottolog 이름 | 티나 삼발 |
계통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필리핀어군 |
어계 | 중앙루손어군 |
분파 | 삼발어군 |
2. 방언
에스놀로그는 산타 크루스, 마신록, 이바를 삼발어의 주요 방언으로 분류한다.
삼발어는 '잠발(zambal)'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삼발(Sambal)'의 히스패니시화된 형태이다. 삼발은 한때 '티나(Tina)'라고도 불렸는데,[3] 이 용어는 여전히 오래된 자료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이 언어의 보톨란 방언에서 '표백된'이라는 뜻으로,[4] 모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멸적인 용어는 1970년대 후반 하계 언어학 연구소(현 SIL International)의 연구자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4] 삼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명칭을 인식하지 못한다.[5] ''티나''(''Tina'') 또는 ''티나 삼발''(''Tina Sambal'' )은 1976년부터 1979년 사이에 하계 언어학 연구소의 연구원들로부터 사용된 말이다.[14] 삼발어 화자들은 정작 이 용어를 ‘표백제’를 뜻하는 매우 모욕적인 용어로 받아들였다.[15][16] 삼발 족들은 통상 그 자료를 용인할 수가 없었다.[17]
삼발어는 까팜팡간어와 타갈로그어의 고전적인 형태(리살 주 타나이에서 여전히 사용되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6] 이는 삼발어 사용자가 한때 그 지역에 거주했으며, 나중에 이주해 온 타갈로그족 정착민에 의해 북쪽으로 밀려 현재의 삼발레스 주로 이동했고, 그 과정에서 아에타족을 밀어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삼발레스 주에서 삼발어 사용자들은 인구가 적은 삼발레스 계곡을 다시 채우기 위해 이주해 온 타갈로그족 정착민과 이로카노족 정착민과 함께 이주해 온 타갈로그족 정착민들에 의해 거의 다시 한번 밀려났고, 이는 삼발족이 타갈로그족과 이로카노족 정착민에게 동화되고 삼발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언어가 현대에 와서 쇠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7][8][9] 일부 전통과 관습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삼발어 사용자와 마린두케와 롬블론 섬 주민들 사이의 관련성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삼발어는 19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음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3. 명칭
4. 다른 언어와의 관계
5. 음운
'''모음'''
삼발어는 3개의 단모음(/a/, /i/, /u/)과 5개의 이중모음(/aɪ/, /uɪ/, /aʊ/, /ij/, /iʊ/)을 가지고 있다.
'''자음'''
삼발어는 16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파열음은 무기음이다. 연구개 비음은 단어의 첫부분을 포함하여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주의: 자음 [d] 와 [ɾ] 는 한때 이음이었기 때문에 종종 바꿔서 사용된다. ''Dy'' 는 [dʒ], ''ny'' [ɲ], ''sy'' [ʃ], 그리고 ''ty'' [tʃ]로 발음된다.
'''강세'''
삼발어 음소에는 강세가 있다. 단어 위에 붙는 강세는 같은 철자를 다른 의미로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hikó'' (나) 와 ''híko'' (팔꿈치)와 같이 동음이의어를 구분한다.
5. 1. 모음
삼발어는 3개의 단모음(/a/, /i/, /u/)과 5개의 이중모음(/aɪ/, /uɪ/, /aʊ/, /ij/, /iʊ/)을 가지고 있다.- /a/는 전설 비원순 저모음으로 영어의 ‘f'''a'''ther’와 유사하다.
- /i/는 전설 비원순 고모음으로 영어의 ‘mach'''i'''ne’과 유사하다.
- /u/ (o로 표기)는 후설 원순 고모음으로 영어의 ‘fl'''u'''te’과 유사하다.
5. 2. 자음
삼발어는 16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파열음은 무기음이다. 연구개 비음은 단어의 첫부분을 포함하여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주의: 자음 와 는 한때 이음이었기 때문에 종종 바꿔서 사용된다. ''Dy'' 는 , ''ny'' , ''sy'' , 그리고 ''ty'' 로 발음된다.
5. 3. 강세
삼발어 음소에는 강세가 있다. 단어 위에 붙는 강세는 같은 철자를 다른 의미로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hikó'' (나) 와 ''híko'' (팔꿈치)와 같이 동음이의어를 구분한다.6. 문법
wikitable
혼란스러운 부분 |
---|
2018년 10월 |
6. 1. 명사
6. 2. 대명사
ko – koakin – hikunko (kunko로 축약됨)
namin – mi
amin – hikunmi 또는 ‘kunmi
natin – hikuntamo 또는 ‘kuntamo
atin – hikuntamo 또는 ‘kuntamo
mo – mo
iyó – hikunmo 또는 ‘kunmo
ninyo – moyo
inyo – hikunmoyo 또는 ‘kunmoyo
niya – naya
kaniya – hikunnaya 또는 ‘kunnaya
nilá – la
kanilá – hikunla 또는 ‘kun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