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발어는 필리핀 잠발레스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에스놀로그는 산타 크루스, 마신록, 이바를 주요 방언으로 분류한다. 이 언어는 '잠발(zambal)'이라고도 불리며, 한때 '티나(Tina)'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이는 보톨란 방언에서 '표백된'이라는 뜻으로 모욕적인 의미를 지녀 삼발어 화자들은 이 명칭을 일반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삼발어는 까팜팡간어와 타갈로그어의 고전적 형태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루손어군 - 팜팡가어
    팜팡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중앙루손어군에 속하며 필리핀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고, 21개의 음소와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다양한 접사와 격 표지, 차용어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삼발어
기본 정보
다른 이름삼발리, 삼발 티나, 티나 삼발
삼발어 사용 지역 지도
삼발어 통용 지역
사용 국가필리핀
사용 지역삼발레스주, 팡가시난주 인판타, 메트로 마닐라, 팔라완섬 케손
민족삼발족
사용자 수70,000명 (2000년)
언어 분류지역어 (필리핀)
관리 기관필리핀 언어 위원회
언어 코드
ISO 639-3xsb
Glottologtina1248
Glottolog 이름티나 삼발
계통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필리핀어군
어계중앙루손어군
분파삼발어군

2. 방언

에스놀로그는 산타 크루스, 마신록, 이바를 삼발어의 주요 방언으로 분류한다.

3. 명칭

삼발어는 '잠발(zambal)'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삼발(Sambal)'의 히스패니시화된 형태이다. 삼발은 한때 '티나(Tina)'라고도 불렸는데,[3] 이 용어는 여전히 오래된 자료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이 언어의 보톨란 방언에서 '표백된'이라는 뜻으로,[4] 모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멸적인 용어는 1970년대 후반 하계 언어학 연구소(현 SIL International)의 연구자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4] 삼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명칭을 인식하지 못한다.[5] ''티나''(''Tina'') 또는 ''티나 삼발''(''Tina Sambal'' )은 1976년부터 1979년 사이에 하계 언어학 연구소의 연구원들로부터 사용된 말이다.[14] 삼발어 화자들은 정작 이 용어를 ‘표백제’를 뜻하는 매우 모욕적인 용어로 받아들였다.[15][16] 삼발 족들은 통상 그 자료를 용인할 수가 없었다.[17]

4. 다른 언어와의 관계

삼발어는 까팜팡간어와 타갈로그어의 고전적인 형태(리살 주 타나이에서 여전히 사용되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6] 이는 삼발어 사용자가 한때 그 지역에 거주했으며, 나중에 이주해 온 타갈로그족 정착민에 의해 북쪽으로 밀려 현재의 삼발레스 주로 이동했고, 그 과정에서 아에타족을 밀어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삼발레스 주에서 삼발어 사용자들은 인구가 적은 삼발레스 계곡을 다시 채우기 위해 이주해 온 타갈로그족 정착민과 이로카노족 정착민과 함께 이주해 온 타갈로그족 정착민들에 의해 거의 다시 한번 밀려났고, 이는 삼발족이 타갈로그족과 이로카노족 정착민에게 동화되고 삼발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언어가 현대에 와서 쇠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7][8][9] 일부 전통과 관습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삼발어 사용자와 마린두케와 롬블론 섬 주민들 사이의 관련성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5. 음운

삼발어는 19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16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음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모음'''

삼발어는 3개의 단모음(/a/, /i/, /u/)과 5개의 이중모음(/aɪ/, /uɪ/, /aʊ/, /ij/, /iʊ/)을 가지고 있다.



'''자음'''

삼발어는 16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파열음은 무기음이다. 연구개 비음은 단어의 첫부분을 포함하여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colspan=2|양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성ptk(-) [ʔ]
유성bdg
파찰음무성(ts) [tʃ]
마찰음sh
비음mnng [ŋ]
설측음l
탄음r
반모음wy [j]



주의: 자음 [d] 와 [ɾ] 는 한때 이음이었기 때문에 종종 바꿔서 사용된다. ''Dy'' 는 [dʒ], ''ny'' [ɲ], ''sy'' [ʃ], 그리고 ''ty'' [tʃ]로 발음된다.

'''강세'''

삼발어 음소에는 강세가 있다. 단어 위에 붙는 강세는 같은 철자를 다른 의미로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hikó'' (나) 와 ''híko'' (팔꿈치)와 같이 동음이의어를 구분한다.

5. 1. 모음

삼발어는 3개의 단모음(/a/, /i/, /u/)과 5개의 이중모음(/aɪ/, /uɪ/, /aʊ/, /ij/, /iʊ/)을 가지고 있다.

5. 2. 자음

삼발어는 16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파열음은 무기음이다. 연구개 비음은 단어의 첫부분을 포함하여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주의: 자음 와 는 한때 이음이었기 때문에 종종 바꿔서 사용된다. ''Dy'' 는 , ''ny'' , ''sy'' , 그리고 ''ty'' 로 발음된다.

5. 3. 강세

삼발어 음소에는 강세가 있다. 단어 위에 붙는 강세는 같은 철자를 다른 의미로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hikó'' (나) 와 ''híko'' (팔꿈치)와 같이 동음이의어를 구분한다.

6. 문법

wikitable

혼란스러운 부분
2018년 10월


6. 1. 명사

6. 2. 대명사

ko – ko
akin – hikunko (kunko로 축약됨)kita – ta, kuntakami – hikami 또는 ‘kami
namin – mi
amin – hikunmi 또는 ‘kunmi포함적tayo – hitamo 또는 ‘tamo
natin – hikuntamo 또는 ‘kuntamo
atin – hikuntamo 또는 ‘kuntamo2인칭ikáw – hika
mo – mo
iyó – hikunmo 또는 ‘kunmokayo – hikamo 또는 ‘kamo
ninyo – moyo
inyo – hikunmoyo 또는 ‘kunmoyo3인칭siya – hiya
niya – naya
kaniya – hikunnaya 또는 ‘kunnayasilá – hila
nilá – la
kanilá – hikunla 또는 ‘kunla



예시:



소유격 대명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 뒤에 온다. 간접 목적격 대명사는 소유격 대명사를 대신할 수 있지만, 수식하는 단어 앞에 온다.

6. 2. 1. 일반 단수 대명사

6. 2. 2. 일반 복수 대명사

6. 2. 3. 인칭 단수 대명사

6. 2. 4. 인칭 복수 대명사

일반적인 대화에서는 대명사에서 '히'가 생략되거나 축약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Hikunla tana hiya rin (sa kanila na lang iyan)은 간단히 ‘kunla tana ‘ya-rin 또는 더 짧게 ‘kunlay na rin으로 표현된다.

예시:

Nakita ni Juan si Maria – Na-kit ni Juan hi Maria. 'JuanMaria를 보았습니다.'

참고: 필리핀어에서는 사람 이름에도 관사가 필요하다.

6. 2. 5. 예시

(내용 없음)

6. 2. 6. 복수 명사 관사

복수 명사 관사는 사용되지 않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6. 2. 7. 인칭 대명사 (격)

ko – ko
akin – hikunko (kunko로 축약됨)kita – ta, kuntakami – hikami 또는 ‘kami
namin – mi
amin – hikunmi 또는 ‘kunmi포함적tayo – hitamo 또는 ‘tamo
natin – hikuntamo 또는 ‘kuntamo
atin – hikuntamo 또는 ‘kuntamo2인칭ikáw – hika
mo – mo
iyó – hikunmo 또는 ‘kunmokayo – hikamo 또는 ‘kamo
ninyo – moyo
inyo – hikunmoyo 또는 ‘kunmoyo3인칭siya – hiya
niya – naya
kaniya – hikunnaya 또는 ‘kunnayasilá – hila
nilá – la
kanilá – hikunla 또는 ‘kunla



예시:

'나는 썼다.'

:Sulat is hulat (Masinloc) 또는 sulat (Sta. Cruz)

:Sumulat ako. Humulat ko 또는 Sumulat ko.

:Sinulatan ako ng liham. Hinulatan nya hiko 또는 hinulatan nya’ ko.

:'그는/그녀는 나에게 편지를 썼다.' Hinomulat ya ‘kunko, nanulat ya kunko, 또는 hinulatan mya ko.

:Ibibigay ko sa kaniyá. Ebi ko ‘kunna (hikuna).

:'나는 그것을 그에게/그녀에게 줄 것이다.'

소유격 대명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 뒤에 온다. 간접 목적격 대명사는 소유격 대명사를 대신할 수 있지만, 수식하는 단어 앞에 온다.

:Ang bahay ko. Yay bali ko.

:Ang aking bahay. Yay ‘kunkon bali.

:'나의 집.'

6. 3. 의문사

wikitable

삼발어타갈로그어영어
|| 어디

|-

| || || 무엇

|-

| || || 왜

|-

| || || 누구

|-

| || || 언제

|}

7. 예시 텍스트

7. 1. 필리핀 속담

"자기의 시작을 인정하지 않는 자는 결코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필리핀 속담이 있다.[10] 삼발어 번역은 "Hay kay tanda mamanomtom ha pinang-ibatan, kay maka-lato ha ampako-taw-an."이며, 타갈로그어 원문은 "Ang hindi marunong lumingon sa pinanggalingan ay hindi makararating sa paroroonan."이다.

7. 2. 주기도문

7. 2. 1. 마태오 복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주 이름이 거룩히 숭배받으시옵기를.
주의 나라가 임하옵시며,
주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악에서 구하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영원히 아버지께 있사옵나이다. 아멘.xsb

7. 2. 2. 루카 복음

아마 미, 마이팟낭 코몬 아 바날 몬 카팡야리안.

로마토 아나 코몬 안 아울론 시카이 마그-아리.

비얀 모 카민 파-망간 미 사 이나울로-아울로.

잉가-로완 모 카미 사 카우카살라난 미 빌랑

파-응잉간가-로 미 콘란 나그카살라난 코미

탄 안도 모 카미 아볼로얀 마나보 사 톡소.

와모요.[11]

8. 어휘

8. 1. 숫자

wikitable

삼발어 숫자
삼발어영어
아사/A`saxsbOne
루와/LuwaxsbTwo
툴로/TuloxsbThree
아팟/A`patxsbFour
리마/LimaxsbFive
아눔/A`numxsbSix
피토/PitoxsbSeven
왈로/WaloxsbEight
시얌/SiyamxsbNine
마풀로/MapuloxsbTen


8. 2. 일반 표현

삼발어타갈로그어한국어
Kay ko tandaxsb / Tanda koxsbHindi ko alamtl / Alam kotl몰라요 / 알아요
PapoxsbLola/lolotl조부모
KakaxsbAte/kuya/pinsantl형제자매 또는 사촌
Akay ko labayxsb / Labay koxsbHindi ko gustotl / Gusto kotl싫어요 / 좋아요
Murong tamoy naxsbUwi/balik na tayotl집에/돌아가자
HadilapxsbBukastl내일
HawaninxsbNgayontl지금/오늘
NaaponxsbKahapontl어제
YaxsbOotl
Ka`ixsbHinditl아니요


참조

[1] 웹사이트 Sambal https://linguistics.[...] 2024-12-21
[2] 뉴스 The Spanish Friars and Philippine Languages https://www.manilati[...] 2022-05-03
[3] 서적 Folktale Texts http://www.sil.org/a[...]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and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78
[4] 웹사이트 Call me Sambal http://angsambal.wor[...] 2010-12-16
[5] 간행물 Interclausal Relationships in Tina Sambal http://www.philippin[...] 1979
[6] 웹사이트 Sambal https://web.archive.[...]
[7] 서적 Negritos of Zambales Bureau of Public Printin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4
[8] 웹사이트 Tantingco: The Kapampangan in Us https://www.sunstar.[...] 2024-01-23
[9] 웹사이트 Zambales Province, Home Province of Subic Bay and Mt. Pinatubo https://subliblog.co[...]
[10] 웹사이트 The Philippine National Proverb: Translated Into Various Philippine Languages http://iloko.tripod.[...] n.d.
[11] 웹사이트 Sambal, Tinà (Tina, Sambali)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Sambali http://www.ethnologu[...]
[13] 웹사이트 Call Me Sambal – Don't Call Me Tina http://angsambal.wor[...]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4-16
[15] 웹사이트 Don't Call Me Tina http://angsambal.wor[...]
[16] 웹사이트 http://angsambal.wor[...]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