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요다 (방호순양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요다는 1891년 취역한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이다. 영국에서 건조되었으며,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22년 퇴역 후 잠수함 모함으로 개조되었으며, 1927년 폐선되어 표적함으로 사용된 후 격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0년 선박 - 마쓰시마 (방호순양함)
마쓰시마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방호순양함으로, 루이-에밀 베르탱의 젊은 학파 사상을 따라 설계되었으며 카네 대포를 주 무장으로 탑재했으나 1908년 화약고 폭발로 침몰하여 현재 대만 펑후현에 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 태평양의 침몰선 - 나가토 (전함)
나가토는 일본 해군 최초의 41cm 주포 탑재 전함이자 세계 최대급 전함 중 하나였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함대 기함으로 활동하다 미군의 핵 실험으로 침몰했다. - 태평양의 침몰선 - USS 새러토가 (CV-3)
USS 새러토가 (CV-3)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순양전함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했으나, 종전 후 핵 실험의 표적으로 침몰하여 현재는 다이빙 명소가 되었다. - 침몰한 표적함 - 나가토 (전함)
나가토는 일본 해군 최초의 41cm 주포 탑재 전함이자 세계 최대급 전함 중 하나였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함대 기함으로 활동하다 미군의 핵 실험으로 침몰했다. - 침몰한 표적함 - U-234
U-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 해군이 운용한 U-보트로, 기뢰 부설 잠수함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화물 수송 잠수함으로 개조되어 군사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하려다 종전 후 미 해군에 나포, 조사 후 격침되었다.
지요다 (방호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함명 | 지요다 (千代田) |
함종 | 순양함 |
건조 국가 | 일본 제국 |
기공 | 1888년 12월 4일 |
진수 | 1890년 6월 3일 |
취역 | 1891년 1월 1일 |
제적 | 1922년 4월 1일 (군함) 1924년 2월 21일 (특무정) |
최후 | 1927년 2월 28일 폐선, 1927년 8월 5일 해몰 처분 (표적) |
건조 조선소 | 톰슨 사(스코틀랜드, 클라이드뱅크) |
소속 | 구레 (1915년 4월 1일 기준) |
비고 | 선체 재질: 강철 |
제원 | |
상비 배수량 | 2,439 영국 톤 |
공시 배수량 | 2,430 영국 톤 |
수선장 | 310 ft (94.49m) |
수선 폭 | 42 ft (12.81m 또는 13.0m) |
흘수 (평균) | 14 ft (4.27m 또는 4.3m) |
추진 방식 | 2축 추진 |
주기관 | 직립 3단 3기통 왕복동 기관 2기 또는 횡치 3단 3기통 왕복동 기관 2기 |
출력 | 5,675 마력 또는 5,678 마력 공시: 4,104 마력 자연 통풍: 1,684 마력 |
보일러 | 자동차 보일러 6기 1920년 기준: 벨빌 보일러 12기 |
속력 (계획) | 19 노트 |
속력 (공시) | 18.3 노트 |
속력 (1920년) | 17 노트 |
연료 | 석탄 427톤 (적재량) 1904년: 석탄 390톤 1920년: 석탄 420톤 |
승무원 | 1889년 7월 정원: 300명 |
무장 | |
준공 시 | 40구경 12cm 단장포 10문 호치키스 47mm 속사포 14문 노르덴펠트 8.5mm 5연장 기포 3기 35.6cm 수상 어뢰 발사관 3문 |
1920년 시 | 암스트롱 12cm 포 10문 호치키스 5cm 포 14문 마드센 6.5mm 기관총 1기 (경비 시 2기) |
장갑 | |
수선 | 92mm (또는 4.5인치, 114mm) |
갑판 | 35mm (또는 1.5인치, 38mm ~ 1인치, 25mm) |
탑재정 | |
탑재정 (1920년) | 8척 |
2. 설계
지요다는 영국 해군의 넬슨급 순양함을 대폭 축소한 설계를 기반으로 한 '벨트식 순양함'이었다. 선체는 84개의 방수 구획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비 장갑으로 보호되었다.[2]
함 구조를 앞에서부터 설명하면 물밑에 충각이 붙어 있고, 수선부에 356mm 수중 어뢰발사관 1문이 달린 함수가 있으며, 함수 갑판 위에 주포 12cm 속사포는 방순이 달린 단장 포가에 1기, 정상부에 감시소를 가진 단각형 정면 돛대가 서 있었다. 그 뒤로 양쪽 겨드랑이에 선교를 가진 조타 함교가 배치되어 있고 선체 중앙부에 1개 굴뚝이 서 있다. 그 주위에는 연통형 통풍탑과 빈 곳에는 함재 보트 보관소가 있으며, 함재 보트는 2개를 한 조로 하는 보트 다비트가 편현 4조로 총 8조를 운용할 수 있었다.
원래 12.6인치 카네포를 탑재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상부 중량 과다로 인해 계획이 폐기되었다. 선수는 충각을 위해 강화되었다.[3]
본 함은 현측 장갑을 갖추고 있어 일본 최초의 장갑순양함[30](Armored cruiser)으로 취급되기도 하지만, 그 장갑 범위는 수선부에 띠 모양의 좁은 물건으로 영국 해군의 오를란도급 순양함과 마찬가지로 ''Belted cruiser''('''띠 장갑 순양함''', 또는 '''장갑 띠 순양함'''으로 번역)이라고 나카가와 츠토무는 말하고 있다[31]。 또한 『해군 군비 연혁』에서는 '''강철 장갑 띠 순양함'''이라고 하고 있다[32]。 포격으로 암스트롱 사의 4.7인치 속사포 2문을 처음으로 탑재했다[30]。 방수 구획과 각 실이 총 84개 있으며, 간접 방어가 향상되었다[30]。
2. 1. 무장
주포는 단장 포좌에 장착된 10문의 QF 4.7인치 /40 해군포로 구성되었으며, 선수와 선미에 각각 1문, 양 현측에 4문씩 배치되었다. 엘윅(Elwick) 속사 기술의 사용으로 이전 순양함 설계에 비해 발사 속도가 6배 증가했다.[3] 부포는 14문의 QF 3파운더 호치키스포와 3문의 11-mm 10연장 노르덴펠트 기관총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주 갑판에 356mm 화이트헤드 어뢰 발사관 3문을 장착했다.[3]2. 2. 기관
취역 후 1년 정도 지나 보일러 연소통에 처짐이 발생하여 지주를 세워 억제했고, 최종적으로는 증기압을 낮춰 운전해야 했다.[33] 1897년부터 1898년까지 구레 조병창에서 주 기관을 벨빌식 석탄 전소식 수관 보일러로 교체했다. 1898년에는 전투 마스트(파이팅 톱)가 제거되었다.[30]3. 함력
지요다는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활약한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이다. 프랑스의 방호순양함 우네비가 남중국해에서 실종되자, 보험금을 재원으로 하여 영국에서 건조되었다.
청일 전쟁에서 지요다는 대한민국, 중국, 러시아 연안 순찰 임무를 수행했으며, 압록강 해전과 웨이하이웨이 해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대만 침공에도 참여하여 1895년 6월 3일 기륭에서 해안 포격 작전을 수행했다.[4] 종군 기자 국목전독보가 승선하여 황해 해전 등 여러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25][40]
러일 전쟁에서는 제물포 해전, 황해 해전, 울산 해전에 참전했다.[3] 1904년 7월 26일에는 기뢰에 접촉하여 피해를 입기도 했지만,[47] 쓰시마 해전을 비롯하여 여순 공략 작전, 일본해 해전, 사할린 작전 등에도 참가했다.[25]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칭다오 포위전에 참전하여 독일 제국 해군 기지 점령 작전에 참여했으며,[5] 마닐라를 기지로 연합국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
1912년 8월 28일 2등 연안 방어함으로 재지정되었고,[51][25] 1921년 4월 14일에는 수뢰 모함으로 분류가 변경되었다.[54] 이후 잠수함 모함 및 훈련함으로 사용되다가 1922년 4월 1일 군함적에서 제외되었고,[25][55] 1927년 8월 5일 분고 수도에서 표적함으로 침몰했다.[70]
3. 1. 건조
지요다는 메이지 정부가 주문한 프랑스의 방호순양함 우네비가 남중국해에서 실종되자, 보험금을 재원으로 하여 대체 건조된 함선이다.[1] 일본 제국 해군의 요구 사양을 바탕으로 루이 에밀 베르탕이 설계하고, 영국 톰슨 사의 글래스고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1888년(메이지 21년) 9월 27일, 일본 해군은 영국에서 건조 중인 순양함을 지요다로 명명했다.[36][23] 1890년(메이지 23년) 6월 3일 영국 글래스고의 톰슨사에서 기공되어,[25] 진수되었다.[37] 1891년(메이지 24년) 1월 1일 준공되어[25] 일본으로 회항, 같은 해 4월 11일 요코스카에 도착했다.[25][39]
3. 2. 청일 전쟁
청일 전쟁 발발과 함께, 방호순양함 ''지요다''는 대한민국, 중국, 러시아 연안의 순찰 임무에 투입되었으며, 때때로 홋카이도까지 순찰을 수행했다. 압록강 해전과 웨이하이웨이 해전을 포함한 전쟁의 모든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지요다''는 1895년 대만 침공에 참여한 일본 함대 소속으로, 1895년 6월 3일 기륭에서 중국 해안 요새 해안 포격 작전에 참전했다.[4]청일 전쟁 당시, 종군 기자 국목전독보가 승선하여 황해 해전, 다롄・뤼순・웨이하이웨이・펑후 제도 공략 작전 등에 참가했다.[25][40] 1895년 (메이지 28년) 2월 26일, '지요다'는 노획한 청나라 순양함 '광병'과 함께 웨이하이웨이를 출발했으며,[41][42] 3월 5일에 구레로 귀환, 국목전도 퇴함했다.[43]
같은 해, 미국-스페인 전쟁으로 인해 자국민 보호를 위해 마닐라에 파견되었다. 의화단 운동에서는 1900년 10월부터 12월에 걸쳐 다구・즈푸 방면에 파견되었다.
3. 3. 러일 전쟁
러일 전쟁 (1904~1905) 동안, ''지요다''는 무라카미 카쿠이치 대령의 지휘 아래 개전 초 제물포 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황해 해전과 울산 해전에 참전했다.[3] 1904년 7월 27일, ''지요다''는 러시아 해군 기뢰에 접촉했지만 다롄으로 예인되었고, 그곳에서 수리를 마치고 쓰시마 해전에 참가했다.[3] 1904년 7월 26일에는 대하만으로 진출하여 일본군을 공격하던 러시아 함대를 추격하던 중 기뢰에 접촉하여 사망자 7명, 부상자 27명이 발생하기도 했다.[47] 이후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수리를 받았다.[47] 1905년 1월 12일, ''지요다''는 (후에 원수가 된) 히가시후시미 요리히토 친왕의 지휘를 받았다.[3] ''지요다''는 인천 해전, 여순 공략 작전, 일본해 해전, 사할린 작전 등에 참가했다.[25]3. 4.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칭다오 포위전에서 ''지요다''는 중국 산둥의 칭다오에 있는 독일 제국 해군 기지를 점령하기 위해 파견된 일본 함대의 일부였다.[5] 이후, 마닐라를 기지로 하여 독일의 통상 파괴에 맞서 중국 해안에서 연합국 순찰에 참여했다.3. 5. 퇴역
1912년 8월 28일, 지요다는 2등 연안 방어함으로 재지정되었다.[51][25] 1921년 4월 14일에는 수뢰 모함으로 분류가 변경되었다.[54] 이후 잠수함 모함 및 해군 사관 후보생을 위한 훈련함 등 다양한 임무에 사용되었다.1922년 4월 1일, 지요다는 군함적에서 제외되었고,[25][55] 함정류별 등급표에서도 삭제되었다.[56][57] 지요다는 특무정에 편입되어 잠수함 모함이 되었다.[59] 1924년 12월 1일 특무정 등록이 해제되어 잡역선으로 편입,[60] 연습선으로 지정되어 해군병학교 부속이 되었고,[60] 12월 6일부터 1926년 10월 1일까지 해군병학교의 연습선을 맡았다.[61]
1926년 12월 20일, 일본 해군은 지요다를 조사하고 노후화가 심각하여 폐선이 타당하다고 보고했다.[62] 1927년 2월 4일 폐선 인가,[63] 같은 해 2월 28일, 폐선.[25]
지요다는 1927년 8월 5일 히로히토 천황의 참관 하에 분고 수도에서 중순양함의 실탄 사격 훈련 중 표적으로 침몰되었다.[70] 침몰 위치는 북위 32도 18분 0초, 동경 131도 56분 15초.[71]
해체 후, 지요다의 함교는 에타지마 해군 병학교에 열병식 관람석으로 보존되었지만, 패전 후 철거되었다.
4. 함장
직책 | 이름 | 계급 | 재임 기간 |
---|---|---|---|
회항 위원장 | 아라이 아리카네 | 대좌 | 1890년 1월 10일 - 1891년 4월 13일 |
함장 | 아라이 아리카네 | 대좌 | 1890년 1월 10일 - 1891년 6월 17일 |
센주 나리사다 | 대좌 | 1891년 6월 17일 - 1892년 9월 5일 | |
아리스가와노미야 타케히토 친왕 | 대좌 | 1892년 9월 5일 - 1893년 10월 12일 | |
오모토 토모미치 | 대좌 | 1893년 10월 12일 - 1894년 2월 26일 | |
우치다 마사토시 | 대좌 | 1894년 2월 26일 - 1895년 9월 28일 | |
이토 츠네사쿠 | 대좌 | 1895년 9월 28일 - 1897년 5월 15일 | |
게키 야스히로 | 대좌 | 1898년 5월 3일 - 1899년 5월 1일 | |
이노우에 토시오 | 대좌 | 1899년 5월 1일 - 9월 29일 | |
나리카와 키와무 | 대좌 | 1899년 9월 29일 - 1900년 6월 7일 | |
마츠모토 아리노부 | 대좌 | 1900년 6월 7일 - 1901년 2월 4일 | |
사카모토 하지메 | 대좌 | 1901년 2월 4일 - 10월 1일 | |
모리 잇페이 | 대좌 | 1903년 4월 12일 - 7월 7일 | |
무라카미 카쿠이치 | 중좌 | 1903년 7월 7일 - 1905년 1월 12일 | |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 대좌 | 1905년 1월 12일 - 12월 20일 | |
야마모토 마사카츠 | 중좌 | 1905년 12월 20일 - 1906년 10월 4일 | |
츠키야마 키요토모 | 대좌 | 1906년 10월 4일 - 1907년 5월 2일 | |
모리 와타루 | 대좌 | 1907년 5월 2일 - 1908년 2월 20일 | |
오사와 키시치로 | 대좌 | 1908년 2월 20일 - 9월 25일 | |
야마나카 시바키치 | 대좌 | 1908년 9월 25일 - 1909년 3월 10일 | |
(겸)카네코 사토시 | 중좌 | 1909년 3월 10일 - 5월 22일 | |
카마야 로쿠로 | 중좌 | 1909년 5월 22일 - 12월 1일 | |
이소베 켄 | 중좌 | 1909년 12월 1일 - 1911년 10월 25일 | |
사쿠라노 미츠마사 | 중좌 | 1911년 10월 25일 - 1911년 11월 27일 | |
마치다 코마지로 | 대좌 | 1911년 11월 27일 - 12월 22일 | |
나가타 야스지로 | 대좌 | 1911년 12월 22일 - 1912년 6월 18일 | |
야마오카 토요이치 | 대좌 | 1912년 6월 18일 - 12월 1일 | |
쿠보 라이후쿠 | 대좌 | 1912년 12월 1일 - 1913년 11월 5일 | |
나가시마 지로 | 중좌 | 1913년 11월 5일 - 1914년 5월 6일 | |
호리타 테이시로 | 대좌 | 1914년 5월 27일 - 1914년 8월 23일 | |
시마우치 칸타 | 중좌 | 1914년 8월 23일 - 12월 1일 | |
야마시타 요시아키 | 대좌 | 불명 - 1915년 12월 13일 | |
코마키 시젠 | 중좌 | 1915년 12월 13일 - 1916년 12월 1일 | |
나카가와 히로시 | 중좌 | 1916년 12월 1일 - 1917년 12월 1일 | |
우에다 키치지 | 대좌 | 1917년 12월 1일 - 1918년 12월 1일 | |
후지무라 쇼키치 | 대좌 | 1918년 12월 1일 - 1919년 12월 1일 | |
이시와타 타케아키 | 대좌 | 1919년 12월 1일 - 1920년 6월 1일 | |
카토 코조 | 중좌 | 1920년 6월 1일 - 1920년 12월 1일 | |
미즈타니 코키 | 대좌 | 1920년 12월 1일 - 1921년 12월 1일 | |
키무라 토요키 | 중좌 | 1921년 12월 1일 - |
5. 갤러리
참조
[1]
논문
Chiyoda
The Society for Nautical Research
[2]
서적
War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3]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860–1905
[4]
문서
[5]
서적
The Fighting Ships of the Rising Sun
[6]
문서
付表第一その一「大正九年三月調艦艇要目等一覧表 その一 軍艦」
[7]
문서
p.20
[8]
문서
別冊表4、自明治元年至明治二十七年 主機械罐制式発達一覧表
[9]
문서
pp.18-19
[10]
문서
コマ171(原本325頁)『(艦名)千代田|(艦質)鋼|(噸數)二,四三九|(速力)一九.〇|(乗員)三〇六|(進水年月日)二三、六、三|(製造所)英國』
[11]
문서
画像1-3、艦艇本籍別一覧表 大正四年四月一日調
[12]
문서
p.26
[13]
문서
p.106
[14]
문서
p.451
[15]
문서
p.48
[16]
문서
別冊表5、自明治元年至明治二十八年 軍用機関内外発達対照表
[17]
문서
p.42
[18]
문서
下巻p.76(第三巻六四頁)
[19]
문서
下巻p.263、戦役中艦艇石炭搭載成績表
[20]
문서
下巻p.281、戦役従軍艦艇及其の最近高力運転成績
[21]
문서
pp.175-176、明治22年7月27日(達290)千代田八重山定員
[22]
문서
p.216
[23]
문서
p.12『達第九十九號 英國ニ註文セル巡洋艦ヲ千代田ト命名セラレ風帆練習艦第一回漕ヲ館山ト改名セラル此旨心得ヘシ 明治二十一年九月廿七日 海軍大臣伯爵西郷從道』
[24]
문서
第17コマ(原本11頁)『千代田形(ちよだがた) 艦種砲艦 二檣「スクーナー」型 艦名考千代は徳川幕府の治所江戸城(現今の宮城)の別稱なり、艦名の下に「形」の字を付したるは其形式(タイプ)を意味するものならん、幕府時代の船舶中、伊豆下田に於て建造せるものに君澤形、長崎に於て建造せるものに長崎形の名のあるを見る、蓋し同指なり。艦歴本艦は外國人の手を假らず本邦人に依て設計建造せられたる最初の蒸汽船なり、文久2年戌年5月起工、同3亥年7月進水、慶應2寅年5月竣工即ち進水より竣工まで約3ヶ年を費したるは、其間機關計畫者和蘭國へ出張の事あり、歸朝後、機關据付を爲したる等、工程に遅延を生ぜしことありしに由る。明治2年5月函館の役に於て官軍に収容せられ爾來帝國軍艦籍に在りて種々の役務に服せしが、明治21年1月除籍せられ、船體は之を千葉縣に交付せり。(要目略)』
[25]
문서
第37コマ(原本46頁)『千代田(ちよだ) 艦種巡洋艦 三檣(戰闘檣あり) 艦名考前掲「千代田形」の項(p.11)参照。艦歴亡失艦畝傍代艦として建造せられたる艦にして明治14年4月11日本邦に到着。明治27・8年戰役從軍:同27年8月威海衛砲撃に、同9月黄海々戰に、同11月大連港及び旅順口占領に從事、同28年2月威海衛總攻撃及同地占領に從事、同3月澎湖島攻略及同島占領に從事、同31年3月三等巡洋艦に列す。同37・8年戰役に從軍(第六戰隊):同37年2月9日仁川沖海戰に参加(艦長大佐村上格一)、同38年5月日本海々戰に参加(艦長大佐依仁親王殿下)、大正元年8月2等海防艦に編入。同3年乃至9年戰役に從軍:大正3年8月青島戰参加(艦長中佐島内桓太)、同8年12月第三艦隊に属し南支那海方面警備、同10年水雷母艦に編入、同11年4月1日軍艦より除籍、特務艦となり、昭和2年2月28日特務艦籍より除かる。―要目― 長308呎/幅43呎/吃水17呎/排水量2,450噸/機關 三聯成汽機2基雙螺旋ベルビル罐12/馬力5,400/速力19/乗組人員350/船材 鋼/兵装 12拇安式速射砲 10/47粍砲 14/備砲 3/發射管 3/起工 明治21-12-4/進水 同23-6-4/竣工 同24-1-1/建造所 英國グラスゴートムソン會社』(注:特務艦は特務艇の誤り)
[26]
간행물
'明治17年6月5日官報第179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1'
'{{NDLDC|2943483/1}}[...]
[27]
간행물
'明治21年1月28日官報第1372号。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コマ2'
'{{NDLDC|2944608/2}}[...]
[28]
문서
コマ22『明治二十年 畝傍ノ保險金一,二四五,三〇九圓ノ収入ニヨリ其ノ代艦トシテ千代田ノ製造ニ着手シタル外、八重山及水雷艇小鷹ヲ起工シ葛城及大和ヲ竣工ス』
[29]
문서
コマ141-142(原本272-275頁)『最幸にして最戰功ある千代田艦』
[30]
문서
p.29
[31]
문서
[32]
문서
p.48
[33]
문서
上巻pp.927-928(第二巻五五九頁から五六〇頁)
[34]
문서
画像24-27,30-33
[35]
문서
画像4-5
[3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37]
문서
帝国軍艦帖
[38]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39]
간행물
明治24年4月13日官報第2332号
https://dl.ndl.go.jp[...]
1891-04-13
[40]
서적
독보서간
https://dl.ndl.go.jp[...]
신조사
[41]
문서
애제통신
[42]
문서
애제통신
[43]
문서
애제통신
[44]
문서
달명치31년3월(1)
[45]
문서
해군제도연혁(권8、1940)
[46]
문서
달명치31년3월(1)
[47]
서적
일로 여순해전사
[48]
서적
요진신사삼백년제전기록
https://dl.ndl.go.jp[...]
요진신사사무소
[49]
문서
달대정원년8월
[50]
문서
해군제도연혁(권8、1940)
[51]
문서
달대정원년8월
[52]
문서
T10공문비고26/철거
[53]
문서
해군제도연혁(권8、1940)
[54]
문서
달대정10년4월(3)
[55]
문서
달대정11년4월(1)
[56]
문서
해군제도연혁(권8、1940)
[57]
문서
달대정11년4월(1)
[58]
문서
기념품의 건
[59]
문서
해군제도연혁(권8、1940)
[60]
간행물
해군공보(부내한)제1215호
https://www.jacar.ar[...]
1924-12-01
[61]
문서
T15(S1)공문비고31/병학교연습선치요다기타니관스루건(1)
[62]
문서
치요다나쓰시마폐선
[63]
문서
치요다나쓰시마폐선
[64]
문서
실험행행
[65]
문서
치요다표적개조
[66]
간행물
해군공보제176호
https://www.jacar.ar[...]
1927-08-03
[67]
문서
쇼와천황실록사권
[68]
간행물
해군공보제178호
https://www.jacar.ar[...]
1927-08-05
[69]
간행물
쇼와2년8월8일관보제183호
https://dl.ndl.go.jp[...]
1927-08-08
[70]
문서
쇼와천황실록사권
[71]
문서
S2公文備考31/軍艦 磐手に貸与中の特務艦 鳴戸内火艇返還の件
[72]
문서
高松宮日記1巻
[73]
간행물
官報
1914-05-07
[74]
간행물
官報
1917-12-03
[75]
간행물
官報
1918-12-03
[76]
간행물
官報
1919-12-02
[77]
간행물
官報
1920-06-02
[78]
간행물
官報
1920-12-02
[79]
간행물
官報
1921-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